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939B1 -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1939B1 KR102411939B1 KR1020210082327A KR20210082327A KR102411939B1 KR 102411939 B1 KR102411939 B1 KR 102411939B1 KR 1020210082327 A KR1020210082327 A KR 1020210082327A KR 20210082327 A KR20210082327 A KR 20210082327A KR 102411939 B1 KR102411939 B1 KR 1024119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truction
- project
- status
- cwp
- detail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8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39 pla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0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84 transportation and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31 aggre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7 targe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는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공종, 상기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최소단위의 구역 및 설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프로젝트를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Construction Work Package)로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를 공사진행현황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기준으로 분류하여 격자형태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설계, 조달, 공사 간 정보를 교환하여 프로젝트 일정을 수립하고 실적 현황 관리를 수행하는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시스템들은 도면과 자재 상황을 고려하지 않거나 또는 자재만 또는 도면만을 직접 업로드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원활한 공사 진행을 위해서는 도면과 자재를 동시에 실시간으로 집계하여 조합하는 프로젝트통합관리 방법이 요구된다.
또한, 건설 프로젝트는 수십 개의 구역에서 동시에 진행되므로, 임의의 구역에서 진행되는 세부프로젝트의 공사진행현황과 시공가능현황에 대해 인지하기가 어렵고, 이에 대한 정보 수집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어떤 세부프로젝트들이 위험도가 높은지에 대한 직관적인 파악이 어려운 상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프로젝트에 대한 공사진행현황과 시공가능현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위험도를 분류하여 인지할 수 있는 프로젝트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는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공종, 상기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최소단위의 구역 및 설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프로젝트를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Construction Work Package)로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를 공사진행현황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기준으로 분류하여 격자형태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종이 배관인 경우, 상기 시공가능물량현황은 현재기준 및 미래기준으로 구분하여 산출하고, 상기 미래기준을 산출할 때 배관의 개별구성단위인 라인(Line)을 기준으로 실제 공사 수행을 위한 상세도면 상태의 웰드맵(Weld map), 상세 시공 도면 작성 전 도면 상태인 ISO 드로잉(drawing) 및 라인의 도면 작성 전 상태인 3D 순서로 3회 순차 시뮬레이션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우선순위에 의해 설정된 라인에 조달 입고 및 예정자재를 매칭하여 개별구성단위에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먼저 산출한 후, 상기 세부프로젝트 CWP 단위로 합산하여 CWP별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의 표시부에서 격자형태의 가로축은 단계별 공사진행현황을, 세로축은 단계별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나타내며, 각각의 격자는 공사진행현황 단계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 정보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각각의 격자는, 격자가 나타내는 공사진행현황 단계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에 속하는 세부프로젝트 CWP의 개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의 표시부는 상기 격자형태를 구성하는 각 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도 정보를 파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표시부의 각 격자 내의 세부프로젝트 CWP의 개수 정보를 클릭하면, 상기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 중 상기 격자 대응하는 세부프로젝트 CWP만이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세부프로젝트 CWP 각각의 상세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공종은 배관, 철골, 기계장치 및 토목을 포함하고, 시공가능물량현황은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공종에 따라 도면,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며, 공종별로 개별구성단위에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먼저 산출한 후 상기 세부프로젝트 CWP 단위로 합산하여 CWP별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방법은 분류부에서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공종, 상기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최소단위의 구역 및 설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프로젝트를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Construction Work Package)로 분류하는 단계; 및 표시부에서 상기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를 공사진행현황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기준으로 분류하여 격자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종이 배관인 경우, 상기 시공가능물량현황은 현재기준 및 미래기준으로 구분하여 산출하고, 상기 미래기준을 산출할 때 배관의 개별구성단위인 라인(Line)을 기준으로 실제 공사 수행을 위한 상세도면 상태의 웰드맵(Weld map), 상세 시공 도면 작성 전 도면 상태인 ISO 드로잉(drawing) 및 라인의 도면 작성 전 상태인 3D 순서로 3회 순차 시뮬레이션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우선순위에 의해 설정된 라인에 조달 입고 및 예정자재를 매칭하여 개별구성단위에서 시공가능물량을 먼저 산출한 후, 상기 세부프로젝트 CWP 단위로 합산하여 CWP별로 시공가능물량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방법은 분류부에서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공종, 상기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최소단위의 구역 및 설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프로젝트를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Construction Work Package)로 분류하는 단계; 및 표시부에서 상기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를 공사진행현황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기준으로 분류하여 격자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형태의 가로축은 단계별 공사진행현황을, 세로축은 단계별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나타내며, 각각의 격자는 공사진행현황 단계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 정보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각각의 격자는, 격자가 나타내는 공사진행현황 단계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에 속하는 세부프로젝트 CWP의 개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는 공사 일정과 실적 집계가 가능하며, 매일 공사 가능 물량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공사 진행 현황(Construction Status)과 시공 가능 현황(Work Front Status)을 기준으로 