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718A - 해삼 추출물을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해삼 추출물을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718A
KR20120080718A KR1020110002099A KR20110002099A KR20120080718A KR 20120080718 A KR20120080718 A KR 20120080718A KR 1020110002099 A KR1020110002099 A KR 1020110002099A KR 20110002099 A KR20110002099 A KR 20110002099A KR 20120080718 A KR20120080718 A KR 20120080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sea cucumber
mask pack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진
강양규
Original Assignee
임창진
유한회사 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진, 유한회사 해원 filed Critical 임창진
Priority to KR102011000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0718A/ko
Publication of KR20120080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6Echinodermata, e.g. starfish, sea cucumbers or sea urch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수산물의 일종인 해삼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한방재료를 이용한 경옥고 추출물을 일정량의 미용성분과 혼합하여 제조 한 기능성 마스크 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성분인 해삼의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기능성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에 대한 자극이나 독성이 없고, 안정적이며, 피부 보습, 주름개선 등의 여러 가지 유익한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해삼 추출물을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Mask pack method comprising fermenting extracts of Sea cucumber}
본 발명은 해삼 추출물 이용하여 피부노화 및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마스크 팩을 만드는 것이다.
해삼은 인삼과 맞먹는 영양을 지녔다고 해서 바다의 인삼이라고도 불리는데 해삼의 약효에 관해서는 오래전부터 수많은 정보가 나오고 있고, 그 대부분이 건강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이러한 약효는 현대의학의 진보에 따라 사실로 밝혀진 경우가 많으며, 무척추동물인 해삼과 해면, 산호 등과 같이 많은 해양생물들에서는 지금까지 육상생물에서 발견할 수 없었던 신물질이 속속 발견되고 있는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해양생물로부터 천연성분 물질의 의약품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식품으로뿐만 아니라 인류를 위한 약용으로의 경제적 중요성이 점차 증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해삼에는 연골을 파괴하는 효소들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탄수화물의 일종인 콘드로이틴(chondroitin)이 해삼을 먹을 때 '오독오독' 씹히는 연골성분에 들어 있다. 이 성분은 같은 연골어류인 상어나 홍어에도 들어 있는데, 관절염 치료제 및 기능성 건강보조식품으로 내장을 보호하고 술독을 중화시키며, 피부 노화를 예방한다고 한다.
해삼은 체내에 홀로수린(holothurin)이라고 하는 사포닌(saponin)과 비슷한 독성 물질을 미량 함유하여 물고기 사냥에 이용하기도 하지만, 인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홀로수린은 해삼에 특이적인 주요한 생물학적 활성 화합물질로서 신경 폐쇄증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신경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진통을 억제해주는 진기한 물질이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 나타난 해삼의 효능 중 특히 여름철 불청객인 무좀과 관련해서는“해삼의 건조분말을 화농의 상처 표면에 바르면 그 표면을 청정화하여 치유된다”라고 기록하고 있고, 이러한 기록은 해삼이 무좀에 대하여 효과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해삼은 곰팡이 균을 죽일 수 있는 홀로톡신(Halotoxin)이라는 물질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손가락 사이의 습진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삼은 몸의 일부가 절단되었을 경우 3개월 만에 절단 부위가 원상 복귀되고, 내장이 제거되어도 1개월 만에 새로운 내장이 생기는 놀라운 복원력이 있다. 따라서 한방과 민간요법에서는 해삼이 인체 단핵 세포와 거식 세포의 담식 능력을 제고시켜 면역기능을 왕성하게 하고 상처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244546호에는 해삼을 볏짚과 혼합하여 발효시키고 그 발효물질을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분말 화 한 발효식품이 개시된 바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제10-0167831호에는 해삼을 수용액 상에서 추출한 후 알코올로 분별 침전시켜 콘드로이틴황산 함유 추출물을 식품, 화장품, 의약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도 있다. 한국 등록출원 제 99-0003595호에 의한 해삼 펩타이드의 제조방법에서는 일반적인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해삼에 있는 단백질만을 분해한 바도 있다. 이와 같이 해삼을 원형 보존하거나, 단백질 성분을 단순 분해하거나, 아니면 식품의 효능으로만 해삼 가공이 존재해 해 왔다.
