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707A -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707A
KR20120082707A KR1020110004149A KR20110004149A KR20120082707A KR 20120082707 A KR20120082707 A KR 20120082707A KR 1020110004149 A KR1020110004149 A KR 1020110004149A KR 20110004149 A KR20110004149 A KR 20110004149A KR 20120082707 A KR20120082707 A KR 20120082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project
schedule
databas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1214B1 (ko
Inventor
이경일
Original Assignee
(주) 아시미르디지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시미르디지탈 filed Critical (주) 아시미르디지탈
Priority to KR102011000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2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각 액티비티에 대해서 상세 공정별로 일정 및 자원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며, 액티비티에 설정된 공정별로 일정 및 리소스 관리를 유기적으로 할 수 있으며, 공정별 부하 분석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어, 프로젝트 진척도 관리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종래 보다 현저히 향상시킴은 물론, 관리자로서는 프로젝트 진행시 발생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미리 예측하여, 적재 적소에 필요한 양의 리소스 배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획기적인 프로젝트관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Activity Proces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프로젝트산업과 같은 일정별 프로젝트 관리가 필요한 분야에서, 상세 공정별로 일정 및 자원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 액티비티에 설정된 공정별로 일정과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고, 공정별 실시간 부하분석을 지원함으로써, 해당 산업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조선 산업과 같은 대형 프로젝트형 산업에서는 노동력, 원자재, 자금 등의 기본 요소들이 진행 프로세스별로 유기적으로 맞물려 계획되어야 하는 바, 계획된 대로 프로젝트 일정이 수월하게 진척이 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거나 불측의 문제점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젝트관리 시스템은 필수 불가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상용(商用) 소프트웨어에서는 프로젝트에 수반된 각종 액티비티와 그에 결부된 각종 공정에 대한 일정관리가 실제 현장에 부합되게 구성되지 못하여 단계별 공정 계획 수립과 그 변경 작업, 공정별 실시간 부하 검색과 부하 집계 및 부하 분석을 통한 프로젝트 진척시 발생될 문제점 차단 등의 기능을 구현하는 상용 소프트웨어는 거의 찾아 볼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출원인은 각 액티비티에 설정된 공정별로 일정과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고, 공정별 실시간 부하분석을 지원함으로써, 해당 산업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 액티비티에 대해서 상세 공정별로 일정 및 자원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며, 액티비티에 설정된 공정별로 일정 및 리소스 관리를 유기적으로 할 수 있으며, 공정별 부하 분석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어, 프로젝트 진척도 관리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종래 보다 현저히 향상시킴은 물론, 관리자로서는 프로젝트 진행시 발생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미리 예측하여, 적재 적소에 필요한 양의 리소스 배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획기적인 프로젝트관리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프로젝트관리 시스템의 주요 내용은 도 5에서 플로우 챠트화 되고 있다. 먼저 표준 태스크에서는 프로젝트 공정을 정의하는데 본 발명에서 프로젝트 공정이란 프로젝트에 필요한 공사단계를 정해놓은 것이다.
표준테스크에는 절단, 조립, 선행의장, 블럭도장 등 프로젝트의 공정 및 리소스를 정의한 후에는 프로젝트 일정 공정 타입을 기간, 버퍼, 리소스 별로 관리한다.
