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611A -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611A
KR20120082611A KR1020110003987A KR20110003987A KR20120082611A KR 20120082611 A KR20120082611 A KR 20120082611A KR 1020110003987 A KR1020110003987 A KR 1020110003987A KR 20110003987 A KR20110003987 A KR 20110003987A KR 20120082611 A KR20120082611 A KR 20120082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impeller
casing
powder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309B1 (ko
Inventor
권기현
김병삼
차환수
김종훈
김지영
김소희
김광욱
박종열
김영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청보리 주식회사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청보리 주식회사,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청보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3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3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4Frames rig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상기한 본 발명의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곡물 분쇄 장치의 서로 마주하며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는 2개의 임펠러에 의해 형성되는 대향 기류들에 의해 곡물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며 더욱더 미세한 입자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동 매체인 임펠러나 케이싱 등과 충돌하는 일이 거의 없어 마모 및 파손 없이도 경도가 높은 곡물 원료부터 낮은 곡물 원료까지 광범위한 분쇄 시료의 미분쇄가 가능하도록 하고, 곡물 분쇄 시의 발열이 적고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 시료의 변질이 적으며, 내부 청소나 임펠러 등의 분리, 교환 및 이물질 제거 등의 보수가 용이하며, 임펠러 자체가 입자를 분쇄하는 등의 공정행위를 하지 않는 점과 분급기가 필요하지 않는 점에서도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DEVICE FOR MILLING GRAIN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GRAIN FLOU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상세하게는 곡물을 분쇄하여 다양한 음식물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게 분말 소재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들어 식품에 있어서 조직학적 관점에서 가공하지 않은 원료식품의 조직은 시간에 따라 급격히 변하여 관능적 가치, 품질 가치, 부가가치 등을 저하시키므로 적합한 열처리, 냉동처리, 분쇄, 가공처리 등의 공정과정에서 조직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조직의 변화는 식품의 고유 구조와 조직을 없애고 가공식품으로서의 조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가공적성 향상, 약물전달 효율성, 병리적인 성분추출 등의 측면에서 가공대상물의 크기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신선편이 곡물 분말 소재화를 위해서는 기류분급방식, 습식초미세분쇄 방식 등의 신기술 공법적용이 절실히 요구되며, 이러한 가공공정기술개발을 통한 소재화로 경쟁력 있는 다양한 신선편이성 제품 개발과 동시에 산업화를 통한 분말화의 가치 향상이 필요하다.
이처럼, 곡물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적재적소에 필요한 곡물을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상기한 곡물의 분말 제조를 위한 곡물 분쇄 장치 및 곡물 분말 제조 장치가 선진국과 비교하여 60?70%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곡물을 분말화하여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입도, 색도, 수분, 전분손상도, 수분흡수지수(WAI), 수분용해지수(WSI), 호화도 등의 다양한 조건을 분석?검증하여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발 제조 장치의 기본설계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례로, 보리는 인류가 재배한 가장 오래된 작물의 하나로 기원전 7000년 내지 1만 년 전에 이미 야생종이 재배되었다고 하며, 기원전 3000년경부터는 아프리카 고대 왕조의 유적에서 육조종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원전 5~6세기 것으로 보이는 여섯 줄 보리의 일종인 껍질보리가 경기도 여주군에서 출토된 바 있어, 고대 중국을 거쳐 들어온 것으로 추정하며 일설에는 4~5세기경에 보리가 한국에서 일본을 전파되었다고 하는데 껍질보리에 비해 추위에 견디는 힘이 약한 쌀보리는 일본을 거쳐 들어온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리를 활용한 소재 및 제품으로는 프리믹서, 찰보리빵, 찰보리 떡 등이 출시되었으나, 소비자 및 시장에서 요구하고 접근할 수 있는 제품군이 형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청보리를 이용해 다양한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전 단계로 분말 소재화함으로써 향후 청보리 분말, 청보리 스낵, 청보리 빵, 청보리 떡, 청보리 죽, 청보리 술 등 식품으로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최근에는 일부 중소기업 제조업체에서 청보리를 산업화하여 유통판매하고 있으나, 주요 제조공정인 도정라인, 가공라인, 포장라인 등의 생산이 연동되지 않는 수동식 방법으로 생산되어 인건비 부담 및 고품질 생산이 어려운 실정이며, 비위생성, 안전성 등이 우려되고 있어 GAP 공정에 적합한 공정적용 및 시설계획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서 청보리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말 제조 장치의 경우 기류분급을 통한 초미세분쇄시스템으로 고가이며, 시간당 생산량이 600?700kg으로 생산량 대비 생산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포함한 직접비, 간접비 등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고, 그 외 핀밀, 마이크로 밀, 마이크로 젯밀, 공기 젯트밀, 디스크 밀 등 있으나 실제적으로 현장에 적용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원료 곡물에 따른 체계적인 제어 소프트웨어 즉, 투입량, 압력, 흡입량, 공기분급, 공기속도, 공기량 등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에서 공정이 이루어져야 저 비용 고품질의 분말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량, 생산효율, 고품질, 저 관리비용 등이 만족하는 곡류 분말 제조설비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청보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곡물들을 