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169A - 전기 콘택트 - Google Patents

전기 콘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169A
KR20120080169A KR1020127006028A KR20127006028A KR20120080169A KR 20120080169 A KR20120080169 A KR 20120080169A KR 1020127006028 A KR1020127006028 A KR 1020127006028A KR 20127006028 A KR20127006028 A KR 20127006028A KR 20120080169 A KR20120080169 A KR 20120080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tact
respect
electrical contact
horizont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헤이 하라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20080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3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opposite contact points, e.g. C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흡착 및 회로 기판에 대해 자립이 가능하며,, 피접속체가 회로기판에 대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쌍방향에서 접촉 가능한 전기콘택트에 있어서, 부품수가 하나로도 해결되며, 절삭 가공도 불필요하여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피접속체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콘택트를 제공한다.
전기콘택트는 한 장의 금속판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회로기판에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이루고, 회로기판 상에 재치되는 기판재치부와, 기판재치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납땜접속부와, 납땜접속부에 대해 스프링영역을 통해 설치된 접촉부와, 스프링영역에 설치되어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뻗는 수평면을 갖는 흡착부를 구비한다. 접촉부는 접점에서의 법선이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뻗고, 더욱이 흡착부에서 회로기판에 대한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통해 뻗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콘택트{ELECTRIC CONTACT}
본 발명은 휴대 전화의 배터리접속, 회로기판 사이의 접지접속, 스마트폰이라 불리는 휴대 전화나 PHS와 휴대 정보 단말기 (PDA)를 융합시킨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접속 등에 사용되는 피접속체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콘택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피접속체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콘택트로서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도 8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101)는 피접속체인 섀시(120) 회로기판(11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기콘택트(101)는 한 장의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납땜접속부(102) 및 접촉부(104)을 구비하고 있다. 납땜접속부(102)는 대략 구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회로기판(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뻗어 회로기판(110) 상에 납땜접속되는 납땜면(102a)을 갖는다.
접촉부(104)는 납땜접속부(102)의 후단(도 8의 우단)에서 뻗는 용수철영역(103)을 통해 용수철영역(103)의 선단에 설치되어있다. 용수철영역(103)은 납땜접속부(102)의 후단에서 시작하는 기립부(103a)와 기립부(103a)의 상단에서 만곡부를 통해 전방으로 뻗는 연출부(103b)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104)는, 연출부(103b)의 선단(전단)에서 상방으로 돌출하고, 역U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접촉부(104)는 상방에서 섀시(120)와 접촉한다. 그리고 접촉부(104)의 선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부(105)가 뻗어 있다.
또한 납땜접속부(102)의 전단 양측 가장자리에는 한 쌍의 측벽(106)이 뻗고, 각 측벽(106)의 상단에서 납땜접속부(102)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해 정상벽(107)이 뻗어 있다. 연장부(105)는 접촉부(104)에 섀시(120)가 접촉하지 않은 때에는 프리 로드가 걸려지도록 정상벽(107)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측벽(106) 및 정상벽(107)은 연장부(105)가 젖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섀시(120)가 정상벽(107)에 당접함으로써 용수철영역(103)에 과도한 응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접속체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콘택트를 구비한 전기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도 9(A), (B)에 나타내는 것도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2 참조).
도 9(A), (B)에 나타내는 전기커넥터(200)는 하우징(210)과 복수의 전기콘택트(220)와 한 쌍의 고정구(230)와 커버(240)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전기콘택트(220)는 피접속체인 배터리 팩(미도시)을 휴대 전화 본체측에 설치된 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있다. 각 전기콘택트(220)는 한 장의 금속판을 타발 및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부(221), 납땜접속부(222) 및 접촉부(22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221)는 도 9(A)와 같이 회로기판에 대해 수직 방향(상하 방향)으로 뻗어 상방에서 보아 U자형으로 형성된다. 고정부(221)는 하우징(210)의 슬릿(211)에 하우징(210)의 하방부터 압입 고정된다. 납땜접속부(222)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221)의 하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다.
납땜접속부(222)는 고정부(221)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뻗어 회로기판(110) 상에 납땜접속된다. 접촉부(223)는 고정부(221)의 측둘레로부터 고정부(221)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용수철영역(224)을 통해 그 용수철영역(224) 선단에 설치되어있다.
접촉부(223)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부터 피접속체가 접촉한다.