그래서, 본 발명은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여 홍삼, 숙지황, 백복령, 봉밀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를 이용한 화장용 조성물인 마스크 팩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홍삼, 숙지황, 백복령, 봉밀은 경옥고의 주원료로 몸과 기를 보호하는 보약의 일종으로서, 여러 가지 기능 및 효능들이 대단히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특히 현대적 연구 결과에 의하면, 경옥고는 항산화 효과를 가짐으로써, 세포 생리 활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피부 노화 현상을 완화하는데에도 유효하며, 피부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현재에는 식품으로서만이 그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나, 항산화 효능, 피부 주름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등에 대해서는 그 효능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들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천연물을 이용하여 기미, 주근깨, 피부질환, 아토피성 피부질환 등을 개선하기 위한 제품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0-0879882호 다시마를 이용한 미용 마스크 팩이나, 한국 특허공개 제10-2008-0086751호에는 오징어 외피에서 콜라겐을 추출하여 이를 함유한 마스크 팩 제조 등 여러 해양 수산물을 이용한 마스크 팩이 피부비용 및 피부개선용으로 알려진바 있다.
미용 제품들은 인체에 안전해야하고, 부작용도 없어야 하며, 인체 친화적이어야 한다. 특히 체질이나 아토피 피부 또는 민감성 피부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해양 동/식물의 천연물들은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이 있기 때문에 피부 보습, 미백, 피부개선의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하여 해양 수산물의 일종인 해삼으로부터 안전성이 뛰어나고 여러 가지 기능성을 제공하는 추출물을 찾고자 노력하던 중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고, 식물 추출물로 구성된, 구체적으로 홍삼, 숙지황, 백복령, 봉밀을 중탕방식으로 다려 만든 경옥고 제품을 이용하여 화장용 조성물인 마스크 팩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식품으로서 개발되어 왔던 해삼을 사용하고, 경옥고의 기능성 효능을 추가하여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의 소재로 개발하고자하는 시도의 일환으로 피부노화 및 주름개선의 기능성 마스크 팩을 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예로부터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던 해양수산부 지정 대한민국 3대 보양 수산물, 해양수산부 지정 대한민국 8대 웰빙 수산물, 수산 식품 중 최고의 천연 강장제, 바다의 인삼, 해저의 신선으로 그 효능 및 효과에 있어서 고서인 [전어지], [동의보감] 등에서도 알 수 있는 해삼을 피부에 대한 자극이나 독성이 없고, 안전에 유의하며, 피부 미백 및 보습, 주름개선 등의 부작용이 없으면서, 효과가 우수한 기능성 효능이 개선된 해삼 경옥고 마스크 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해삼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기능성을 더욱 부가하기 위한 천연 식물 추출물, 구체적으로 홍삼, 숙지황, 백복령, 봉밀 등으로 이루어진 천연 식물성 추출물을 마스크 팩 조성물에 침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팩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경옥고의 효능에 대해서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 피부개선 및 노화방지에 좋은 효능이 있다고 하며, 현재 시중에서도 이를 기반으로 한 유명한 모기업들의 한방화장품 및 탈모방지용 기능성 샴푸 등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어, 본 발명의 마스크 팩을 제공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상당히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삼 추출물은 화학적 합성물이 아닌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나 독성이 없어서 안정성이 우수하며, 천연 식물 추출물, 구체적으로 홍삼, 숙지황, 백복령, 봉밀을 중탕방식으로 다려 만든 경옥고 추출물을 피부 미백, 보습 및 주름개선의 효과로 마스크 팩을 제공하며, 식용으로만 쓰이던 해삼의 유익한 부분을 제공하므로 해양 수산산업의 발전과 어업인의 매출증대, 국내의 해삼 산업에 대한 경제적 상승을 위하여 고부가가치의 다양한 기능성 소재로 사용 가능한 요소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도표를 보여준다.
도 2는 해삼 추출물(클로로포름 추출물)의 세포 독성 검증을 MTS assay 법을 이용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해삼 추출물을 H-3(클로로포름 추출물)의 염증반응 관련 효능을 보여준 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삼을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유효성분을 1차 추출하고, 기존 경옥고 방식에 의한 재료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경옥고 혼합물을 2차 추출하고, 상기 내용물을 여과지를 통해 여과 한 후 일정량의 미용성분과 혼합하여 안면형상의 부직포에 침지시켜 피부 미백, 보습 및 주름개선에 효과적인 마스크 팩을 제공하려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양질의 해삼 원물 1,000g을 해삼 표면 부분이 상하지 않도록 하여, 알코올에 침전한 후 필터링 단계를 거쳐 농축하였다.
