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601A -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601A
KR20120083601A KR1020110004798A KR20110004798A KR20120083601A KR 20120083601 A KR20120083601 A KR 20120083601A KR 1020110004798 A KR1020110004798 A KR 1020110004798A KR 20110004798 A KR20110004798 A KR 20110004798A KR 20120083601 A KR20120083601 A KR 20120083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interlock device
actuating leve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0814B1 (ko
Inventor
하용구
이민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한국우시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한국우시오(주)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8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내부 도어의 개폐와 연동하는 기구적 메커니즘을 통해 외부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인터록 장치의 작동을 실현함으로써 외부 도어의 개폐 조절을 위한 기능의 구현에 있어 신뢰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고장의 빈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 도어(18)의 개폐 시 연동하는 액츄에이팅 레버(24);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24)와의 접촉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 아암(26); 상기 회전 아암(26)과 연동하여 상기 인터록 장치(12)를 해제시키는 리타이어링 캠(30); 및 상기 내부 도어(18)의 개방 시 상기 회전 아암(26)에 대해 상기 인터록 장치(12)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원 스프링(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Interlocking device for elevator door lock in ship}
본 발명은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내부 도어의 개폐와 연동하여 외부 도어에 대한 잠금상태를 결정짓는 인터록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선박 엘리베이터의 기계식 도어 록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는 선체 내부에서 휠 하우스로부터 엔진 룸에 이르기까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원을 비롯한 각종 수화물의 이송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선박의 엘리베이터는 제품 특성상 제어 시스템이 복잡함으로 인해 선원들의 안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오작동을 유발하고, 이러한 오작동의 발생은 선박 인도 후 선주에 의해 제기되는 적지 않은 클레임의 발생으로 귀결되는 실정이다. 특히, 엘리베이터가 각 층에 도착한 다음 내부 도어의 개방 후 외부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는 인터록 장치에 대한 연동관계는 전기 제어식으로 구현되어 운항 중 선체의 롤링이나 피칭 현상에 의해 오작동은 물론 고장 유발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도 7은 종래 선박의 엘리베이터에 있어 인터록 장치의 연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인터록 장치를 동작시키는 구성부위에 대한 작동 전/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있어서, 각 층으로 엘리베이터의 승강체가 도착하고 내부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면, 스위치(51)가 온되고 상기 스위치(51)로부터 작동전원을 인가받은 코일(53)이 자화된다. 상기 코일(53)이 자화되면 플런저(55)는 상승하고, 상기 플런저(55)의 이동에 따라 리타이어링 캠(57)이 연동하여 인터록 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시켜 외부 도어의 개방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인터록 장치는 상기 리타이어링 캠(57)의 가압면(57a)과의 접촉에 의해 그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플런저(55)는 승강링크(59)와 핀 결합으로 연결되고, 상기 승강링크(59)는 상기 리타이어링 캠(57)과 다수의 링크 아암(61)과 핀 결합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장치에서는 리타이어링 캠(57)을 동작시키기 위해 반드시 스위치(51)의 접속에 의한 코일(53)의 자화가 수반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플런저(55)와 상기 리타이어링 캠(57) 사이의 연동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승강링크(59)와 링크 아암(61) 등의 다수의 연결요소를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스위치(51)와 코일(53) 및 플런저(55)와 같은 전기적 설비는 선박의 운항 중 발생되는 선체의 롤링이나 피칭에 의해 오작동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장비의 고장까지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록 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내부 도어의 개폐와 연동하는 기구적 메커니즘을 통해 외부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인터록 장치의 작동을 실현함으로써 외부 도어의 개폐 조절을 위한 기능의 구현에 있어 신뢰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고장의 빈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미닫이식 내부 도어의 개폐에 따라 인터록 장치의 작동을 연동시켜 여닫이식 외부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식 도어 록 장치로서,
상기 내부 도어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 시 엘리베이터의 헤더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내부 도어와 일체로 이동하는 액츄에이팅 레버;
