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272A - 탭을 위한 로케이팅 판넬을 가진 백인박스 패키징 - Google Patents

탭을 위한 로케이팅 판넬을 가진 백인박스 패키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272A
KR20120083272A KR1020127002572A KR20127002572A KR20120083272A KR 20120083272 A KR20120083272 A KR 20120083272A KR 1020127002572 A KR1020127002572 A KR 1020127002572A KR 20127002572 A KR20127002572 A KR 20127002572A KR 20120083272 A KR20120083272 A KR 20120083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tab
locating panel
dispen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몬 에드워즈
Original Assignee
스콜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콜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83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2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65D77/067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combined with a valve, a tap or a pier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백인박스 패키징(bag in box packaging)은 외측 박스(outer box), 내측 백(inner bag) 및 로케이팅 판넬(locating panel)을 포함한다. 외측 박스는 바닥 벽(bottom wall) 및 디스펜싱 벽(dispensing wall)을 가지고, 디스펜싱 벽에는 하부 단부(lower end) 쪽으로 하나의 개구부(opening)가 있다. 내측 백은 탭(tap)을 지닌 스파우트(spout)를 포함하고 있다. 로케이팅 판넬은 전방 면(front surface) 및 후방 면(back surface)을 가진다. 로케이팅 판넬은, 내측 백, 스파우트 및 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중앙 영역(central region)을 포함하면서, 로케이팅 판넬의 한 측면에는 탭의 디스펜싱 개구부가 있고, 로케이팅 판넬의 타 측면에는 백이 있다. 중앙 영역 위에는 상부 영역(upper region)이 연장되고, 중앙 영역 아래에는 하부 영역(lower region)이 연장된다. 내측 백은, 로케이팅 판넬의 중앙 영역이 바닥 벽 및 디스펜싱 벽 각각에 대해 각도를 이루면서 위치하게끔, 외측 박스 내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상부 영역의 전방 면은 디스펜싱 벽의 내측 면(inner surface)에 겹쳐진다. 하부 영역의 전방 면은 바닥 벽의 내측 면에 겹쳐진다. 바닥 벽, 디스펜싱 벽 및 로케이팅 판넬은 외측 용기 내에 탭 영역(tap region)을 형성하고, 적재 형태(stowed configuration)로 있을 때 탭이 탭 영역 내에 위치한다. 탭은 디스펜싱 벽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접근가능하다.

Description

탭을 위한 로케이팅 판넬을 가진 백인박스 패키징 {BAG IN BOX PACKAGING HAVING A LOCATING PANEL FOR A TAP}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백인박스 패키징(bag in box packagin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탭(tap)을 위한 로케이팅 판넬(locating panel)을 가진 백인박스 패키징에 관한 것이다.
백인박스 패키징은 흔히 사용되고 있다. 어떤 용도에 있어서, 사용자는 백인박스 패키징으로부터 직접 탭(tap)을 통해 유동성의 물질을 따를 수 있다. 이러한 용도의 하나가 와인 디스펜싱(wine dispensing)인데,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통적으로 내부에 유체(예컨대 와인 등)를 가지는 백(bag)이 제공되는데, 백에 웰딩(welding)된 스파우트(spout) 위에는 탭(tap)이 제공된다. 이 탭에는 이러한 용도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스파우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내용물이 찬 백은 외측 박스(outer box) 속에 놓여 지는데, 이 외측 박스에는 외측 박스 내의 탭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거가능한 부분(removable portion)이 포함되어 있다.
탭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거가능한 부분에 인접한 박스에 구멍을 낸다. 그 다음 탭은 박스의 바깥으로 향하게 되고, 탭 및 스파우트 중 하나는 박스에 결합된다. 그 다음 탭은 상품을 디스펜스 하기 위해 작동된다.
일부 사용자에 있어서 탭을 외측 박스에 결합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어서, 탭을 사용하기가 불가능하거나 어렵게 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사용중에 탭이 외측 박스로부터 이탈될 수도 있다.
