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823A -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823A
KR20120079823A KR1020120033620A KR20120033620A KR20120079823A KR 20120079823 A KR20120079823 A KR 20120079823A KR 1020120033620 A KR1020120033620 A KR 1020120033620A KR 20120033620 A KR20120033620 A KR 20120033620A KR 20120079823 A KR20120079823 A KR 20120079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media
unit
transport path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6298B1 (ko
Inventor
이창진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120033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29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가 인입 또는 인출되기 위한 매체입출부; 인입 또는 인출되기 위한 매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별부; 상기 매체입출부를 통해 인입된 매체나 상기 매체입출부를 통해 인출될 매체를 보관하는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 상기 감별부에서 불량 매체로 판단된 매체 또는 고객의 미수취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보관함; 상기 감별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1이송로; 상기 감별부를 통과하는 제2이송로; 및 상기 감별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3이송로를 포함하고, 매체는, 상기 제1이송로, 제2이송로, 제3이송로 각각에서 일방향으로만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예를 들면, 지폐, 수표 등)를 입금 또는 출금하거나, 매체를 이체할 수 있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가 입출되는 매체입출부와, 정상 매체가 보관되는 보관부와, 불량 매체 또는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 등이 보관되는 회수함을 포함한다. 상기 보관부는 일반적으로 다수 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는 매체가 이송되기 위한 다수의 이송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이송로 각각에서 매체가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매체의 이송 제어가 간단해지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매체가 인입 또는 인출되기 위한 매체입출부; 인입 또는 인출되기 위한 매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별부; 상기 매체입출부를 통해 인입된 매체나 상기 매체입출부를 통해 인출될 매체를 보관하는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 상기 감별부에서 불량 매체로 판단된 매체 또는 고객의 미수취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보관함; 상기 감별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1이송로; 상기 감별부를 통과하는 제2이송로; 및 상기 감별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3이송로를 포함하고, 매체는, 상기 제1이송로, 제2이송로, 제3이송로 각각에서 일방향으로만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각 이송로에서 매체가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으므로, 이송을 제어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이송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간단해지고, 이송 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불량 매체 및 미수취 매체가 단일의 회수보관함 내에 수납될 수 있으므로, 회수보관함을 인출하거나 인입하는 작업하는 시간이 줄어들 수 있고, 관리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회수 시의 이송경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1)는 매체입출부(11)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입출부(11)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터에 의해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매체출입부(11)는, 고객이 매체를 수납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매체를 하나씩 분리하여 이송하기 위한 픽업수단과, 고객이 매체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이송된 매체를 함께 집적하기 위한 집적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는 감별부(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별부(20)는 매체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거나, 불량 매체를 판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감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감별부(20)는 매체의 크기나 색상, 이미지 등의 상태를 감지하여 매체의 종류를 식별하거나 불량 매체를 판별한다.
또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는 임시집적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집적부(30)는 고객이 매체를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에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입출부(11)를 통하여 수납된 매체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임시집적부(30)에 집적된 매체는 고객이 매체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할 매체보관부(40)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는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부(40)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보관부(40)는 상기 감별부(20)에서 불량 매체로 구분되지 않은 정상 매체를 수납하고, 매체 인출 명령이 입력되면 집적된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매체보관부(40)에는 이송된 매체가 인입되기 위한 매체입구와, 상기 매체보관부(40) 내부에 집적된 매체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매체출구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매체보관부(40)의 외관을 구성하는 박스의 상단에 상기 매체입구와 매체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매체보관부(4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나란히 집적되도록 하는 매체 집적수단과, 집적된 매체를 하나씩 분리하여 외부로 이송하는 매체 픽업수단이 함께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구성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매체보관부(40)는 중력 방향으로 매체가 집적될 수 있도록 중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의 내부에서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에 복수의 매체보관부(4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매체보관부(4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금융자동화기기(1)는 불량 매체 등을 보관하기 위한 회수보관함(60)과, 상기 회수보관함(60)으로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반송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보관함(6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회수부(61, 62, 63)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회수부(61, 62, 63)는 제1회수부(61), 제2회수부(62) 및 제3회수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수부(61)에는 매체의 입금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감별부(20)에 의해서 불량 매체로 판별된 매체들이 집적된다. 상기 제2회수부(62)에는 상기 매체보관부(40)에 집적된 매체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감별부(20)에 의해서 불량 매체로 판별된 매체들이 집적된다. 상기 제3회수부(63)에는 매체 인출 과정에서 사용자가 매체 인출 명령을 입력한 후, 상기 매체입출부(11)로 인출된 매체를 일정시간 이상 수취하지 않은 경우 상기 매체입출부(11)로 인출되었던 매체가 수거되어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회수부(61, 62, 63)는 상기 회수보관함(60) 내부의 공간이거나, 상기 회수보관함(60)에 별도로 수용되는 개별적인 보관함일 수 있다.
