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756A -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756A
KR20120083756A KR1020110005078A KR20110005078A KR20120083756A KR 20120083756 A KR20120083756 A KR 20120083756A KR 1020110005078 A KR1020110005078 A KR 1020110005078A KR 20110005078 A KR20110005078 A KR 20110005078A KR 20120083756 A KR20120083756 A KR 20120083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rod
coil
current
contro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749B1 (ko
Inventor
정한영
박승우
신중진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5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7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36Control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봉제어계통에서 발전소가 운용되는 동안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파형을 실시간으로 취득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고장 발생시 즉시 고장위치를 알아낼 수 있는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제공하고, 제어봉 낙하시험시 작업자의 위험성 및 작업의 어려움을 제거하고 용이하게 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 상기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을 위한 제어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봉 코일을 구비한 원자력 발전 설비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어봉 코일로 출력하는 전력제어함; 상기 제어봉 주위에 설치되는 올림코일, 이동코일 및 정지코일을 포함하는 제어봉 코일; 상기 제어봉 코일과 전력제어함 사이에 설치되어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션트저항; 상기 제어봉 코일 및 전력제어함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류센서에 의한 전류 또는 션트저항의 전압을 증폭 또는 필터링하는 신호처리장치; 상기 신호처리장치에서 수신한 신호를 제어하여 코일전류감시분석기로 전송하는 신호취득제어기; 및 상기 전력제어함과 전기적으로 격리되어 상기 전류센서를 통해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신호처리장치 및 신호취득제어기를 통해 전송받아 분석하는 코일전류감시분석기; 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을 일정 위치로 유지시키는 정지코일의 션트저항에 전압측정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어봉코일을 이용하여 제어봉을 최상단으로 인출시키는 단계; 최상단으로 인출된 제어봉에 유지전류를 공급하여 유지하는 제어봉 유지단계; 상기 유지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제어봉을 낙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압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이 감소되는 시점부터 다시 증가하는 피크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APPARATUS FOR MONITORING COIL CURRENT OF RO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FOR MEASURING DROP TIME OF CONTROL ROD}
본 발명은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봉 주변에 설치되는 코일의 전류를 실시간 감시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어봉 낙하시간을 안전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은 기본적으로 원자로 내에서 핵분열 반응을 일으켜 이때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증기를 생성시키고 이 증기로 터빈을 구동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자로 내에서 핵분열 반응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수의 제어봉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봉은 핵분열 반응을 중개하는 열중성자를 흡수하기 쉬운 붕소, 카드뮴, 하프늄 등을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피복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제어봉을 노심에 넣으면 열중성자가 흡수되어 노의 반응온도가 낮아지고, 반대로 상기 제어봉을 빼면 노의 반응도가 높아진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어봉구동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함(10), 전자카드(20), 제어봉(30) 및 주제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전력함(10)에는 복수의 전자카드(2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카드(20)는 상기 전력함(10)과 각종 신호를 주고 받으며 전력함(10)에서 제어봉(30)으로 전자카드(20)의 신호에 따라 적당한 전류를 흘려주도록 한다. 상기 제어봉(30)의 주변에는 복수의 코일이 설치되고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어 제어봉(30)을 상하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주제어부(40)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력함(10)에 전송하고 상기 전력함(10)은 주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봉(30)에 구동전류를 인가한다.
원자력 발전에서는 안전성이 최우선 과제이므로 상기 제어봉제어계통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가동을 중단시키고 즉각 고장원인을 찾아내어 수리를 해야 한다. 기존의 제어봉제어계통에서는 고장이 난 경우 경고음을 내보내고 있지만, 어디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인지 알아내기가 힘들어 고장원인을 찾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되었다.