한 쌍의 고정구(230)는 하우징(210)을 회로 기판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하우징(210)의 긴 쪽 방향 양단에 설치된 홈(212)에 압입 고정된다. 또한, 커버(240)는 하우징(210)에 설치되어 전기콘택트(220)의 용수철영역(224)을 보호한다. 접촉부(223)는 커버(240)에 형성된 개구(241)에서 돌출하고, 피접속체가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부터 접촉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있다.
또한, 피접속체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콘택트로서,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내는 것도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3 참조).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301)는 피접속체인 배터리 팩(미도시)를 휴대 전화 본체측에 설치된 회로기판(34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있다. 전기콘택트(301)는 도전성의 통부(310) 및 통부(310)의 공간(311)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320)과 접촉핀(330)을 구비하고있다. 통부(310)는 회로기판(340)에 대한 수평 방향을 긴 쪽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접촉핀(330)은 통부(310)의 공간(311) 내에 접동 자재, 나아가 통부(310)에 대해 도통한 상태로 지지되고, 스프링(320)에 의해 부세되어 통부(310)의 긴 쪽 방향 일단으로부터 선단부가 돌출되어 있다.
접촉핀(330)에는 피접속체가 회로기판(340)에 대하여 수평 방향부터 접촉한다. 또한 통부(310)의 외주에는 통부(310)의 긴 쪽 방향으로 배열되어 배치되고, 나아가 긴 쪽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접속용돌기(312)가 설치되어있다. 접속용돌기부(312)는 그 하면이 회로기판(340) 상에 납땜접속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통부(310)의 외주이며 접속용돌기부(312)의 반대측에는 흡착용 평을 갖는 흡착부(313)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의장공보 등록 제 1108677 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2009-32440 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353372 호
그런데 휴대 전화의 배터리 연결이나 스마트폰이라 불리는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연결 등에 있어서는 최근 하우징을 이용하지 않고 전기콘택트 단일체만을 사용하여 피접속체를 회로 기판에 연결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이러한 요구는 소형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과, 비용을 저렴하게 하고자 하는 것과, 콘택트 배치의 베리에이션(variation)을 늘리고자 하는 것이 주된 이유로 꼽힌다. 콘택트 배치의 베리에이션(variation)을 늘린다는 것은, 하우징을 사용하면 하우징에서 정해진 피치로 콘택트가 배치되게 되는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로기판 상에 콘택트를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우징을 이용하지 않고 전기콘택트 단일체만을 사용하는 경우, 전기콘택트를 회로기판 상에 실장하는 때에, 전기콘택트 단일체를 부품 실장 장치로 흡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기콘택트 단일체를 회로기판 상에 리플로어 납땜접속하는 때에, 콘택트를 회로기판의 납땜 크림 상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휴대 전화의 배터리 접속이나 단말기의 안테나 접속 등에 있어서는 최근 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전기콘택트에 대해 피접속체가 회로기판에 대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양방향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러나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전기콘택트(101, 220, 301)에 있어서는 다음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101)의 경우, 연출부(103b)의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착면으로써 이용가능함과 동시에, 납땜접속부(102)가 회로기판(110)의 납땜 크림 상에서 자립 가능하다. 또한 접촉부(104)의 섀시(피접속체:120)와의 접점은 상향이므로, 피접속체가 회로기판에 대한 수직 방향에서 접촉가능하다. 그러나 접촉부(104)에는 피접속체가 회로기판에 대한 수평 방향에서 접촉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접촉부(104) 전방에 한 쌍의 측벽(106) 및 헤드벽(107)이 존재하여 피접속체의 통과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9(A), (B)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220)의 경우, 회로기판 상에 자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흡착면으로써 이용가능한 면이 없고, 전기콘택트(220) 단일체를 흡착할 수 없으며, 하우징(210)의 상면을 흡착면으로써 이용하게 되어있다. 또한 접촉부(223)는 회로기판에 수평 방향부터 피접속체가 접촉하게되어 있지만, 피접속체가 회로기판에 대한 수직 방향부터 접촉 가능해지게 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301)의 경우 흡착부(313)에서 흡착 가능함과 함께 접속용돌기부(312)에서 회로기판(340) 상에 자립할 수 있다. 또한 접촉핀(330)에는 피접속체가 회로기판(340)에 수평 방향에서 접촉 가능하다. 그러나 접촉핀(330)에는 피접속체가 회로기판에 대한 수직 방향에서 접촉할 수 없다.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301)의 경우, 통부(310), 스프링(320) 및 접촉핀(330)의 3가닥으로 구성되므로, 부품수가 많아 비용이 비싸다. 