KR101390949B1 -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949B1
KR101390949B1 KR1020120074020A KR20120074020A KR101390949B1 KR 101390949 B1 KR101390949 B1 KR 101390949B1 KR 1020120074020 A KR1020120074020 A KR 1020120074020A KR 20120074020 A KR20120074020 A KR 20120074020A KR 101390949 B1 KR101390949 B1 KR 101390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radle
gender
display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613A (ko
Inventor
안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큐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큐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큐러스
Priority to KR1020120074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949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있어서, 스마트폰과 연결되며 송수신버튼에 안착되는 송수화기를 포함하는 거치대; 상기 스마트폰과 거치대를 연결하는 젠더; 상기 스마트폰과 거치대가 젠더로 연결되면 데이터와 음성이 송수신 되어 거치대의 송수화기로 통화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거치대와 스마트폰이 젠더로 연결되면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디지털콘텐츠를 상기 출력단자에 연결된 임의의 디스플레이기기에 출력하는 영상신호제어부;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어 임의의 디스플레이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에서 전화 착발신 시 외부 디스플레이기기에 착발신 내용이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별도의 통화버튼을 누르지 않고 거치대의 송수화기로 통화를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디지털콘텐츠를 외부의 디스플레이기기에서 감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Smart phone cradle with built in video output}
본 발명은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거치대를 젠더로 연결하여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을 디지털TV로 출력하는 동시에, 스마트폰의 착발신시 스마트폰 화면 상의 착발신정보를 디지털TV 상에 표시하고 거치대의 송수화기로 통화할 수 있는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정보통신 산업의 발달로 인해 기본적인 통화 기능 이외에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한 정보처리, 인터넷 서핑을 비롯하여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며, 이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나날이 진보하여 PDA, 노트북, 태블릿PC, 디지털카메라 등 개인휴대형 디지털기기를 통합, 대체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폰은 장시간 통화시 발생하는 발열이나 배터리 소모 문제로 인해, 유선전화를 대체할만한 이용편의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개인휴대 단말기의 특성상 화면크기에 일정한 제약이 있고, 단말기 내의 디지털콘텐츠를 별도의 디스플레이기기에서 재생하기 위한 확장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과 거치대를 젠더로 연결했을 때, 스마트폰의 착발신시 콘텐츠 재생을 중단하고 착발신 내용을 거치대와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며, 거치대 상에 안착된 송수화기를 들어 착발신 통화를 할 수 있는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과 거치대를 케이블 또는 젠더로 연결하여 거치대와 연결된 외부 디스플레이기기에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디지털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거치대와 디지털TV를 영상케이블로 연결하고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거치하여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영상콘텐츠를 디지털TV에서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이 디지털콘텐츠를 재생하거나 착발신 중에도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상시 전원을 공급하는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안착되고, 송수신버튼에 안착되는 송수화기를 가지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마련되고, 상기 스마트폰에 결합되는 젠더; 상기 젠더에 결합된 상기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또는 음성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송수화기를 통해 통화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젠더에 결합된 상기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착발신정보 또는 영상통화화면을 외부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영상신호제어부; 및 상기 거치대에 마련되고, 상기 영상신호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의 디스플레이기기로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가 제공된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젠더의 결합상태를 점등에 의해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과 거치대가 상기 젠더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에 착발신된 전화를 상기 송수화기를 들어 상기 스마트폰을 통화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송수화기를 거치대에 안착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을 통화종료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거치대에 상기 젠더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젠더가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거치대가 통신 가능한 상태임을 표시하는 연결표시부; 및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젠더가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이 충전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하는 충전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신호제어부는, 상기 젠더에 결합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콘텐츠 신호를 외부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기기가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젠더에 결합된 스마트폰에 전화가 착발신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착발신 정보 또는 영상통화화면 