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9434A - 힌지를 이용한 정면 스트로크형 골프 퍼터 - Google Patents

힌지를 이용한 정면 스트로크형 골프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9434A
KR20050099434A KR1020040024789A KR20040024789A KR20050099434A KR 20050099434 A KR20050099434 A KR 20050099434A KR 1020040024789 A KR1020040024789 A KR 1020040024789A KR 20040024789 A KR20040024789 A KR 20040024789A KR 20050099434 A KR20050099434 A KR 20050099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utter
head
strok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갑식
Original Assignee
신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갑식 filed Critical 신갑식
Priority to KR1020040024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9434A/ko
Publication of KR20050099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4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0Non-metall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1Heads with visual indicators for aligning the golf clu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8Heads with non-uniform thickness of the impact face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골프용 퍼터에 관한 것으로 신체 구조적 메카니즘과 과학적 원리를 적용하여 더욱 쉽고 정확하게 퍼팅을 하기 위해 힌지(hinge)를 이용한 정면 퍼터가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금까지 일반화된 측방 스트로크식 퍼터와는 달리 홀컵을 향해 정면으로 스트로크하는 방식으로 개선하고, 방향성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손잡이 부분에 힌지(도 1/2/3의 1)를 부착하여 스트로크시 퍼터 헤드를 타구방향 전후로 정확하게 움직이게 하였고, 퍼팅을 위한 준비자세(address)에서 퍼터가 지향하는 방향과 타구방향을 더욱 쉽고 정확하게 일치시키도록 샤프트와 퍼터 헤드의 접합부분을 헤드의 전면부가 아니라 (도 1의 3)과 같이 후면부에 접합시켰으며, 이로 인하여 헤드의 무게중심이 헤드의 앞쪽으로 치우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스트로크시 불안정감을 해소하기 위해 샤프트를 전방으로 기울어 지도록 접합한 후 샤프트의 한 부분을 굴절시킨 굴절 샤프트(도 1의 2)를 채택하여 문제점을 보완함으로써 퍼팅기술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발명하였다.
또한 2-3피트 이내의 비교적 짧은 거리의 퍼팅시 필요 이상으로 긴 샤프트와 힌지는 오히려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힌지부위는 필요시 샤프트 속으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길이가 조절되는 안테나와 같은 구조로 된 샤프트 유동부(도 1의 A')를 구성하고, 1-2피트 이내의 매우 짧은 퍼팅시는 기존의 퍼팅과 같이 측방으로 가볍게 터치하는 듯한 스트로크가 경우에 따라서는 정면 스트로크보다 편리하므로 헤드 모양을 정면과 필요시 측방으로의 스트로크가 가능하도록 2중구조 헤드(도 1의 4, 도 4)로 하며, 정면 스트로크시 한손으로 샤프트를 잡고 가슴 부근에서 손을 고정시키는 힌지 윗부분인 상부샤프트(도 1의 A)와 다른 한손으로 샤프트를 앞뒤로 밀어줄 때 붙잡아야 할 샤프트 부분에도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하 2중으로 고무재질 등을 이용한 그립(도 1/2의 5, 6)을 부착하여 편안한 감각으로 퍼팅을 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힌지를 이용한 정면 스트로크형 골프 퍼터{A Frontal-Strocking Type Golf Putter using Hinge}
본 발명은 힌지를 이용한 정면 스트로크형 골프 퍼터에 관한 것으로, 퍼팅을 위한 준비자세시 보다 용이하게 타구방향을 선정하고, 또한 자신이 선정한 타구방향으로 최대한 정확하고 오차를 최소화한 상태로 공을 타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프 기술을 향상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골프운동에서 '퍼팅'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타구방향을 향해 측방으로 서서 자세를 취하고, 몸통의 회전운동을 통해 퍼터를 움직여 골프공을 목표지점(홀컵)을 향해 구르게 하는 기술로 인식하고 있으나, 퍼터를 스트로크시 신체 구조적인 메카니즘으로 볼 때 몸통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퍼터의 헤드도 타구방향에 대해 직선운동이 아닌 회전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초보자는 물론 숙달된 프로선수들 조차 짧은 거리의 퍼팅도 실수를 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골프에서 가장 어려운 기술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측방으로 스트로크하는 방식의 퍼팅이 어려운 이유는, 타구방향을 향해 옆으로 서서 곁눈질로 목표를 응시한 후 타구 직전에는 목표의 잔영을 감각적으로 머리속에 그리면서 눈은 공을 내려다 보는 자세로 준비를 하고, 신체에서 가장 큰 근육인 몸통근육의 회전을 이용하여 양팔과 퍼터를 몸통의 일부분으로 고정된 것처럼 유지한 상태에서 움직임에 따라 퍼터의 헤드가 타구방향에 대해 직선운동이 아니라 어깨로 부터 지면의 헤드에 이르기 까지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에서 진행되는 회전운동을 통해 공을 직선으로 보내야 하는 아이러니가 발생함에 따라서 퍼팅기술은 의도하는 타구방향으로 몸과 퍼터를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것부터 대단히 까다로우며, 몸과 퍼터가 타구방향에 정확하게 일치되었다고 하더라도 회전운동을 하는 퍼터 헤드의 타구면으로 공을 의도한 방향으로 정확하게 타구하는 것도 골프 퍼팅에서 쉽지 않은 기술이다.