또한 통부(310) 공간(311)이나 접촉핀(330)을 제작할 때, 절삭 가공이 필요하며, 제조 비용도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흡착 및 회로 기판에 대해 자립이 가능하며, 피접속체가 회로기판에 대한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쌍방향에서 접촉 가능한 전기콘택트에 있어서, 부품수가 하나로도 해결되며, 절삭 가공도 불필요하여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피접속체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콘택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관한 전기콘택트는 한 장의 금속판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피접속체를 회로기판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이루고, 상기 회로기판 상에 재치되는 기판재치부와, 해당 기판재치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 상에 납땜접속되는 납땜접속부와, 해당 납땜접속부에 대해 스프링영역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피접속체에 접촉하는 만곡한 접촉부와, 상기 스프링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뻗는 수평면을 갖는 흡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만곡한 부분의 정점을 상기 피접속체와의 접점으로 함과 동시에, 해당 접점에서의 법선이 상기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뻗고, 더욱이 상기 접촉부는 상기 흡착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에 대한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통해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판재치부는 상기 납땜접속부와 해당 납땜접속부에 근접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접촉하는 기판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납땜접속부와 상기 기판접촉부와의 사이에 역U자형 유턴절곡부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경사면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콘택트에 따르면 한 장의 금속판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피접속체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콘택트에 있어서, 회로기판 상에 납땜접속되는 납땜접속부와, 상기 피접속체에 접촉하는 만곡한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부품수가 하나로도 해결되고, 절삭 가공도 불필요하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전기콘택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이루고, 회로 기판 상에 재치되는 기판재치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회로기판 상에 자립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뻗는 수평면을 갖는 흡착부를 스프링영역에 구비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흡착부를 이용하여 전기콘택트 단일체를 부품 실장 장치에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는 만곡한 부분의 정점을 피접속체와의 접점으로 함과 동시에 해당 접점부에서의 법선이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뻗기 때문에, 접촉부에 대해 피접속체가 회로기판에 대한 수평 방향에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는 흡착부에서 회로기판에 대한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통해 뻗어 있기 때문에 피접속체가 회로기판에 대한 수직 방향에서 경사면을 통해 접촉부에 대해 접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콘택트의 실시 형태를 정면 경사 상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를 배면 경사 상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의 우측면도이며,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에 대한 수평 방향에서 전기콘택트에 접촉하는 피접속체를 함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의 우측면도이며,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에 대한 수직 방향에서 전기콘택트에 접촉하는 피접속체를 함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종래예의 전기콘택트를 회로기판 및 섀시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은 종래의 다른 예의 전기콘택트를 구비한 전기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A)는 정면 경사 상방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B)는 배면 경사 하방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또 다른 예의 전기콘택트를 회로기판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전기콘택트(1)는 피접속체(20)를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전기콘택트(1)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의 배터리 접속, 회로기판 사이의 접지접속, 스마트폰이라 불리는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접속 등에 사용된다. 전기콘택트(1)는 목적에 따라 단수 혹은 복수 사용된다.
여기서 전기콘택트(1)는 한 장의 금속판을 타발 및 휨가공하여 형성된 일체 부품이 된다. 전기콘택트(1)는 회로기판(PCB)에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이루어 회로기판(PCB) 상에 재치되는 기판재치부(2)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재치부(2)는 회로기판(PCB)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이루어 회로기판(PCB) 상에 재치되기 때문에 리플로어 납땜접속 시에 납땜크림 상에 전기콘택트(1)는 자립할 수 있다. 기판재치부(2)는 납땜접속부(3)와 기판접촉부(4)를 구비하고있다.
납땜접속부(3)는 회로기판(PCB)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구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회로기판(PCB) 상에 납땜접속된다. 기판접촉부(4)는 납땜접속부(3)에 대해 근접한 후방부분(도 6의 우측부분)에 설치되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로기판(PCB)에 접촉하게 되어있다. 납땜접속부(3)와 기판접촉부(4)와의 사이에는 역U자형 유턴절곡부(5)가 설치되어있다. 유턴절곡부(5)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전기콘택트(1)는 납땜접속부(3)에 스프링영역(9)을 통해 설치된 접촉부(8)와 스프링영역(9)에 설치된 흡착부(7)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영역(9)은 유턴절곡부(5)와, 기판접촉부(4)와, 기판접촉부(4)에서 일어나는 기립부(6)와, 기립부(6)에서 뻗는 흡착부(7)와 경사부(10)로 구성되어 있다.
