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446A -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 Google Patents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446A
KR20120081446A KR1020110002789A KR20110002789A KR20120081446A KR 20120081446 A KR20120081446 A KR 20120081446A KR 1020110002789 A KR1020110002789 A KR 1020110002789A KR 20110002789 A KR20110002789 A KR 20110002789A KR 20120081446 A KR20120081446 A KR 20120081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pth
artificial island
island structure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3624B1 (ko
Inventor
이용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녹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녹지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녹지원
Priority to KR1020110002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62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otan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에 부유하도록, 파이프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100); 프레임(100)에서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중량물 주입관(101); 프레임(10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토사받침부(200); 토사받침부(200)의 상부에 포설된 토사(201);를 포함하고, 중량물 주입관(101)에 대한 중량물의 인입 또는 인출에 의해, 프레임(100)이 부유하는 수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용존산소량을 감소시키지 않아 수면 부근의 플랑크톤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고, 수변형 식물의 줄기 하단 일부를 수중에 잠길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서식환경을 제공하며, 동절기 수변형 식물의 잎, 줄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부영양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FLOATING ARTIFICIAL ISLAND STRUCTURE}
본 발명은 환경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공섬에 관한 것이다.
하천, 호수 등에서 수생식물에 대한 서식환경(습지)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천, 호수 등의 수면에 부유하도록 설치하는 구조물을 인공섬이라 한다.
이는 수생식물의 서식처가 됨과 아울러, 수생동물에 대한 산란장을 제공함으로써, 생태환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인공섬 구조물은 수면 위에 부유하도록(토사가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첫째, 인공섬의 하부에는 햇빛이 들지 않게 되므로, 수중의 용존산소량이 감소하는바, 수면 부근의 플랑크톤의 생장을 방해한다.
둘째, 수변형 식물(갈대, 부들, 꽃창포, 부처꽃)은 줄기 하단의 일부가 수중에 잠겨야 제대로 생장할 수 있고, 수생동물의 산란장소는 이러한 줄기 하단에 형성되는데, 종래의 인공섬 구조에 의해서는 이와 같은 서식환경을 제대로 제공할 수 없다.
셋째, 수변형 식물은 가을, 겨울에 잎, 줄기가 고사하는데, 이들이 제거되지 못하고 퇴비화됨에 따라, 수중에 유기양분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부영양화를 촉진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용존산소량을 감소시키지 않아 수면 부근의 플랑크톤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고, 수변형 식물의 줄기 하단 일부를 수중에 잠길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서식환경을 제공하며, 동절기 수변형 식물의 잎, 줄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부영양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물에 부유하도록, 파이프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에서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중량물 주입관(101); 상기 프레임(10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토사받침부(200); 상기 토사받침부(200)의 상부에 포설된 토사(201);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물 주입관(101)에 대한 중량물의 인입 또는 인출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이 부유하는 수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프레임(100)은 외곽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외곽 프레임(110); 상기 외곽 프레임(110)의 내부를 보강하도록 형성된 내부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물 주입관(101)은 상기 외곽 프레임(110)에서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물 주입관(101)은 상기 외곽 프레임(110)에 방사대칭구조로 복수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사받침부(200)는 상기 프레임(10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그물부재(210); 상기 그물부재(21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토사수용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사수용부재(220)는 토사(201)의 하측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분의 관통을 허용하는 천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의 주입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을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된 부상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상부재(300)는 공기주입구(301)가 형성된 밀폐형 튜브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상부재(300)를 덮어 보호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된 보호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부재(400)는 내부에 상기 부상부재(300)의 수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상기 공기주입구(301)와 연결되는 공기주입관(411)이 형성된 관 구조의 본체부(410); 상기 본체부(410)의 전후방에 형성된 전후방 밀폐부(420); 상기 본체부(410)의 하측에 형성된 개방부(4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후방 밀폐부(420)는 각각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부재(4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용존산소량을 감소시키지 않아 수면 부근의 플랑크톤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고, 수변형 식물의 줄기 하단 일부를 수중에 잠길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서식환경을 제공하며, 동절기 수변형 식물의 잎, 줄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부영양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4는 제1 실시예의 제작과정의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제3 실시예의 측면도.
