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763A - 골프 퍼터 - Google Patents

골프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763A
KR20120080763A KR1020110002165A KR20110002165A KR20120080763A KR 20120080763 A KR20120080763 A KR 20120080763A KR 1020110002165 A KR1020110002165 A KR 1020110002165A KR 20110002165 A KR20110002165 A KR 20110002165A KR 20120080763 A KR20120080763 A KR 20120080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ripping portion
angle
putter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김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수 filed Critical 김민수
Priority to KR1020110002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0763A/ko
Publication of KR20120080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63B53/02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0Handles with two 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2Adjustable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2Adjustable handles
    • A63B60/26Adjustable handles with adjustable stiff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럽헤드(100)가 샤프트(200)의 일단에 결합고정되고, 샤프트의 타단에는 파지부(300, 400)가 결합된 골프 퍼터로서, 파지부는 샤프트 단부에 일단이 연결된 제1파지부(300)와 제1파지의 타단과 결합된제2파지부(400)를 포함하고, 제1파지부(300)는 샤프트에 대하여 라이각(b)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2파지부(400)는 샤프트에 대하여 라이각(b)이 크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제1파지부의 타단에 결합되어서, 퍼칭 스트로크 시에, 제1파지부가 스윙의 중심에 대하여 원 궤적으로 공전할 때에도 제2파지부가 제1파지부의 자전을 제어하여, 결국 클럽헤드가 제1파지부의 공전에 의한 볼록한 궤적과 제1파지부 축의 자전으로 인한 오목한 궤적이 서로 상쇄되어 직선적인 궤적이 만들어 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 퍼터{golf putter}
본 발명은 골프 퍼터에 관한 것으로, 퍼팅 동작이 원활하고 퍼팅 스트로크가 직선을 유지하기 용이하도록 한 골프 퍼터에 관한 것이다.
골프 퍼터는 그린의 홀컵에 골프공을 넣을 때 주로 사용하는 골프클럽으로서, 그린의 요철 형상 및 타격 된 볼의 스핀을 고려하여 퍼팅라인을 설정하고 최초 퍼팅라인으로 적당한 힘으로 정확하게 타격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골프 퍼터는 골프공을 직접 타격하는 헤드에 샤프트를 결합하고 샤프트 단부에 손잡이(파지부, 또는 그립)를 마련한 것이다. 골프 경기자는 퍼터의 손잡이를 잡고 헤드의 클럽페이스를 퍼팅라인과 직각으로 맞춘 다음 홀컵까지의 거리와 경사도 등을 고려하여 퍼팅한다.
퍼팅 시 목표 방향으로 공을 굴려보내기 위하여 공 타격 시 헤드의 이동이 목표방향과 일치하는 직선으로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하여는 퍼터 헤드가 백스윙과 포워드스윙으로 인한 이동 궤적이 직선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목표방향으로 공을 정확하게 굴려 보내기 위한 퍼팅은 어렵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퍼터들이 고안되어 제품화되고 있다.
퍼팅을 잘하도록 하려는 퍼터의 개발은 주로 헤드의 형태와 샤프트와 헤드의 결합관계 및 스트로크 직선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점을 개선포인트로 하여 개발하여 왔다.
그러나 스트로크 시 사용자의 몸을 중심으로 하여 골프 퍼터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안정된 진자운동을 하기가 어렵고, 타격 시 헤드 타격 면이 흐트러져 퍼팅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아직도 완벽하게 해결되지 못하고 있으며, 해결과제로 남아 있다.
종래의 퍼터들이 많이 공개되어 있다. 등록번호 10-0794619로 공개된 퍼터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골프 퍼터(A)의 샤프트 상단에 손잡이부가 결합되어, 손잡이부는 샤프트의 상부 끝단과 결합하는 샤프트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결합부재의 상부에 수평방향의 간격유지부재가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수평방향 양측 끝단으로 그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퍼터가 공개되어 있다.