또한, 탭 및 백이 외측 박스 내에 삽입되는 방식 때문에, 탭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방향으로 탭이 놓여 지는 경우들이 많다. 게다가 박스의 개구부가 통상적으로 외측 박스에 탭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므로, 개구부가 너무 작아 사용자가 외측 박스 깊숙하게 파고들기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본 발명은 백인박스 패키징에 대한 것을 개시하는데, 이 백인박스 패키징은 외측 박스(outer box), 내측 백(inner bag) 및 로케이팅 판넬(locating panel)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 박스는 바닥 벽(bottom wall) 및 디스펜싱 벽(dispensing wall)을 가지고, 디스펜싱 벽에는 하부 단부(lower end) 쪽으로 하나의 개구부(opening)가 있다. 상기 내측 백은 탭을 지닌 스파우트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로케이팅 판넬은 전방 면(front surface) 및 후방 면(back surface)을 가진다. 상기 로케이팅 판넬은, 내측 백, 스파우트 및 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된 중앙 영역(central region)을 포함하면서, 로케이팅 판넬의 한 측면에는 탭의 디스펜싱 개구부가 있고, 로케이팅 판넬의 타 측면에는 백이 있다. 상기 중앙 영역 위에는 상부 영역(upper region)이 연장되고, 상기 중앙 영역 아래에는 하부 영역(lower region)이 연장된다. 상기 내측 백은, 로케이팅 판넬의 중앙 영역이 바닥 벽 및 디스펜싱 벽 각각에 대해 각도를 이루면서 위치하게끔, 외측 박스 내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상부 영역의 전방 면(front surface)은 디스펜싱 벽의 내측 면(inner surface)에 겹쳐지고, 하부 영역의 전방 면은 바닥 벽의 내측 면에 겹쳐진다. 상기 바닥 벽, 디스펜싱 벽 및 로케이팅 판넬은 외측 용기 내에 탭 영역(tap region)을 형성하고, 탭이 적재 형태(stowed configuration)로 있을 때 상기 탭 영역 내에 위치한다. 상기 탭은 디스펜싱 벽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접근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디스펜싱 벽 및 바닥 벽이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면서, 외측 박스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태(cuboid configuration)를 이룬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디스펜싱 벽은 폭(width)을 포함하며, 로케이팅 판넬의 폭은, 로케이팅 판넬의 폭과 실질적으로 매칭(matching)되는 폭을 가진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중앙 영역에는 탭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개구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상부 영역은 폴드 라인(fold line) 및 스코어 라인(score line)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중앙 영역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부 영역은 폴드 라인 및 스코어 라인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중앙 영역으로부터 분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영역은 실질적으로 장방형(rectangular)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 각각은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태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디스펜싱 벽은, 상기 디스펜싱 벽을 관통하는 개구부 위에 취약한 커버(frangible cover)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로케이팅 판넬은, 상기 로케이팅 판넬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원하는 바의 경사진 위치(desired oblique position)로 유지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로케이팅 판넬은, 상기 로케이팅 판넬의 전방 면 및 바닥 벽 사이에 끼인각(included angle)을 형성하고, 상기 끼인각은 약 40°및 70°사이에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는 백인박스 패키지를 조립하는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하는 다수의 벽들을 가지고, 또한 디스펜싱 벽의 하부 단부(lower end) 쪽으로 개구부를 지닌 디스펜싱 벽 및 바닥 벽을 포함하는 외측 박스를 제공하는 단계; 탭을 지닌 스파우트를 가지고, 상기 외측 박스 내에 놓이는 내측 백을 제공하는 단계; 전방 면 및 후방 면을 가지며, 또한 중앙 영역, 상기 중앙 영역 위로 연장되는 상부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 영역을 포함하는 로케이팅 판넬을 제공하는 단계; 탭이 상기 전방 면 너머로 연장되고 백이 상기 후방 면 너머로 연장되도록, 내측 백, 스파우트 및 탭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상기 중앙 영역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내측 백을 유동성 물질(flowable material)로 채우는 단계; 하부 영역은 바닥 벽에 접하고 상부 영역은 상부 벽(top wall)에 접하고 중앙 영역은 양쪽에 대해 경사지게끔, 그리고 탭은, 디스펜싱 벽, 바닥 벽 및 로케이팅 판넬에 의해 형성된 탭 영역에 위치하게 하고 사용자가 개구부를 통해 상기 탭에 접근하게끔, 상기 내측 백을 외측 박스 속에 집어넣는 단계; 및 상기 내측 백이 외측 박스 내에 유지되도록 외측 박스를 밀봉(seal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탭이 의도하지 않게 디스펜싱 벽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뻗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 위에 취약한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로케이팅 판넬의 중앙 영역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로케이팅 판넬을 결합하는 단계 이전에 로케이팅 판넬을 관통하여 탭을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는 여기에 도시된 타입의 백인박스 패키지를 디스펜싱(dispensing)을 위해 준비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방법은, 로케이팅 판넬의 중앙 영역이 디스펜싱 벽과 접하는 쪽으로 위치하게끔, 그리고 디스펜싱 벽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탭이 연장되게끔, 디스펜싱 벽에 대해 로케이팅 판넬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이동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바닥 벽을 따라 로케이팅 판넬의 하부 영역을 디스펜싱 벽 쪽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 탭이 디스펜싱 벽에 있는 개구부 쪽으로 향하게끔, 디스펜싱 벽을 따라 로케이팅 판넬의 상부 영역을 바닥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로케이팅 판넬의 전방 면을 디스펜싱 벽과 실질적으로 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펜싱 벽에 있는 개구부에는 취약한 커버가 더 포함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디스펜싱 벽에 있는 개구부로부터 상기 취약한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기술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백인박스 패키지에 대한 사시도인데, 특히 탭이 보관 및 운송 상태의 위치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백인박스 패키지에 대한 사시도인데, 특히 탭 디스펜싱 위치(tap dispensing position)로 탭이 전개된 것을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외측 박스 내에 삽입되는 내측 백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외측 박스와 연계되어 사용되는 로케이팅 판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외측 박스와 연계되어 사용되는 로케이팅 판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외측 박스, 내측 백 및 로케이팅 판넬이 조립된 백인박스 패키지의 부분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실시되기 쉬우며, 도면에 도시되고 여기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한 엘리먼트들(elements) 및/또는 컴포넌트들(components)은 도면들 전체에 걸쳐 유사 참조부호로 표기되었다. 또한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일부 컴포넌트들은 그림의 명료함을 위해 실제 스케일(scale)에서 벗어날 수 있다.