한편, 원자력 안전규제에 명시된 절차에 따라 원자로 임계 직전에 제어봉의 완전 인출위치에서 자유낙하시켜 원자로 노심 하부에 위치한 제동호 입구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3.3초 이내로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봉 낙하시험을 실시하는데 시험방법에는 일반적으로 제어봉 위치지시장치에서 직접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과 제어봉 낙하시 이동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낙하시간을 추정하는 방법이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원자로 격납 건물 내로 작업자가 진입하여야 하고 배전반에서 다른 작업자가 전압측정기록계에 유도된 전압을 측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두 번째 방법은 원자로 격납건물 내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지 않아도 되나 이동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력제어함에서 이동코일에 연결된 배선을 모두 해체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제어봉 낙하시험에서 52개 제어봉의 104개 터미널을 모두 풀어내고 테스트포인트를 만드는 작업은 매우 위험하고 어려운 작업이다. 특히, 복잡한 배선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측정에 사용되지 않는 정기코일에는 전류가 흐르므로 잘못 건드렸다가는 감전의 위험이 있다. 또한 테스트포인트를 만들때 제어봉을 최상부에 정지시키기 위하여 정지코일에 4 내지 5 암페어(ampere) 정도의 유지전류를 인가하여야 하는데 이는 감전의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제어봉제어계통에서 발전소가 운용되는 동안 전류센서 및 션트저항을 이용하여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파형을 실시간으로 취득할 수 있는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의 정지코일과 연결된 션트저항의 전압을 측정하여 제어봉 낙하시간을 계산하는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을 위한 제어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봉 코일을 구비한 원자력 발전 설비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어봉 코일로 출력하는 전력제어함; 상기 제어봉 주위에 설치되는 올림코일, 이동코일 및 정지코일을 포함하는 제어봉 코일; 상기 제어봉 코일과 전력제어함 사이에 설치되어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션트저항; 상기 제어봉 코일 및 전력제어함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류센서에 의한 전류 또는 션트저항의 전압을 증폭 또는 필터링하는 신호처리장치; 상기 신호처리장치에서 수신한 신호를 제어하여 코일전류감시분석기로 전송하는 신호취득제어기; 상기 전력제어함과 전기적으로 격리되어 상기 전류센서를 통해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신호처리장치 및 신호취득제어기를 통해 전송받아 분석하는 코일전류감시분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전류센서는 전력함의 제어회로로 피드백되는 션트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코일전류감시분석기는 상기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정상범위가 사전에 저장되고, 상기 전류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정상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을 일정 위치로 유지시키는 정지코일의 션트저항에 전압측정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어봉코일을 이용하여 제어봉을 최상단으로 인출시키는 단계; 최상단으로 인출된 제어봉에 유지전류를 공급하여 유지하는 제어봉 유지단계; 상기 유지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제어봉을 낙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압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이 감소되는 시점부터 다시 증가하는 피크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발전소가 운용되는 동안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파형을 실시간으로 취득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봉의 이동코일이 아닌 정지코일의 전압을 측정하여 제어봉 낙하시험시 작업자가 원자로 격납 건물 내로 들어가지 않고 배선해체도 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낙하시험을 실시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어봉구동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션트저항의 전압측정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5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 낙하시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 낙하시험에서 나타나는 정지코일의 전류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 낙하시험에서 나타나는 이동코일의 전류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3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제어함(100), 제어봉코일(200), 션트저항(300), 전류센서(400), 신호처리기(500), 신호취득제어기(600), 코일전류감시분석기(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력제어함(100)은 제어봉(R)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제어봉코일(200)에 인가한다. 상기 전력제어함(100)은 주제어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사전에 설정된 순서에 따라 올림코일(210), 정지코일(230) 및 이동코일(220)에 전류를 흘려 상기 제어봉(R)을 한 단계씩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봉(R)이 일정한 위치에 도달한 경우 정지코일(230)에 전류를 흘려 상기 제어봉(R)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어봉코일(200)은 제어봉(R) 주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봉(R)을 상하 이동시키고 올림코일(210), 정지코일(230) 및 이동코일(220)을 포함한다. 상기 올림코일(210)과 상기 이동코일(220)은 상기 제어봉(R)을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정지코일(230)은 제어봉(R)을 일정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코일로서, 올림코일(210) 및 이이동코일(220)의 전류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정지코일(230)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면 제어봉(R)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션트저항(300)은 션트저항(300)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압측정부(310)를 포함하며, 측정된 전압을 신호처리기(500)에 입력신호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션트저항의 전압으로 간접적으로 제어봉코일의 전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션트저항(300)에 나타나는 전압측정부(310)의 절연증폭기(Isolation Amp)를 통하여 상기 전압측정부(310)와 절연되어진다.
상기 전류센서(400)는 상기 제어봉코일(20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홀센서를 이용한 자기유도방식으로 제어봉구동(CRDM) 코일에 인가된 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이 발생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센서(400)는 간접 전류센서로서 표준형 발전소에 사용되는 ACTM 센서의 기구부 및 전자부를 활용하여 전류 및 전압비를 조정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류센서(400)는 힌지구조로 하면 센서어셈블리의 PCB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케이블에 설치시 케이블간의 간섭이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기(500)는 션트저항(300)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센서(400)에 의해 측정된 전류에 따라 파형의 증폭 및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로서 작동한다. 상기 코일전류감시분석기(700)는 전력제어함(100)에 전기 신호적으로 영향을 미쳐서는 안되기 때문에 상기 신호처리기(500)는 상기 코일전류감시분석기(700)와 전력제어함(100)을 격리시킨다.