그 다음 프로젝트의 공사구간별 공정타입을 설정한 후, 작업디비젼을 이용 프로젝트별 작업(이하 액티비티)를 생성한다. 공정타입과 프로젝트 액티비티를 조합하여 액티비티별 공정를 자동 생성하게 된다. 그 다음 프로젝트 일정 계획을 시뮬레이션하게 되며 또한 일정 부하(load) 즉, 공정별, 월간/주간 부하, 물량/시수/예산/수량 부하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중 가장 큰 특징으로서는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계단식 관리 방법이 아니라 각 액티비티별에 속하는 많은 공정들을 동일한 행에서 관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1은 기존 프로젝트 관리와 본 발명의 프로젝트관리 방법을 비교한 도면으로서 좌측 그림은 기존 프로젝트 관리 방법이고, 우측 그림은 본 발명의 일정관리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액티비티 라는 용어는 작업분류체계의 최소 관리단위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액티비티에 모든 리소스 즉 자재, 인력, 장비, 경비 등을 연결하며, 모든 액티비티를 선후행 관계를 가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프로젝트가 실현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B11C블럭에 대한 작업관리(액티비티 1)에 대해서 각각 가공, 조립, 의장, 도장 작업 일정을 개별적으로 설정하여야 하고, B21C블럭에 대한 작업관리(액티비티 6)에 대해서 각각 가공, 조립, 의장, 도장 작업 일정을 개별적으로 설정해야 했었으므로 이로 말미암아 각 액티비티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가공, 조립,의장, 도장 작업(이하 "공정타입" 이라고 한다)을 작업일정표에서 행을 바꾸어 가면서 별도로 작성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매우 컸었고, 각 액티비티별로 일정 및 리소스 관리는 체계화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정관리의 가장 큰 특징은 특정 액티비티에 대한 여러 공정타입들이 하나의 행에서 모두 관리된다는 점이다. 액티비티1 부터 액티비티N 까지 N개의 액티비티 종류가 세로로 1열에 나열되며, 각각의 액티비티에 대한 공정타입별 일정 및 리소스 관리 일정이 하나의 행에 나열되어 있어, 종래의 계단식의 일정관리가 아니고, 하나의 행에 모든 공정타입들이 속해져 있어서, 일정 및 리소스 관리가 보다 일목요연함은 물론 각 공정타입별로 연결관계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의 공정에 대한 일정 변경이 가해질 경우, 자동적으로 그 다음 공정은 일정이 바뀌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설명한다..
각 액티비티에 대해서 상세 공정별로 일정 및 자원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액티비티에 설정된 공정별로 일정 및 리소스 관리를 유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공정별 부하 분석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어, 프로젝트 진척도 관리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종래 보다 현저히 향상시킴은 물론, 관리자로서는 프로젝트 진행시 발생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미리 예측하여, 적재 적소에 필요한 양의 리소스 배분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 프로젝트 관리와 본 발명의 프로젝트 관리 방법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2 좌측 그림은 기존의 상용 프로젝트 액티비티 등록 화면이고, 우측 그림은 본 발명의 액티비티/공정타입 설정 장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인 공정별 실시간 부하 분석 및 포워드/백워드 일정관리 장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좌측 그림은 상용 프로젝트 부하분석 화면이고, 우측 그림은 본 발명의 공정별 부하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는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메뉴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7에서는 공정을 정의하는 화면이다.
도 8은 공정 타입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9는 공정별 인원투입계획 화면으로서, 시수 부하 분석에 가용인원과 가용시수 등을 이용한다.
도 10은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직종별 인원투입을 할 수 있는 화면으로서 가용인원과 가용시수 등을 이용하여 부하 분석을 행할 수 있다.
도 11은 분하분석에 대한 시뮬이션 하는 화면이다.
도 12는 액티비티별 공정 시트(sheet)로서 공정에 대한 일정 정보를 그리드 양식으로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13은 액티비티별 공정 정보를 로드(load, 부하)양식으로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14에서는 시뮬레이션 옵션을 바(bar) 혹은 단계별 이동 옵션으로 할 수 있는 화면이다.
도 15에서는 시뮬레이션 옵션에 있어서, 일정표 간격 조정과 구획/탑재블럭/블럭번호/블럭공정/제원/착수일/완료일/작업기간/절점일 등을 설정하며 블럭번호 표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화면이다.
도 17에서 도 22에서는 물량(volume)별 부하 분석 챠트(도17), 시수(M/H)별 부하 분석 챠트(도 18), 예산(Budget)별 부하 분석 챠트(도 19), 수량(Quantity)별 부하 분석 챠트(도 20), 작업장(Work shop)별 부하 분석 챠트(도 21) 및 장비(Equipment)별 부하 분석 챠트(도 22)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
도 23과 도 24는 각각 프로젝트 일정 정보를 그리드 양식 및 로드(load) 양식으로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25는 공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보이는 화면이다.