위험 수준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는 건설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설계도면, 조달자재, 공사간 정보를 자동으로 취합하고, 공유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선행적인 공사 관리를 수행하여 공사일정을 계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는 설계에서 정의한 시공 목적물인 개별 구성 단위를 기준으로 개별구성 단위의 묶음에 해당하는 CWP를 정의하고 스케쥴을 작성함으로써 해당 시공 목적물을 기준으로 설계, 조달, 공사 데이터를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집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는 담당자들이 이용하는 운영 시스템으로 부터 받은 도면과 자재 데이터를 동시에 반영하여 개별 구성 단위 Work Front를 도면, 자재, 그리고 도면& 자재라는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독립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는 계획 일정 대비 자동 집계한 개별 공사 목적물들의 실적 데이터(Start Date, Finish Date, 실적 물량)로 CWP 단위의 6가지 상태(착수 전, 이번달 시작, 진행 중, 착수 지연, 종료 지연, 종료)를 이번 달과 미래(향후 3개월) 시점 기준으로 자동 출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가 구현되는 시스템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에서 공사현황관리를 산출하는 순서 및 기준을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세부프로젝트 CWP의 계획기준을 나타낸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데이터베이스 ERP에서 개별구성단위별로 공사실적, 설계실적 및 조달실적을 자동으로 취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출력하기 위해 요구되는 필요데이터와 결과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산출하기 위한 필요데이터와 공종별 Work Front 유형을 구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CWP 시공가능물량을 공종별로 산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개별구성단위별로 공사진행현황을 판단한 후, CWP 단위로 공사진행현황을 판단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미래의 시공물량 산출시 개별구성단위인 Line에 대해 도면의 발생 순서(3D, ISO, Weldmap)에 따라 3회 시뮬레이션을 순차 시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현재 기준 배관 시공가능물량을 시뮬레이션 하는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미래기준 및 현재기준에서 배관 및 철골 공종에서 CWP 단위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Work Front Type 1에 따라 분류한 일 예를 각각 도시한다.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의 표시부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가 구현되는 시스템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에서 공사현황관리를 산출하는 순서 및 기준을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세부프로젝트 CWP의 계획기준을 나타낸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데이터베이스 ERP에서 개별구성단위별로 공사실적, 설계실적 및 조달실적을 자동으로 취합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출력하기 위해 요구되는 필요데이터와 결과데이터를 도시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산출하기 위한 필요데이터와 공종별 Work Front 유형을 구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CWP 시공가능물량을 공종별로 산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개별구성단위별로 공사진행현황을 판단한 후, CWP 단위로 공사진행현황을 판단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미래의 시공물량 산출시 개별구성단위인 Line에 대해 도면의 발생 순서(3D, ISO, Weldmap)에 따라 3회 시뮬레이션을 순차 시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현재 기준 배관 시공가능물량을 시뮬레이션 하는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미래기준 및 현재기준에서 배관 및 철골 공종에서 CWP 단위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Work Front Type 1에 따라 분류한 일 예를 각각 도시한다.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의 표시부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100)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100)가 구현되는 시스템도를 도시한다.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100)는 건설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설계, 조달 및 공사 담당자가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ERP를 통해 도면 데이터(210), 자재 데이터(220) 및 공사 정보 데이터(230)를 자동으로 취합하고, 공유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100)에서는 취합된 업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사 관리를 선행적으로 수행하여 시공 가능 물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물량에 기초하여 공사 일정을 계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100)는 분류부(110) 및 표시부(120)를 포함한다.
분류부(110)는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공종,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최소단위의 구역 및 설계정보를 기준으로 프로젝트를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Construction Work Package)로 분류한다. 표시부(120)는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를 공사진행현황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기준으로 분류하여 격자형태로 표시한다. 표시부의 구체적인 예는 도 13 내지 15를 참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CWP는 프로젝트 관리의 기준 단위로 사용될 수 있다. 표 1을 참고하면, 세부프로젝트 CWP는 개별구성단위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3 을 더 참고하면, 예를 들어 1개의 건설 프로젝트(310)는 최소단위 구역을 기초로 70~90 개로 분류(311)되고, 다시 설계정보를 기준으로 700~900 개의 CWP로 분류(312)될 수 있다. 분류된 각각의 CWP(312)에는 식별할 각각의 CWP를 구별하는 식별코드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각 CWP는 CWP가 속하는 구역 및 CWP가 속하는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공 종 | 프로젝트 구역 |
설계 정보(도면) 기준 (=개별구성단위) |
1개 CWP 정의 기준 (개별 구성 단위 집합) |
의 미 |
배 관 |
공통 사용 | Line |
공사 규모 4,000 Mhr수준 Line 묶음 |
1 CWP = n개 Lines |
철 골 |
Assembly |
공사 규모 4,000 Mhr 수준 Assembly 묶음 |
1 CWP = n개 Assemblies |
|
기계, 장치 |
Item |
공사 규모 4,000 Mhr 수준 Item 묶음 |
1 CWP = n개 Items |
|
토 목 |
Foundation |
공사 규모 4,000 Mhr 수준 Foundation 묶음 |
1 CWP = n개 Foundations |
표 1에서 Mhr는 1 시간 동안 1명이 일하는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세부프로젝트 CWP별로 수립한 계획(321, 322, 323)을 자동으로 취합할 수 있다. 도 4는 CWP 공사계획(410), 설계 계획(420) 및 조달계획(430)의 기준을 나타내는 일 예이다. 세부프로젝트 CWP 각각은 동일한 설계정보를 기반으로 계획이 수립된다. 이 경우, 설계정보는 Line, Assembly, Item 및 Foundation과 같은 개별구성단위(401) 정보일 수 있다.
도 4와 같이 세부프로젝트 CWP별로 계획을 수립하면, 그 계획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에서 각 설계, 공사, 조달 담당자들이 입력하는 실적 정보를 자동으로 취합한다. 데이터베이스 ERP에서 실적을 취한한 일 예는 도 5와 같다.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S-AWP는 데이터베이스 EPR를 통해 자동으로 취합한 실적과 매칭을 수행한다.
도 5의 일 예와 같이 각 담당자들이 회사 데이터베이스 ERP(500)를 통해 개별구성단위(501)로 실적을 입력하여 실적이 취합되면, 취합된 실적에 따라 세부프로젝트 CWP별로 공사진행현황을 분류할 수 있다. CWP 별 공사 진행 현황은 도 9의 일 실시예와 같이 CWP를 구성하는 개별구성단위의 공사 진행 현황을 집계하여(S910), CWP 단위로 결과를 출력한다(S920). CWP 별 공사 진행 현황은 표 2와 같이 월별 Cut Off를 기준으로 오늘 기준의 이번 달 현황 뿐만 아니라 향후 도래할 미래 Cut Off를 기준으로 보여줄 수 있다.