상기 헤더 프레임에 대해 힌지지점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와의 접촉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 아암;
상기 회전 아암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아암의 회동 시 연동하여 상기 인터록 장치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타이어링 캠; 및
상기 헤더 프레임과 상기 회전 아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도어의 개방 시 상기 회전 아암에 대해 상기 인터록 장치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리타이어링 캠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강류의 부재로서, 상측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 아암에 대해 핀 결합으로 연결되고, 하측의 타단부가 상기 헤더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타이어링 캠의 이동 스트로크를 정위치로 가이드하는 링크 아암과 핀 결합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는 일단부에 상기 회전 아암과의 접촉을 위해 오목한 형태의 가압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회전 아암은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의 가압부와의 접촉부위에 아이들 롤러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인터록 장치는 상기 리타이어링 캠과의 구름 접촉을 위한 아이들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아이들 롤러는 상기 인터록 장치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선회 로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내부 도어의 개방 시 연동하는 기구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외부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는 인터록 장치의 해제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운항 중 외부의 환경적 요인에 의한 고장의 빈도를 크게 줄여 엘리베이터 작동에 대한 신뢰성 저하를 보다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인터록 장치의 동작을 위한 기구적 메커니즘을 내부 도어의 개폐와 연동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그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동작이 발생 소음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기존 전기식 장치에 비해 설치 공간도 크게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외부 도어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외부 도어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내부 도어의 닫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내부 도어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인터록 장치를 동작시키는 구성부위에 대한 작동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선체 내부에서 휠 하우스로부터 엔진 룸에 이르기까지 선원의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되는 기계식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거주구의 문틀(10)에 대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문틀(10)에 설치되는 인터록 장치(12)의 작동에 따라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로의 절환이 각각 수반되어 개폐가 조절되는 외부 도어(14;Hall Door)와, 상기 외부 도어(14)와 교통 가능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승강체(16)에 대해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내부 도어(18;Car Door)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 도어(14)는 상기 문틀(10)에 대해 힌지(10a)를 매개로 거주구 내측으로 선회함으로써 개방되고, 일측에 사용자에 의한 개폐 조작을 위해 잠금 손잡이(14a)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 도어(18)는 상기 승강체(16)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인터록 장치(12)는 상기 내부 도어(18)의 개폐와 기구적으로 연동하여 상기 외부 도어(14)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 도어(18)는 엘리베이터의 헤더 프레임(20)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레일(22)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된 액츄에이팅 레버(24)를 구비한다.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24)는 상기 내부 도어(18)의 개폐 시 상기 가이드 레일(22)을 따라 상기 내부 도어(18)와 함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헤더 프레임(20)은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24)와의 접촉에 따라 힌지지점(H)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아암(26)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 아암(2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도어(18)의 닫힘 시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24)의 일단부에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가압부(24a)와 접촉하여 상기 힌지지점(H)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외부 도어(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도어(18)의 개방 시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24)의 가압부(24a)로부터 벗어나 원래의 상태로 복원 회전한다. 