도 26 내지 도 30은 프로젝트 일정에 편성된 각종 부하들을 집계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로젝트 산업에서는 프로젝트를 수주한 후 착수하고 인도 및 최종적으로 마무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획,영업수주, 설계, 구매, 품질관리, 생산, 인도, 애프터서비스의 각 단계별로 진행 되게 된다. 따라서 수많은 액티비티에 대한 공정별 일정 관리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면 관리 자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의 낭비는 물론 전체 프로젝트의 진척이 매우 힘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진행하는 여러 과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각종 액티비티들에 기간, 비용, 인력, 자재, 장비 등이 효율적으로 결합, 진행되지 못하거나 주공정과 연계하여 움직이지 못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인 일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인 면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며(도 1 내지 도 4), 구체적인 기능과 특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기존 프로젝트 관리와 본 발명의 프로젝트관리 방법을 비교한 도면이다. 좌측 그림은 기존 프로젝트 관리 방법이고, 우측 그림은 본 발명의 프로젝트관리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액티비티 라는 용어는 작업분류체계의 최소 관리단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액티비티에 모든 리소스 즉 자재, 인력, 장비, 경비 등을 연결하며, 모든 액티비티를 선후행 관계를 가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프로젝트가 실현되는 것이다.
조선산업을 예로 들면, 기존의 프로젝트 관리는 (도 1) 하나의 액티비티마다 각각 가공, 조립, 의장, 도장 작업에 대한 일정과 리소스가 각각 부여됨으로써 도 1 좌측의 그림과 같이 계단식 관리가 이루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즉, B11C블럭에 대한 작업관리(액티비티 1)에 대해서 각각 가공, 조립, 의장, 도장 작업 일정을 개별적으로 설정하여야 하고, B21C블럭에 대한 작업관리(액티비티 6)에 대해서 각각 가공, 조립, 의장, 도장 작업 일정을 개별적으로 설정해야 했었다. 이로 말미암아 각 액티비티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가공, 조립,의장, 도장 작업(이하 "공정타입" 이라고 한다)을 작업일정표에서 행을 바꾸어 가면서 별도로 작성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매우 컸었고, 각 액티비티별로 일정 및 리소스 관리는 체계화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즉, 여러 액티비티에 공통으로 속한 공정타입이라도 매번 행을 바꾸어가면서 작성하였으므로, 예를 들어, 동일한 "가공 공정" 작업에 대해 현재 어느 정도 부하(로드)가 걸리고 있는지, 혹은 각 액티비티의 여러 "가공 공정" 작업의 진척도가 어느 정도인지 등을 한눈에 파악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도 1의 우측 그림과 같이 본 발명의 일정관리의 가장 큰 특징은 특정 액티비티에 대한 여러 공정타입들이 하나의 행에서 모두 관리된다는 점이다.
액티비티1 부터 액티비티N 까지 N개의 액티비티 종류가 세로로 1열에 나열되며, 각각의 액티비티에 대한 공정타입별 일정 및 리소스 관리 일정이 하나의 행에 나열되어 있다. (가로축은 날짜축임)
즉 계단식의 일정관리가 아니고, 하나의 행에 모든 공정타입들이 속해져 있어서, 일정 및 리소스 관리가 보다 일목요연함은 물론 각 공정타입별로 연결관계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어서(한 행에 동시에 맞물려 있어서) 어느 하나의 공정에 대한 일정 변경이 가해질 경우, 자동적으로 그 다음 공정은 일정이 바뀌어지게 되는 것이다.
공정 1(가공 공정)을 예로 들면, 각 액티비티들의 가공공정들은 위, 아래 위치에 연속해서 배치되어 있어서, 도 1 좌측(기존 프로젝트 관리 방법)의 경우와 대조적이다. 이렇게 인접하여 동일한 공정들이 위, 아래로 연결되어져 있어 한눈에 특정의 공정 일정의 진척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매우 큰 특징중의 하나인 것이다.