공사 현황 자동 분류를 위한 데이터 | |||||
개별 구성 단위 | 공사 계획 시작일 | 공사 계획 종료일 | 공사 실적 시작일 | 공사 실적 종료일 | 오늘 날짜 |
CWP 단위 | 개별 구성 단위의 공사 현황 결과 | ||||
월별 Cut Off 날짜 현재(이번 달) 기준 : 오늘 날짜 기준 출력 미래 기준 : 이번 달 이후 월별 Cut Off 기준으로 출력 |
도 9를 참고하면,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S-AWP는 CWP의 공사일정을 6단계(921~926)로 분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CWP별 공사진행 현황은 컷오프(Cut Off)기준으로 CWP를 필터링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9에서 6단계는 '착수 전(Before Start)'(921), 'Cut-off 내 계획 시작(Target Start)'(922), '진행 중(In Progress)'(923), '착수 지연(Late Start)'(924), '종료 지연(Late Finish)'(925) 및 '종료(Complete)'(926)이다. '착수 전(Before Start)'(921)은 모든 CWP 하부 개별구성단위가 착수 전인 상태이다. ', 'Cut-off 내 계획 시작(Target Start)'(922)은 이번달(M), 다음달(M+1), 다다음달(M+2) 등 Cut-off 내 CWP 공사 계획 시작일이 도래하고, 하부 모든 개별구성단위가 착수전인 상태이다. '진행 중(In Progress)'(923)은 CWP 하부 개별구성단위 중 종료 지연없이 1개 이상의 개별 구성 단위가 진행 중(In Progress) 또는 종료(Complete)인 상태이다. '착수 지연(Late Start)'(924)은 진행 중, 종료 지연, 종료 없이 전체 개별구성단위가 착수 지연인 상태이다. '종료 지연(Late Finish)'(925)은 1개 이상의 개별구성단위가 종료 지연인 상태이다. 그리고,'종료(Complete)'(926)는 모든 개별 구성 단위가 종료인 상태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출력하기 위해 요구되는 필요데이터(610)와 결과데이터(620)를 도시한다.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S-AWP는 도면과 자재가 준비된 현재 기준 시공가능물량현황(611)과 미래 기준의 데이터인 자재입고예정일(ETA)과 도면 출도예정일(Expected Drawing Issue Date)(613)를 활용하여 미래 기준 시공가능물량현황(612)을 현재와 미래의 컷-오프를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산출한다. 현재기준 시공가능물량현황(611)은 공사 착수 가능 물량으로 공사에 의미가 있고, 미래기준 시공가능물량현황(612)은 설계와 조달 업무의 우선 순위를 파악할 수 있다.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S-AWP는 각 데이터베이스 ERP로부터 집계한 공사, 설계, 조달 정보를 바탕으로 공사 선행 관리를 위한 시공 가능 물량(Work Front Q'ty)을 공종별로 산출한다. 시공가능물량(Work Front Status)(621)은 CWP별 공사 계획과 CWP 시공가능물량 비교를 통해 파악된다.
CWP별 공사 계획(Target Plan)은 CWP 별 수립된 공사 계획 시작일과 종료일을 기준으로 그 기간 동안 배분된 공사 계획 총 물량을 일별 공사 목표 물량으로 상정하고 이를 오늘 날짜 기준으로 매일 산정한다. 공사하루 목표 물량은 '공사계획총물량/(공사계획종료일 - 공사계획시작일)'로 정할 수 있으나, 배분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누적공사하루목표 물량은 오늘 날짜 기준으로 누적공사하루목표 물량을 의미한다.
CWP 시공가능물량은 공종별 특성에 따라 필요한 정보가 다르며, 공종별 특성에 따라 시공가능물량(Work Front) 유형을 도 7과 같이 도면과 자재를 고려하는 시공가능물량(Work Front) 제 1유형(710), 자재만 고려하는 시공가능물량(Work Front) 제 2 유형(720) 및 도면과 고려하는 시공가능물량(Work Front) 제 3유형(730)으로 구분할 수 있다. CWP 시공가능물량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종별로 개별구성단위에서 시공가능물량을 먼저 산출한 후(810), CWP단위로 합산하여(820) 도출한다.
개별구성단위에서 시공가능물량을 산출하는 일 예는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미래의 시공물량 산출시 개별구성단위인 Line에 대해 도면의 발생 순서(3D, ISO, Weldmap)에 따라 3회 시뮬레이션을 순차 시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고하여 배관 공종의 일 예를 들면, 개별구성단위인 Line의 시공 우선 순위를 배관 CWP의 계획 시작일과 종료일 범위 안에서 설정한다. 그리고, Line 별 도면 상태, 자재 목록(BOM), 웰딩 물량 정보를 ERP로 부터 수집한 후 표 3의 상태를 거쳐 웰드맵(weld map)으로 작성한다. 표 3에서 스풀(Spool)은 웰드맵 출도시 배관 제작과 시공을 위해 Line을 분절한 단위를, joint는 실제 시공을 위해 Weld Map에 표현된 용접 접합 부위를 지칭한다.