또 2005년09월30일 공고된 특허등록 제10-0517800호에는 퍼팅 그린 위의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와, 이 헤드의 상부에 결합되며, 외주 면에는 다수의 간격유지홈이 파여진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고, 상부에는 내부에 작동실을 갖는 결합축이 구비된 브라케트와, 상기 작동실에 수납된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에 일단이 탄력 지지된 상태로 타단은 간격유지홈에 삽입된 스토퍼부재와, 상기 결합축에 하단부가 끼움 고정되며, 내부에는 인서트홀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결합된 그립으로 구성되는 골프용 퍼터가 공개된 바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스윙 회전축이 있는 골프 퍼터가 특허공개번호 10-2006-0018574로 공개되어 있다. 이 것은 그립과 샤프트 및 헤드가 구비된 퍼터(P)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축공을 구비하는 회동구; 상기 회동구의 상부에 끼워지는 포크형상의 연결부를 구비하여 이 연결부의 양측으로 축공과 나사공이 형성된 손잡이; 상기 나사공에 나사 조립되어 축공을 구비하는 캡; 상기 축공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고정되어 회동구의 작동을 단속하는 조절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퍼팅 시 원활하고 일관되게 스윙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퍼팅 시 골프공의 방향과 거리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보낼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 출원인의 등록된 특허출원 10-2007-0105678호에는 "벤딩 그립을 가진 골프클럽"이 공개되어 있는데, 이것은 샤프트가 클럽 헤드에 부착된 직선부분과 임의의 각도로 구부러진 벤딩그립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발명은 샤프트의 직선부분과, 라이각과 페이스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프리백각도만큼 구부러지도록 결합된 벤딩그립을 정의하고 있고, 프리백각도는 라이각과 페이스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클럽샤프트의 축에 대하여 5 내지 40도 범위 내에서 절곡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 특허 제 10-0986574호에는 "골프퍼터"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 퍼터는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클럽헤드(10)가 샤프트(20)의 일단에 결합고정되고, 샤프트의 타단에는 파지부(30)가 결합되는데, 샤프트와 파지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50)를 추가로 포함하고, 결합부는 파지부의 중심축이 샤프트에 대하여 라이각(b)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파지부와 샤프트를 결합하고, 샤프트와 파지부축이 이루는 파지각도(
Figure pat00001
)가 예각이 되도록 결합시키셔 파지부를 샤프트에 대하여 고정시키며, 스트로크 시에, 파지부가 스윙의 중심에 대하여 원 궤적으로 공전하도록 스윙하고, 클럽헤드가 파지부축에 대하여 자전하도록 하여, 클럽헤드가 파지부의 공전에 의하여 오목한 궤적으로 움직이고 파지부축의 자전에 의하여 볼록한 궤적으로 움직이게 하여, 결국 오목과 볼록의 궤적이 서로 상쇄되어 직선적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 퍼터는 클럽헤드와 샤프트 및 파지부를 가진 골프 퍼터에 있어서, 샤프트와 파지부는 결합부에 의하여 결합되고, 결합부는 파지부가 샤프트에 대하여 이루는 파지각도가 라이각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파지부와 샤프트를 결합한 것이다.
골프퍼터에 관한 많은 종래 기술들과 다양한 퍼터가 있지들이 있지만 아직도 그린에서의 퍼팅은 아마추어들뿐만아리가 프로골퍼들에게도 어렵고 직선스트로크를 잘할 수 있는 퍼터를 갈망하고 있다.
본 발명은 파지부를 몸쪽 수평방향으로 꾸부려서 편하게 잡을 수 있게 함으로써 퍼팅 동작에서 스트로크를 유연하고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퍼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 퍼팅 스트로크를 위에서 볼때 직선적인 궤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골프 퍼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샤프트를 중간에서 몸쪽으로 임의의 각도로 구부려서 파지부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스크로크를 할 때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여 헤드가 이동하는 볼록한 원호궤적의 운동과, 파지부 축을 회전시켜서 진자운동의 오목한 원호궤적의 운동을 합하여 볼록과 오목의 궤적이 서로 상쇄됨으로써 직선운동이 만들어지도록 할 때 파지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제어하는 퍼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퍼터의 파지부를 제1파지부와 제1파지의 타단과 결합된제2파지부로 구분하고, 제1파지부는 샤프트에 대하여 라이각(b)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하고, 제2파지부는 샤프트에 대하여 라이각(b)이 크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제1파지부의 타단에 결합한 골프퍼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퍼팅 스트로크 시에, 제1파지부가 스윙의 중심에 대하여 원 궤적으로 공전할 때에도 제2파지부가 제1파지부의 자전을 제어하여, 결국 클럽헤드가 제1파지부의 공전에 의한 볼록한 궤적과 제1파지부의 자전으로 인한 오목한 궤적이 서로 상쇄되어 직선적인 궤적이 만들어 지도록 한 퍼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 퍼터의 파지부가 제1파지부(31)와 제1파지의 타단과 결합된제2파지부를 포함하고, 제1파지부는 샤프트에 대하여 라이각(b)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된 것이고, 제2파지부는 샤프트에 대하여 라이각(b)이 크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제1파지부의 타단에 결합된 골프퍼터를 제공한다.