기립부(6)는 기판접촉부(4)에서 시작하여 도 5와 같이 배면에서 보아 대략 구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기립부(6)의 양측에는 한 쌍의 절결(6a)이 형성되어 있다.
흡착부(7)는 기립부(6)의 상단에서 회로기판(PCB)에 대해 수평 방향 전방으로 뻗는 수평면(7a)을 갖는다. 이 수평면(7a)의 평면 형상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으로 되어있다. 이 흡착부(7)의 수평면(7a)을 이용하여 전기콘택트(1) 단일체를 부품 실장 장치에서 흡착할 수 있다. 납땜접속부(3)의 저면에서 흡착부(7)의 수평면(7a)까지의 높이(H:도 4참조)는 본 실시예의 경우 약 2.86mm로 되어 있다. 또한, 흡착부(7)의 폭(w:도 3참조) 및 기립부(6)의 폭은 본 실시예의 경우 약 2mm로 되어 있다. 더욱이 수평면(7a)의 전후 방향 길이(LH :도 3 및 도 6참조)는 본 실시예의 경우 약 1.0mm로 되어 있다.
접촉부(8)는 피접속체(20)에 접촉하도록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8)는 도 6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한 부분의 정점을 피접속체(20)와의 접점(8a)으로 함과 동시에 접점(8a)의 법선(n)이 회로기판(PCB)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접촉부(8)는 흡착부(7)에서 회로기판(PCB)에 대한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10a)을 갖는 상기 경사부(10)를 통해 뻗어 있다. 경사면(10a)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10)의 흡착부(7)에 대한 경사 각도(θ:도 6참조)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약 136°로 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8)의 폭(WC:도 3참조)는 본 실시예의 경우 약 1.2mm로 되어 있다. 또한, 기립부(6)의 배면에서 접촉부(8)의 전방향 전단까지의 길이(L:도 3참조)는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약 2.8mm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기콘택트(1)를 회로기판(PCB) 상에 실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기콘택트(1)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재치부(2)에 의해 회로기판(PCB) 상에 재치하고, 전기콘택트(1) 단일체를 회로기판(PCB) 상에 자립시킨다. 이 작업을 할 때 흡착부(7)의 수평면(7a)을 이용해 전기콘택트(1) 단일체를 부품 실장 장치에서 흡착할 수 있다. 여기서 기판접속부(2)의 납땜접속부(3)를 회로기판(PCB)의 도전 패드(미도시) 상의 납땜크림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기판재치부(2)는 회로기판(PCB)에 대해 수평으로 확장된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전기콘택트(1)는 전도되기 어렵다.
그 후, 납땜접속부(2)를 리플로어 납땜접속한다. 이에 따라 전기콘택트(1)는 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다. 여기서 하우징을 이용하지 않고 전기콘택트(1) 단일체만을 회로기판(PCB)에 실장하므로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용을 싸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콘택트 배치의 베리에이션(variation)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접속체(20)를 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전기콘택트(1)에 접촉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접속체(20)가 전기콘택트(1)에 대해 회로기판(PCB)에 대한 수평 방향 (화살표 A방향, 즉 앞에서 뒤로의 방향)에서 접속되는 때에는 피접속체(20) 설치된 도전성 패드 (미도시)가 회로기판(PCB)에 대한 수평 방향에서 접촉부(8)의 접점(8a)에 접촉한다. 이때, 접점(8a)에서의 법선(n)이 회로기판(PCB)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피접속체(20)는 아무런 지장없이 접점(8a)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피접속체(20)와 회로기판(PCB)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피접속체(20)가 수평 방향으로 더욱 밀어 넣어져 스프링영역(9)이 변형하여 접촉부(8)가 수평 방향으로 소정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접촉 완료한다. 전기콘택트(1)는 이 접촉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스프링영역(9)에서의 흡착부(7)에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나 기립부(6)의 양 측부에 절결(6a)을 설치하여 기립부(6)쪽으로 응력을 분산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접속체(20)가 전기콘택트(1)에 대해 회로기판(PCB)에 대한 수직 방향 (화살표 B방향, 즉 위에서 아래로의 방향)에서 접속되는 때에는 먼저 피접속체(20)가 경사부(10)의 경사면(10a)에 접촉한다. 그리고 피접속체(20)를 더욱 수직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피접속체(20)는 경사부(10) 및 접촉부(8)를 이동시키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영역(9)이 변형하여 접촉부(8)의 접점(8a)가 수평 방향으로 소정위치까지 이동하여 피접속체(20)의 도전 패드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피접속체(20)와 회로기판(PCB)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접촉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촉부(8)는 접점(8a)의 법선(n)이 회로기판(PCB)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뻗으므로, 접촉부(8)에 대해 피접속체(20)가 회로기판(PCB)에 대한 수평 방향에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8)는 흡착부(7)에서 회로기판(PCB)에 대한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10a)을 통해 뻗어 있기 때문에 피접속체(20)가 회로기판(PCB)에 대한 수직 방향에서 경사면(10a)을 통해 