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181B1 -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9181B1 KR101209181B1 KR1020110045268A KR20110045268A KR101209181B1 KR 101209181 B1 KR101209181 B1 KR 101209181B1 KR 1020110045268 A KR1020110045268 A KR 1020110045268A KR 20110045268 A KR20110045268 A KR 20110045268A KR 101209181 B1 KR101209181 B1 KR 1012091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control rod
- control
- control system
- wavefor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7/00—Control of nuclear reaction
- G21C7/36—Control circui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봉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어봉 코일로 출력하는 전력제어함; 상기 제어봉 주위에 설치되는 올림코일, 이동코일 및 정지코일을 포함하는 제어봉코일; 상기 제어봉 코일 및 전력제어함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 및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측정된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파형을 감시 및 저장하는 제어봉코일 감시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원자력발전소의 제어봉제어계통 감시방법에 있어서, (a)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가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과정; (b)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가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c)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가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여 전류 파형에 발생하는 글리치(glitch)를 이용하여 제어봉제어계통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 및 (d)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가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 파형 및 제어봉의 상태를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코일의 개략도.
도 4 는 솔레노이드의 구성도.
도 5 는 솔레노이드의 전류특성 그래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코일 감시기의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 동작시 나타나는 글리치의 정상유무와 제어봉제어계통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상관 관계도.
도 8 은 정상상태에서의 제어봉 코일 인출 및 삽입시 발생하는 제어봉코일의 전류 파형 및 소리를 나타낸 그래프.
도 9 는 제어봉 고착(rod stuck)상태에서의 제어봉 코일 인출 및 삽입시 발생하는 제어봉코일의 전류 파형 및 소리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 은 부분적인 그리퍼의 이동불량 상태에서의 제어봉 코일 인출 및 삽입시 발생하는 제어봉코일의 전류 파형 및 소리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 은 올림코일 고착 상태에서의 제어봉 코일 인출 및 삽입시 발생하는 제어봉코일의 전류 파형 및 소리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 는 이동코일 고착 상태에서의 제어봉 코일 인출 및 삽입시 발생하는 제어봉코일의 전류 파형 및 소리를 나타낸 그래프.
도 13 은 정지코일의 그리퍼 고장 상태에서의 제어봉 코일 인출 및 삽입시 발생하는 제어봉코일의 전류 파형 및 소리를 나타낸 그래프.
도 14 는 정지코일의 그리퍼 고장 상태에서의 제어봉 코일 인출 및 삽입시 발생하는 제어봉코일의 전류 파형 및 소리를 나타낸 그래프.
도 15 는 이동 코어 고장 상태에서의 제어봉 코일 인출 및 삽입시 발생하는 제어봉코일의 전류 파형 및 소리를 나타낸 그래프.
도 16 은 정지코일 고장 상태에서의 제어봉 코일 인출 및 삽입시 발생하는 제어봉코일의 전류 파형 및 소리를 나타낸 그래프.
도 1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상파형 판단 표시화면.
도 18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올림코일 고장 판단 표시 화면.
도 1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코일 고장 판단 표시 화면.
도 20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제어계통 감시방법의 흐름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제어계통의 상태 판단을 위한 부분 흐름도.
도 2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봉코일의 전류 파형 가공 흐름도.
30 : 제어봉 40 : 주제어부
50 : 솔레노이드 60 : 플런저
70 : 오리피스 100 : 전력제어함
200 : 제어봉코일 210 : 올림코일
220 : 이동코일 230 : 정지코일
300 : 전류센서 400 : 제어봉코일 감시기
410 : 수신부 420 : 저장부
430 : 판단부 440 : 표시부
R : 제어봉
Claims (7)
- 제어봉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상기 제어봉 코일로 출력하는 전력제어함;
상기 제어봉 주위에 설치되는 올림코일, 이동코일 및 정지코일을 포함하는 제어봉코일;
상기 제어봉 코일 및 전력제어함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 및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측정된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파형을 감시 및 저장하는 제어봉코일 감시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센서는 홀센서이며,
상기 감시기는 상기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파형을 감시하여 제어봉제어계통의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기 설정된 정상범위의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파형과 측정된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파형에 나타나는 글리치(glitch)를 기준으로 제어봉제어계통의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부의 판단은:
올림코일, 이동코일 및 정지코일에 나타나는 글리치가 정상적인 파형보다 앞서고 있을 경우 부분적인 그리퍼의 이동불량으로 판단하는 것과,
인출시 및 삽입시 발생해야하는 올림코일의 글리치가 관찰되지 않을 경우 올림코일이 고착되어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과,
인출시 및 삽입시 발생해야하는 이동코일의 글리치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이동코일의 고착상황으로 판단하는 것과,
인출시 및 삽입시 정지코일과 올림 코일에 글리치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정지코일의 그리퍼가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과,
인출시 및 삽입시 정지코일에 글리치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정지코일에 그리퍼가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과,
인출시 및 삽입시 이동코일의 글리치가 정상적인 파형보다 뒤로 이동되어 있을 경우 이동코일이 움직일 때 과도한 힘을 받아 정확한 시점에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과,