그래서 퍼팅 스트로크 시에, 제1파지부가 스윙의 중심에 대하여 원 궤적으로 공전할 때에도 제2파지부가 제1파지부의 자전을 제어하여, 결국 클럽헤드가 제1파지부의 공전에 의한 볼록한 궤적과 제1파지부의 자전으로 인한 오목한 궤적이 서로 상쇄되어 직선적인 궤적이 만들어 지도록 한 퍼터를 제공한다.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의 길이의 합은 체형순응스트로크를 할 수 있도록 대략 50cm 이내가 되로고 하는 것이 좋다.
샤프트와 제1파지부의 결합과,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의 결합은 그 각각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하거나 일정한 각도가 되도록 고정하여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결합부재에 절곡 각도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샤프트에 대한 제1파지부의 절곡 각도는 3도 내지 20도 범위 내로 하고, 제1파지부에 대한 제2파지부의 절곡각도는 5도 내지 180도 범위 내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퍼터는 파지부를 샤프트에서 몸쪽으로 구부려서 퍼팅 동작에서 몸에서 어깨에서 손목까지의 움직임이 편하고 안정되게 한다.
본 발명 퍼터는 사용자가 스크로크를 할 때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여 헤드가 이동하는 볼록한 원호궤적의 운동과, 파지부 축을 회전시켜서 진자운동의 오목한 원호궤적의 운동이 서로 합하여 지면서 볼록과 오목의 궤적이 서로 상쇄됨으로써 직선스트로크가 만들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크로크를 할 때, 파지부의 회전(자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음으로 퍼터를 볼록한 원호궤적의 운동과, 파지부 축을 회전시켜서 오목한 궤적의 운동을 합하여 볼록과 오목의 궤적이 서로 상쇄되게 함으로써 직선운동으로 만들기가 쉽다.
본 발명 퍼터는 퍼팅의 중요한 요소들 중 그립, 손, 손목, 팔, 팔꿈치, 어깨 나아가 상반신까지 편안하게 하고, 이에 따라 마인드, 필, 느낌까지 안정시켜 담대한마음을 가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기존의 퍼터는 퍼터를 세워서 어드레스해야 하기 때문에 손목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그립을 잡아야 하며, 손과 손목뿐 아니라 어깨, 상반신까지 경직된 부자연스러운 자세가 되어 긴장감과 심적 부담감으로 인하여 직선적으로 스트로크 하기가 힘들고, 많은 아마추어 골퍼들이 원호 궤적을 만드는 스트린도어 스트로크를 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퍼터는 손의 위치, 손목 위치, 팔과 팔꿈치의 위치, 어깨의 위치를 본인이 원하는 각도만큼 그립에서 구부려 사용할 수 있으며, 퍼팅시 사용자의 팔과 어깨 및 손이 안정된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균형된 시계추 스트로크가 가능하도록 하여 직선성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마추어 골퍼들이 퍼팅시 손목의 불필요한 회전으로 임팩트 순간에 퍼터 클럽 페이스가 오픈, 클로즈가 되며, 몸에 특히 상반신에 힘이 많이 들어가서 몸을 비틀고 상체를 퍼팅시 뒤로 빼고 불안정한 퍼팅을 하고, 팔에 힘이 들어가서 시계추형 스트로크를 할 수 없고, 파워컨트롤을 할 수 없게 되는 어려움을 저감 시킬 수 있다.
본 발명 퍼터는 퍼터를 잡는 순간 바른, 경직되지않은, 본인에 맞는, 가장 시계추형 스트로크를 할 수 있는 몸 자세를 갖출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이에 따라 스쾌어 페이스 앵글과 스윗트스팟에 보다 높은 확률로 스트로크를 할 수 있어서, 골프게임에서 43%의 비중으로 중요한 퍼팅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새로운 골프 퍼터의 패러다임을 개척하여 나갈 것이다.
퍼터의 헤드가 눈 밑으로 놓을 수 있어서 퍼팅 라인에 맞춘 직선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스크로크의 힘 조절이 용이하고, 헤드의 궤적을 직선으로 만들기가 쉬워 진다.