접촉부(8)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전기콘택트(1)는 한 장의 금속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회로기판(PCB) 상에 납땜접속되는 납땜접속부(3)와, 납땜접속부(3)에 대해 스프링영역(9)을 통해 설치되고, 피접속체(20)에 접촉하는 만곡한 접촉부(8)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피접속체를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전기콘택트가 단일체로 구성되어 부품수가 1점으로 해결되고, 절삭 가공도 불필요하여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피접속체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콘택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턴절곡부(5)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재치부(2:납땜접속부(3))의 전단은 접촉부(8)의 접점(8a)보다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 있다. 이것은 레이아웃의 제약에 의한 것이다. 이 경우 접촉부(8)의 접점(8a)이 기판재치부(2:납땜접속부(3))의 전단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콘택트(1)를 회로기판(PCB) 상에 자립시킨 때에 접촉부(8)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 전기콘택트(1)가 전도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유턴절곡부(5)를 납땜접속부(3)와 기판접촉부(4)의 사이에 설치하면, 그만큼 기판재치부(2)에서의 질량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전기콘택트(1)를 회로기판(PCB) 상에 자립시킨 때, 접촉부(8)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 전기콘택트(1)가 전도해버리는 우려를 최대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역U자형 유턴절곡부(5)를 설치함으로써 스프링영역(9)에서의 스프링길이를 그만큼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역U자형 유턴절곡부(5)를 설치함으로써, 납땜접속부(3)에 대해 유턴절곡부(5)가 쿠션 역할을 하여 납땜접속부(3)에 대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역U자형 유턴절곡부(5)는 접촉부(8)에 대한 납땜상승을 방지하고, 나아가 납땜에 의한 스프링영역(9)의 경직화를 저감하는 기능도 더불어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경사면(10a)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 (10a)은 곡선상이나 만곡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그러나 경사면(10a)이 곡선상이나 만곡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만곡하여 형성된 접점(8a)을 포함하는 접촉부(8)가 경사면(10a)의 만곡부와 혼동하여 접촉부(8)의 위치가 경사면(10a)측으로 이동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스프링영역(9)의 스프링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경사면(10a)은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경, 개량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재치부(2)는 납땜접속부(3)와 기판접촉부(4)로 구성되고, 납땜접속부(3)가 기판재치부(2)의 일부에 형성된 형태가 되어 있지만, 납땜접속부(3)만으로 기판접속부(2)를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납땜접속부(3)은 기립부(6)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기판접촉부(4) 및 유턴절곡부(5)를 없앤 것으로 한다.
또한 전기콘택트(1)의 치수(납땜접속부(3)의 저면에서 흡착부(7)의 수평면(7a)까지의 높이(H), 흡착부(7)의 폭(w) 및 기립부(6)의 폭, 수평면(7a)의 전후 방향 길이(LH,), 경사부(10)의 흡착부(7)에 대한 경사각도(θ), 접촉부(8)의 폭(WC), 기립 부(6)의 배면에서 접촉부(8)의 전방향 전단까지의 길이(L)를 포함하는 치수)는 본 실시 형태에서 언급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1: 전기콘택트 2: 기판재치부
3: 납땜접속부 4: 기판접촉부
5: 유턴절곡부 7: 흡착부
7a: 수평면 8: 접촉부
8a: 접점 9: 스프링영역
10a: 경사면 20: 피접속체
n: 법선 PCB: 회로 기판

Claims (3)

  1. 한 장의 금속판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피접속체를 회로기판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전기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이루고, 상기 회로기판 상에 재치되는 기판재치부;
    해당 기판재치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 상에 납땜접속되는 납땜접속부;
    해당 납땜접속부에 대해 스프링영역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피접속체에 접촉하는 만곡한 접촉부; 및
    상기 스프링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뻗는 수평면을 갖는 흡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만곡한 부분의 정점을 상기 피접속체와의 접점으로 함과 동시에, 해당 접점에서의 법선이 상기 회로기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뻗고, 더욱이 상기 접촉부는 상기 흡착부에서 상기 회로기판에 대한 수직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을 통해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택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재치부는 상기 납땜접속부와 해당 납땜접속부에 근접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접촉하는 기판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납땜접속부와 상기 기판접촉부와의 사이에 역U자형 유턴절곡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택트.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택트.