상기 신호취득제어기(600)는 취득된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코일전류감시분석기(700)로 전송하며, 제어기, 샤시 및 DAQ(date acquisition)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시는 compact PCI chassis로 구성되며 5개의 슬롯을 보유한다. 그리고, 전자카드는 각종신호를 전송받아 코일전류감시분석기(700)로 전송한다.
상기 코일전류감시분석기(700)는 상기 신호취득제어기(600)로부터 취득된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한다. 상기 코일전류감시분석기(700)는 대기모드, 설정모드, 감시모드, 및 분석모드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대기모드는 일시적인 동작상태로 초기 장비의 기동시, 설정값 변경시 및 기타 필요시 동작하는 모드이며, 전원투입시 자동으로 대기모드로 진입하고 데이터 취득은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설정모드는 DAQ카드 모듈과 연결된 제어봉 부그룹을 설정한다. 하나의 제어봉(R) 그룹은 52개의 제어봉(R)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 4개의 제어봉(R)이 하나의 부그룹을 구성한다. 상기 설정모드에서는 상기 DAQ카드 모듈의 샘플링 속도 등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설정모드에서는 제어봉코일(200)의 입력신호 유효범위 기준값 및 제어봉코일(200) 전류이상 기준값을 설정 및 변경한다. 그리고, 이에 따른 경보(alarm)의 온/오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모드는 모든 제어봉구동장치(CRDM)에 대하여 신호를 취득하여 정상 구동여부 및 이상 유무를 판별한다. 상기 코일전류감시분석기(700)에 입력된 모든 입력신호는 지정된 샘플링 주기로 연속적으로 취득되어 임시버퍼에 저장된다. 따라서 제어봉(R) 구동장치별로 이상 유무 판별은 제어봉구동장치 각각의 코일 취득 전류값의 변화추이를 감시하고 기준 설정값과 비교하여 판별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치를 벗어나는 시점을 전후하여 데이터가 자동저장 된다.
또한, 상기 연속모드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수행되며, 주기점검 및 시험시 파형의 실시간 관찰 및 저장을 위한 것이다. 파형감시는 최대 4개의 제어봉(R)에 대하여 수행되며, 지정된 제어봉(R)의 각 코일 파형을 연속으로 출력한다. 출력되는 파형은 지정된 샘플링주기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석모드는 사전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세히 분석하는 모드이다. 기본적으로 파형표시, 스크롤, 확대, 중첩기능이 있으며, 파형데이터 편집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분석모드에서는 전류기준파형을 설정하여 저장하여 두고 제어봉(R) 구동시 실측파형과 비교하여 정상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 또는 비정상 판단을 한다.
이와 같은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에 의하여 제어봉(R)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발전소 안전운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제어봉(R) 이상 동작시 전류파형 분석을 통한 원인분석이 쉽게 되어 정확한 문제해결이 가능해진다.
취득된 전류파형은 온라인으로 연결된 컴퓨터에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이러한 데이터들에 의해 체계적으로 측정자료의 이력관리가 가능해져 과거이력 파악을 통한 문제발생 원인들을 추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봉코일(200)전류 측정에 의한 제어봉(R) 낙하시간 측정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원자력발전소의 제어봉(R) 낙하시간 측정시험은 원자로 비상정지명령에 따른 제어봉(R)의 낙하속응성이 지침서의 제한치 이내인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제어봉(R)의 원자로 안전운전 및 정지기능을 확인하는 중요한 시험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봉(R) 낙하시간 측정방법은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R)을 일정 위치로 유지시키는 정지코일(230)과 연결된 션트저항(300)에 전압측정부(310)를 설치하는 단계(S100), 상기 제어봉코일(200)을 이용하여 제어봉(R)을 최상단으로 인출시키는 단계(S200), 최상단으로 인출된 제어봉(R)에 유지전류를 공급하여 유지하는 제어봉 유지단계(S300), 상기 유지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제어봉(R)을 낙하시키는 단계(S400) 및 상기 전압측정부(310)로부터 전압이 감소되는 시점부터 다시 증가하는 피크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100 내지 S500 단계에 관하여 설명하면, 제어봉(R)을 일정위치로 유지시키는 정지코일(230)과 연결된 션트저항(300)에 전압측정부(310)를 설치한다(S100).