소재로 공급하기 위한 분말 제조 공정은 건식, 반습식, 습식 제분방법이 있으나 이를 별도로 구비하기에는 초기 투자비용과 운영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생산 공장 운영상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을 분쇄하여 다양한 음식물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게 분말 소재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물 분쇄 장치는, 내부에 곡물 분쇄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곡물 분쇄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곡물 투입구 및 분쇄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분쇄 공간 내부에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며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 임펠러 및 제2 임펠러; 상기 케이싱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임펠러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 임펠러를 고속 회전시키는 제1 구동 모터; 및 상기 케이싱의 타일측을 관통하며 상기 제2 임펠러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 임펠러를 상기 제1 임펠러와 역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는 제2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2 구동 모터는 속도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형 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의 곡물 분말 제조 장치는, 이송된 곡물을 피더를 통해 자동 공급하는 곡물 이송 공급기; 상기 곡물 이송 공급기를 통해 공급된 곡물을 분쇄하는 곡물 분쇄 장치; 상기 곡물 이송 공급기의 피더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곡물 분쇄 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곡물에 혼합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기; 상기 곡물 분쇄 장치로부터 분쇄된 분말 가루를 이송관을 통해 이송시키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블로워; 및 상기 이송관 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분리시켜 상기 분말 가루를 포집 호퍼를 통해 포집하도록 하는 회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곡물 분쇄 장치는 내부에 곡물 분쇄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곡물 분쇄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곡물 투입구 및 분쇄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분쇄 공간 내부에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며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 임펠러 및 제2 임펠러; 상기 케이싱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임펠러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 임펠러를 고속 회전시키는 제1 구동 모터; 및 상기 케이싱의 타일측을 관통하며 상기 제2 임펠러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 임펠러를 상기 제1 임펠러와 역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는 제2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더는 인버터 제어형 정량진동피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곡물 분쇄 장치와 상기 회수 필터 사이의 상기 이송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중인 분말 가루의 입도를 측정하는 입도 측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 필터에는 청소용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집 호퍼의 일측 벽면에는 에어 바이브레이터(Air-Vibrato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집 호퍼에는 기설정된 량의 상기 분말 가루의 포집시 회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에어 컨트롤 버터플라이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에 따르면, 곡물 분쇄 장치에서 서로 마주하며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는 2개의 임펠러에 의해 형성되는 대향 기류들에 의해 곡물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며 더욱더 미세한 입자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동 매체인 임펠러나 케이싱 등과 충돌하는 일이 거의 없어 마모 및 파손 없이도 경도가 높은 곡물 원료부터 낮은 곡물 원료까지 광범위한 분쇄 시료의 미분쇄가 가능하도록 하고, 곡물 분쇄 시의 발열이 적고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 시료의 변질이 적으며, 내부 청소나 임펠러 등의 분리, 교환 및 이물질 제거 등의 보수가 용이하며, 임펠러 자체가 입자를 분쇄하는 등의 공정행위를 하지 않는 점과 분급기가 필요하지 않는 점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분말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곡물 분쇄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 분말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곡물 분말 제조 장치(1)는 곡물 이송 공급기(10), 곡물 분쇄 장치(20), 집진기(30), 흡입 블로워(40), 회수 필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곡물 이송 공급기(10)는 공급 호퍼(11)로 이송 공급된 곡물 이하, 청보리를 피더(12)를 통해 후술하는 곡물 분쇄 장치(20)의 곡물 투입구(23)로 공급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곡물이 반드시 청보리로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쌀, 밀, 옥수수, 콩 등을 포함하여 분말 가류 형태로 활용 가능한 다양한 곡물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피더(12)는 곡물 분쇄 장치(20)의 분쇄 능력에 따라 공급되는 청보리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인버터 제어 가능한 정량진동피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물 분쇄 장치(20)는 상기한 곡물 이송 공급기(10)를 통해 공급된 청보리를 기설정된 입도 이하의 청보리 분말 가루로 분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곡물 분쇄 장치(20)는 사이클론 원리를 이용해 공기 등의 매체에 분산된 청보리 입자들의 충돌에 의해 충격, 마쇄, 전단 등을 일으켜 기설정된 입도 이하의 청보리 분말 가루로 분쇄하도록 하는 건식 기류 분쇄기의 일종이다.