도 1은 종래의 골프퍼터 중 하나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된 골프퍼터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프퍼터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및 4는 도 5의 골프퍼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하였을 때 측면에서 본 퍼터의 궤적을 보인 다이아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파지부의 회전을 설명하기 이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퍼터 동작시 그 궤적을 보인 다이아그램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퍼터를 보인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 퍼터는 클럽헤드(100)가 샤프트(200)의 일단에 결합고정되고, 샤프트의 타단에는 파지부(300, 400)가 결합된 것이다.
파지부는 클럽헤드(100)와 연결된 샤프트(200)의 단부에 일단이 연결된 제1파지부(300)와 제1파지의 타단과 결합된 제2파지부(400)를 포함하고, 제1파지부(300)는 샤프트에 대하여 라이각(a)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절곡각도(b)가 되도록 샤프트의 단부에 절곡되어 결합된 것이고, 제2파지부(400)는 샤프트에 대하여 라이각(b)이 크지는 방향으로 절곡각도(c)가 되도록 제1파지부의 타단에 절곡되어 결합된 것이다.
제1파지부(300)와 제2파지부(400)의 길이의 합은 체형순응스트로크를 할 수 있도록 대략 50cm 이내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와 제1파지부의 결합각도 및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의 결합각도는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사용한다. 또는 파이프를 구부리거나 두개의 파이프를 용접하거나 하여 소정의 각도로 고정식으로 일체로 결합시켜도 된다. 결합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곡 각도를 알리는 표시부를 가지게 하는 바람직하다.
도 3에서, 퍼터의 라이각은 a로 표시하고, 제1파지부가 샤프트와 절곡되어 이루는 제1파지절곡각도는 b로 표시하고, 제1파지부와 제2파지가 만드는 제2파지절곡각도는 c로 표시되어 있다. 또 샤프터(200)과 제1파지부(300)과의 절곡점은 A로 표시하고 제1파지부의 파지점을 B로, 제2파지부의 파지점을 D로 표시하였다. 샤프트에 대한 제1파지부의 절곡각도는 3도 내지 20도 범위 내로 하고, 제1파지부에 대한 제2파지부의 절곡각도는 5도 내지 180도 범위 내에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제2파지절곡각도을 60도 이상되게 할 경우에는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를 예각으로 절곡하는 것이 아니고 절곡되는 부분을 원형으로 둥글게 구부리는 것이 좋다. 그래서 예로서 제2파지절곡각도이 180도 이면 제2파지부가 제1파지부와 평행하게 아래 위에 위치하게 되는데,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가 일정한 간격 이상 이격되게 하므로 파지하는데 지장이 없게 된다.
결합부재는 절곡되는 부위에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종래에 사용하던 각도조절가능한 것을 사용하면 되는데, 예로서 특허등록 제 10-986574호의 도3 및 4에 도시된 결합부재를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구조는 파지할 때 손목이 편안하여 지고, 종래 퍼터의 파지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부자유스러움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손과 손목뿐만 아니라 어깨와 상반신까지 경직된 부드러운 자세가 된다. 그래서 부자유스러운 어드레스 자세와, 심리적인 긴장감과 부담감으로 인하여, 직선적인 스트로크를 하기가 힘들었던 퍼팅의 문제를 해결하고, 많은 아마추어 골퍼들이 원호 궤적을 만드는 스트린도어 스트로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퍼터의 동작원리와 그 사용하는 방법을 도 3내지 7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 퍼터의 파지부(그립)가 일반적인 퍼터의 그립보다 몸쪽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를 두 손으로 각각 잡을 때 자연스럽게 잡을 수 있고, 스트로크 하기에 가장 편한 절곡각도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골프 플레이어가 퍼터를 잡고 어드레스하였을 때, 헤드(100)에서 제1파지부 파지점 B를 도식화하면, 측면에서 퍼터를 본 측면도는 도 5와 같이 되고, 위에서 본 평면도는 보면 도 6과 같이 된다.
도 5 및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골프장 그린의 지면을 X축으로 하고 수직면을 Z축으로 하였을 때 높이 B 점이 파지부를 잡은 그립의 한손 위치가 되고, A 점이 샤프트와 제1파지부의 절곡점이 된다.
파지점 B에서 퍼터 헤드(10) PH (좌표로 8.0으로 표시함)까지의 길이를 반지름 R1이라 하한다.