상기 회수보관함(60)은, 각각의 회수부(61, 62, 63) 내부로 매체를 인입시키기 위한 다수의 매체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각 회수부(61, 62, 63)에는 매체의 가지런한 집적을 위한 매체 집적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회수부(61, 62, 63)가 상기 회수보관함(60)에 수용되는 별도의 보관함인 경우에는 상기 각 회수부(61, 62, 63)에도 매체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수보관함(60)으로 이송되기 위한 매체는 상기 반송장치(50)으로 이송된 후에 상기 다수의 회수부(61, 62, 63) 중 하나로 분배된다. 이 때, 상기 다수의 회수부(61, 62, 63)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회수보관함의 매체입구는 상기 회수보관함(60) 또는 상기 회수부(61, 62, 63)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반송장치(50)에는 매체가 인입되기 위한 하나의 매체입구와, 매체가 반출되기 위한 다수의 매체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매체출구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매체보관함(40), 상기 반송장치(50) 및 상기 회수보관함(6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보관함(40), 상기 반송장치(50) 및 상기 회수보관함(60)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배치에 의해서 상기 매체보관함(40), 상기 반송장치(50) 및 상기 회수보관함(60)은 단일의 금고(7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보관함(40)을 위한 금고와 별도로 상기 회수보관함(60)을 위한 금고가 구비될 필요가 없고, 단일의 금고 내에 상기 매체보관함(40), 상기 반송장치(50) 및 상기 회수보관함(60)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금고(70)는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에서 하측부에 배치된다.
도 1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금고에는 매체가 상기 매체보관함(40)으로 이송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매체입구와, 매체가 상기 반송장치(50)로 인입되기 위한 제2매체입구와, 상기 매체보관함(40)의 매체가 반출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매체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는, 매체가 이송되기 위한 다수의 이송로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이송로는, 크게 상기 감별부(20)를 중심으로 상기 감별부(20)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1이송로(81)와, 상기 감별부(20)를 통과하는 제2이송로(82)와, 상기 감별부(2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3이송로(83)를 포함한다.
상기 제3이송로(83)는 상기 매체보관함(40), 상기 반송장치(50) 및 상기 회수보관함(60)의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3이송로(83)를 따라 이송되는 매체가 상기 매체보관함(40) 또는 상기 반송장치(50)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매체입출부(13), 상기 임시 집적부(3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40) 각각은, 상기 제1이송로(81), 제2이송로(82), 제3이송로(83) 중 하나 이상과 매체 인입을 위한 제1패스와, 상기 제1패스와 독립적인 패스이며, 매체 인출을 위한 제2패스에 의해서 연결된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금고 자체 비용 및 금고의 설치 비용이 줄어들 수 있고, 회수보관함이 매체보관함의 측방에 위치됨에 따라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불량 매체 및 미수취 매체가 단일의 회수보관함 내에 수납될 수 있으므로, 회수보관함을 인출하거나 인입하는 작업하는 시간이 줄어들 수 있고, 관리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회수 시의 이송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상기 금융자동화기기(1) 내부에 구비되는 이송로 상에는 하나의 경로로부터 둘 이상의 다른 경로로 이송 경로가 나뉠 때 매체의 이송 방향을 제어하는 분기부가 다수 구비된다. 이와 같은 분기부는 도 2에서 점으로 표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매체를 수납(입금)하는 경우, 상기 매체입출부(11)로 매체가 인입된다. 상기 매체입출부(11)에서는 매체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감별부(20)로 이송한다. 즉, 매체는 상기 제2이송로(82)를 따라 제2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감별부(20)를 지난 매체는 제1분기부(91)에 의해서 제2분기부(92) 측으로 이송된다. 그 다음 매체는 상기 제2분기부(92)에 의해서 상기 임시집적부(30)로 이동된다. 다만 상기 감별부(20)에서 불량 매체로 판별된 매체는 상기 제2분기부(91)에서 제1이송로(81)를 따라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제1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매체입출부(11)로 되돌아 온다.