그러나 골프 이 외에 목표로 정한 방향으로 공을 굴려 보내는 형태의 운동의 하나인 볼링이나, 어린 시절에 즐겼던 구슬치기와 같은 경우 공이나 구슬을 보내고자 하는 방향을 향해 정면으로 바라보면서 손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똑바로 굴려 보낸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볼링이나 구슬치기 놀이시 골프의 퍼팅과 같이 목표방향에 대해 옆으로 서서 굴린다고 가정해 볼 때 자신이 의도하는 목표방향으로 정확하게 공이나 구슬을 굴리는 것이 앞을 바라보며 정면으로 굴릴 때 보다 훨씬 더 어려울 것이라는 생각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골프의 퍼팅도 볼링이나 구슬치기의 경우와 같이 가능하다면 타구방향을 정면으로 바라보고 서서 퍼터의 헤드를 타구방향에 대해 직선으로 스트로크 할 수만 있다면 기존의 측방 스트로크 방식보다 훨씬 쉽고 정확하게 의도한 방향으로 공을 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추론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답을 찾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 정면으로 치는 퍼터를 구상하게 되었으나, 이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 대비되는 종래의 것으로는 퍼터의 헤드에 지지간과 타구방향으로 절곡된 가늠자를 부착하여 정면으로 치는 골프용 퍼터(출원번호 20-2003-0033902)에 대한 출원과, 기술적인 면의 제시는 없이 단순히 정면 퍼터에 대한 기본 원리만 기술하여 출원한 정면퍼터(출원번호 10-2002-0055908) 등이 있다.
이 들은 모두 본 발명과 마찬가지로 정면으로 퍼팅을 한다는 공통점은 있으나, 출원번호 20-2003-0033902의 경우 정면으로 퍼팅을 할 때 샤프트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샤프트를 앞으로 밀어줄 때 발생하는 회전운동으로 샤프트의 윗부분을 잡고 있는 손과 팔 전체가 퍼터의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움직이게 되고, 공을 앞으로 보내기 위한 타구시 앞뒤방향 뿐 아니라 좌우측 방향으로도 쉽게 움직일 수 있는 어깨 관절의 구조로 인해 밀어주는 손이 좌우측으로 미세한 편차를 주어 오차가 발생한다는 중대한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샤프트의 아랫부분을 잡는 부위에 별다른 보강이 없어서 쉽게 미끄러질 수 있고, 짧은 거리의 퍼팅 시에도 과도하게 긴 샤프트를 그대로 사용해야 하고, 특히 1피트 이내의 매우 짧은 퍼팅시에도 불편을 무릅쓰고 정면으로 만 스트로크를 하여 공을 처리해야 하며, 샤프트를 손으로 잡지 않아도 퍼터를 지면에 수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헤드의 밑면을 비교적 넓고 평평한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서 샤프트 상부의 한 부분을 중심축으로 하여 퍼터를 전후로 회전운동을 할 때 퍼터 헤드의 전단과 후단의 모서리가 지면에 마찰을 일으켜 헤드 밑면이 저항을 받게 됨에 따라서 정확한 방향으로의 타구가 곤란한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측방 스트로크형 퍼터와 