이렇게 어드레스 된 상태에서 제1파지부의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360도 회전시킨다면 헤드(10)가 그리는 궤적은 원이 되고 측면에서 보면 왕복 직선으로 나타나는데,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비스듬히 바라본 타원 C로 표시하였다. 실제 360도로 회전시킬 수는 없지만 회전시킨다면 B-A 선이 축으로 되어 헤드(10)와 샤프트(A-PH)가 이동하는 궤적이 원뿔 형상으로 될 것이다. 이때 헤드의 궤적은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점이 (8.0)이고 이점을 벗어나면 사용자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궤적을 위에서 보면 도 6과 같이 된다.
파지점 B가 직선 HL과 같이 직선적으로 움직인다고 하면, 헤드 또한 직선으로 움직이며 스트로크 라인 SL과 같이 움직일 것이다. 그러나 실제 스윙은 체중이동을 포함하여 어느 정도 원운동을 하게 되므로, 파지한 손의 움직임과, 척추의 회전 및 체중이동을 감안하여 몸뒤에 있는 가상점 B'점을 원점으로 하는 원운동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헤드의 궤적은 B'점에서 R2에 의한 궤적으로 되고 TR2로 표시될 것이다. 이 때 회전하지 아니하고 직선적으로만 체중과 손을 움직인다고 하면 직선 스트로크 라인 SL과 같이 헤드가 움직일 것지만 그렇게 하기는 대단히 얼렵기 때문에 조금의 회전은 있게 된다.
또 파지점 B에서 반경R1으로 헤드를 회전시키는 궤적은 TR1으로 되고, 파지점 B점을 움직이면 공전에의한 궤적이 TR2와 TR1 사이의 어느 궤적을 이룰 것이다. 여기서 TR2가 TR1보다 직선성이 좋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입체적인 스윙이 되므로 하사점 이외의 궤적은 지면에서 떠 있는 점들이 되고 이들을 그린평면인 지면에 투사하면 타원이 된다.
이때 궤적 중에 점(8.0) 이외의 점들은 스트로크 라인 SL 보다 사용자 몸쪽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즉 몸쪽으로 휘는 볼록한 곡선이 된다. 이 곡선의 곡율은 샤프트의 길이와 파지부의 길이 및 파지각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지금 B점에서 제1파지부의 축을 회전시키면, 클럽 헤드가 궤적 C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지금 R1 반지름으로 원운동되는 궤적 TR1과 그립축의 축회전에 의한 궤적C와 합하면 직선 스트로크 라인 SL과 일치하는 궤적을 될 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클럽 헤드를 B점을 중심으로 하는 TR1 궤적보다 B' 점을 중심으로 하는 궤적 TR2로 이동하면서 그립축 회전을 적절하게 하면 직선적인 스트로크 라인 SL과 같은 궤적을 만들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립축을 회전시키는 손의 자전 즉 그립축 자전에 의한 오목한 궤적 C가 그립의 공전에 의한 볼록한 원형 궤도를 상쇄시키면서 상호 보정되므로 직선성이 좋아지게 된다. 즉 직선성이 향상되어 직선 SL에 매우 근접하는 궤적을 만들 수 있다. 클럽헤드가 스윙하는 몸의 중심에 대하여 볼록한 곡선 운동을 하도록 파지한 손을 공전시킴과 동시에 클럽헤드가 스윙하는 몸의 중심에 대하여 오목한 곡선 운동을 하도록 파지한 손을 자전시키면서 스윙함으로써, 결국 손의 공전과 자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클럽헤드의 합성된 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제1파지부의 그립축을 어느 정도로 회전시키느냐에 따라서 오목한 정도가 변화하게 되므로 회전의 양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립을 잡은 손의 손목을 돌려서 회전양을 조절하기가 어렵고 정확하게 하기 힘들다. 그래서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2파지부를 제1파지부에 대하여 절곡함으로써, 회전량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게 한 것이다.
제1파지부를 잡는 손(오른손 잡이는 오른손, 왼손잡이는 왼손)과 제2파지부를 잡는 손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제1파지부의 축에 회전이 일어나게 하거나 일어 자지 않게 할 수가 있고, 스트로크시의 자세에 의하여 그 크기를 아주 미세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도 6은 제1파지부의 축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축회전을 설명하기 이하여 축회전이 과도하게 일어아는 상태를 도시하였지만 실제 스윙시는 아주 미세하게 하면 된다.