상기 임시집적부(30)에 매체가 집적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매체의 수납을 최종 결정하면(고객이 입금 처리 명령을 입력한 경우임), 상기 임시집적부(30)에 집적된 매체는 다시 제2분기부(92)에 의해서 제3분기부(93)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3분기부(93) 측으로 이동된 매체는 상기 제3분기부(93)에 의해서 상기 감별부(20)로 이송된다. 상기 감별부(20)에서는 매체의 종류나 매체 훼손 또는 불량 여부를 판별한다.
정상 매체의 경우 상기 제3이송로(83) 입구의 제4분기부(94)에 의해서 오른쪽 방향(제3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금고(70)를 통과한 후 상기 매체보관부(40)에 집적된다. 반면, 불량 매체의 경우, 상기 제4분기부(94)에서 상기 반송장치(50)로 이송된다. 상기 반송장치(50)로 이송된 불량 매체는 제5분기부(95)에 의해서 상기 제1회수부(61)로 이송된다.
한편, 매체를 인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매체보관부(40)에서 매체가 하나씩 픽업되어 상기 매체보관부(40) 외부로 반출되고, 제3이송로(83) 및 제2이송로(82)를 따라 상기 감별부(20)로 이동된다. 상기 감별부(20)에서는 매체의 훼손, 위조 등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불량 매체로 판별된 매체는 상기 제1분기부(91)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송되고 상기 제4분기부(94)에 의해서 상기 반송장치(50)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반송장치(50)로 이송된 불량 매체는, 제5분기부(95) 및 제6분기부(96)에 의해서 상기 제2회수부(62)로 집적된다. 이와 달리 상기 감별부(20)에서 정상 매체로 구분된 매체는 상기 제1이송로(81)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제3분기부(93)에 의해서 상기 매체입출부(11)로 전달된다.
한편, 위와 같이 매체를 인출하는 경우, 상기 매체입출부(11)로 매체가 이송되었으나 일정시간 이상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매체입출부(11)에 머무르던 매체는 상기 감별부(20)를 지나 상기 반송장치(50)로 전달되고, 상기 제5분기부(95) 및 제6분기부(96)에 의해서 상기 제3회수부(62)로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매체입출부 20: 감별부
30: 임시집적부 40: 매체보관부
50: 반송장치 60: 회수보관함

Claims (9)

  1. 매체가 인입 또는 인출되기 위한 매체입출부;
    인입 또는 인출되기 위한 매체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별부;
    상기 매체입출부를 통해 인입된 매체나 상기 매체입출부를 통해 인출될 매체를 보관하는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
    상기 감별부에서 불량 매체로 판단된 매체 또는 고객의 미수취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보관함;
    상기 감별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제1이송로;
    상기 감별부를 통과하는 제2이송로; 및
    상기 감별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3이송로를 포함하고,
    매체는, 상기 제1이송로, 제2이송로, 제3이송로 각각에서 일방향으로만 이송되는 금융자동화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매체의 입금을 위하여, 상기 매체입출부로 투입된 매체는, 상기 제2이송로를 따라 제2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감별부를 지나 임시 집적부에 집적되고,
    매체의 입금 처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임시 집적부에 집적된 매체는 상기 제3이송로로 이송된 후에 상기 제3이송로에서 제3방향으로 이송되다가 상기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 또는 상기 회수보관함으로 이송되어 보관되는 금융자동화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매체의 입금 처리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임시 집적부에 집적된 매체는 상기 제1이송로를 따라 제1방향으로 이송되고, 그 다음 상기 제2이송로를 따라 상기 감별부를 다시 지난 후에 상기 제3이송로를 따라 이송되는 금융자동화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별부를 다시 지난 매체가 정상 매체로 판단되면, 상기 제3이송로 상의 정상 매체가 상기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에 보관되고,
    상기 감별부를 다시 지난 매체가 불량 매체로 판단되면, 상기 제3이송로 상의 불량 매체가 상기 회수보관함으로 이송되어 보관되는 금융자동화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입출부, 상기 임시 집적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 각각은, 상기 제1이송로, 제2이송로, 제3이송로 중 하나 이상과 매체 인입을 위한 제1패스와, 매체 인출을 위한 제2패스에 의해서 연결되는 금융자동화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매체의 입금을 위하여, 상기 매체입출부로 투입된 매체는, 상기 제2이송로를 따라 제2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감별부를 지나고,
    상기 감별부를 지난 매체가 불량 매체로 판단되면,