기존의 정면 퍼터에 대한 출원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 샤프트(도 1의 A) 하단에 힌지(도 1의 1)를 부착하고, 상부그립(도 1의 5)을 잡은 손을 단단히 고정시켜 힌지를 원의 중심으로 하여 하부그립(도 1의 6)을 잡은 다른 손으로 좌우로 흔들림이 없이 정확하게 공을 타구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짧은 거리의 퍼팅시 과도하게 긴 샤프트의 불편함과 1피트 이내의 퍼팅 시 측방 스트로크를 선호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샤프트 유동부(도 1의 A')를 형성함과 동시에 퍼터 헤드의 형태를 2중구조의 헤드(도 1의 4, 도 4)로 구성하고, 퍼터의 지향방향과 타구방향을 일치시키기 용이하도록 헤드 뒷부분에 샤프트를 접합(도 1의 3)함과 동시에 헤드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치우침에 따라 공을 목표방향으로 보내기 위한 스트로크시 역학적으로 발생하는 불안정감을 해소하기 위해 샤프트의 한 부분이 구부러진 굴절 샤프트(도 1의 2)를 채용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중간 샤프트(도 1의 B)의 중심선이 헤드 무게중심점(도 1의 P) 앞쪽을 향하도록 하여 퍼터 전체의 무게 중심축이 퍼터 헤드의 앞쪽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측방 스트로크식의 일반적인 퍼터 뿐 아니라 기존 출원된 정면 스트로크식 퍼터의 모든 문제점을 해소하여 모든 골퍼로 하여금 퍼팅기술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개념의 퍼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 바, 정면퍼터 그 자체에 대해서는 기존의 출원으로 인하여 신규성을 주장할 수는 없으나, 세부 기술적인 면에서 현재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측방 스트로크식 퍼터와 기존의 정면퍼터에 관련된 출원 내용과 비교시 본 발명은 퍼팅 기술의 향상을 확실하게 기대할 수 있는 기술적인 사항이 구체적으로 제시됨에 따라서 정면퍼터 분야에서 발명특허의 요건인 기술의 신규성과 진보성을 충족시킨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면으로 퍼팅시 방향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무 재질의 그림으로 싸인 상부 샤프트(도 1의 A) 아래에 앞뒤로만 움직이도록 만들어 진 힌지(도 1의 1)를 부착하여 중간 샤프트(도 1의 B)와 연결하여 퍼팅을 위한 준비 자세에서 상부 그립(도 1의 5)를 잡은 손을 가슴앞 또는 겨드랑이 부근에서 가볍게 주먹을 쥐듯 잡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다른 한손으로는 중간 샤프트(도 1의 B)의 하부그립(도 1의 6)을 엄지를 비롯한 손가락을 이용하여 빠지거나 미끄러 지지 않을 정도로 가볍게 쥐고 퍼터의 헤드로 공을 타구시 힌지의 아랫부분은 힌지를 중심축으로 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평면상의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타구방향에 대해서는 헤드가 직전운동을 하도록 샤프트의 운동방향을 제어하도록 작용한다.