Line 별 도면 상태 | 설 명 | 도면 | 단위 | 설계(도면) 정보 |
3D | Line의 도면 작성 전 상태 | X | Line | Line 별 필요 자재(BOM) 자재로 산출한 Welding 물량((가)물량) |
ISO Drawing | 상세 시공 도면 작성 전 도면 상태 | O | Line | Line 별 필요 자재(BOM) 자재로 산출한 Welding 물량((가)물량) |
Weld Map (Shop Drawing) |
실제 공사 수행을 위한 상세 도면 상태 | O (시공용) |
Line 분절 Spool 단위 |
Line 별로 분절된 Spool 목록 Spool 별 필요 자재(BOM) Spool 별 Welding 위치와 목록 Joint로 산정한 Welding 물량(실제 물량) |
웰드맵이 작성되면, 배관시공가능 물량은 샵(Shop)과 현장(Field)으로 나뉘어 산출된다. 샵(Shop)과 현장(Field) 대상 자재 목록을 구분하고 산출 시뮬레이션에서 제외할 자재를 설정한다. 시공 물량 산출은 미래 기준과 현재 기준으로 구분하여 산출할 수 있다. 미래기준으로 산출하는 것과 현재 기준으로 산출하는 것은 표 4와 같이 시뮬레이션시 사용하는 설계정보와 조달정보의 차이에 있다.
표 4는 미래 시공물량현황 및 현재 시공물량현황 산출을 파악하기 위한 필요데이터의 예를 도시한다. 표 5는 미래기준 시공물량현황 산출시 웰드맵 자재를 매칭하는 예를 나타낸다. 표 6은 미래기준 시공물량현황 산출시 ISO 도면, 3D자재를 매칭하는 예를 나타낸다. 표 7 은 미래기준 시공물량현황을 산출한 결과데이터를 도시한다. 표 8 은 미래기준 시공물량산출 기준을 나타낸다.
Simulation 구분 |
사전 설정 |
기본 산출 방식 | 시뮬레이션 필요 정보 | ||
도면 상태 |
설계(도면) 정보 | 조달(자재) 정보 | |||
미래 기준 | Line 우선순위 + Shop/Field 자재 구분 + 시뮬레이션 예외 자재 반영 |
시공 가능 물량 =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Line 별 (가)물량 합 + Spool 별 Weld 물량 합 (ISO 및 3D 상태 Line 별 필요 자재와 Weld Map 상태 Spool의 필요 자재 ∩ 입고 및 입고 예정 자재) |
3D (Line) |
Line 별 필요 자재(BOM) 자재로 산출한 Welding 물량((가) 물량) |
입고 및 입고 예정 자재 목록과 물량 입고일 (Receive Date) 및 입고 예정일(ETA) |
ISO Drawing (Line) |
Line 별 필요 자재(BOM) 자재로 산출한 Welding 물량((가) 물량) ISO drawing 출도예정일/출도일 |
||||
Weld Map(Spool) | Line 을 분절한 Spool 목록 Spool 별 필요 자재(BOM) Spool 별 Welding 위치와 목록 Welding 물량(실제 물량) Weld Map 출도일 |
||||
현재 기준 | 시공 가능 물량 =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Spool 별 Weld 물량 합 (Weld Map 상태 Spool의 필요 자재 ∩ 입고 자재) |
3D (Line) |
미사용 | 입고 자재 목록과 물량 입고일 (Receive Date) |
|
ISO Drawing (Line) |
미사용 | ||||
Weld Map (Spool) |
Line 별로 분절된 Spool 목록 Spool 별 필요 자재(BOM) Spool 별 Welding 위치와 목록 Welding 물량(실제 물량) Weld Map 출도일 |
설계 정보 Weld Map이 출도된 Line (Spool 단위 매칭) |
조달 정보(입고, 입고 예정) 매칭 | ||
현장 입고(Stock) 90' Elbow 12 EA + 입고 예정(ETA) 3 EA |
|||
1 순위 Line | 1순위 Line의 Spool 1 필요 자재 | 90' Elbow 4EA 필요 | 4 EA Work Front 발생 / 잔여 11 EA |
1순위 Line의 Spool2 필요 자재 | 90' Elbow 5EA 필요 | 5 EA Work Front 발생 / 잔여 6 EA | |
... | ... | ... | |
2 순위 Line | 2순위 Line의 Spool 1 필요 자재 | 90' Elbow 12EA 필요 | 12 EA 할당 부족 / No Work Front |
2순위 Line의 Spool2 필요 자재 | 90' Elbow 2EA 필요 | 2 EA Work Front / 잔여 4 EA | |
... | ... | ... | ... |
설계 정보 ISO Drawing, 3D 상태의 Line (Line 단위 Mathching) |
조달 정보(입고, 입고 예정) 매칭 | ||
현장 입고(Stock) 90' Elbow 12 EA + 입고 예정(ETA) 3 EA |
|||
1 순위 Line | 1순위 Line 필요 자재 | 90' Elbow 4EA 필요 | 4 EA Work Front 발생 / 잔여 11 EA |
2 순위 Line | 2순위 Line 필요 자재 | 90' Elbow 5EA 필요 | 5 EA Work Front 발생 / 잔여 6 EA |
3 순위 Line | 3순위 Line 필요 자재 | 90' Elbow 12EA 필요 | 12 EA 할당 부족 / No Work Front |
4 순위 Line | 4순위 Line 필요 자재 | 90' Elbow 2EA 필요 | 2 EA Work Front / 잔여 4 EA |
... | ... | ... | ... |
도면 상태 | Work Front 발생 조건 | Work Front 결과 |
Weld Map | Spool 별 필요 자재 모두 매칭 |
Work Front Date = 매칭 만족 시점 Work Front Quantity = Welding 물량(실제 물량) |
ISO, 3D | Line별 필요 자재 모두 매칭 |
Work Front Date = 매칭 만족 시점 Work Front Quantity = 자재로 산출한 Welding 물량((가) 물량) |
자재 매칭 정보 | 시공 가능 물량(W/F w/Actual) | |||||||||
단위 | 도면 상태 구분 |
Welding 물량 존재 |
자재 매칭 대상 | 매칭 결과 값 | 최종 결과 값 |
|||||
Line | 3D / ISO Drawing |
없음. | Shop : Shop 제작 자재 Field : Field 설치 자재(Erection) + Spool List |
매칭 만족 |
각 자재별 환산 공식 적용((가) 물량) 90 Elbow 28" -> 56 DI 자재별 환산 물량 합산 > 0 |
공사실적 미존재 |
자재별 환산 합산 (가)물량 |
|||
매칭 불만족 |
0 | 공사실적 존재 |