도 9는 제3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공섬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물에 부유하도록, 파이프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100); 프레임(100)에서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중량물 주입관(101); 프레임(10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토사받침부(200); 토사받침부(200)의 상부에 포설된 토사(2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속빈 관 구조의 파이프에 의해 프레임(100)을 형성하고, 이에 대하여 토사받침부(200)를 설치하여 인공섬을 구성하며, 프레임(100)에 형성된 중량물 주입관(101)을 통한 중량물(물 등)의 인입 또는 인출에 의해, 프레임(100)이 부유(浮遊)하는 수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파이프는 기본적으로 합성수지(PVC, PP, FRP), 강재 등의 속빈 관 구조를 취함으로써, 물에 부유하는 재질 및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인공섬 구조물은 종래와 같이 수면 위에 부유하도록(토사가 수면 위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취하지 않고, 수면 하부의 일정 수심에서 부유하도록(토사가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도록 한다.
첫째, 인공섬의 상부 수면 부근에 햇빛이 들게 되므로, 수중의 용존산소량이 감소하지 않는바, 수면 부근의 플랑크톤의 생장을 방해하지 않는다.
둘째, 수변형 식물(갈대, 부들, 꽃창포, 부처꽃)의 줄기 하단의 일부가 수중에 잠기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수변형 식물의 서식환경 및 수생동물의 산란장소(수변형 식물의 줄기 하단)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다양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외곽(사각형 등)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외곽 프레임(110); 외곽 프레임(110)의 내부를 보강하도록 형성된 내부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및 설치의 편의성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도 1).
내부 프레임(120)의 상부는 토사 및 식물에 의해 덮이게 되므로, 중량물 주입관(101)은 외곽 프레임(110)에서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중량물 주입관(101)은 프레임(100)에 대하여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외곽 프레임(110)에 방사대칭구조로 복수가 설치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중량물 주입 시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도 1).
토사받침부(200)는 프레임(10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토사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프레임(10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그물부재(210); 그물부재(21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토사수용부재(220);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및 설치의 편의성 측면에서 효율적이다(도 2 내지 5).
여기서, 그물부재(210)는 철망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물부재(210)의 가장자리는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소정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인접하여 설치되는 인공섬 구조물의 그물부재와 연결하여 전체 구조물을 결합하는 역할, 그 연결부를 통해 사람, 장비가 통행하도록 하는 역할 등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사수용부재(220)는 토사(201)의 하측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분의 관통을 허용하는 천 재질(부직포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3).
한편, 종래의 인공섬 구조물의 경우, 가을, 겨울에 고사한 수변형 식물의 잎, 줄기가 제거되지 못하고 퇴비화됨에 따라, 수중에 유기양분이 과다하게 발생하여 부영양화를 촉진한다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위 잎, 줄기의 제거작업을 위하여 인공섬 구조물을 부상(浮上)시킬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즉, 공기의 주입에 의해 프레임(100)을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00)에 부상부재(300)가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도 6 내지 9).
구체적으로 이러한 부상부재(300)는 공기주입구(301)가 형성된 밀폐형 튜브 구조로서 프레임(100)에 설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평소에는 공기를 주입하지 않아 프레임(100)이 일정 수심 하에 부유한 상태로 두고, 잎, 줄기의 제거작업 시에는 공기주입구(301)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밀폐형 튜브가 부풀도록 함으로써 프레임(100)이 부상하도록 하여 위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튜브 구조의 부상부재(300)는 장기간 수중에 부유함에 따라 파손의 우려가 있으므로, 프레임(100)의 하부에 별도의 보호부재(400)를 설치하고, 이 보호부재(400)에 의해 부상부재(300)가 덮여 보호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내지 9).
이러한 보호부재(400)는, 내부에 부상부재(300)의 수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공기주입구(301)와 연결되는 공기주입관(411)이 형성된 관 구조의 본체부(410); 본체부(410)의 전후방에 형성된 전후방 밀폐부(420); 본체부(410)의 하측에 형성된 개방부(430);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는 전후방 밀폐부(420)에 의해 전후방이 밀폐되므로, 보호부재(40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한 구동이 편리함과 아울러, 하측에 개방부(430)가 형성되므로 공기의 주입에 의한 부상부재(300)의 팽창구동 시 보호부재(400) 내부의 물이 개방부(430)를 통해 유출되도록 하여 부상부재(300)의 팽창구동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도 8,9).