신호를 외부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기기가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이 거치대에 안착되면 스마트폰의 착발신시 외부의 디스플레이기기에 착발신 정보 내지 내용이 디스플레이됨과 동시에 별도의 스마트폰의 조작없이도 거치대의 송수화기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서 재생되는 디지털 영상콘텐츠를 외부의 디스플레이기기에서 감상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젠더에 연결했을 때, 전원부에 의해 스마트폰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고, 거치대의 표시부를 통해 스마트폰과 젠더가 올바르게 연결되었는지와 스마트폰의 배터리 충전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후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와 송수화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후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는 거치대(100), 젠더(120), 제어부(160), 영상신호제어부(180), 출력단자(19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거치대(100)는 스마트폰(200)이 안착되고, 송수화기(104) 및 표시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송수화기(104)는 거치대(100)의 송수신버튼(102)에 안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통화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부(110)는 스마트폰(200)과 후술할 젠더(120)가 결합되어 거치대(100)와 스마트폰(200)이 통신가능한 상태임을 표시하는 연결표시부(112)와, 스마트폰(200)이 젠더(120)와 연결되어 스마트폰배터리(미도시)가 충전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불빛이 표시되는 충전표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젠더(120)는 거치대(100)에 마련되고, 스마트폰(200)과 거치대(1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스마트폰(200)과 거치대(100) 간에 데이터가 서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케이블(미도시) 및 스마트폰(200)과 거치대(100) 간에 음성이 서로 전송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음성케이블(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스마트폰(200)이 젠더(120)에 의해 거치대(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스마트폰(200)과 데이터 또는 음성신호를 송수신하여 거치대(100)의 송수화기(104)로 통화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송수화기(104)의 안착 여부에 따라 스마트폰(200)에서 착발신되는 전화를 연결 또는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즉, 스마트폰(200)과 거치대(100)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마트폰(200)에 전화가 걸려올 때, 사용자가 거치대(100)의 송수화기(104)를 들면 스마트폰(200)을 통화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고, 거치대(100)의 송수화기(104)를 송수신버튼(102)에 안착함으로써 송수신버튼(102)이 눌리면서 스마트폰(200)이 통화 종료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전원부(미도시)의 전원으로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스마트폰(200)과 거치대(100)가 젠더(120)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스마트폰의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한다.
표시부(110)는 연결표시부(112)와 충전표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표시부(112)는, 스마트폰(200)과 젠더(120)가 결합되어 스마트폰(200)과 거치대(100)가 통신 가능한 상태임을 LED램프에 의한 불빛으로 표시한다. 충전표시부(114)는, 스마트폰(200)과 젠더(120)가 결합되어 스마트폰(200)이 충전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한다.
영상신호제어제어부(180)는 스마트폰(200)과 거치대(100)가 젠더(120)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부(2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콘텐츠 신호를 외부 디스플레이(300)에서 출력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단자(190)를 통해 외부디스플레이기기(300)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제어부(180)는 스마트폰(200)이 젠더(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200)의 착발신시 스마트폰(200)의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되는 착발신 정보 또는 영상통화화면을 외부 디스플레이기기(300)에서 출력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송출할 수 있다.
출력단자(190)는 거치대(100)에 마련되고, 영상신호제어부(18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영상케이블(192)를 거쳐 외부의 디스플레이기기(300)로 출력하도록 한다.
거치대(100)에는 전원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는데, 전원부는 거치대(10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일례로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기 위한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거치대(100)에 스마트폰(200)을 안착시킴으로써 젠더(120)를 스마트폰(20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연결표시부(112)에 표시되는 불빛을 통해 스마트폰(200)과 거치대(100)가 정확히 결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연결표시부(112)는 제어부(160)에 의해 스마트폰(200)과 거치대(100)가 젠더(120)로 정확히 결합되면 청색 불빛이 표시되고, 스마트폰(200)과 거치대(100)가 젠더(120)로 정확히 결합되지 않으면, 적색 불빛이 표시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연결표시부(112)에 표시되는 불빛을 통해 젠더(120)의 결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젠더(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200)에 전화가 착신시 스마트폰(200)의 통화버튼(미도시)을 별도로 누르지 않고 거치대(100)의 송수화기(102)를 드는 것만으로 전화가 연결되어 통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200)과 거치대(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거치대(100)에 장착된 출력단자(190)와 임의의 디스플레이기기(300)를 케이블로 연결한다. 사용자가 스마트폰(200) 상에서 영상디지털콘텐츠를 재생하면, 이 재생정보는 영상신호제어부(180)에서 외부 디스플레이기기(300)에 적합한 출력신호로 변환되어 송출되고, 이 출력신호는 출력단자(190)와 연결된 영상케이블(192)을 거쳐 외부 디스플레이기기(300) 상에서 재생된다.