도 2는 도 1의 곡물 분쇄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곡물 분쇄 장치(20)는 케이싱(21), 제1 임펠러(25), 제2 임펠러(26), 제1 구동 모터(27) 및 제2 구동 모터(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싱(21)은 내부에 곡물 분쇄 공간(22)을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곡물 분쇄 공간(22)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곡물 투입구(23) 및 분쇄물 배출구(24)가 형성된다.
제1 임펠러(25) 및 제2 임펠러(26)는 상기 케이싱(21)의 분쇄 공간(22) 내부에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며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제1 구동 모터(27)는 상기 케이싱(21)의 곡물 투입구(23)가 형성된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임펠러(25)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 임펠러(25)를 정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도록 한다.
제2 구동 모터(28)는 상기 케이싱(21)의 분쇄물 배출구(24)가 형성된 타일측을 관통하며 상기 제2 임펠러(26)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 임펠러(26)를 상기 제1 임펠러(25)의 역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도록 한다.
한편, 제1 구동 모터(27) 및 제2 구동 모터(28)는 제1 임펠러(25) 및 제2 임펠러(26)의 회전 속도 제어가 가능한 인버터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곡물 분쇄 장치(20)는 곡물 투입구(23)를 통해 분쇄 공간 내부(22)로 공급된 청보리가 제1 구동 모터(27) 및 제2 구동 모터(28)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는 제1 임펠러(25) 및 제2 임펠러(26)에 의해 발생하는 고속의 기류에 의해 청보리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며 충격, 마쇄, 전단 등을 통해 기설정된 입도 이하의 청보리 분말 가루로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제1 임펠러(25)와 제2 임펠러(26)에 의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고속의 기류들에 의해 청보리의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며 더욱더 미세한 입자로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한 곡물 분쇄 장치(20)는 공기 등의 매체 속에서 입자들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전단력을 적용하기 때문에 운동 매체인 임펠러(25, 26)나 케이싱(21) 등과 충돌하는 일이 거의 없고 이들 운동 매체의 마모를 매우 낮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곡물 분쇄 장치(20)는 경도가 높은 곡물 원료부터 낮은 곡물 원료까지 광범위한 분쇄 시료의 미분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곡물 분쇄 장치(20)는 자체 분급 능력을 지니고 있다. 즉, 분쇄물 배출구(24)와 이송관(55)을 통해 연결되는 흡입 블로워(40)의 흡입 능력, 임펠러(25, 26) 회전수, 케이싱(21)의 유격 등을 제어함으로써 분급기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원하는 입도를 구할 수 있어 초기 설치 비용이 적고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곡물 분쇄 장치(20)는 곡물 분쇄 시의 발열이 적고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 시료의 변질이 적다. 즉, 식품 관련분야에서는 맛과 영향을 손상시키지 않고 분쇄를 수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써 특히, 온도 및 진동이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상기한 곡물 분쇄 장치(20)는 분쇄시의 별도의 냉각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발열이 극히 적고 흡입 공기에 의한 냉각과 케이싱(21) 외곽을 냉각함으로써 쉽게 냉각 분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곡물 분쇄 장치(20)는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제1 임펠러(25), 제2 임펠러(26), 중간 분쇄부 세 부분을 쉽게 밀수가 있어 간단히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며 분쇄품 전환시 내부 청소나 상기한 제1 및 제2 임펠러(25, 26)의 분리, 교환, 이물질 제거 등의 보수가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곡물 분쇄 장치(20)는 에너지 효율이 높다. 즉, 상기한 제1 임펠러(25) 및 제2 임펠러(26)가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기류식 분쇄기이므로 다량의 공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압축 공기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젯트식 분쇄기와 크게 차이가 있으며, 여분의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제1 및 제2 임펠러(25, 26)의 기능은 대부분이 기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제1 및 제2 임펠러(25, 26) 자체가 입자를 분쇄하는 등의 공정행위를 하지 않는 점과 분급기가 필요하지 않는 점에서도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집진기(30)는 상기 곡물 이송 공급기(10)의 피더(12)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곡물 분쇄 장치(20)로 공급되는 상기 곡물에 혼합된 이물질들을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흡입 블로워(40)는 상기 곡물 분쇄 장치(20)로부터 분쇄된 분말 가루를 이송관(55)을 통해 이송시키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회수 필터(50)는 상기 이송관(55) 상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관(55)을 통해 청보리 분말 가루와 함께 이송된 공기를 분리시켜 상기 청보리 분말 가루를 포집 호퍼(80)를 통해 포집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곡물 분쇄 장치(20)에서 분쇄된 청보리 분말 가루는 흡입 블로워(40)의 흡입력에 의해 이송관(55)을 통해 공기와 함께 이송되는 과정에서, 회수 필터(50)를 통해 청보리 분말 가루와 공기를 분리시켜 공기를 배출시키고, 청보리 분말 가루는 하부 포집 호퍼(80)로 포집되도록 한다.