골프 운동을 진행하다 보면 비교적 긴 거리의 퍼팅뿐 아니라 2-3피트 이내의 짧은 거리의 퍼팅을 하게 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힌지가 부착된 상태로 샤프트의 길이가 길어진 그대로 사용한다면, 상부 샤프트의 유동과 과도하게 긴 샤프트로 인해 골퍼에게는 심각한 불편을 초래하여 퍼팅을 성공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힌지부를 포함한 샤프트 유동부(도 1의 A')를 상부 샤프트(도 1의 A)속으로 들어가도록 밀어넣게 되면 상.하그립이 맞닿게 됨에 따라 짧은 길이의 일체형으로 된 퍼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일체형으로 변형된 퍼터는 홀컵으로 부터 1피트 이내의 아주 짧은 거리의 퍼팅시 가벼운 터치로 처리하고자 할때 더욱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이런 경우 정면 스트로크보다는 기존의 방식인 측방 스트로크로 처리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으므로 (도 1의 4)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짧아진 퍼터를 가지고 타구방향을 향해 좌.우측 중 선호하는 방향으로 서서 샤프트를 자신에게 맞는 적당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잡은 상태에서 3개의 헤드면 가운데 (도 4의 4b 또는 4c)로 가볍게 처리할 수 있도록 헤드면의 양단은 측방 스트로크를 하더라도 지면에 닿는 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도 4의 ∠β)를 주었으며, 정면 스트로크용 퍼터의 샤프트 중심축과 측방 스트로크용 헤드면의 밑면이 이루는 각도(도 4의 ∠θ)는 기존의 측방 스트로크형 퍼터의 헤드 밑면과 샤프트의 중심축이 이루고 있는 각도를 고려하여 같은 정도를 유지하면 된다.
정면과 측방 스트로크 방식으로 타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써 생각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 예는 헤드의 형태를 2중구조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헤드는 종전의 형태를 유지하되, 헤드와 샤프트가 결합되는 부위의 각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각도 가변식으로 정면과 측방 스트로크를 자유자재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도 1)과 같이 길이가 최대로 연장된 상태에서 스트로크를 하고자 할 때 타구를 위한 준비자세(address)시 헤드의 지향방향과 타구방향을 보다 쉽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도 1의 3)과 같이 헤드의 뒷부분에 샤프트를 부착하여 퍼터 헤드 윗면의 중심선을 퍼터 위에서 바라보면서 퍼터 헤드와 공과 의도하는 타구방향을 쉽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샤프트를 헤드로부터 수직으로 부착시킬 경우 헤드의 무게중심이 타구면 앞쪽으로 치우침에 따라 힌지를 축으로 전방으로 스트로크시 샤프트의 중심축으로 부터 헤드의 무게중심이 작용하는 점(도 1의 P)이 헤드와 샤프트가 결합된 지점으로 부터 헤드 하중의 중심점(P) 까지의 길이 만큼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퍼터 헤드에 작용하는 힘이 원할하지 못하고 불안정하게 작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샤프트를 헤드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부터 전방으로 기울어 지도록 접합한 후 (도 1의 2)와 같이 헤드 하중의 중심점을 지나는 샤프트의 한 부분에서 굴절시키고 중간 샤프트인 (도 1의 B)는 수직을 유지하게 하여 중간샤프트의 중심을 지나는 선이 헤드의 무게중심인 (도 1의 P)의 앞부분을 지향하도록 하였다. 이때 유의해야 할 사항은 스트로크를 하기 위해 준비시 퍼터 위에서 볼 때 경사지게 부착된 하부샤프트로 인하여 헤드면이 가려질 정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서는 안된다.
중간샤프트 인 (도 1의 B)에서 퍼터를 전방으로 밀어주기 위해 상부샤프트를 잡지 않는 다른 손으로 가볍게 잡는 부분은 타구시 손의 힘이 퍼터로 제대로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샤프트가 손으로 부터 미끌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그립으로 감싸도록 함으로써 상부 샤프트 뿐 아니라 중간 샤프트에도 그립을 씌운 2중 그립 구조를 이루었으며, 중간 샤프트의 그립 단면은 (도 2)와 같이 그립의 상단(6a)과 중앙(6b), 하단(6c)의 직경과 단면의 모양을 다르게 하여 최대한 손의 감각을 자연스럽게 하였다. 