도 2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을 도시하고 있다. 좌측 그림은 기존의 상용 프로젝트 액티비티 등록 화면이고, 우측 그림은 본 발명의 액티비티/공정타입 설정 장면을 도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액티비티/공정타입 설정은 표준공정(설계, 자재입고, 가공, 도장 등)을 설정한 후 프로젝트별 공사구간에 대한 공정 타입을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우측 하단의 그림과 같이 자동적으로 액티비티/공정타입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차후, 본 시스템의 매뉴얼 설명에서 논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인 공정별 실시간 부하 분석 및 포워드/백워드 일정관리 장면을 도시하고 있다. 좌측의 그림은 상용 프로젝트 관리 화면이고 우측 그림은 본 발명의 부하분석 화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는 백워드/포워드 스케쥴링 기능을 들 수 있다.(도 4)
종래의 상용 프로젝트 관리에서는 액티비티별 기준점(일종의 납기)을 중심으로 한 포워드 및 백워드 스케쥴링 기능이 지원되지 않아서 기준점 변경이 있을 경우 모든 공정별 일정 계획을 다시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3 우측의 설명과 같이 액티비티별 기준점을 기준으로 한 포워드/백워드 스케쥴링 기능이 지원되고 있으므로, 매우 손쉽게 일정 변경이 가능하다.
만약 기준점이 변경되어져 모든 공정별 일정이 수정되어야 할 때 시간순서로 맞물려 있는 각 공정일정에 해당하는 막대의 우측 혹은 좌측 부분을 드래그하면 서로 이웃한 공정들은 그에 따라 함께 일정 변경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각 공정 타입별 부하분석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 공정작업이 모든 액티비티에 포함되어 있다고 할 때, 절단 공정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의 부하 관리는 전체 일정을 맞추는데 필수불가결한 요소로서 이에 대한 실시간 부하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 그림은 상용 프로젝트 부하분석 화면이고, 우측 그림은 본 발명의 공정별 부하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는 화면이다.
종래의 상용 프로젝트 부하분석 화면에서 알 수 있듯이, 특정 기간이 각 공정별 부하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는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E101 블럭의 경우(도 4 좌측 그림의 최상단에 위치한 액티비티) 10-04-11일 부분을 보면 그 다음 날짜(일주일후)인 10-04-18까지 절단 작업 "32시간"으로 표시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프로젝트 관리자 측면에서 직관적으로 공정 부하량을 파악하기 힘들며, 다른 액티비티에 속한 작업의 부하량과의 조정도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도 4 우측 그림과 같이 본 발명의 공정별 부하분석 두 화면에 의하면, 매 날짜별로 부하가 실시간 별로 공정/기간별 부하 조회가 가능하다.
우측 그림 중 윗 화면은 조립물량 부하 그래프이고, 아래화면은 인원/절단시수(시수:man hour)에 관련된 부하분석 화면이다. 우측 아래쪽 화면을 보면, 인원에 대한 부하와 시수에 관한 부하가 표 및 그래프로 나타나 있는데, 시수의 경우 작업에 필요한 가용시수와 소요시수를 참조하여 실시간 부하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정별 물량부하, 예산부하, 시수부하의 실시간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부하 분석 기능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차후 액티비티 프로세스 관리 매뉴얼 설명 부분에서 상술토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정관리 시스템의 매뉴얼(화면구성)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발명의 기능과 특징을 설명한다.
도 5는 공정별 일정 순서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표준 태스크에서는 프로젝트 공정을 정의하는데 본 발명에서 프로젝트 공정이란 프로젝트에 필요한 공사단계를 정해놓은 것이다.
표준테스크에는 절단, 조립, 선행의장, 블럭도장 등 프로젝트의 공정 및 리소스를 정의한 후에는 프로젝트 일정 공정 타입을 기간, 버퍼, 리소스 별로 관리한다.
그 다음 프로젝트의 공사구간별 공정타입을 설정한 후, 작업디비젼을 이용 프로젝트의 작업(이하 액티비티)를 생성한다. 공정타입과 프로젝트 액티비티를 조합하여 액티비티별 공정를 자동 생성하게 된다.
그 다음 프로젝트의 일정 계획을 시뮬레이션하게 되며 또한 일정 부하(load) 즉, 공정별, 월간/주간 부하, 물량/시수/예산/수량 부하를 분석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한 후에는 프로젝트 일정 부하(load)를 분석하되, 공정별, 월간/주간 부하, 물량/시수/예산/수량 부하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후 일정을 확정 배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일정 작업 순서를 요약하면, 표준 태스크에서는 프로젝트의 공정 및 리소스를 정의하는 모듈; 과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공사구간별 공정 타입을 설정하되, 기간, 버퍼, 리소스 별로 관리하는 모듈; 과
작업 디비젼에서 프로젝트 작업을 설정하는 모듈;과
프로젝트 액티비티를 생성하되, 표준 일정 태스크 및 작업디비젼의 액티비티를 이용하여 액티비티를 자동 생성하는 모듈; 과
프로젝트 계획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행하는 모듈; 과
프로젝트의 공정별, 기간별, 물량별, 시수별, 예산별, 수량별 부하를 분석하는 모듈;과
프로젝트의 공정별, 기간별, 물량별, 시수별, 예산별, 수량별 부하를 집계하는 모듈; 과
프로젝트 일정계획 대비 실적을 조회하는 모듈;을 포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메뉴 구성을 보이고 있다.