항온 수조의 온도는 에탄올 및 추출물이 손상되지 않게 40 내지 45℃ 조정하고, 24 내지 28시간 정도 경과 후 해삼 분말을 얻는 제조공정 1단계;
경옥고 제조로 사용되는 천연추출물인 홍삼 7중량%, 숙지황 추출액 40중량%, 백복령 8중량%, 봉밀 42중량%을 혼합한 후 정제수와 1:1의 비율로 80 내지 110℃ 온도로 24시간을 다려 제조된 혼합물을 여과지를 통해 여과과정을 거쳐 추출물을 얻는 제조공정 2단계;
상기 제조공정 1단계와 2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을 일정량의 미용성분, 구체적으로 프로필렌글리콜 8중량%, 알란토인 0.3중량%, 정제수 71.3중량%, 카보머 0.08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중량%과 혼합하여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제조공정 3단계;
해삼 분말 1 내지 10중량%과 경옥고 추출물에 일정량의 마스크 팩 미용성분을 혼합하고, 용해시켜 하기의 실시 예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 후 안면형상의 부직포에 침지시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1
해삼 추출물 1중량%과, 경옥고 추출물 10중량%, 프로필렌글리콜 8중량%, 알란토인 0.3중량%을 정제수 71.3중량%에서 55 내지 65℃에서 용해시킨 다음 카보머 0.08중량%를 첨가하고, 다시 온도를 40℃로 낮추어 트리에탄올아민 0.3중 량%를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를 한 후 안면형상의 부직포로 된 마스크 시트에 침지시켜 마스크 팩을 제조하고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 예 2
해삼 추출물 5중량%과, 경옥고 추출물 10중량%, 프로필렌글리콜 8중량%, 알란토인 0.3중량%을 정제수 71.3중량%에서 55 내지 65℃에서 용해시킨 다음 카보머 0.08중량%를 첨가하고, 다시 온도를 40℃로 낮추어 트리에탄올아민 0.3 중량%를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를 한 후 안면형상의 부직포로 된 마스크 시트에 침지시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실시 예 3
해삼 추출물 10중량%과, 경옥고 추출물 10중량%, 프로필렌글리콜 8중량%, 알란토인 0.3중량%을 정제수 71.3중량%에서 55 내지 65℃에서 용해시킨 다음 카보머 0.08중량%를 첨가하고, 다시 온도를 40℃로 낮추어 트리에탄올아민 0.3 중량%를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를 한 후 안면형상의 부직포로 된 마스크 시트에 침지시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실험 예1
상기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해삼 추출물 1 내지 10중량%을, 경옥고 추출물과 일정량의 미용성분과 혼합하여, 실시 예 1 내지 3과 같은 방법으로 마스크 팩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마스크 팩을 일반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2주간 피부 개선 반응 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 방법으로는 25세 이상 49세 미만인 성인 남성 7명, 여성 23명을 피험자로 구분하여 2주간, 주 5일 이상, 1일 30분 이상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 팩을 부착하고난 후의 상태를 5단계 평점 방법으로 피부 반응에 대해 관찰 평가하고, 대조구로 유사 기능성 마크 팩 제품을 사용하여 관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후의 결과에 따른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에 대한 항목으로 구분하여 임상적 변화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평가 결과표를 얻었다. <표1>
<표1>
Figure pat00001

실험 예2
상기 실험 결과에 있어서, 피부 반응의 이상 증상이나 부작용, 피부 트러블 발생에 대해서 안정적이며, 부작용이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해삼 추출물의 함량 정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해삼 추출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피부 반응, 보습 및 주름개선에 효과가 높음을 나타내고 있어, 해삼 추출물 5중량%과, 경옥고 추출물을 포함하고 일정량의 미용성분과 혼합하여, 실시 예 2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마스크 팩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 팩을 부착하고난 후의 상태를 5단계 평점 방법으로 피부 반응에 대해 관찰 평가하고, 대조구로 유사 기능성 마크 팩 제품을 사용하여 관능 시험을 수행하였다.<표2> <표3>
<표2>
피험자 대상 호전도 조사(%)
Figure pat00002

<표3>
성별 평가 결과
Figure pat00003

상기 시험한 예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의 해삼 추출물을 함유한 경옥고 제조 추출물이 피부에 대한 자극 및 피부질환에 대하여 안정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해삼 추출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해삼이 가지고 있는 효능 중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에 대해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3)

  1. 깨끗하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양질의 해삼을 해삼 표면 부분이 상하지 않도록 하여, 에틸알코올에 침전하고, 필터링하여, 항온 수조의 온도는 에탄올 및 추출물이 손상되지 않게 40 내지 45℃ 조정하고, 24 내지 28시간 정도 경과 후 해삼 분말을 추출하는 단계;
    경옥고 제조로 사용되는 천연추출물인 홍삼 7중량%, 숙지황 추출액 40중량%, 백복령 8중량%, 봉밀 42중량%을 정제수와 1:1의 비율로 80 내지 110℃ 온도로 24시간을 다려 제조된 혼합물을 여과지를 통해 여과과정을 거쳐 추출물을 얻는 단계;
    상기 해삼과 경옥고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일정량의 미용성분, 구체적으로 프로필렌글리콜 8중량%, 알란토인 0.3중량%, 정제수 71.3 중량%, 카보머 0.08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3중량%을 용해시켜 안면형상의 부직포에 침지시켜 마스크 팩을 제조하는 단계;
  2. 해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스크 팩.