즉, 샤프트 유동부인 (도 1의 A')는 상부 샤프트인(도 1의 A)의 내부로 들어 갈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으므로 상부 샤프트와 중간 샤프트간의 직경에 차이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중간샤프트에 감싸는 그립의 외부 직경을 상부 샤프트의 외부 직경과 동일하게 유지하면 가볍게 쥐어야 할 중간 샤프트의 그립이 다소 굵게 느껴질 수 있으며, 또한 사방의 직경이 동일한 원형으로 그립을 만들었을 때 보다 손가락의 대부분이 닿는 그립 측면의 직경인(도 2의 6b①)을 앞뒤방향의 장직경(도 2의 6b②) 보다 짧게 한 타원형으로 만들 경우 손에 전해지는 느낌도 더욱 자연스럽고, 또한 그립이 과도하게 굵은 느낌도 감소시켜 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퍼터 전체의 길이는, 샤프트를 최대로 펼친 상태에서 정면으로 퍼팅시 가장 안정되고 편한 자세로 서서 상부 그립을 잡은 손이 가슴이나 겨드랑이 부근에서 단단히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의 밑면이 지면에 닿을 정도의 길이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므로 골퍼의 신체 조건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100-120Cm 정도를 유지하고, 최소 길이로 하였을 때는 85-100Cm 정도가 적절할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수치는 많은 실험을 통해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측방 스트로크식 퍼터가 가지고 있는 가장 근본적인 문제인 타구방향을 확인 후 타구를 하기 위한 준비자세에서 최종적으로 타구방향을 확인 시 측방으로 어드레스하여 곁눈으로 목표방향을 응시함에 따라 부정확하게 가늠해야 하는 문제와 몸통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퍼터의 헤드도 타구방향에 대해 직선운동이 아닌 회전운동을 함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타구방향으로 정확히 타구하는 것이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기존 출원된 정면으로 치는 골프용 퍼터의 문제점으로 대두된 스트로크시 샤프트의 상부를 잡는 손도 같이 움직이는 현상과 샤프트의 하부를 밀어줄 때 좌우측으로 손이 움직임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짧은 거리의 퍼팅 시에도 긴 샤프트를 이용하여 정면으로 스트로크 해야 한다는 점 등의 문제를 한번에 해결함으로써 초보자들도 쉽게 퍼팅기술을 익혀 스코어를 줄임으로써 골프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도 1)은 힌지를 이용한 정면 스트로크형 골프 퍼터의 전체적인 형상과 개략적인 특징을 나타내며, (도 2)는 짧은 거리의 퍼팅을 위해 측방 스트로크를 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핵심부분인 샤프트 유동부(도 1의 A')가 상부 샤프트(도 1/2의 5)의 속으로 들어가서 상부그립(도 1의 5)과 하부그립(도 1의 6)이 맞닿아 있는 모습과 하부그립을 잡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손에 잡히는 감각을 최대한 편하게 하기 위해 하부그립의 중앙부위의 모양을 단면도와 같이 앞뒤로 긴 타원형의 형태(6b)를 이루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힌지부(도 1의 1)와 상부 샤프트(도 1의 A)의 구조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4)는 정면과 측방 스트로크를 가능하게 하는 2중구조의 퍼터 헤드(4)를 정면에서 바라 본 그림이며, (도 5)는 힌지를 이용한 정면 퍼터를 사용하여 스트로크를 하기 위한 준비자세(address)의 한가지 예를 보여주고 있다.

Claims (5)

  1. 골프용 퍼터의 샤프트를 정면으로 퍼팅 시 상부샤프트를 잡은 손을 반대편 가슴 앞이나 겨드랑이 부근에서 고정시킨 상태로 샤프트를 수직 평면상에서 힌지를 축으로 하는 회전운동을 통해 공을 타구방향으로 보내기 위해 중간샤프트의 하부그립을 잡은 손으로 샤프트를 전방으로 밀어 줄 때 힌지가 손의 움직임을 전방으로만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자유스럽게 움직일 수 있는 어깨 관절의 구조로 인해 손이 어느 정도의 좌우편차를 가진 상태에서 움직이는 것을 물리적으로 제어하여 퍼터 헤가 타구방향에 대해 정확하게 직선으로 움직이도록 작용하게 할 목적으로 상부그립과 하부그립 사이에 힌지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용 샤프트
  2. 골프용 퍼터의 헤드에서 정면 스트로크뿐 아니라 짧은 거리의 퍼팅시 기존의 측방 스트로크 방식으로 타구를 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2중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용 헤드
  3. 제 1항에 있어서, 짧은 거리에서의 퍼팅과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측방 스트로크로 퍼팅을 하고자 할 때 과도하게 긴 샤프트와 힌지 윗부분의 상부샤프트가 힌지로 인해 퍼팅시 의도와 무관하게 움직이게 됨에 따라 실수를 유발하게 하거나 불편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샤프트의 길이를 조절하고 힌지부분의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도록 중간샤프트 하부그립의 윗부분이 상부샤프트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적절할 길이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용 샤프트