도면들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백인박스 패키징이 전체적으로 참조부호 10으로 표기되었다. 백인박스 패키징은 다양한 유동성 물질들과 연관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이 탭의 위치에 관한 것이고, 본 백인박스 패키징의 용도 중 하나는 와인 상품 및 그와 유사한 것들과 연관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인 상품에 연관된 용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용도는 단지 본보기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다.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여타의 유체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백인박스 패키징은 외측 박스(12), 내측 백(14), 탭(16) 및 로케이팅 판넬(18)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외측 박스(12)는 대체로 직육면체형 용기를 포함한다(그러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용기들이 계획될 수 있다). 외측 박스(12)는 제1측벽(first sidewall)(20), 제2측벽(22), 전방 벽(front wall)(24)(또한 디스펜싱 벽이라고도 칭함), 후방 벽(back wall)(26), 상부 벽(top wall)(27) 및 바닥 벽(bottom wall)(28)을 포함한다. 도시된 형태에서, 제1측벽 및 제2측벽은 여타 벽들보다 넓은 면적을 지니고 있다. 전방 벽 및 후방 벽은 좁고 기다란 벽 구조를 포함한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바닥 벽 및 디스펜싱 벽을 포함하고 있는 한 수많은 상이한 형상들이 계획될 수 있으며, 전술한 것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기술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측 박스(12)는 골이 진 보드지 자재(corrugated paperboard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외측 박스는 단일의 또는 다층의(multiply) 보드지 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골이 진 폴리머 보드(corrugated polymer board) 또는 폴리머 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사실 본 발명은 외측 박스(12)를 형성하는 어느 특정 재료에 국한되지 않는다.
디스펜싱 벽(24)은 그의 하부 단부(lower end)에 개구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는 제1측면 에지(first side edge)(33), 제2측면 에지(second side edge)(34), 상부 에지(top edge)(31) 및 바닥 에지(bottom edge)(3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의 크기는, 사용자가 개구부를 통해 손을 집어넣어 그 안에 위치한 탭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정해진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개구부(30)가 보드지 자재로 덮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펜싱 벽에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천공들(perforations)(즉, 벽의 취약한 커버)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개구부를 생성하기 위해 디스펜싱 벽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는, 투명 폴리머 필름(clear polymer film), 보드지 기판(paperboard substrate), 금속 포일 부재(metal foil member) 또는 여타의 커버링 자재 등으로 만들어진 별도의 취약한 커버가 활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내측 백(14)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는 전방 판넬(40), 후방 판넬(42)(도 5), 씨일들(seals)(44) 및 스파우트(46)가 포함되어 있다. 내측 백(14)은 전통적 필로우 타입 용기(pillow-type container)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는 거싯 용기들(gusseted containers)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전방 판넬(40) 및 후방 판넬(42)(도 5)은 대체로 같은 넓이로 퍼지고 겹치는 형태로 위치한다. 두 개의 판넬들은, 두 개의 판넬들 주변에 대해 연장되는씨일들(seals)(44)과 같은 씨일들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씨일들과 전방 판넬 및 후방 판넬은 함께 캐비티(cavity)(45)를 형성하는데, 이 캐비티는 실질적으로 유체밀폐형 캐비티(fluid-tight cavity)가 된다. 스파우트(46)를 통해 유체가 상기 캐비티(45) 내부 및 외부로 진입 및 배출될 수 있다. 스파우트는 통상적으로, 전방 판넬의 내측 또는 외측에 웰딩(welding)되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하고, 그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플랜지들을 포함한다. 내측 백의 크기는 외측 박스 내에 맞게끔 되어 있다.