한편, 회수 필터(50)에는 청소용 솔레노이드 밸브(51)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청소용 솔레노이드 밸브(51)에 의해 자동으로 회수 필터(50)의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일정한 청보리 분말 가류의 포집 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곡물 분쇄 장치(20)와 상기 회수 필터(50) 사이의 상기 이송관(55) 상에는 입도 측정기(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입도 측정기(60)는 상기한 곡물 분쇄 장치(20)에서 분쇄되어 이송중인 청보리 분말 가루의 입도를 측정하여 청보리가 제어기(70)를 통해 기설정된 입도 이하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포집 호퍼(80)에는 에어 바이브레이터(82)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에어컨트롤 버터플라이 밸브(83)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에어 바이브레이터(82)는 포집 호퍼(80)에 진동을 주어 포집 호퍼(80) 벽면에 분말 가루가 쌓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에어컨트롤 버터플라이 밸브(83)는 포집 호퍼(80) 내부에 설정된 량의 청보리 분말 가루가 포집되면 이를 회수 용기(90)를 통해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곡물 분쇄 장치(20)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1)는 서로 마주하며 설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는 2개의 임펠러(25, 26)에 의해 형성되는 대향 기류들에 의해 곡물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며 더욱더 미세한 입자로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동 매체인 임펠러(25, 26)나 케이싱(21) 등과 충돌하는 일이 거의 없어 마모 및 파손 없이도 경도가 높은 곡물 원료부터 낮은 곡물 원료까지 광범위한 분쇄 곡물 시료의 미분쇄가 가능하도록 하고, 곡물 분쇄시의 발열이 적고 분쇄하고자 하는 곡물 시료의 변질이 적으며, 내부 청소나 임펠러(25, 26) 등의 분리, 교환 및 이물질 제거 등의 보수가 용이하며, 임펠러(25, 26) 자체가 입자를 분쇄하는 등의 공정행위를 하지 않는 점과 분급기가 필요하지 않는 점에서도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곡물 분말 제조 장치 10: 이송 공급기
20: 곡물 분쇄 장치 21: 케이싱
22: 분쇄 공간 23: 곡물 투입구
24: 분쇄물 배출구 25: 제1 임펠러
26: 제2 임펠러 27: 제1 구동 모터
28: 제2 구동 모터 30: 집진기
40: 흡입 블로워 50: 회수 필터
51: 청소용 솔레노이드 밸브 55: 이송관
60: 입도 측정기 70: 제어기
80: 포집 호퍼 81: 에어 바이브레이터
82: 에어컨트롤 버터플라이 밸브 90: 회수 용기

Claims (3)

  1. 내부에 곡물 분쇄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곡물 분쇄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곡물 투입구 및 분쇄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분쇄 공간 내부에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며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 임펠러 및 제2 임펠러;
    상기 케이싱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임펠러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 임펠러를 고속 회전시키는 제1 구동 모터; 및
    상기 케이싱의 타일측을 관통하며 상기 제2 임펠러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 임펠러를 상기 제1 임펠러와 역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는 제2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곡물 분쇄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2 구동 모터는 속도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형 모터인 것을 포함하는 곡물 분쇄 장치.