또한, 상기 제어봉(R)을 낙하시험을 위하여 올림코일(210)에 전압을 인가하여 최상단으로 인출시킨다(S200).
또한, 상기 제어봉(R)이 최상단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정지코일(220)에 유지전류를 인가하여 정지상태로 유지시킨다(S300). 이 상태에서 올림코일(210) 및 이동코일(220)의 전류를 차단하면 제어봉(R)은 낙하직전의 상태가 된다.
또한, 정지코일(220)에 공급되는 유지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제어봉(R)을 낙하시키고(S400), 전압측정부(310)을 이용하여 션트저항의 전압이 감소되는 시점부터 다시 증가하는 피크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S500).
그리고, 제어봉(R) 낙하시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에 의하여 정지코일(230)에 흐르는 전류파형이 기록된다. 또한,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정지코일(230)이외에 올림코일(210) 및 이동코일(220)에도 장착가능하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정지코일(230)의 전류파형은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지코일(230)의 유지전류를 차단시키면 정지코일(230)의 자기유도(self-induction)현상에 의하여 전류는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때 실험결과 제어봉(R) 자체의 움직임에 의한 코일로의 전자기유도현상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제어봉(R)이 낙하할 때, 올림코일(210)이나 이동코일(220)에도 유도전압이 측정되나, 이것은 주로 상기 정지코일(230)에 의한 상호유도(mutual induction)현상에 의한 것이지 제어봉(R)의 낙하에 의한 영향은 측정되지 않거나 미미하다.
즉, 올림코일(210)이나 이동코일(220)에 유도되는 전압은 E=-M*(dA/dt)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E는 올림코일(210)이나 이동코일(220)에 유도되는 기전력, M은 상호유도계수, A는 정지코일(230)에 흐르는 전류이다. 이는 도 6 에 나타난 시간에 따른 정지코일(230)의 전류를 시간으로 미분한 그래프의 형태가 도 7의 이동코일(220)에 유도되는 전압 그래프의 형태와 일치한다는 점에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코일(220)에 유도되는 전압의 그래프를 분석하여 제어봉(R)의 낙하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은 정지코일(230)에서 유도된 것임으로 간접적인 방법이다.
반면에, 전류를 통한 측정방법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가 갑자기 돌출된 피크점(F)이 있는데, 이것은 제어봉(R)이 제동호(RH)에 충돌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제어봉(R)이 제동호(RH)에 충돌할 때 그 접촉으로 인하여 순간적으로 임피던스가 급격한 변화가 생기고 그 결과 정지코일(220)에 순간적인 전류가 유도된다. 따라서 처음 제어봉(R) 낙하시점(s)과 피크점(f) 사이에 시간(t)을 계산하면 제어봉(R) 낙하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런데, 전류센서를 이용한 측정방법과 달리 션트저항의 전압을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은 이동코일(220)이나 올림코일(210)의 배선을 해체할 필요가 없으므로 준비시간이 절약되며, 오배선에 의한 장비손상의 염려가 없고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보다 더욱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제어봉(R) 낙하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력함 20 : 전자카드
30 : 제어봉 40 : 주제어부
100 : 전력제어함 200 : 제어봉코일
210 : 올림코일 220 : 이동코일
230 : 정지코일 300 : 션트저항
400 : 전류센서 500 : 신호처리기
600 : 신호취득제어기 700 : 코일전류감시분석기
R : 제어봉 RH : 제동호

Claims (4)

  1. 제어봉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어봉 코일로 출력하는 전력제어함;
    상기 제어봉 주위에 설치되는 올림코일, 이동코일 및 정지코일을 포함하는 제어봉 코일;
    상기 제어봉 코일과 전력제어함 사이에 설치되어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션트저항;
    상기 제어봉 코일 및 전력제어함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
    상기 전류센서에 의한 전류 또는 션트저항의 전압을 증폭 또는 필터링하는 신호처리장치;
    상기 신호처리장치에서 수신한 신호를 제어하여 코일전류감시분석기로 전송하는 신호취득제어기; 및
    상기 전력제어함과 전기적으로 격리되어 상기 전류센서를 통해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신호처리장치 및 신호취득제어기를 통해 전송받아 분석하는 코일전류감시분석기; 를 포함하는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센서는,
    상기 전력제어함으로 피드백되는 션트저항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전류감시분석기는,
    상기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정상범위가 사전에 설정되고, 상기 전류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정상범위 내에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
  4.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을 일정 위치로 유지시키는 정지코일의 션트저항에 전압측정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어봉코일을 이용하여 제어봉을 최상단으로 인출시키는 단계;
    최상단으로 인출된 제어봉에 유지전류를 공급하여 유지하는 제어봉 유지단계;