정지코일의 글리치가 예상되는 시점보다 뒤에 나타날 경우 정지코일이 과도한 힘을 받아 고착되지는 않았으나 동작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봉코일 감시기는,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측정된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파형을 감시하여 제어봉제어계통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기 판단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한 제어봉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 및 판단부에서 판단한 제어봉제어계통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원자력발전소의 제어봉제어계통 감시방법에 있어서,
(a)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가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홀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과정;
(b)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가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c)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가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여 전류 파형에 발생하는 글리치(glitch)를 이용하여 제어봉제어계통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 및
(d)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가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 파형 및 제어봉의 상태를 표시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c) 과정은:
(c-1)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가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는 단계;
(c-2)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가 가공된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 파형에 나타나는 글리치(glitch)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c-3)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가 제어봉코일에 흐르는 전류 파형에 글리치(glitch)가 기 설정된 정상적인 시점에 나타나는 경우 정상으로 판단하고, 글리치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해당 제어봉제어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글리치가 정상적으로 나타나야 하는 시점보다 빠르거나 늦게 나타나는 경우 제어봉제어계통이 부분적인 불량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상, 고장, 및 부분적 불량에 대한 판단은:
올림코일, 이동코일 및 정지코일에 나타나는 글리치가 정상적인 파형보다 앞서고 있을 경우 부분적인 그리퍼의 이동불량으로 판단하는 것과,
인출시 및 삽입시 발생해야하는 올림코일의 글리치가 관찰되지 않을 경우 올림코일이 고착되어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과,
인출시 및 삽입시 발생해야하는 이동코일의 글리치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이동코일의 고착상황으로 판단하는 것과,
인출시 및 삽입시 정지코일과 올림 코일에 글리치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정지코일의 그리퍼가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과,
인출시 및 삽입시 정지코일에 글리치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정지코일에 그리퍼가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과,
인출시 및 삽입시 이동코일의 글리치가 정상적인 파형보다 뒤로 이동되어 있을 경우 이동코일이 움직일 때 과도한 힘을 받아 정확한 시점에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과,
정지코일의 글리치가 예상되는 시점보다 뒤에 나타날 경우 정지코일이 과도한 힘을 받아 고착되지는 않았으나 동작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제어봉제어계통 감시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5268A KR101209181B1 (ko) | 2011-05-13 | 2011-05-13 |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5268A KR101209181B1 (ko) | 2011-05-13 | 2011-05-13 |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7045A KR20120127045A (ko) | 2012-11-21 |
KR101209181B1 true KR101209181B1 (ko) | 2012-12-06 |
Family
ID=4751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5268A Active KR101209181B1 (ko) | 2011-05-13 | 2011-05-13 |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918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5040B1 (ko) * | 2021-12-21 | 2023-04-24 | 주식회사 이투에스 | 이중 유지 해제 시 제어봉 낙하 방지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7534Y1 (ko) | 2006-07-18 | 2006-09-27 | 주식회사 리얼게인 | 제어봉 코일 전류 감시 센서 진단 시스템 |
-
2011
- 2011-05-13 KR KR1020110045268A patent/KR10120918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7534Y1 (ko) | 2006-07-18 | 2006-09-27 | 주식회사 리얼게인 | 제어봉 코일 전류 감시 센서 진단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7045A (ko) | 2012-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332195A (zh) | 一种用于测量反应堆控制棒落棒时间的方法 | |
EP107109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nearness to criticality of a nuclear fueled 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 |
CN106384611B (zh) | 核电站棒控系统测试装置及方法 | |
CN104656015B (zh) | 电磁阀性能参数台式测试设备 | |
KR101250749B1 (ko) | 제어봉제어계통 코일전류 감시장치를 이용한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 |
KR101332226B1 (ko) | 원자로 제어봉 제어계통 기능시험 장치 및 그 방법 | |
EP2286414B1 (en) | A method of and a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 nuclear reactor | |
CN109243644A (zh) | 核电厂控制棒落棒时间检测方法及电子设备 | |
KR101022161B1 (ko) | 제어봉 낙하시간 측정방법 | |
KR101013166B1 (ko) | 실시간 원자로 미임계 증배 감시방법 | |
CN104332196A (zh) | 一种用于监测反应堆控制棒驱动机构动作点的方法 | |
CN112083236B (zh) | 一种用于继电保护装置可靠性寿命验证的方法及系统 | |
KR101209181B1 (ko) | 제어봉제어계통 감시장치 및 그 방법 | |
CN114420328B (zh) | 反应堆次临界度的监测方法及装置 | |
CN202421448U (zh) | 核电站继电器检测装置 | |
JP4795799B2 (ja) | 制御棒駆動装置の健全性評価システム及び健全性評価方法 | |
KR101218812B1 (ko) | 주제어설비 접지레벨 감시장치 | |
CN109147978B (zh) | 一种用于核电机组的回路松动部件监测装置及其方法 | |
CN108614208B (zh) | 液压操动机构断路器分合闸压降数据检测装置及方法 | |
KR200472210Y1 (ko) | 전자카드의 기능 테스트 장치 | |
CN109656186A (zh) | 一种基于LabVIEW的轴承寿命试验测控软件系统 | |
JP2013205119A (ja) | 移動式原子炉出力測定装置およびその移動式検出器の引抜き制御方法 | |
KR100759212B1 (ko) | 제어봉구동장치 제어시스템 부속 컨트롤보드의 모의진단시스템 | |
KR20180080568A (ko) | 원자로보호계통 전자기판 종합 성능 진단 장비 및 방법 | |
JP2002181987A (ja) | 原子炉出力測定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