Welding 실적 |
|||||||
Spool | Weld Map | 있음. Welding Joint 별 물량 존재 |
Shop : Shop 제작 자재 Field : Field 설치 자재(Erection) + Spool List |
매칭 만족 |
Welding Joint 별 물량 적용 (실제 물량) Welding Joint 물량 합산 > 0 |
공사실적 미존재 |
Welding Joint 합산 실제 물량 |
|||
매칭 불만족 |
0 | 공사실적 존재 |
Welding 실적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현재 시점의 시공물량현황을 산출할 때에는 웰드맵만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표 8은 현재 기준 개별구성단위를 기준으로 웰드맵 대상 시뮬레이션 수행을 통해 우선 순위에 의해 설정된 라인(Line)에 조달 입고 자재를 매칭한 일 예를 도시한다. 표 9는 현재기준 시공물량현황 산출 결과값의 일 예를 도시한다. 표 10 은 현재기준 시공물량산출 결과값의 일 예를 나타낸다. 표 11 은 현재기준 시공물량산출 기준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현재 기준 배관 시공가능물량을 시뮬레이션 하는 과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철골, 기계장치 및 토목 공종에서도 개별구성단위로 시공물량현황산출 및 현황 분류를 수행한다.
Weld Map이 출도된 Line (Spool 단위 매칭) |
조달 정보(입고) 매칭 | ||
현장 입고(Stock) 90' Elbow 12 EA | |||
1 순위 Line | 1순위 Line의 Spool 1 필요 자재 | 90' Elbow 4EA 필요 | 4 EA Work Front 발생 / 잔여 8 EA |
1순위 Line의 Spool2 필요 자재 | 90' Elbow 5EA 필요 | 5 EA Work Front 발생 / 잔여 3 EA | |
... | ... | ... | |
2 순위 Line | 2순위 Line의 Spool 1 필요 자재 | 90' Elbow 12EA 필요 | 12 EA 할당 부족 / No Work Front |
2순위 Line의 Spool2 필요 자재 | 90' Elbow 2EA 필요 | 2 EA Work Front / 잔여 1 EA | |
... | ... | ... | ... |
도면 상태 | 구 분 | Work Front 발생 조건 | Work Front 결과 |
Weld Map | Shop | Spool 별 필요 자재 모두 매칭 |
Work Front Date = 매칭 만족 시점 Work Front Quantity = Welding 물량(실제 물량) |
Field | Shop 제작 완료 Spool Line 별 필요 자재 모두 매칭 |
자재 매칭 정보 | 시공 가능 물량(W/F w/Actual) | ||||||
도면 상태 구분 |
Welding 물량 존재 |
자재 매칭 대상 | 매칭 결과 값 | 최종 결과 값 | |||
Weld Map | 있음. Welding Joint 별 물량 존재 |
Shop : Shop 제작 자재 Field : Field 설치 자재(Erection) + Spool List |
매칭 만족 |
Welding Joint 별 물량 적용 (실제 물량) Welding Joint 물량 합산 > 0 |
공사실적 미존재 |
Welding Joint 합산 물량 | |
매칭 불만족 |
0 | 공사실적 존재 |
Welding 실적 |
배관, 철골, 기계장치 및 토목 공종에서 개별구성단위로 시공물량현황산출 및 현황 분류가 수행되면, 이후 CWP 단위로 시공가능현황이 분류된다. 이 경우, 도 8의 예와 같이 공종의 유형에 따라 시공가능현황 유형(Work Front Type)이 구분되어 적용된다.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미래기준 및 현재기준에서 배관 및 철골 공종에서 CWP 단위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Work Front Type 1에 따라 분류한 일 예를 각각 도시한다.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의 표시부를 도시한다.
도 13 과 14를 참고하여, 공사진행현황단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기준으로 CWP들을 분류하여 격자형태로 표시하는 일 예를 설명한다.
표시부(1300)는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를 공사진행현황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기준으로 분류하여 격자형태(1310)로 표시한다. 도 13은 792개(1301)의 세부프로젝트 CWP를 공사진행현황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기준으로 분류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에서, 격자형태의 가로축은 단계별 공사진행현황(S1310)을, 세로축은 단계별 시공가능물량현황(S1320)을 나타낸다. 도 14를 더 참고하면, 가로축에는 x축의 우측 방향으로 이미 공사착수가 이루어진 공사에 대한 공사진행현황 단계(S1410)가 먼저 표시되고, 이 후 공사착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공사에 대한 공사진행현황(S1420) 단계가 표시되었다.
표시부(1300)는 공사진행현황 단계만을 나타내는 격자로 구성된 격자그룹(1310)을 포함하고, 격자그룹에 속하는 격자는 각 공사진행현황 단계에 속하는 세부프로젝트 CWP의 개수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3에는 'Complete'(1311), 'Late Finish'(1312), 'Late Start'(1313), 'In Progress'(1314), 'Target Start'(1315) 및 'Before Start'(1316)의 6개로 구성된 격자그룹이 개시되어 있다. 도 13에서 792개(1301)의 세부프로젝트 CWP는 'Late Finish'(1312) 단계에 175개의 CWP, 'Late Start'(1313)단계에 95개의 CWP, 'In Progress'(1314)단계에 138개의 CWP , 'Target Start'(1315) 단계에 57개의 CWP, 그리고 'Before Start'(1316) 단계에 105개의 CWP가 속해있다.