각 메뉴를 설명하면, 먼저 액티비티 공정을 정의한 후, 표준 공정 타입을 설정하고, 공정별/직종별 인원투입계획을 수립한다. 이어서 액티비티/공정별 일정계획을 시뮬레이션(APS 메뉴)하고 공정정보관리에서는 공정별 리소스/도면/자재/검사/이벤트 및 실적을 관리할 수 있다.
부하분석 메뉴에서는 공정별 물량/시수/예산/수량 부하분석을 행할 수 있고, 공정계획 대비 실적 메뉴에서는 공정작업 계획대비 실적을 차트 형식으로 비교할 수 있다. 공정별 시점 계획표에서는 공정별 착수/완료 시점을 모자이크 차트형식으로 분석할 수 있다. EVM(earned value management) 기법을 이용하여 향후 예측곡선을 나타낼 수 있는 메뉴가 준비되어 있으며, 기타 표준형상관리, 프로젝트 형상관리 및 공정진행 상황판 등의 화면출력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 설명된 각 메뉴의 상세한 설명을 한다.
도 7에서는 공정을 정의하는 화면이다. 업무 영역은 설계, 자재, 생산 등이며 각 블럭 공정별로 일일/주간/월간 용량(커패시티, capacity) 를 지정하면 APS 화면에서 처리 가능 물량/시수에 대한 초과 물량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각 공정별로 일정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공정 타입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프로젝트의 공사구간별 공정을 생성하기 위한 공정 타입을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공정타입은 공사구간별로 관리할 수 있으다.
작업디비젼에 해당 물량이 존재할 경우에는 그 물량을 사용하며, 없을 경우 표준 물량이 적용되도록 한다. 공정별로 대표 물량을 관리하며, 추가 리소스화면에서 기타 물량을 관리할 수도 있다. 프로젝트에서 관리하는 공정별 물량 리소스는 강재중량, 조립중량, 면적 등 여러 가지를 관리 할 수 있다.
도 9는 공정별 인원투입계획 화면으로서, 시수 부하 분석에 가용인원과 가용시수 등을 이용한다.
도 10은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직종별 인원투입을 할 수 있는 화면으로서 가용인원과 가용시수 등을 이용하여 부하 분석을 행할 수 있다.
도 11은 공정을 기준으로 프로젝트일정을 시뮬레이션 하는 화면이다. 물량/시수/예산/수량 부하를 보면서 일정을 조정할수 잇고 부하표의 공정은 프로젝트 공정정의에서 정의한 디폴트 공정이 표시되며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2는 프로젝트 액티비티별 공정 시트(sheet)로서 프로젝트 일정 정보를 그리드 양식으로 검색하는 화면이고, 도 13은 프로젝트 일정 정보를 로드(load, 부하)양식으로 검색하는 화면이다.