탭(16)은 스파우트(46)에 연결되는데, 탭(16)에는 다양한 타입들 및 스타일들의 탭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탭에는 다음의 특허들, 즉 루스(Roos)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619,377호 및 제6,978,981호와, 어브(Erb)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6,360,925호 및 제6,045,119호, 제6,296,157호에 도시된 탭을 포함한다. 물론 여타의 탭들이 계획될 수도 있다. 전술한 특허들 각각은 참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여기에 통합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로케이팅 판넬(18)이 도시되어 있는데, 로케이팅 판넬(18)은 예컨대 보드지 자재(물론 폴리머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음)로 만들어진 평면 부재(planar member)를 포함한다. 로케이팅 판넬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부재로 되어 있으면서, 전방 면(58) 및 후방 면(59)을 포함하는데, 이들 전방 면(58) 및 후방 면(59)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형태이다. 이 판넬은 상부 에지(upper edge)(50), 하부 에지(lower edge)(52), 제1측부 에지(first side edge)(54), 제2측부 에지(56)를 포함한다. 상기 에지들의 영역 내에는 개구부가 위치하여, 스파우트나 탭, 또는 이 둘 모두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후방 면(59)은 접착제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스파우트 및 백 중 하나 또는 이 둘 모두에 결합된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상기 판넬은 스파우트와 함께 성형되거나, 또는 스파우트나 백에 상기 판넬이 웰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슬롯(slot)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로케이팅 판넬용으로 다중 판넬들(multiple panels)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측부(one side)에는 탭이 연장(즉 전방 면으로부터 전방 면 너머로 연장)되고, 타 측부(the other side)에는 백이 연장(즉 후방 면으로부터 후방 면 너머로 연장)된다.
로케이팅 판넬에는 상부 폴드 스코어(top fold score)(62) 및 하부 폴드 스코어(bottom fold score)(64)가 포함되는데, 이들은 실질적으로 제1측부 에지(54)에서 제2측부 에지(56)까지 연장된다. 이들 폴드 스코어들(62, 64)은 개구부에 대해 서로 반대되는 측면들에 위치한다. 스코어들은, 로케이팅 판넬이 디스펜싱 벽(24) 및 바닥 벽(28)에 대해 놓여 지는 각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부 폴드 스코어(62) 및 하부 폴드 스코어(64)들의 위치에 따라 탭(16)의 위치가 영향을 받게 된다. 스코어들의 위치 및 스코어들 사이의 상대적인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탭들을 수용하게끔 로케이팅 판넬(18)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다란 탭의 경우에는 짧은 탭 경우에 비해, 로케이팅 판넬(18)이 디스펜싱 벽(24) 및 바닥 벽(28)에 대해 다른 각도로 위치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로케이팅 판넬의 전방 면 및 바닥 벽에 의해 형성되는 끼인각은 40°내지 70°사이로 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다른 각도들도 계획될 수 있다.
작업시, 사용자는 먼저 백인박스 패키징(10)용 외측 박스(12)를 준비한다. 또한 탭(16)과 함께 내측 백(14)을 준비한다. 내측 백(14)에 유동성 물질을 채운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내측 백들이 채워질 때, 스파우트는 충전 동안 계속 유지된다. 일단 내측 백이 채워지면, 스파우트는 캡(cap) 또는 이 경우에는 탭에 의해 밀봉된다.
충전 후, 스파우트는 그대로 유지되면서, 로케이팅 판넬이 스파우트 및 백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로케이팅 판넬이 스파우트 및/또는 백에 접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로케이팅 판넬은 스파우트 및/또는 백에 수작업으로 결합될 수 있다. 외측 박스 내에서 백의 최종 위치를 염두에 두고, 스파우트 및 백에 대한 로케이팅 판넬의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이 이루어진다.