  3. 이송된 곡물을 피더를 통해 자동 공급하는 곡물 이송 공급기;
    상기 곡물 이송 공급기를 통해 공급된 곡물을 분쇄하는 곡물 분쇄 장치;
    상기 곡물 이송 공급기의 피더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곡물 분쇄 장치로 공급되는 상기 곡물에 혼합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집진기;
    상기 곡물 분쇄 장치로부터 분쇄된 분말 가루를 이송관을 통해 이송시키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블로워; 및
    상기 이송관 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분리시켜 상기 분말 가루를 포집 호퍼를 통해 포집하도록 하는 회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곡물 분쇄 장치는,
    내부에 곡물 분쇄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곡물 분쇄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곡물 투입구 및 분쇄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분쇄 공간 내부에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쌍을 이루며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 임펠러 및 제2 임펠러;
    상기 케이싱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임펠러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 임펠러를 고속 회전시키는 제1 구동 모터; 및
    상기 케이싱의 타일측을 관통하며 상기 제2 임펠러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2 임펠러를 상기 제1 임펠러와 역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는 제2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곡물 분말 제조 장치.
KR1020110003987A 2011-01-14 2011-01-14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 KR101247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987A KR101247309B1 (ko) 2011-01-14 2011-01-14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987A KR101247309B1 (ko) 2011-01-14 2011-01-14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611A true KR20120082611A (ko) 2012-07-24
KR101247309B1 KR101247309B1 (ko) 2013-03-25

Family

ID=4671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987A KR101247309B1 (ko) 2011-01-14 2011-01-14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3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273A (ko) * 2013-10-24 2015-05-04 한국식품연구원 다용도 분쇄기
WO2016204308A1 (ko) * 2015-06-15 2016-12-22 유미원 주식회사 기류식 분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225B1 (ko) * 2013-12-16 2015-10-14 유미원 주식회사 기류식 분쇄장치
CN103908987A (zh) * 2014-04-01 2014-07-09 安庆市灵宝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研磨型破碎机
CN107486316A (zh) * 2016-11-15 2017-12-19 梁君毅 立式自清理悬浮高速破碎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6771B1 (en) 1998-08-25 2001-09-11 Charles Kepler Brown, Jr. Two-stage micronizer for reducing oversize particles
JP2001321684A (ja) * 2000-05-18 2001-11-20 Michiro Nonaka 機械気流式粉砕機およびその粉砕機を用いた固体原料の機械気流式粉砕方法
JP3762257B2 (ja) 2001-06-27 2006-04-05 日機装株式会社 粉体、粒状体等の原料粉砕方法
JP2006255563A (ja) * 2005-03-16 2006-09-28 Toho Gas Co Ltd 粉砕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273A (ko) * 2013-10-24 2015-05-04 한국식품연구원 다용도 분쇄기
WO2016204308A1 (ko) * 2015-06-15 2016-12-22 유미원 주식회사 기류식 분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309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67046B (zh) 碳纤维粉碎设备
KR101247309B1 (ko) 곡물 분쇄 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곡물 분말 제조 장치
KR101019715B1 (ko) 미립자 분쇄기
CN204544295U (zh) 一种超微粉碎机
CN106955774A (zh) 一种采用气流冲击方式进行分料的超微粉碎机
CN102513199A (zh) 一种微粉碎系统及其粉碎方法
CN105170252A (zh) 一种带有减震装置的饲料粉碎机
CN103028473A (zh) 粒度均匀的微粉制备系统
CN106733079B (zh) 大豆超微粉碎机
JP4452046B2 (ja) ミル
CN203304057U (zh) 双重除尘的粉碎生产线
CN208688108U (zh) 一种稀土用旋转闪蒸干燥机
CN207254411U (zh) 一种风冷式谷物脱壳研磨机
CN208390205U (zh) 一种家用谷物粉碎离心筛选研磨设备
CN109622161A (zh) 新型模块化湿法粗粉碎设备
CN103611611B (zh) 一种高糖类物料粉碎装置
JP5319131B2 (ja) 微粉末製造装置
JP6317392B2 (ja) 米粉製造装置
CN103028474A (zh) 微粉制备装置
CN2928235Y (zh) 石磨磨面机
CN106944231A (zh) 一种高效精细化的药材粉碎机
WO2003047758A1 (fr) Procede et equipement de broyage mettant en oeuvre un cyclone
CN110052307A (zh) 一种小麦粉碎研磨装置
CN206435314U (zh) 一种高效磨粉机
CN202336372U (zh) 粒度均匀的微粉制备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