    불량 매체는, 상기 제1이송로를 따라 제1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매체입출부로 방출되는 금융자동화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매체의 출금을 위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매체보관함에서 방출된 매체는, 상기 제3이송로를 따라 제3방향으로 이송된 후에 상기 제2이송로를 따라 제2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감별부를 지나고,
    상기 감별부를 지난 매체는 상기 제1이송로를 따라 제1방향으로 이송된 후에 상기 매체입출부로 방출되는 금융자동화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입출부로 방출된 매체가 미수취된 경우, 상기 매체입출부에 존재하는 매체는 상기 제2이송로를 따라 제2방향으로 이송되고 상기 감별부를 지난 후에 상기 제3이송로를 따라 제3방향으로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상기 회수보관함에 회수되는 금융자동화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로 및 상기 제3이송로에서의 매체의 이송 방향은 동일하고,
    상기 제2이송로의 매체의 이송방향은 상기 제1이송로 및 상기 제3이송로에서의 매체의 이송방향과 반대인 금융자동화기기.
KR1020120033620A 2012-03-30 2012-03-30 금융자동화기기 KR101226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620A KR101226298B1 (ko) 2012-03-30 2012-03-30 금융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620A KR101226298B1 (ko) 2012-03-30 2012-03-30 금융자동화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782A Division KR101272388B1 (ko) 2011-01-05 2011-01-05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823A true KR20120079823A (ko) 2012-07-13
KR101226298B1 KR101226298B1 (ko) 2013-01-24

Family

ID=4671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620A KR101226298B1 (ko) 2012-03-30 2012-03-30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9123A1 (en) 2015-04-23 2016-11-02 LG CNS Co., Ltd. Financia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732B1 (ko) * 2016-12-26 2019-01-22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금융기기
KR102528781B1 (ko) * 2020-12-23 2023-05-0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매체 저장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873B1 (ko) * 2008-06-09 2011-01-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현금자동입출금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9123A1 (en) 2015-04-23 2016-11-02 LG CNS Co., Ltd. Financial device
US10395224B2 (en) 2015-04-23 2019-08-27 Atec Ap Co., Ltd. Financial device having a replaceable module for performing replenishment or collection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298B1 (ko)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23422B (zh) 一种循环机芯钞票传送通道的结构及钞票传送方法
KR101272388B1 (ko) 금융자동화기기
CN104134293A (zh) 媒介处理装置及金融设备
CN102385770B (zh) 纸张类处理装置
KR20100127697A (ko) 지폐 거래 장치
JP2013164802A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紙幣処理方法
JP6018708B2 (ja) 紙幣取扱装置
CN104346864A (zh) 自动交易装置
KR101226298B1 (ko) 금융자동화기기
CN106157466A (zh) 纸币残留检测方法及装置
KR101729389B1 (ko) 금융기기
JP2016218965A (ja) 紙幣取扱装置
KR20160066164A (ko) 다권종 환류카세트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운용방법
KR101480606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798289B1 (ko) 매체 처리 장치
KR102012406B1 (ko) 금융 기기
JP2007172442A (ja) 紙幣入出金機
KR101579379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93807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02946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방법과 그의 금융기기
CN108573564B (zh) 纸币处理装置及纸币处理方法
KR101873387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616622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6110171A (ja) 紙幣取扱装置
KR101618960B1 (ko)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