이를 위해 상기 헤더 프레임(20)과 상기 회전 아암(26) 사이에는 상기 내부 도어(18)의 개방 시 상기 회전 아암(26)을 복원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인터록 장치(12)를 해제시키기 위한 복원 스프링(28)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아암(26)은 일단부에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24)의 가압부(24a)와의 구름 접촉을 위한 아이들 롤러(26a)를 설치하고, 타단부에 상기 인터록 장치(12)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리타이어링 캠(30)을 핀 결합으로 연결한다. 이 경우, 상기 리타이어링 캠(30)은 상기 승강체(16)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강류의 프레임 부재로서, 상측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 아암(26)에 대해 핀 결합으로 연결되고, 하측의 타단부가 상기 헤더 프레임(20)에 대해 힌지지점(H)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 아암(32)과 핀 결합으로 연결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리타이어링 캠(30)은 상기 회전 아암(26)의 회동 시 연동하여 상기 외부 도어(14)의 잠금상태를 결정짓는 상기 인터록 장치(12)를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리타이어링 캠(30)은 상기 내부 도어(18)의 개방 시 상기 복원 스프링(28)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회전 아암(26)의 회전을 매개로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 전진 이동하여 상기 인터록 장치(12)의 선회 로드(12a)를 도 1의 상태에서 도 3의 상태로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인터록 장치(12)의 잠금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선회 로드(12a)는 상기 리타이어링 캠(30)과의 접촉부위에 아이들 롤러(12b)를 설치하고 있어 이들 사이의 접촉을 부드럽게 유지한다. 도 1과 도 3에 있어 참조부호 12c는 상기 인터록 장치(12)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어(14)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록킹 핀이다. 즉, 상기 록킹 핀(12c)은 전진 시 상기 문틀(10)에 대해 상기 외부 도어(14)의 개방을 제한하고, 후진 시 상기 외부 도어(14)의 개방을 허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타이어링 캠(30)은 상기 내부 도어(18)의 닫힘 시 상기 회전 아암(26)의 아이들 롤러(26a)는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24)의 가압부(24a)와의 접촉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리타이어링 캠(30)은 도 6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로 후진하게 되므로, 상기 인터록 장치(12)의 선회 로드(12a)에 설치된 아이들 롤러(12b)와의 접촉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인터록 장치(12)의 록킹 핀(12c)은 도 1의 상태로 전진하여 상기 문틀(10)에 대해 상기 외부 도어(14)를 잠금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 아암(26)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리타이어링 캠(30)이 이동할 때, 상기 링크 아암(32)은 상기 리타이어링 캠(30)의 이동 스트로크를 정위치로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리타이어링 캠(30)에 의한 상기 인터록 장치(12)의 해제를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체(16)가 해당 층에 도착하여 내부 도어(18)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한해 상기 인터록 장치(12)를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외부 도어(14)의 개방을 허용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에서 내부 도어(18)와 일체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는 액츄에이팅 레버(24)는 회전 아암(26)에 대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리타이어링 캠(30)을 전진시키게 되고, 상기 리타이어링 캠(30)의 전진과 연동하여 상기 인터록 장치(12)의 록킹 핀(12c)은 해제상태로 전환되므로, 사용자는 잠금 손잡이(14a)를 조작하여 외부 도어(14)를 개방시키면 된다. 즉 엘리베이터의 내부 도어(18)의 개폐와 외부 도어(14)의 개폐가 일련의 기구적 시스템에 의한 연동 작용을 통해 잠금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 결과, 본 발명은 기존 엘리베이터에 있어 외부 도어(14)의 개폐를 조절하는 리타이어링 캠(30)에 대한 전기식 작동 메커니즘을 기계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전기설비의 고장에 의한 오작동은 물론 선박과 같이 주변 상황에 따른 고장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박용 엘리베이터에 관한 특정의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육상 구조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문틀 12-인터록 장치
14-외부 도어 16-승강체
18-내부 도어 20-헤더 프레임
22-가이드 레일 24-액츄에이팅 레버
26-회전 아암 28-복원 스프링
30-리타이어링 캠 32-링크 아암

Claims (5)

  1. 미닫이식 내부 도어(18)의 개폐에 따라 인터록 장치(12)를 연동시켜 여닫이식 외부 도어(14)의 개폐를 조절하는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18)에 고정되어 도어의 개폐 시 엘리베이터의 헤더 프레임(20)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22)을 따라 이동하는 액츄에이팅 레버(24);
    상기 헤더 프레임(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24)와의 접촉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 아암(26);
    상기 회전 아암(26)의 회동 시 연동하여 상기 인터록 장치(12)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타이어링 캠(30); 및