  4. 제 1항에 있어서, 타구 직전 준비 자세에서 시선의 방향과 퍼터의 헤드가 지향하는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해 샤프트를 헤드의 뒷부분에 결합하는 구조와, 이 때 헤드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치우침에 따라 스트로크시 발생하는 불안정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샤프트의 한 부분에 굴절부를 둔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골프 퍼터용 샤프트
  5. 제 2항 에 있어서, 다른 실시 예로 제시한 퍼터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부 위에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가변형으로 정면 스트로크와 측방 스트로크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 헤드와 샤프트의 결합 방식
KR1020040024789A 2004-04-10 2004-04-10 힌지를 이용한 정면 스트로크형 골프 퍼터 KR20050099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789A KR20050099434A (ko) 2004-04-10 2004-04-10 힌지를 이용한 정면 스트로크형 골프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789A KR20050099434A (ko) 2004-04-10 2004-04-10 힌지를 이용한 정면 스트로크형 골프 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434A true KR20050099434A (ko) 2005-10-13

Family

ID=3730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789A KR20050099434A (ko) 2004-04-10 2004-04-10 힌지를 이용한 정면 스트로크형 골프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94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525A (ko) * 2006-08-09 2008-02-13 이승용 곡선샤프트로 이루어진 정면 타격용 퍼터
WO2011081372A2 (ko) * 2009-12-31 2011-07-07 Gang Og Goo 골프 퍼터
KR101882844B1 (ko) 2018-04-04 2018-07-27 박장호 퍼팅거리 조절기능을 가지는 퍼터
KR20210119640A (ko) * 2020-03-25 2021-10-06 김상훈 직진성이 개선된 퍼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525A (ko) * 2006-08-09 2008-02-13 이승용 곡선샤프트로 이루어진 정면 타격용 퍼터
WO2011081372A2 (ko) * 2009-12-31 2011-07-07 Gang Og Goo 골프 퍼터
WO2011081372A3 (ko) * 2009-12-31 2011-11-17 Gang Og Goo 골프 퍼터
KR101882844B1 (ko) 2018-04-04 2018-07-27 박장호 퍼팅거리 조절기능을 가지는 퍼터
KR20210119640A (ko) * 2020-03-25 2021-10-06 김상훈 직진성이 개선된 퍼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3554A (en) Golf putter
Adlington Proper swing technique and biomechanics of golf
US5127650A (en) Golf putter and method for putting
US5209474A (en) Elongated golf putter and putting method
US4746120A (en) Golf club putter and handgrip therefor
US7033282B1 (en) Golf training device
JP2013530802A (ja) ゴルフクラブのためのグリップ
US5169152A (en) Golf club grip
US20170080308A1 (en) Grip for a golf club
CN106999755B (zh) 高尔夫球杆的握把
US8663024B2 (en) Golf setup and swing training aid
US20200074881A1 (en) Centerline face-forward method of putting
US20020032070A1 (en) Golf training aid
KR20050099434A (ko) 힌지를 이용한 정면 스트로크형 골프 퍼터
KR100988991B1 (ko) 퍼터 그립 및 상기 그립을 구비하는 퍼터
US5558586A (en) Golf putter head and club
JPH03502899A (ja) 両手用ラケット
US9480886B2 (en) Golf putter suitable for very effective single-handed putting
WO2003030998A1 (en) Putting method & putter
KR200437769Y1 (ko) 스윙용 보조기구 및 골프클럽
US7156753B2 (en) Golf putter head
US20140349775A1 (en) Golf Club
KR102299396B1 (ko) 그립 부위에서 스프링 탄성력을 제공하는 골프클럽
US20110136582A1 (en) Golf swing-aid trainer, a dynamic swing aid device for improving the golfer swing action
KR102214797B1 (ko) 골프 클럽의 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