도 14에서는 시뮬레이션 옵션을 바(bar) 혹은 단계별 이동 옵션으로 할 수 있는 화면을 보이고 있는데,선택한 공정을 이동시키면 해당 액티비티의 전체공정이 같이 이동하거나, 해당액티비티의 후행 공정만 이동하거나, 해당 블럭의 선행 공정만 이동하거나 혹은 해당 블럭을 다른 공정에는 영향을 주지 아니하고 선택된 공정만 이동되는 여러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 가능하다.단계별 이동 옵션에서는 이동할 스텝(기간)을 지정할 수 있는데, 선택된 블럭이 스텝 단위로 전체 이동하거나 혹은 선택된 블럭이 스텝단위로 블럭 누적에 따라 누적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5에서는 시뮬레이션 옵션에 있어서, 일정표 간격 조정과 착수일/완료일/작업기간/절점일 등 여러 가지 옵션을 설정하며 액티비티 표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화면이다. 또한 작업일보 실적과 해당위치로 바로 이동가능한 미니맵(도 16) 등의 기능 수행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도 17에서 도 22에서는 물량(volume)별 부하 분석 챠트(도17), 시수(M/H)별 부하 분석 챠트(도 18), 예산(Budget)별 부하 분석 챠트(도 19), 수량(Quantity)별 부하 분석 챠트(도 20), 작업장(Work shop)별 부하 분석 챠트(도 21) 및 장비(Equipment)별 부하 분석 챠트(도 22)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3과 도 24는 각각 액티비티별 공정 정보를 그리드 양식 및 로드(load) 양식으로 검색하는 화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필요한 각 공정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부하 분석이 가능하므로, 프로젝트 산업과 같이 다수의 공정이 유기적으로 맞물려 진행되는 프로젝트 관리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을 최소로 하면서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5는 공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보이는 화면인데,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액티비티별 공정을 정의하고 (업무 영역: 설계, 자재, 생산 ) 각 액티비티의 공정별로 일일/주간/월간 용량(커패시티, capacity) 를 지정하면 APS 화면에서 처리 가능 물량/시수에 대한 초과 물량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 각 공정별로 일정 스타일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30은 중일정에 편성된 각종 부하들을 집계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17 내지 도 22까지는 실시간 부하 분석인데 반해 본 과정은 일정 기간내의 각종 부하들을 집계하는 과정인 것이다. 도 26에서는 예산부하를 집계하는 것으로서, 주별, 월별 집계하거나 일정기간을 지정하여 예산 부하를 집계할 수도 있다.
도 27은 공정별 물량 부하를 집계하는 화면으로서, 집계를 원하는 프로젝트와 리소스(강제중량, 조립중량 혹은 도장 등), 공정, 제작업체 등을 선택한 후, 기간을 정한 뒤 공정별 물량 부하를 집계한다. 챠트에서 선으로 연결된 것은 누적부하에 해당한다.
도 28은 공정별 작업량 부하를 집계하는 화면이고, 도 29는 공정에 편성된 시수부하를 집계하는 장면이다.
특히 시수 부하 분석에서는 총소요시수, 소용인원, 가용인원, 가용시수, 과부족시수, 과부족인원, 조업도 등을 분석할 수 있어 대형 프로젝트 관리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자원 분배 현황 파악을 일거에 가능케 하며, 자원 분배를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솔루션을 곧바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현저한 우월성을 인정할 수 있다.
도 30에서는 일정계획 대비 실적을 조회하는 화면인데, 각 공정별로 계획과진도 현황, 실투입 현황 등을 기간에 따라 일목요연하게 파악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로부터 파악되는 균등한 발명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밝혀 둔다.

Claims (3)

  1.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프로젝트 관련 모든 데이타가 입력 및 관리되는 통합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표준 태스크에서는 공정인 절단, 조립, 선행의장, 블럭도장 등 공정 및 리소스를 정의하는 모듈;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공정 타입이 설정되고, 기간, 버퍼, 리소스 별로 관리되는 모듈;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작업 디비젼에서 액티비티별 공정타입이 설정되는 모듈;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액티비티를 생성하되, 표준 태스크 및 작업디비젼의 액티비티를 이용하여 액티비티가 자동 생성되는 모듈;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프로젝트 계획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는 모듈;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액티비티의 공정별, 기간별, 물량별, 시수별, 예산별, 수량별 부하 분석이 수행되는 모듈;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액티비티의 공정별, 기간별, 물량별, 시수별, 예산별, 수량별 부하가 집계되는 모듈;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프로젝트의 일정계획 대비 실적이 조회되는 모듈;을 포함하되,
    각 액티비티에 대한 공정 타입별 일정은 하나의 행에서 나열되어 관리되며, 전후로 연계된 공정의 일정 조절이 수행되며,
    상기 부하 분석이 수행되는 모듈에서는, 물량/시수/예산/수량 부하를 파악하기 위한 창에서 총소요시수, 소요인원, 가용인원, 가용시수, 과부족시수, 과부족인원의 데이타를 이용하여 실시간 부하 분석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로젝트 계획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는 모듈에서
    시뮬레이션 옵션을 바(bar) 혹은 단계별 이동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창이 포함되어,
    바 이동 옵션에서는 선택한 공정을 이동시키면 해당 액티비티의 전체공정이 같이 이동하거나, 해당액티비티의 후행 공정만 이동하거나, 해당 액티비티의 선행 공정만 이동하거나 혹은 해당 액티비티를 다른 공정에는 영향을 주지 아니하고 선택된 공정만 이동되는 여러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 가능하며,
    단계별 이동 옵션에서는 이동할 스텝(기간)을 지정할 수 있고, 선택된 액티비티가 스텝 단위로 전체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로젝트 계획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이 수행되는 모듈에서