일단 로케이팅 판넬이 자리를 잡으면, 로케이팅 판넬의 상대적 위치에 대해 내측 백의 조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로케이팅 판넬과 함께 내측 백이 펀넬 조립체(funnel assembly)(도시되지 않음) 내에 놓일 수 있는데, 펀넬 조립체는 백이 외측 박스 내에 들어가도록 채비를 해준다. 펀넬 조립체에는, 로케이팅 판넬 또는 스파우트를 펀넬 내에 원하는 바의 방향으로 잡아서 유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내측 백이 펀넬 조립체를 통해 전진하면서, 로케이팅 판넬이, 개구부(30) 위에 디스펜싱 벽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 플랩(top flap)(66) 및 상부 폴드 스코어(62)로 디스펜싱 벽과 접속(interface)하면서 디스펜싱 벽 및 바닥 벽 사이에 걸쳐지게끔, 백이 외측 박스 내에 넣어지도록 로케이팅 판넬의 위치가 컨트롤 된다. 이와 유사하게 하부 폴드 스코어(64)는, 바닥 벽을 따라 연장되는 하부 플랩(bottom flap)(68)으로 바닥 벽(28)과 접속하게 된다. 로케이팅 판넬(18)은 개구부(30) 위에 겹쳐지고 이에 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된다. 탭은, 로케이팅 판넬, 디스펜싱 벽 및 바닥 벽에 의해 생성된 탭 영역 내로 놓이게 된다.
디스펜싱 벽 및 바닥 벽에 접하는 로케이팅 판넬 부분들 사이에 자연적인 마찰로 결합되는 내측 벽 내에 있는 유동성 물질의 유체 압력에 의해, 로케이팅 판넬이 원하는 방향으로(또는 로케이팅 판넬에 충분히 근접한 형태로) 유지되게끔, 로케이팅 판넬의 치수들이 형성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 있어서, 컴포넌트들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해, 벽들 또는 로케이팅 판넬의 표면 처리가 필요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운송 중에 로케이팅 판넬의 바람직한 형태(즉 탭이 집어 넣어진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힘으로 쉽게 극복할 수 있는) 접착제의 사용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일단 위치가 정해지면, 외측 박스는 밀봉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내측 백(14)은, 상부 벽(27)이 될 부분을 통해 외측 박스 내에 삽입된다. 외측 박스 내에 내측 백(14)을 삽입한 후에, 상부 벽(27)은 밀봉이 된다. 통상적으로 많은 판넬들이 함께 상부 벽을 형성한다. 일단 밀봉이 이루어지면, 백인 박스 용기는 운송, 진열 및 디스펜싱 준비가 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형태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백인박스 패키징(10) 속으로부터 상품을 디스펜싱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탭(16)에 접근한다. 탭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는 디스펜싱 벽(24) 상의 개구부(30)를 덮고 있는 것을 제거한다. 어떤 실시 예들에 있어서, 이것은 디스펜싱 벽(24)의 취약한 부분이 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이것은 투명 폴리머 필름 등과 같은 상이한 타입의 취약한 커버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들이 앞에서 개시되었지만, 이들이 전체가 아니며 이들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개구부 위에 이러한 커버가 없는 상태로 있을 수도 있다.
일단 탭(16)이 노출되면, 사용자는 외측 박스(12) 내로 손을 뻗어 탭(16)을 잡는다. 탭을 잡아당기면, 로케이팅 판넬(18)이 회전하고 이동하여, 마침내 로케이팅 판넬(18)이 접하는 형태로 개구부(30)를 덮게 된다. 유동성 물질이 로케이팅 판넬을 가압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탭을 잡아당김에 따라, 로케이팅 판넬의 중앙 영역이 실질적으로 디스펜싱 벽에 접할 때까지, 상부 영역은 디스펜싱 벽을 따라 개구부로부터 멀어지게 슬라이딩하게 되고, 하부 영역은 바닥 벽을 따라 개구부 쪽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로케이팅 판넬이 실질적으로 디스펜싱 벽의 개구부 전체를 덮으면서, 디스펜싱 벽과 로케이팅 판넬의 중앙 영역이 실질적으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리하여, 탭(16)은 개구부(30)를 관통하여 연장되고, 사용 준비 상태가 된다. 로케이팅 판넬(18)이 디스펜싱 위치로 자리 잡게 되면, 로케이팅 판넬 뒤의 유동성 물질로부터 로케이팅 판넬에 가해지는 압력과 함께, 로케이팅 판넬의 형태는 탭을 실질적으로 외측 용기의 외부 원하는 바의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킨다. 그 다음 탭을 사용하여 백의 내용물을 따를 수 있다. 이러한 디스펜싱 형태가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재운송 및 재저장을 위해, 탭을 안쪽으로 밀어서 다시 탭 영역을 형성하여 그 안에 탭을 집어넣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에서, 중앙 영역 및/또는 개구부 주위의 디스펜싱 벽에 접착제가 발라져서, 중앙 영역 및 디스펜싱 벽이 접하게 되면, 접착제에 의해 접한 상태 및 전개된 방향이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에 대해 보여주고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들에 의해 정해질 것이며,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형들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 하부 단부(lower end) 쪽으로 개구부(opening)를 가진 디스펜싱 벽(dispensing wall) 및 바닥 벽(bottom wall)을 포함하고,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하는 다수의 벽들을 가지는 외측 박스(outer box);
    - 탭(tap)을 지닌 스파우트(spout)를 가지고, 상기 외측 박스 내에 위치하는 내측 백(inner bag);
    - 전방 면(front surface) 및 후방 면(back surface)을 가지고, 상기 내측 백, 스파우트 및 탭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중앙 영역(central region)을 포함하며, 한 측면(one side)에는 탭의 디스펜싱 개구부(dispensing opening)가 있고, 타 측면(the other side)에는 백이 있으며, 상기 중앙 영역 위에는 상부 영역(upper region)이 연장되고, 상기 중앙 영역 아래에는 하부 영역(lower region)이 연장되는 로케이팅 판넬(locating panel);를 포함하며,