'Complete'(1311)은 실적이 모두 완료된 것을 의미한다. 'Late Finish'(1312)는 계획으로는 'Target Plan Finish'가 도래하였는데, 실적상으로는 최소 1개의 개별구성단위의 종료가 지연된 것을 의미한다. 개별구성단위는 토목공종은 Foundation, 철골 공종은 Assembly, 기계장치는 Item 그리고 배관공종은 Line을 의미한다. 'Late Start'(1313)는 계획으로는 'Target Plan Start'가 도래하였는데, 실적상으로는 모든 개별구성단위의 착수 가 지연된 것을 의미한다. 'In Progress'(1314)는 계획으로는 이번달, 다음달, 다다음달(M+1/2/3) Cut Off 내 'Target Plan Start'가 도래 또는 미도래되었고, 실적으로는 최소 1개의 개별구성단위의 공사가 착수되거나 또는 공사가 완료된 상태를 의미한다. 'Target Start'(1315)는 계획으로는 'Target Plan Start'가 도래하였는데, 실적상으로는 공사에 미착수한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Before Start'(1316)는 계획으로는 'Target Plan Start'가 미도래하고, 실적상으로는 공사에 미착수한 상태를 의미한다.
시공가능물량현황(S1320)은 'W/F C'(1321), 'No W/F E'(1322) 및 'No W/F P'(1323)로 구분되었다.
'W/F C'(1321)은 시공가능물량현황이 "Enough(충분)"인 CWP, 'No W/F E'(1322)은 시공가능물량현황이 "Drawing Shortage(도면 부족)" 또는 "(All Shortage)모두 부족"인 CWP, 그리고 'No W/F P'(1323)은 시공가능물량현황이 'Material Shortage(자재 부족)" 또는 "(All Shortage)모두 부족"인 CWP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각각의 격자는 공사진행현황 단계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각각의 격자는, 격자가 나타내는 공사진행현황 단계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에 속하는 세부프로젝트 CWP의 개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 1 격자(1341)는 'Late Finish' 공사진행현황 단계이고, 'No W/F P'(1323)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를 나타내며, 이에 속하는 세부프로젝트의 개수가 63개(1341a)임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격자형태를 구성하는 각 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도 정보를 파악이 가능하다.
격자보드(1330) 내의 제 1 영역(1340)에 속하는 격자들(1341, 1342, 1343, 1344)은 최고위험(High Risk)(1345)으로 분류된다. 도 13에서 792 개의 CWP 중 작업이 완료된 222개를 제외하면, 570개의 CWP가 공사진행중에 있다. 이 중 제 1 영역에 속하는 CWP는 138개로 약 25%가 최고위험으로 분류된다. 제 2 영역(1350)에 속하는 격자들(1351, 1352, 1353, 1354)는 중위험(Medium Risk)(1355)으로 분류된다. 도 13에서 공사진행중인 570개의 CWP 중, 제 2 영역에 속하는 CWP는 161개로 약 29%가 중위험(Medium Risk)로 분류된다. 제 3 영역(1360)에 속하는 격자들(1361, 1362, 1363, 1364)는 저위험(Low Risk)(1365)으로 분류된다. 도 13에서 공사진행중인 570개의 CWP 중, 제 3 영역에 속하는 CWP는 78개로 약 15%가 저위험(Low Risk)로 분류된다. 그 외의 영역(1370)에 속하는 격자들(1371, 1372, 1373)은 안전(No Risk)(1375)로 분류된다. 도 13에서 공사진행중인 570개의 CWP 중 약 31%가 안전(No Risk)로 분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격자보드(1330)는 제 1 영역(1340), 제 2 영역(1350), 제 3 영역(1360), 그 외 영역(1370)에 대해 각각 상이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표시부의 격자가 필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격자보드를 구성하는 임의의 격자(1542) 내의 세부프로젝트 CWP의 개수 정보(1542a)를 클릭하면,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 중 격자(1542)에 대응하는 세부프로젝트 CWP만(1510)이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세부프로젝트 CWP(1510)의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필터링된 세부프로젝트 CWP가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세부프로젝트 CWP의 상세정보가 표시된다. 상세정보는 공종 유형(1501),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최소단위의 구역을 나타내는 CWP 구역(1502), CWP 각각을 식별하는 CWP 식별코드(1503), CWP 카테고리(1504), 개별구성단위 식별번호(1505), 공사일정정보(1520) 및 자재물량정보(1530)을 포함한다. 공사일정정보는 공사현황(1521), Target Plan 시작일 및 종료일(1522, 1523), 실제 공사 시작일 및 종료일(1524, 1525) 정보를 포함한다. 자재물량정보(1530)는 시공가능물량현황 정보(1531), 전체 자재물량정보(1532) 및 목표 자재물량정보(15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5)
-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공종, 상기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최소단위의 구역 및 설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프로젝트를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Construction Work Package)로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를 공사진행현황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기준으로 분류하여 격자형태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형태의 가로축은 단계별 공사진행현황을, 세로축은 단계별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나타내며, 각각의 격자는 공사진행현황 단계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 정보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각각의 격자는, 격자가 나타내는 공사진행현황 단계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에 속하는 세부프로젝트 CWP의 개수 정보를 표시하며,상기 가로축에는 x축의 우측 방향으로 이미 공사착수가 이루어진 공사에 대한 공사진행현황 단계가 먼저 표시되고, 이 후 공사착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공사에 대한 공사진행현황 단계가 표시되고,
상기 공종이 배관인 경우, 상기 시공가능물량현황은 현재기준 및 미래기준으로 구분하여 산출하고, 상기 미래기준을 산출할 때 배관의 개별구성단위인 라인(Line)을 기준으로 실제 공사 수행을 위한 상세도면 상태의 웰드맵(Weld map), 상세 시공 도면 작성 전 도면 상태인 ISO 드로잉(drawing) 및 라인의 도면 작성 전 상태인 3D 순서로 3회 순차 시뮬레이션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우선순위에 의해 설정된 라인에 조달 입고 및 예정자재를 매칭하여 개별구성단위에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먼저 산출한 후, 상기 세부프로젝트 CWP 단위로 합산하여 CWP별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격자형태를 구성하는 각 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도 정보를 파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각 격자 내의 상기 세부프로젝트 CWP의 개수 정보를 클릭하면, 상기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 중 상기 격자 대응하는 세부프로젝트 CWP만이 필터링되고, 필터링된 세부프로젝트 CWP 각각의 상세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공사진행현황 단계만을 나타내는 격자로 구성된 격자그룹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격자그룹에 속하는 격자는 각 공사진행현황 단계에 속하는 세부프로젝트 CWP의 