제1파지부(300)와 제2파지부(400)가 절곡되어 있으므로 제1파지부를 잡은 손이 축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제2파지부를 잡은 손이 축회전을 하게 하는 역할을 하여, 예를 들어 온른손잡이의 "1"로 표시한 방향이 어드레스한 위치라고 할 때, 오른쪽으로 백스윙하면 자연스럽게 두손의 위치 관계에서 "2"로 표시한 바와 같이 축회전이 일어나게 되고, 포워드 스윙을 하면 어드레스 위치 "1"로 되돌아 와서 공을 타격한 다음 폴로스윙에서 "3"의 위치로 축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축회전에 다라 샤프트는 백스윙시에는 2 위치로 되고 폴로스윙에서는 3의 위치로 된다. 이때 축회전을 전혀 시키지 아니하면 어드레스한 위치 그대로 1위치에 있을 것이다.
제1파지부이 축회전을 하게 되면 공을 타격하는 직선부분의 궤적이 길어 지게 되므로 미스 샷을 줄일수 있게 된다.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백스윙 때는 SL라인 2의 위치로 헤드가 오게 되고, 폴로스윙 때는 3의 위치로 가데 되는데, 직성 스트로크가 되면 3 즉 가운데 직선 스트로크 라인이 되지만 제1파지부 축회전을 과도하게 하거나 부족하게 하면 양편에 있는 라인 3' 또는 3"의 궤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즉 직선 스트로크 라인을 벗어나는 편차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직선 스트로트 퍼팅 동작은 의식적으로 억지로 하지 아니하여도 그립을 파지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동작이므로 조금만 연습하면 쉽게 숙달이이 되는 동작이다.
궤적 C는 파지부 제1파지 절곡각도의 크기, 제1파지부의 길이 및 샤프트의 길이에 따라 그립축 측회전으로 발생하는 보정의 정도가 변화된다. 사용자의 스트로크 습관과 체형에 따라 파지각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하면 최적의 스윙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손으로 그립축을 자전시키는 즉 축회전시키는 스윙, 즉 이러한 스트로크를 "체형순응스트로크" 또는 "체형순응퍼팅"이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퍼팅 스트로크 기술은 한타 차이로 승부가 갈리는 프로의 세계에서 좋은 효과를 낼 것이다.
본 퍼트를 사용하면, 원리적으로 몸의 골격과 관절 구조에 맞게 적응하여 부드럽게 움직이면서 직선라인 스트로크를 할 수 있게 된다. 클럽헤드(100)가 샤프트(200)에 대하여 라이각 a로 결합되고, 제1파지부는 샤프트에 대하여 절곡각도 b로 결합되므로 골퍼의 체형에 따라서 파지부의 공전 괘도와 자전 궤도의 크기가 달라지게 되고, 공전과 자전을 어느 정도로 하여야 하는지는 오랜 연습을 통하여 익혀야 하는 골퍼의 몫이 될 것이다.
체형순응퍼팅은 파지부를 샤프트에서 몸쪽으로 구부려서 퍼팅 동작이 어깨에서 손목까지의 움직임이 편하고 안정되게 된다. 종래의 직선 샤프트를 가진 골프클럽은 거의 수직으로 세워서 퍼팅하려면 그립의 손목이 많이 불편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퍼터는 파지부 그립이 수평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그립을 잡은 손목이 드라이브클럽을 잡는 그립보다도 더욱 편안하게 할 수 있다.
또 그립을 잡을 때 퍼터 헤드가 몸 가까이 위치하게 되므로, 고관절을 굽혀서 퍼터 헤드를 눈 아래로 위치시킬 수가 있고, 헤드의 이동 궤적을 눈으로 내려다 보면서 직선으로 되는지를 위에서 확인하기 쉽고, 헤드가 진자와 같이 움직이도록 하기가 쉬워지고, 따라서 긴장과 경직으로 인한 스트로크 미스를 많이 방지할 수 있다.
또 퍼팅시 손목의 불필요한 회전으로 임팩트 순간에 퍼터 클럽 페이스가 오픈, 클로즈가 되는 경우가 줄어들고, 또는 상반신에 힘이 많이 들어가서 몸을 비틀고 상체를 뒤로 빼고 불안정한 자세로 퍼팅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시계추형 스트로크를 할 때 파워컨트롤을 쉽게 할 수 있다.