    - 상기 내측 백은, 상기 로케이팅 판넬의 중앙 영역이 상기 바닥 벽 및 디스펜싱 벽 각각에 대해 각도를 이루면서 위치하게끔, 상기 외측 박스 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영역의 전방 면(front surface)은 상기 디스펜싱 벽의 내측 면(inner surface)에 겹쳐지고, 상기 하부 영역의 전방 면은 상기 바닥 벽의 내측 면에 겹쳐지며, 상기 바닥 벽, 디스펜싱 벽 및 로케이팅 판넬은 외측 용기 내에 탭 영역(tap region)을 형성하고, 적재 형태(stowed configuration)에서 상기 탭이 상기 탭 영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탭은 상기 디스펜싱 벽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접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패키징(bag in box packaging).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벽 및 바닥 벽은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면서, 상기 외측 박스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태(cuboid configuration)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패키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벽은 폭(width)을 포함하며, 상기 로케이팅 판넬의 폭은, 로케이팅 판넬의 폭과 실질적으로 매칭(matching)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패키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는 상기 탭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개구부가 포함되며, 상기 상부 영역은 폴드 라인(fold line) 및 스코어 라인(score line)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중앙 영역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부 영역은 폴드 라인 및 스코어 라인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중앙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패키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은 실질적으로 장방형(rectangular)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 각각은 실질적으로 장방형 형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패키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벽은, 상기 디스펜싱 벽을 관통하는 개구부 위에 취약한 커버(frangible co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패키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팅 판넬은, 상기 로케이팅 판넬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원하는 바의 경사진 위치(desired oblique position)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패키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팅 판넬은, 상기 로케이팅 판넬의 전방 면 및 바닥 벽 사이에 끼인각(included angle)을 형성하며, 상기 끼인각은 약 40°및 70°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패키징.
  9. 백인박스 패키지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디스펜싱 벽의 하부 단부(lower end) 쪽으로 개구부를 지닌 디스펜싱 벽 및 바닥 벽을 포함하며,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하는 다수의 벽들을 갖는 외측 박스를 제공하는 단계;
    - 탭을 지닌 스파우트를 가지고, 상기 외측 박스 내에 위치하는 내측 백을 제공하는 단계;
    - 전방 면 및 후방 면을 가지고, 중앙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 위로 연장되는 상부 영역과. 상기 중앙 영역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 영역을 포함하는 로케이팅 판넬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탭이 상기 전방 면 너머로 연장되고 상기 내측 백이 상기 후방 면 너머로 연장되도록, 내측 백, 스파우트 및 탭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상기 중앙 영역에 결합하는 단계;
    - 상기 내측 백을 유동성 물질(flowable material)로 채우는 단계;
    - 상기 하부 영역이 상기 바닥 벽에 접하고, 상기 상부 영역이 상부 벽(top wall)에 접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양쪽에 대해 경사지게끔, 그리고 상기 탭은, 상기 디스펜싱 벽, 바닥 벽 및 로케이팅 판넬에 의해 형성된 탭 영역(tap region)에 위치하게 하고 사용자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탭에 접근하게끔, 상기 내측 백을 상기 외측 박스 속에 집어넣는 단계; 및
    - 상기 내측 백이 상기 외측 박스 내에 유지되도록 상기 외측 박스를 밀봉(seal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패키지를 조립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탭이 의도하지 않게 상기 디스펜싱 벽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뻗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디스펜싱 벽에 있는 개구부 위에 취약한 커버(frangible cover)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패키지를 조립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 상기 로케이팅 판넬의 중앙 영역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제공하는 단계; 및
    - 상기 로케이팅 판넬을 결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로케이팅 판넬을 관통하여 탭을 연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인박스 패키지를 조립하는 방법.