    상기 유지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제어봉을 낙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압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이 감소되는 시점부터 다시 증가하는 피크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KR1020110005078A 2011-01-18 2011-01-18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KR101250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078A KR101250749B1 (ko) 2011-01-18 2011-01-18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078A KR101250749B1 (ko) 2011-01-18 2011-01-18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756A true KR20120083756A (ko) 2012-07-26
KR101250749B1 KR101250749B1 (ko) 2013-04-04

Family

ID=4671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078A KR101250749B1 (ko) 2011-01-18 2011-01-18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7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8841A (zh) * 2012-12-27 2015-03-18 韩国电力技术株式会社 测量控制棒插入时间的仿真构建方法
CN109243644A (zh) * 2018-10-16 2019-01-18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核电厂控制棒落棒时间检测方法及电子设备
CN110517801A (zh) * 2019-08-26 2019-11-29 中广核陆丰核电有限公司 一种核电机组控制棒异常掉落时避免专设安全设施动作的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703A (ko) 2020-03-06 2021-09-1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제어봉 구동장치(crdm)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126B1 (ko) * 2002-10-28 2005-06-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제어봉구동장치 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200427534Y1 (ko) 2006-07-18 2006-09-27 주식회사 리얼게인 제어봉 코일 전류 감시 센서 진단 시스템
KR200440958Y1 (ko) 2007-06-21 2008-07-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제어봉 구동장치의 코일전류 감시장치
KR101022161B1 (ko) * 2010-08-30 2011-03-24 주식회사 리얼게인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28841A (zh) * 2012-12-27 2015-03-18 韩国电力技术株式会社 测量控制棒插入时间的仿真构建方法
US10192006B2 (en) 2012-12-27 2019-01-29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Inc. Simulation construction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control rod insertion time
CN109243644A (zh) * 2018-10-16 2019-01-18 中广核研究院有限公司 核电厂控制棒落棒时间检测方法及电子设备
CN110517801A (zh) * 2019-08-26 2019-11-29 中广核陆丰核电有限公司 一种核电机组控制棒异常掉落时避免专设安全设施动作的方法及系统
CN110517801B (zh) * 2019-08-26 2021-02-02 中广核陆丰核电有限公司 一种核电机组控制棒异常掉落时避免专设安全设施动作的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749B1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749B1 (ko)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CN108414861B (zh) 电热故障自检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344809B (zh) 安全工器具耐压试验泄漏电流的测量装置及测量方法
CN102313851B (zh) 纯电动汽车电机驱动系统的电磁干扰传播路径测试方法
KR101022161B1 (ko)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CN210487949U (zh) 油浸式高压设备的油光声光谱在线监测装置
CN104332195A (zh) 一种用于测量反应堆控制棒落棒时间的方法
CN202815097U (zh) 绝缘介质损耗在线监测系统
CN203534628U (zh) 高压电气柜温度监控系统
CN105070334B (zh) 一种基于电流变化判断控制棒驱动机构动作的方法
CN101221218A (zh) 模拟线圈电压和线圈电流的测量
KR101332226B1 (ko) 원자로 제어봉 제어계통 기능시험 장치 및 그 방법
CN204462243U (zh) 主变铁芯接地电流在线监测装置
CN110208631A (zh) 一种变压器过载测试系统
KR101209181B1 (ko)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 및 그 방법
CN111146696B (zh) 一种低压开关柜故障检测装置
CN106019019A (zh) 基于gpib的微电网电能质量在线监测装置自动检测系统
KR100529520B1 (ko) 원자로의 제어봉 구동장치의 시험장치
CN106772024A (zh) 一种熔断器技术参数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4279572A (zh) 基于红外测温成像的电气柜自动巡检系统
KR100273170B1 (ko) 원자로제어봉구동장치내의 전자기권선을 이용한 제어봉낙하 시간측정방법
RU137374U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KR20210112703A (ko) 제어봉 구동장치(crdm)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10987226A (zh) 基于分布式光纤传感的干式电抗器过热故障预警系统
CN110618337A (zh) 一种弧光保护装置校验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