이때 스마트폰(200) 상에서 전화가 착신되면, 스마트폰(200)에서는 디지털콘텐츠 재생을 중지하고 착신정보를 스마트폰(200) 디스플레이(210) 상에 표시한다. 이 착신정보는 영상신호제어부(180)에서 외부디스플레이기기(300)에 적합한 출력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단자(190)를 거쳐 외부 디스플레이기기(300) 상에 표시된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200) 상에서 전화가 착신될 경우 디지털콘텐츠 재생을 중지하는 등 별도의 조치 없이 착신내용을 외부디스플레이기기(300)에서 확인하면서 송수화기(104)를 들어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영상통화가 착신되는 경우 외부디스플레이기기(300)에 영상통화 내용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외부디스플레이기기(300)를 보면서 송수화기(104)로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통화가 종료되어 스마트폰(200) 상에서 디지털콘텐츠 재생이 재개되면, 영상신호제어부(180)는 다시 이 재생정보를 변환·송출하여 외부디스플레이기기(30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100 : 거치대 102 : 송수신버튼
104 : 송수화기 110 : 표시부
112 : 연결표시부 114 : 충전표시부
120 : 젠더 160 : 제어부
180 : 영상신호제어부 190 : 출력단자
192 : 영상케이블 200 : 스마트폰
210 :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300 : 외부디스플레이기기

Claims (5)

  1. 스마트폰이 안착되고, 송수신버튼에 안착되는 송수화기를 가지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마련되고, 상기 스마트폰에 결합되는 젠더;
    상기 젠더에 결합된 상기 스마트폰과의 데이터 또는 음성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상기 송수화기를 통해 통화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젠더에 결합된 상기 스마트폰에 표시되는 착발신정보 또는 영상통화화면을 외부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영상신호제어부; 및
    상기 거치대에 마련되고, 상기 영상신호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외부의 디스플레이기기로 출력하도록 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젠더의 결합상태를 점등에 의해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젠더가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거치대가 통신 가능한 상태임을 표시하는 연결표시부; 및 상기 스마트폰과 상기 젠더가 결합되어 상기 스마트폰이 충전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하는 충전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폰과 거치대가 상기 젠더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에 착발신된 전화를 상기 송수화기를 들어 상기 스마트폰을 통화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송수화기를 거치대에 안착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을 통화종료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거치대에 상기 젠더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제어하는,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제어부는,
    상기 젠더에 결합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콘텐츠 신호를 외부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기기가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젠더에 결합된 스마트폰에 전화가 착발신시 상기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착발신 정보 또는 영상통화화면 신호를 외부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기기가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20074020A 2012-07-06 2012-07-06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KR101390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020A KR101390949B1 (ko) 2012-07-06 2012-07-06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020A KR101390949B1 (ko) 2012-07-06 2012-07-06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613A KR20140006613A (ko) 2014-01-16
KR101390949B1 true KR101390949B1 (ko) 2014-05-02

Family

ID=5014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020A KR101390949B1 (ko) 2012-07-06 2012-07-06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063A (ko) 2015-02-13 2016-08-23 진성필 휴대단말기의 전원을 유지하면서 배터리를 교체하는 방법
KR20170090598A (ko) 2016-01-29 2017-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호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613A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0603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и
US8068882B2 (en) Portable media player emulator for facilitating wireless use of an accessory
US200801941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edia Data
US8311592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external module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rged status thereof
TW200847750A (en) System with incoming call display indication and the method for using he same
KR101368698B1 (ko) 스마트폰 거치아암
KR101390949B1 (ko) 비디오 출력이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CN201928380U (zh) 一种带摄像头的遥控器和视讯接收终端
CN201467232U (zh) 可向电脑输出电视信号的手机
JP2009186712A (ja) 投影機能付きクレードル及び投影システム
WO2022267974A1 (zh) 一种投屏方法及相关装置
KR10106091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1959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data using wireless terminal
KR100640429B1 (ko) 다기능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03297845A (zh) 实现媒体播放的方法及子机
TW201328330A (zh) 可無線傳送畫面之手持式電子設備及其組成之多媒體系統
WO2020048227A1 (zh) 移动终端
KR100668603B1 (ko) 리모컨 수신 기능, 영상 입출력 기능 및 데이터 저장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장치
JP6230273B2 (ja) 通信接続システムおよび通信接続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
CN113963732B (zh) 音频播放方法和终端设备
CN110710223B (zh) 中继装置
CN103118286A (zh) 便携式影音信号发送装置及便携式影音信号接收装置
CN210642905U (zh) 一种具有电视的携带包
KR1006301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다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홈 씨어터 제어방법
KR20060122094A (ko) 티브이 화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