개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기준으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산출할 때는 웰드맵만을 시뮬레이션하여 우선순위에 의해 설정된 라인에 조달입고 자재를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종은 배관, 철골, 기계장치 및 토목을 포함하고, 상기 시공가능물량현황은 상기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공종에 따라 도면, 자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며, 공종별로 개별구성단위에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먼저 산출한 후 상기 세부프로젝트 CWP 단위로 합산하여 CWP별로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 분류부에서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공종, 상기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최소단위의 구역 및 설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프로젝트를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Construction Work Package)로 분류하는 단계; 및
표시부에서 상기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를 공사진행현황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기준으로 분류하여 격자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형태의 가로축은 단계별 공사진행현황을, 세로축은 단계별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나타내며, 각각의 격자는 공사진행현황 단계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 정보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각각의 격자는, 격자가 나타내는 공사진행현황 단계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에 속하는 세부프로젝트 CWP의 개수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가로축에는 x축의 우측 방향으로 이미 공사착수가 이루어진 공사에 대한 공사진행현황 단계가 먼저 표시되고, 이 후 공사착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공사에 대한 공사진행현황 단계가 표시되고,
상기 공종이 배관인 경우, 상기 시공가능물량현황은 현재기준 및 미래기준으로 구분하여 산출하고, 상기 미래기준을 산출할 때 배관의 개별구성단위인 라인(Line)을 기준으로 실제 공사 수행을 위한 상세도면 상태의 웰드맵(Weld map), 상세 시공 도면 작성 전 도면 상태인 ISO 드로잉(drawing) 및 라인의 도면 작성 전 상태인 3D 순서로 3회 순차 시뮬레이션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우선순위에 의해 설정된 라인에 조달 입고 및 예정자재를 매칭하여 개별구성단위에서 시공가능물량을 먼저 산출한 후, 상기 세부프로젝트 CWP 단위로 합산하여 CWP별로 시공가능물량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통합관리방법. - 삭제
- 삭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격자형태를 구성하는 각 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도 정보를 파악하고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통합관리방법. - 분류부에서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공종, 상기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최소단위의 구역 및 설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프로젝트를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Construction Work Package)로 분류하는 단계; 및
표시부에서 상기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를 공사진행현황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기준으로 분류하여 격자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격자형태의 가로축은 단계별 공사진행현황을, 세로축은 단계별 시공가능물량현황을 나타내며, 각각의 격자는 공사진행현황 단계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 정보를 나타내고, 또한 상기 각각의 격자는, 격자가 나타내는 공사진행현황 단계 및 시공가능물량현황 단계에 속하는 세부프로젝트 CWP의 개수 정보를 표시하고,
각 격자 내의 상기 세부프로젝트 CWP의 개수 정보를 클릭하면, 상기 n개의 세부프로젝트 CWP 중 상기 격자 대응하는 세부프로젝트 CWP만이 필터링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필터링된 세부프로젝트 CWP 각각의 상세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통합관리방법. - 삭제
- 제 9 항, 제 12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프로젝트통합관리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2327A KR102411939B1 (ko) | 2021-06-24 | 2021-06-24 |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및 방법 |
CN202280028272.5A CN117136372A (zh) | 2021-06-24 | 2022-08-24 | 用于管理工程的方法和装置 |
JP2023560770A JP7555500B2 (ja) | 2021-06-24 | 2022-08-24 | プロジェクト統合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 |
PCT/IB2022/057916 WO2022269584A1 (en) | 2021-06-24 | 2022-08-24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ject |
US18/286,884 US20240193547A1 (en) | 2021-06-24 | 2022-08-24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je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2327A KR102411939B1 (ko) | 2021-06-24 | 2021-06-24 |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1939B1 true KR102411939B1 (ko) | 2022-06-22 |
Family
ID=8221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2327A KR102411939B1 (ko) | 2021-06-24 | 2021-06-24 |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93547A1 (ko) |
JP (1) | JP7555500B2 (ko) |
KR (1) | KR102411939B1 (ko) |
CN (1) | CN117136372A (ko) |
WO (1) | WO2022269584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69584A1 (en) * | 2021-06-24 | 2022-12-29 | Samsung Engineering Co.,Ltd.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ject |
WO2024085350A1 (ko) * | 2022-10-20 | 2024-04-25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플랜트의 3d 모델링으로부터 웰드맵이 포함된 배관의 시공도면 생성방법 |
KR20240085005A (ko) | 2022-12-07 | 2024-06-14 | 현대건설(주) | 건설분야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240086052A (ko) | 2022-12-09 | 2024-06-18 | 현대건설(주) | 시공 단계로부터 시운전 단계로의 전환이 용이한 건설분야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71790A1 (en) * | 2004-01-30 | 2005-08-04 | Theodore Thomas Blackmon |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CN107256318A (zh) * | 2017-07-18 | 2017-10-17 | 中国电建集团河南工程公司 | 基于bim技术的锅炉小管道施工方法 |