KR1020127006028A 2009-09-14 2010-09-10 전기 콘택트 KR201200801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1645 2009-09-14
JP2009211645A JP2011060694A (ja) 2009-09-14 2009-09-14 電気コンタク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169A true KR20120080169A (ko) 2012-07-16

Family

ID=4373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028A KR20120080169A (ko) 2009-09-14 2010-09-10 전기 콘택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21198B2 (ko)
JP (1) JP2011060694A (ko)
KR (1) KR20120080169A (ko)
CN (1) CN102511112A (ko)
WO (1) WO20110305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9524B2 (en) 2010-12-28 2020-05-05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CN103477501A (zh) * 2011-04-20 2013-12-25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连接器以及连接器的制造方法
JP5129372B1 (ja) * 2011-08-01 2013-01-3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その実装方法
DE102012213806A1 (de) * 2012-08-03 2014-02-06 Robert Bosch Gmbh Kontaktanordnung zum elektrischen Kontaktieren einer Leiterplatte
US8956194B2 (en) * 2013-05-07 2015-02-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Battery connector and electrical terminal thereof
JP6247848B2 (ja) * 2013-07-11 2017-12-1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WO2015017493A1 (en) 2013-07-30 2015-02-05 FCI Asia Pte. Lt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WO2015085166A1 (en) 2013-12-06 2015-06-11 FCI Asia Pte. Lt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KR102118176B1 (ko) * 2013-12-13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용 접속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D764412S1 (en) * 2014-05-19 2016-08-23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JP6224551B2 (ja) * 2014-05-23 2017-11-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とその製造方法
US10312608B2 (en) 2015-03-03 2019-06-04 Fci Usa Llc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20170162964A1 (en) * 2015-12-08 2017-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rd edge connectors
JP6501717B2 (ja) * 2016-02-18 2019-04-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接続端子
JP6695769B2 (ja) * 2016-09-30 2020-05-2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
CN206364218U (zh) * 2016-12-20 2017-07-2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7994377B (zh) * 2017-03-14 2020-12-22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及端子
US10348015B2 (en) 2017-11-13 2019-07-09 Te Connectivity Corporation Socket connector for an electronic package
JP6903331B2 (ja) * 2018-03-29 2021-07-14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7154579B2 (ja) 2018-11-08 2022-10-18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2349B2 (ja) * 2000-06-29 2003-09-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04055243A (ja) 2002-07-18 2004-02-19 Smk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用ピン型端子及び該ピン型端子を使用した押し当て式コネクタ
TW547801U (en) * 2002-11-13 2003-08-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455556B2 (en) * 2003-06-11 2008-11-25 Cinch Connectors, Inc. Electrical contact
JP2005129374A (ja) * 2003-10-24 2005-05-19 Smk Corp コネクタ
JP3905518B2 (ja) * 2004-01-23 2007-04-18 ケル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2009032440A (ja) 2007-07-25 2009-02-12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71909A1 (en) 2012-07-05
CN102511112A (zh) 2012-06-20
JP2011060694A (ja) 2011-03-24
US8821198B2 (en) 2014-09-02
WO2011030553A1 (ja)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0169A (ko) 전기 콘택트
US7549882B2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US7556509B1 (en) Bus bar connector for connecting bus bar terminal to printed circuit board
US2013015748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915760B2 (en) Surface mount clip
US888850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7247051B2 (en) Adaptable electrical connector
US8047857B1 (en) Battery connector
US889999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older ball positioned in an insulative housing accurately
JP3120076U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755977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ly an antenna module to a grounding plate
US8523605B2 (en) Loop connector and closed-circuit forming connector
KR101372079B1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US7866989B1 (en) Electrical connector seated in printed circuit board
US8221149B2 (en) Card connector
KR20160110074A (ko) 접속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모듈
US20120295455A1 (en) Grounding unit for high-frequency connector and high-frequency connector module having the same
JP2010123589A (ja) 電子部品の端子構造
KR20110095255A (ko) 전기 커넥터
KR20200008814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JP543253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6081670A (ja) 線状導体接続用端子
US7316571B1 (en) Support structure of circuit module
US20050277332A1 (e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CN100429833C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