  12. 청구항 제 1항의 백인박스 패키지를 디스펜싱(dispensing)을 위해 준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로케이팅 판넬의 중앙 영역이 디스펜싱 벽과 접하는 쪽으로 위치하게끔, 그리고 디스펜싱 벽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탭이 연장되게끔, 디스펜싱 벽에 대해 로케이팅 판넬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이동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 상기 로케이팅 판넬의 하부 영역을, 바닥 벽을 따라 디스펜싱 벽 쪽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
    - 상기 탭이 디스펜싱 벽에 있는 개구부 쪽으로 향하게끔, 상기 로케이팅 판넬의 상부 영역을, 디스펜싱 벽을 따라 바닥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팅 판넬의 전방 면을 상기 디스펜싱 벽과 실질적으로 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벽의 개구부에는 취약한 커버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펜싱 벽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취약한 커버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7002572A 2009-06-30 2010-06-30 탭을 위한 로케이팅 판넬을 가진 백인박스 패키징 KR201200832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989309P 2009-06-30 2009-06-30
US61/269,893 2009-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272A true KR20120083272A (ko) 2012-07-25

Family

ID=4341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572A KR20120083272A (ko) 2009-06-30 2010-06-30 탭을 위한 로케이팅 판넬을 가진 백인박스 패키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672184B2 (ko)
EP (1) EP2448839A4 (ko)
KR (1) KR20120083272A (ko)
CN (1) CN102666305A (ko)
AR (1) AR077303A1 (ko)
AU (1) AU2010266319B2 (ko)
BR (1) BRPI1010226A2 (ko)
CA (1) CA2766948A1 (ko)
CL (1) CL2011003364A1 (ko)
IN (1) IN2012DN00844A (ko)
MX (1) MX2012000181A (ko)
NZ (1) NZ597906A (ko)
RU (1) RU2530365C2 (ko)
WO (1) WO20110029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97907A (en) * 2009-06-30 2013-08-30 Scholle Corp Bag in box packaging having a tap articulating assembly
GB201205243D0 (en) 2012-03-26 2012-05-09 Kraft Foods R & D Inc Packaging and method of opening
AR093234A1 (es) 2012-09-19 2015-05-27 Schoelle Corp Envase de tipo bolsa en caja
GB2511559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GB2511560B (en) 2013-03-07 2018-11-14 Mondelez Uk R&D Ltd Improved Packaging and Method of Forming Packaging
CN103231857A (zh) * 2013-05-13 2013-08-07 江南大学 一种液体盒中袋包装
US20150183563A1 (en) * 2013-12-31 2015-07-02 Luizzi Bros. Sealcoating & Striping Llc Food container and method
US10654635B2 (en) * 2014-08-08 2020-05-19 Bemis Company, Inc. Transparent retail bag-in-box package
US11292706B2 (en) * 2014-12-30 2022-04-05 Edward Showalter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foods
US11027961B2 (en) 2014-12-30 2021-06-08 Edward Showalter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drinks, food, and other liquids
US9994437B2 (en) 2014-12-30 2018-06-12 Edward Showalter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drinks, food, and other liquids
US10647563B2 (en) * 2014-12-30 2020-05-12 Edward Showalter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drinks
CN107697484B (zh) * 2016-08-08 2020-05-19 上海鸿研物流技术有限公司 液体运输系统和内衬袋及使用方法
JP2018062139A (ja) * 2016-10-14 2018-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収容箱
USD830789S1 (en) * 2017-07-13 2018-10-16 Scholle Ipn Corporation Support sleeve for a bag in box package
US11673786B2 (en) 2018-05-17 2023-06-13 Ourip Pty Ltd. Connector device
US11673723B2 (en) 2018-05-17 2023-06-13 Ourip Pty Ltd. Pull back closure
US20190359472A1 (en) * 2018-05-28 2019-11-28 Biab Holdings Inc. Food grade disposable container with a one ounce (1 oz.) or one-and-a-half ounce (1.5 oz.) tap for pouring alcohol with a countertop dispensing stand device, system, and method
EP3632815B1 (en) * 2018-10-05 2022-0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ag in box container and method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3817A (en) * 1964-02-24 1966-02-08 Stone Container Corp Paperboard package with plastic bag insert for storage and shipping of fluids
AU493047B2 (en) * 1973-09-11 1978-05-11 Pak Pacific Corporation Pty Ltd improvements in containers