  3. 해삼 추출물 유효성분과, 홍삼 7중량%, 숙지황 추출액 40중량%, 백복령 8중량%, 봉밀 42중량%을 정제수와 1:1의 비율로 80 내지 110℃ 온도로 24시간을 다려 제조된 혼합물을 여과지를 통해 여과과정을 거쳐 얻어진 경옥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마스크 팩.
KR1020110002099A 2011-01-10 2011-01-10 해삼 추출물을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20120080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099A KR20120080718A (ko) 2011-01-10 2011-01-10 해삼 추출물을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099A KR20120080718A (ko) 2011-01-10 2011-01-10 해삼 추출물을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718A true KR20120080718A (ko) 2012-07-18

Family

ID=4671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099A KR20120080718A (ko) 2011-01-10 2011-01-10 해삼 추출물을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07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167B1 (ko) * 2015-10-05 2017-02-20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주식회사 홍삼과 해삼의 가수분해 원료를 포함한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44764B1 (ko) * 2017-09-25 2019-04-17 주식회사 익스플즌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립스틱
KR102233384B1 (ko) * 2020-10-14 2021-03-26 강용찬 해삼 달인액으로 제조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167B1 (ko) * 2015-10-05 2017-02-20 한국해양바이오클러스터 주식회사 홍삼과 해삼의 가수분해 원료를 포함한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44764B1 (ko) * 2017-09-25 2019-04-17 주식회사 익스플즌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립스틱
KR102233384B1 (ko) * 2020-10-14 2021-03-26 강용찬 해삼 달인액으로 제조되는 마스크팩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088933A (ja) AGEs産生抑制剤およびその用途
EP3193898B1 (en) Eurycoma longifolia extract and its use in enhancing and/or stimulating immune system
CN101495128B (zh) 胡桃分离提取物及其获取方法和用途
CN103282041A (zh) 富含多酚的玛卡地上部分的提取物和包括其的组合物
KR101189989B1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495712B2 (ja) 食品組成物
JP2014076957A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453269B1 (ko) 불가사리 추출물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콜라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효과,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TWI608842B (zh) Oxidation proteolytic enzyme activity enhancer
JP5921056B2 (ja) 美容用組成物
CN106722999B (zh) 一种胶原肽制备方法、包含其的低糖胶原养颜糕点及制备方法
CN107913228A (zh) 含生姜的无硅油保健洗发水及其制备工艺
JP2004346045A (ja) 海洋深層水を使用する酒造時に得られる酒粕抽出エキスを有効成分とする化粧料添加剤、入浴剤及び健康食品類
CN103550101A (zh) 具有嫩白补水功效的植物提取液及其应用
JP2015024982A (ja) 終末糖化産物生成抑制剤
KR20120080718A (ko) 해삼 추출물을 이용한 마스크 팩의 제조방법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8083B1 (ko)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2001233727A (ja) 化粧品
JP2005220100A (ja) 抗老化剤、血小板凝集抑制剤、抗酸化剤、抗アレルギー剤、皮膚化粧料及び飲食品
KR20090103823A (ko) 항노화제, 피부외용제 및 음식품
KR101618726B1 (ko) 명태껍질로부터 엘라스틴을 포함하는 단백질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CN113876671A (zh) 一种含油菜芽提取物的抗衰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13115B1 (ko) 발효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126824A (ja) 脂肪蓄積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