100: 퍼터의 헤드 200: 샤프트
300: 제1파지부 400: 제2파지부
a: 라이각 b: 제1파지절곡각도
c: 제2파지절곡각도 A: 샤프트절곡점
B: 제1파지부의 파지점 D: 제2파지부으 파지점
R1, R2 : 반지름 A': 파지 가상점
PH: 퍼터 헤드의 착지점 HL: 파지부의 이동선
TR1,2 : 궤적 SL: 스트로크 라인
C: 궤적

Claims (5)

  1. 클럽헤드(100)가 샤프트(200)의 일단에 결합고정되고, 샤프트의 타단에는 파지부(300, 400)가 결합된 골프 퍼터로서,
    파지부는 샤프트 단부에 일단이 연결된 제1파지부(300)와 제1파지의 타단과 결합된제2파지부(400)를 포함하고,
    제1파지부(300)는 샤프트에 대하여 라이각(a)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절곡각도 b로 샤프트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2파지부(400)는 샤프트에 대하여 라이각(a)이 크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제1파지부의 타단에 절곡각도 c로 결합되어서,
    퍼팅 스트로크 시에, 제1파지부가 스윙의 중심에 대하여 원 궤적으로 공전할 때에도 제2파지부가 제1파지부의 자전을 제어하여, 결국 클럽헤드가 제1파지부의 공전에 의한 볼록한 궤적과 제1파지부 축의 자전으로 인한 오목한 궤적이 서로 상쇄되어 직선적인 궤적이 되도록 한 것이 특징인 골프퍼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의 길이의 합은 체형순응스트로크를 할 수 있도록 대략 50cm 이내에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골프 퍼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샤프트와 제1파지부의 결합각도와, 제1파지부와 제2파지부의 결합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사용하거나, 일정한 각도로 일체로 결합시킨 것이 특징인 골프 퍼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절곡 각도를 알리는 표시부를 가진 것이 특징인 골프퍼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샤프트에 대한 제1파지부의 절곡 각도는 3도 내지 20도 범위 내로 하고, 제1파지부에 대한 제2파지부의 절곡각도는 5도 내지 180도 범위 내에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골프퍼터.
KR1020110002165A 2011-01-10 2011-01-10 골프 퍼터 KR20120080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65A KR20120080763A (ko) 2011-01-10 2011-01-10 골프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165A KR20120080763A (ko) 2011-01-10 2011-01-10 골프 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63A true KR20120080763A (ko) 2012-07-18

Family

ID=4671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165A KR20120080763A (ko) 2011-01-10 2011-01-10 골프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07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839B1 (ko) * 2023-05-06 2023-11-23 전영복 골프 퍼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839B1 (ko) * 2023-05-06 2023-11-23 전영복 골프 퍼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3554A (en) Golf putter
EP1313533B1 (en) Putter and method for side saddle stance
WO2006092740A2 (en) Golf putter head with visual alignment system
US7033282B1 (en) Golf training device
US7708651B2 (en) Golf putter with an adjustable handle and a shaft that rotates about the handl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200074881A1 (en) Centerline face-forward method of putting
US20080009362A1 (en) Golf putter and vision line putting method
KR101032103B1 (ko) 그립 아래의 한 고정된 샤프트 위치에 골프스윙의 동적 무게중심부를 형성한 골프클럽
US6558267B2 (en) Golf training aid
WO2014170852A1 (en) Self-balancing golf club
KR20120080763A (ko) 골프 퍼터
KR100986574B1 (ko) 골프 퍼터
US20030228926A1 (en) Golf putter and club
US9480886B2 (en) Golf putter suitable for very effective single-handed putting
US5803827A (en) Golf clubhead and its method of use
KR101184046B1 (ko) 퍼팅 능력 향상을 위한 샤프트 구조를 가진 골프 퍼터
US8251833B2 (en) Golf swing-aid trainer, a dynamic swing aid device for improving the golfer swing action
US6793589B1 (en) Flexible golf putter
JP3125158U (ja) ゴルフクラブ
US20140349775A1 (en) Golf Club
JP2597343B2 (ja) ゴルフ用パター
KR20050099434A (ko) 힌지를 이용한 정면 스트로크형 골프 퍼터
KR200368128Y1 (ko) 골프 퍼터
JP3244323U (ja) ハンドファースト練習クラブ
JP3223436U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