KR102222384B1 (ko) | 2019-10-25 | 2021-03-03 | 주식회사 리바워크스 | 건설 공사 현장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WO2021064876A1 (ja) * | 2019-10-01 | 2021-04-08 | 日揮グローバル株式会社 | プロジェクト管理装置、プロジェクト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09392B2 (en) * | 2002-08-16 | 2008-08-05 | Gcc, Inc.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
US9305272B2 (en) * | 2011-02-15 | 2016-04-05 | Bank Of America Corporation | Information management detailed task scheduler system |
AU2012313296A1 (en) * | 2011-09-19 | 2013-05-02 | Element Industrial Solutions Inc.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
WO2017122285A1 (ja) | 2016-01-13 | 2017-07-20 | 三菱電機株式会社 | 開発進捗管理装置及び開発進捗管理方法 |
US20190057354A1 (en) * | 2017-08-17 | 2019-02-21 | Mark E. McKenzie | Labor management system |
US20190138667A1 (en) * | 2017-11-08 | 2019-05-09 | Veerum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the digital verification of industrial construction execution |
US20220300889A1 (en) * | 2019-10-01 | 2022-09-22 | Jgc Corporation | Work management apparatus, work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JP7516851B2 (ja) | 2020-05-15 | 2024-07-17 | 株式会社大林組 | 工程管理支援システム、工程管理支援方法及び工程管理支援プログラム |
KR102411939B1 (ko) * | 2021-06-24 | 2022-06-22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및 방법 |
-
2021
- 2021-06-24 KR KR1020210082327A patent/KR1024119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8-24 WO PCT/IB2022/057916 patent/WO202226958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8-24 JP JP2023560770A patent/JP7555500B2/ja active Active
- 2022-08-24 US US18/286,884 patent/US20240193547A1/en active Pending
- 2022-08-24 CN CN202280028272.5A patent/CN117136372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71790A1 (en) * | 2004-01-30 | 2005-08-04 | Theodore Thomas Blackmon |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CN107256318A (zh) * | 2017-07-18 | 2017-10-17 | 中国电建集团河南工程公司 | 基于bim技术的锅炉小管道施工方法 |
WO2021064876A1 (ja) * | 2019-10-01 | 2021-04-08 | 日揮グローバル株式会社 | プロジェクト管理装置、プロジェクト管理方法、及び記録媒体 |
KR102222384B1 (ko) | 2019-10-25 | 2021-03-03 | 주식회사 리바워크스 | 건설 공사 현장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69584A1 (en) * | 2021-06-24 | 2022-12-29 | Samsung Engineering Co.,Ltd.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ject |
WO2024085350A1 (ko) * | 2022-10-20 | 2024-04-25 |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플랜트의 3d 모델링으로부터 웰드맵이 포함된 배관의 시공도면 생성방법 |
KR20240085005A (ko) | 2022-12-07 | 2024-06-14 | 현대건설(주) | 건설분야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KR20240086052A (ko) | 2022-12-09 | 2024-06-18 | 현대건설(주) | 시공 단계로부터 시운전 단계로의 전환이 용이한 건설분야 프로젝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269584A1 (en) | 2022-12-29 |
JP2024514788A (ja) | 2024-04-03 |
JP7555500B2 (ja) | 2024-09-24 |
US20240193547A1 (en) | 2024-06-13 |
CN117136372A (zh) | 2023-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1939B1 (ko) | 프로젝트통합관리장치 및 방법 | |
Kim et al. | Is the earned-value method an enemy of work flow | |
US7412295B2 (en) | Modeling manufacturing processes to include defined markers | |
JP2009140350A (ja) | サプライチェーン評価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Ghasemi Poor Sabet et al. | Interactions between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and off-site manufacturing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 |
WO2014167555A2 (en) | A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 controls | |
JP2011197975A (ja) | 天候を考慮した建設工事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 |
CN111738485B (zh) | 一种工程项目造价数据管理系统及方法 | |
CN111105204A (zh) | 一种施工项目进度上报、管理方法及信息处理装置 | |
CN114418369A (zh) | 一种基于bim模型的计量支付方法和系统 | |
CN117519023A (zh) | 一种长周期计划可行性评估方法、系统、设备及介质 | |
JP2973930B2 (ja) | 生産計画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 |
KR101171214B1 (ko) |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 |
KR20150108159A (ko) | 능동형 다차원 건설 공정 관리 방법 | |
JP2004139472A (ja) | 作業計画立案システム、作業計画立案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媒体 | |
CN115099638A (zh) | 一种应用于造纸生产的高级智能aps系统及其控制方法 | |
Chuensunk et al. | An Application of Value Stream Mapping to Improve a Purchase Order Process | |
KR20160081246A (ko) |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 | |
Ghodasara et al. | Applic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Facility Management: A Case Study of a Commercial Project | |
Jagtap et al. | Planning, Scheduling, Budgeting and Tracking of a Multi-Storey Building Using Primavera P6 | |
Kletti et al. | Application Concept–Horizontal and Vertical Integration | |
Tallgren et al. | A BIM-supported framework for enhancing joint planning in construction | |
US20240013113A1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establishment of optimal schedule for construction project | |
Aras et al. | Cost of poor quality in energy sector | |
KR20020085907A (ko) | 공정명세서를 이용한 현장 자동 주문판단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