    상기 헤더 프레임(20)과 상기 회전 아암(2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도어(18)의 개방 시 상기 회전 아암(26)에 대해 상기 인터록 장치(12)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복원 스프링(2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타이어링 캠(30)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체(16)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강류의 부재로서, 상측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 아암(26)에 대해 핀 결합으로 연결되고, 하측의 타단부가 상기 헤더 프레임(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타이어링 캠(30)의 이동 스트로크를 정위치로 가이드하는 링크 아암(32)과 핀 결합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24)는 일단부에 상기 회전 아암(26)과의 접촉을 위해 오목한 형태의 가압부(24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아암(26)은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24)의 가압부(24a)와의 접촉부위에 아이들 롤러(26a)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록 장치(12)는 상기 리타이어링 캠(30)과의 접촉 부위에 아이들 롤러(12b)를 설치하고, 상기 아이들 롤러(12b)는 상기 인터록 장치(12)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선회 로드(12a)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KR1020110004798A 2011-01-18 2011-01-18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KR101450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798A KR101450814B1 (ko) 2011-01-18 2011-01-18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798A KR101450814B1 (ko) 2011-01-18 2011-01-18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601A true KR20120083601A (ko) 2012-07-26
KR101450814B1 KR101450814B1 (ko) 2014-10-21

Family

ID=4671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798A KR101450814B1 (ko) 2011-01-18 2011-01-18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8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5986A (zh) * 2012-08-20 2012-11-21 湖州巨人机电有限公司 一种船用电梯防火铰链门
KR20150052588A (ko) 2013-11-06 2015-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라이져와 케이슨의 탑재방법, 탑재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CN107618965A (zh) * 2017-09-30 2018-01-23 东南电梯股份有限公司 船用电梯防火铰链门的门锁联动机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118Y1 (ko) * 1992-08-22 1995-10-02 황용근 승강기의 도어록장치
JP3363711B2 (ja) * 1996-08-05 2003-01-0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扉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01253671A (ja) * 2000-03-09 2001-09-1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ドアのインタロック装置
JP2008230844A (ja) * 2007-03-23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5986A (zh) * 2012-08-20 2012-11-21 湖州巨人机电有限公司 一种船用电梯防火铰链门
KR20150052588A (ko) 2013-11-06 2015-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라이져와 케이슨의 탑재방법, 탑재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CN107618965A (zh) * 2017-09-30 2018-01-23 东南电梯股份有限公司 船用电梯防火铰链门的门锁联动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814B1 (ko)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1854B2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11414900B2 (en) Lock for a motor vehicle
US11512504B2 (en)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EP1863733B1 (en) Safety lock for elevator landing door detecting intrusion in the shaft through the landing door and elevator thus equipped
CN108082441B (zh) 可致动紧急出口门及其相关具有加压舱室的飞行器或航空器
US6099048A (en) Automotive door latching system
CN107916847B (zh) 包括具有棘轮保持功能的系拉机构的电力闭合闩锁组件
US9284758B2 (en) Operat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latch
US20050218661A1 (en) Motor vehicle lock
CN104806089A (zh) 用于机动车辆的门闩锁组件
JP4759152B2 (ja) スライドドアのロックコントローラ
US20170298662A1 (en) Vehicle door operation device
US20140312650A1 (en) Vehicle door structure
US20150115626A1 (en) Lock for a flap or door
KR101481352B1 (ko) 도어 아웃사이드핸들
US20150308156A1 (en) Closing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a closing aid
US10787843B2 (en) Vehicle opening and closing body operating device
KR20190141182A (ko) 차량용 록
KR20120083601A (ko) 선박 엘리베이터의 도어 록 연동장치
US11713602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20120000913A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구조
KR100908685B1 (ko) 이중 구조의 안전 도어록
JP2019027099A (ja) 作業機械
KR101372590B1 (ko)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JP6869478B2 (ja) ドア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