CA1206924A (en) 1983-03-30 1986-07-02 Paul F. Roos Tap
DE8909888U1 (ko) * 1989-08-18 1989-12-28 Hch. Sieger Gmbh & Co Kg, 5000 Koeln, De
EP0513495B1 (en) * 1991-03-19 1995-02-15 Toppan Printing Co., Ltd. Liquid container
WO1996025346A1 (fr) * 1995-02-15 1996-08-22 Riso Kagaku Corporation Sacs encartonnes, procedes et appareil pour leur fabrication
US5731021A (en) * 1995-07-05 1998-03-24 Spector; Donald Collapsible canteen for producing a beverage
FR2746890B1 (fr) 1996-03-27 1998-09-11 Flextainer Robinet de distribution de liquides, en particulier de liquides alimentaires, a fermeture automatique muni d'un moyen de maintien en position d'ouverture du piston
US6012611A (en) * 1996-06-14 2000-01-11 The Coca-Cola Company Bag-in-box box and method
GB2331065B (en) * 1997-11-10 2002-01-16 Gr Advanced Materials Ltd Dispensing container for highly viscous liquids
US6223981B1 (en) * 1997-12-23 2001-05-01 The Coca-Cola Company Box for bag-in-box package
JP2000085789A (ja) * 1998-09-09 2000-03-28 Hiranoya Bussan:Kk 補助板体付き合成樹脂製袋
FR2788326B1 (fr) 1999-01-11 2001-03-23 Rene Erb Robinet de distribution de liquides
AU2002253428B2 (en) 2001-04-09 2006-10-26 Paul Francois Roos Taps for controlling liquid flow
US6637623B2 (en) * 2002-03-26 2003-10-28 Weyerhaeuser Company Bag-in-a-box shipping container
US7770756B2 (en) * 2002-05-17 2010-08-10 Lbp Manufacturing, Inc. Bulk container assembly
RU27578U1 (ru) * 2002-09-24 2003-02-10 ООО СП "Кубань-вино" Упаковка для напитков
GB0314815D0 (en) * 2003-06-25 2003-07-30 Stephenson John Bag in box
US7347344B2 (en) * 2003-10-27 2008-03-25 Fluid Management Operation Llc Apparatus for dispensing a plurality of fluids and container for use in the same
US7350670B2 (en) * 2004-09-30 2008-04-01 Smurfit-Stone Container Enterprises, Inc. Bag-in-box container
EP1817241A2 (en) * 2004-11-09 2007-08-15 John H. Stephenson Bag cartridge with anti-torque collar
JP2006304661A (ja) * 2005-04-27 2006-11-09 Funayama Kk アルファー化米炊飯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8162180B2 (en) * 2006-08-08 2012-04-24 Lips Jon S Container for transporting and dispensing liquids
DE102007033141A1 (de) * 2007-07-13 2009-01-15 Merck Patent Gmbh Kartonverpackung mit Folieninnenbehältnis, vorgefertigte Kartoneinheit zu deren Herstell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Kartonverpac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77303A1 (es) 2011-08-17
EP2448839A4 (en) 2013-06-12
CN102666305A (zh) 2012-09-12
AU2010266319A1 (en) 2012-02-23
IN2012DN00844A (ko) 2015-06-26
BRPI1010226A2 (pt) 2016-03-29
WO2011002923A3 (en) 2011-06-03
EP2448839A2 (en) 2012-05-09
AU2010266319B2 (en) 2015-03-05
WO2011002923A2 (en) 2011-01-06
CA2766948A1 (en) 2011-01-06
RU2530365C2 (ru) 2014-10-10
NZ597906A (en) 2013-08-30
US8672184B2 (en) 2014-03-18
CL2011003364A1 (es) 2012-07-06
US20120217265A1 (en) 2012-08-30
MX2012000181A (es) 2012-06-19
RU2012103191A (ru) 201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3272A (ko) 탭을 위한 로케이팅 판넬을 가진 백인박스 패키징
KR20120083273A (ko) 탭 교합 조립체를 가진 백인박스 패키징
EP2456686B1 (en) Bag in box packaging having an insertable tray
US9221590B2 (en) Resealable packaging for food produc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4660737A (en) Carton and pouch system
RU2673618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одержащая внутренний пакет
US20170355502A1 (en) Package having a pour spout
US10961036B2 (en) SIOC bag-in-box
JPS60158040A (ja) 液体不浸透性の紙箱
EP3823908B1 (en) Stand-up packaging
CA2694310A1 (en) Container with reclosable pour spout
JP3289644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
KR20240034780A (ko) 접착된 코너가 있는 상부 플랜지를 갖는 용기, 용기 형성 방법, 및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
KR200326446Y1 (ko) 개폐 용이한 구조의 종이팩
JP4003481B2 (ja) レトルトパウチ収納用容器
JPH02296674A (ja) 二つの素材からなる包装体
JPH08268471A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
JP2020172302A (ja) 包装体
JP2004314979A (ja) 紙とプラスチックからなる複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