    일정표 간격 조정과 착수일/완료일/작업기간/절점일 등을 설정하며 액티비티 표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창이 포함되며 각각의 창에 해당하는 업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KR1020110004149A 2011-01-14 2011-01-14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KR101171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149A KR101171214B1 (ko) 2011-01-14 2011-01-14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149A KR101171214B1 (ko) 2011-01-14 2011-01-14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707A true KR20120082707A (ko) 2012-07-24
KR101171214B1 KR101171214B1 (ko) 2012-08-06

Family

ID=4671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149A KR101171214B1 (ko) 2011-01-14 2011-01-14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2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583A1 (ko) * 2014-03-26 2015-10-01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전략맵 관리 방법과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250353B1 (ko) * 2019-11-15 2021-05-11 울산과학기술원 프로젝트 일정 표시 방법 및 프로젝트 일정 표시 시스템
US11449834B2 (en) 2014-03-26 2022-09-20 Delta Pds Co., Ltd Method of managing strategy-map executable by comput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7029A (ja) 2006-02-02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ロジェクト進捗管理装置及び方法
JP4672028B2 (ja) 2008-01-18 2011-04-20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プラント建設向け作業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583A1 (ko) * 2014-03-26 2015-10-01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전략맵 관리 방법과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50111884A (ko) * 2014-03-26 2015-10-06 최재호 전략맵 관리 방법과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11449834B2 (en) 2014-03-26 2022-09-20 Delta Pds Co., Ltd Method of managing strategy-map executable by comput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US11900326B2 (en) 2014-03-26 2024-02-13 Delta Pds Co., Ltd Method of managing strategy-map executable by computer,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KR102250353B1 (ko) * 2019-11-15 2021-05-11 울산과학기술원 프로젝트 일정 표시 방법 및 프로젝트 일정 표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214B1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cerda et al. Applying Value Stream Mapping to eliminate waste: a case study of an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for the automotive industry
Elbeltagi et al. Integrated visualized time control system for repetitive construction projects
CN111027876A (zh) 一种分散式生产模式下的工序生产计划排产系统
US7412295B2 (en) Modeling manufacturing processes to include defined markers
Moon et al. Enhancing ERP system's functionality with discrete event simulation
CN104240041A (zh) 用于调度制造过程的方法和系统
CN101256647A (zh) 一种适用于园林工程的项目管理系统
Stevenson Refining a workload control (WLC) concept: a case study
Goryachev et al. “Smart factory”: intelligent system for workshop resource allocation, scheduling, optimization and controlling in real time
CN108475361A (zh) 项目管理系统的定量时间估计系统和方法
US201402786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Field Service Appoint Scheduling
JP2010282524A (ja) 間接費配賦計算システム
Rosa et al. Lean accounting: Accounting contribution for lean management philosophy
Fleischmann et al. Advanced planning
KR101171214B1 (ko)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Ratajczak et al. Collaborative tool for the construction site to enhance lean project delivery
Barlatt et al. Ford motor company implements integrated planning and scheduling in a complex automotive manufacturing environment
JP2019008501A (ja) 生産管理システムおよび生産管理方法
CN202583814U (zh) 管理看板系统
KR100945523B1 (ko) 온라인 건설현장 관리 방법
Kartikeyan et al. To study advanced project planning and scheduling-case study
KR20010075096A (ko) 공급망 관련 계획 정보의 표시 시스템 및 방법
Pritsker et al. Production scheduling using FACTOR
CN105488602A (zh) 利用集约生产规律提高合同兑现率的多工序排程方法
US20120035973A1 (en) Computerized dynamic capac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