나아가, 전후방 밀폐부(420)가 각각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함선의 형상을 취하게 되므로, 인공섬 구조물을 수상에서 원하는 위치에 이송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이러한 보호부재(400)는 프레임(100)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위 이송작업의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101 : 중량물 주입관
110 : 외곽 프레임 120 : 내부 프레임
200 : 토사받침부 201 : 토사
210 : 그물부재 220 : 토사수용부재
300 : 부상부재 301 : 공기주입구
400 : 보호부재 410 : 본체부
411 : 공기주입관 420 : 밀폐부
430 : 개방부

Claims (12)

  1. 물에 부유하도록, 파이프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에서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중량물 주입관(101);
    상기 프레임(10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토사받침부(200);
    상기 토사받침부(200)의 상부에 포설된 토사(201);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물 주입관(101)에 대한 중량물의 인입 또는 인출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이 부유하는 수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외곽을 형성하도록 형성된 외곽 프레임(110);
    상기 외곽 프레임(110)의 내부를 보강하도록 형성된 내부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주입관(101)은
    상기 외곽 프레임(110)에서 상측으로 연장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주입관(101)은
    상기 외곽 프레임(110)에 방사대칭구조로 복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받침부(200)는
    상기 프레임(10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그물부재(210);
    상기 그물부재(210)에 의해 상측으로 지지되도록 설치된 토사수용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수용부재(220)는
    토사(201)의 하측 이탈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분의 관통을 허용하는 천 재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의 주입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을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된 부상부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300)는
    공기주입구(301)가 형성된 밀폐형 튜브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300)를 덮어 보호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된 보호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400)는
    내부에 상기 부상부재(300)의 수납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상기 공기주입구(301)와 연결되는 공기주입관(411)이 형성된 관 구조의 본체부(410);
    상기 본체부(410)의 전후방에 형성된 전후방 밀폐부(420);
    상기 본체부(410)의 하측에 형성된 개방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밀폐부(420)는 각각 내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400)는 상기 프레임(100)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KR1020110002789A 2011-01-11 2011-01-11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KR101273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789A KR101273624B1 (ko) 2011-01-11 2011-01-11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789A KR101273624B1 (ko) 2011-01-11 2011-01-11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446A true KR20120081446A (ko) 2012-07-19
KR101273624B1 KR101273624B1 (ko) 2013-07-09

Family

ID=4671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789A KR101273624B1 (ko) 2011-01-11 2011-01-11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5001A (zh) * 2021-06-03 2021-07-30 吉林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农业微生物滤床
EP3331351B1 (en) * 2015-08-07 2023-11-29 Biomatrix Water Solutions Limited Floating eco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0572B2 (en) 2017-11-30 2022-11-08 Chris Walker Modular float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3769B2 (ja) * 2002-10-16 2009-09-02 株式会社フジタ 水生植物用の人工浮島、および人工浮島における水生植物の植生管理方法
KR100761876B1 (ko) * 2007-03-27 2007-09-28 (주)에코원 인공섬의 기능형 관찰 부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1351B1 (en) * 2015-08-07 2023-11-29 Biomatrix Water Solutions Limited Floating ecosystem
CN113185001A (zh) * 2021-06-03 2021-07-30 吉林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农业微生物滤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624B1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29890B (zh) 漂浮式海藻礁
KR100714673B1 (ko) 다기능성 생태복원 인공섬
KR101130237B1 (ko)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JP5345375B2 (ja) 沈水植物の再生方法、それに使用する沈水植物の栽培方法、植物再生基盤、浮島
CN103787507B (zh) 多功能立体式生态浮岛
KR101459622B1 (ko) 식생용 포트와 이 포트를 이용한 수생식물 재배방법
CN214508517U (zh) 一种提高树木移植成活率的植穴结构
KR101641180B1 (ko) 외해중층 전복양식장치
KR100990954B1 (ko)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KR101652102B1 (ko) 담수어족자원의 자연증가 및 보호용 부류식 뗏목형 인공산란장
KR101273624B1 (ko) 수심조절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KR20170012193A (ko) 김 양식용 자체 건조 장치, 양식 장치 및 조차 자체 건조 방법
JP2007135429A (ja) 水中植生工法及び水中植生施設
CN105993325A (zh) 一种应用于珊瑚碎屑底质中的海草移植装置以及海草的移植方法
KR101231655B1 (ko) 복합형 어초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생 동식물 보호용 구조물
CN101830563B (zh) 一种抗风浪生态浮床
KR101657131B1 (ko) 녹조예방을 위한 녹지확장형 수면녹화 장치
CN111771631B (zh) 一种消落带水土保持系统及方法
KR101742191B1 (ko) 인공 생태섬
KR200484611Y1 (ko) 전복양식용 가두리
JP5967487B2 (ja) 貝類の育成装置
KR101397501B1 (ko) 부상이 가능한 인공섬 구조물
KR20140056687A (ko) 해삼 양식용 인공어초
KR102262159B1 (ko) 그물 구조물
KR20120067497A (ko) 식생 호안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