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709A -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709A
KR20120079709A KR1020110001053A KR20110001053A KR20120079709A KR 20120079709 A KR20120079709 A KR 20120079709A KR 1020110001053 A KR1020110001053 A KR 1020110001053A KR 20110001053 A KR20110001053 A KR 20110001053A KR 20120079709 A KR20120079709 A KR 20120079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ter reading
reading data
verif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3214B1 (ko
Inventor
정수미
이성훈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2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검침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오류가 있는 검침데이터를 일정한 규칙에 의해 정정하여 수용가 에너지 사용량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에너지 공급자 일변도의 계량 시스템에서 벗어나, 사업자와 최종 소비자인 수용가 사이에 양방향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MI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검침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은, 수용가의 검침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검침데이터를 독출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데이터 검증부; 및 상기 데이터 검증부의 유효성 판단의 기반이 되는 검증룰을 설정하는 룰설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검증부의 유효성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가의 상기 검침데이터 검침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을 추산하는 데이터 추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룰설정부는 상기 데이터 추산부의 에너지 사용량 추산의 기반이 되는 추산룰을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방법{METER DATA VERIFY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수용가의 에너지 사용량을 검침한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검침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수용가의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추산함으로써, 검침데이터에 신뢰성을 부여하고 소비자에게 정확한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검침 시스템(AMR :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은 멀리 떨어진 지점의 측정 대상으로부터 측정 결과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데이터를 컴퓨터에서 처리하는 것을 나타낸다.
원격검침 시스템은 검침 요원이 일일이 방문할 필요 없이 에너지 사용량 검침을 컴퓨터와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시스템으로서, 데이터 수집장치로 계량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정보를 통신 처리 장치를 통해서 계량 서버에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완전히 자동화하여 검침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은 수용가측의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여 검침데이터를 생성하는 에너지 계량기(100), 복수의 에너지 계량기(100)로부터 수용가의 에너지 검침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검침 서버(120)로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110, Data Collecting Unit : DCU) 및 복수의 데이터 수집 장치(110)로부터 검침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검침 서버(120)로 구성된다. 종래의 원격검침 시스템에 따르면, 수용가측 소비자(130)는 웹 프로그램을 통해 검침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조회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원격검침 시스템은 전력사업자의 전력 계량 정보를 취득하여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집되었다는 점에서, 검침데이터가 정확한지, 에너지 소비량이 과도한지 여부 등 검침데이터의 신뢰성 및 에너지 소비 효율 등에 관한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수 없는 일방적 구조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전통적인 에너지 공급자 중심의 시스템 한계를 극복하고 실시간 수요자원 데이터 관리 및 응용분야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사업자와 최종 소비자인 수용가 사이에 양방향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구축과 함께, AMI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검침데이터 관리(Meter Data Management : MDM) 시스템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원격검침 시스템에서는 에너지 계량기가 고장나거나, 검침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하여 수용가측 소비자의 에너지 사용량이 잘못 측정된 경우에도, 발생한 오류를 수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검침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오류가 있는 검침데이터를 일정한 규칙에 의해 정정하여 수용가 에너지 사용량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에너지 공급자 일변도의 계량 시스템에서 벗어나, 사업자와 최종 소비자인 수용가 사이에 양방향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MI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검침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제 1 발명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은, 수용가의 검침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검침데이터를 독출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데이터 검증부; 및 상기 데이터 검증부의 유효성 판단의 기반이 되는 검증룰을 설정하는 룰설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검증부의 유효성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용가의 상기 검침데이터 검침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을 추산하는 데이터 추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룰설정부는 상기 데이터 추산부의 에너지 사용량 추산의 기반이 되는 추산룰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제 2 발명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방법은, 데이터 검침부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침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검침부가 상기 검침데이터와 검증룰이 정하는 과거 검침데이터를 비교하여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값이 상기 검증룰이 정하는 오차범위내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값이 상기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데이터 추산부가 상기 수용가의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추산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추산부가 관리자에게 추산값을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추산부가 상기 추산값을 기반으로 상기 검침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침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여 검침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일정한 규칙에 의해 수용가의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추산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정확한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업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스마트그리드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검침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기반으로 수용가의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 하는 에너지 소비 시스템 구축의 기반이 되는 시스템의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침데이터의 유효성 확인(Validation), 추산(Estimating) 및 수정(Editing)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여 검침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신개념 VEE(Validation, Estimating, Editing)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관리자가 검증룰과 추산룰의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룰설정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
도 4는 추산값에 기초하여 현행 검침데이터의 수정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원격검침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검침 서버에 적용될 수 있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원격검침 시스템의 에너지 계량기는 수용가측 에너지 사용량을 수집하여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검침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데이터 수집장치(DCU)로 전송하게 된다. 검침서버는 복수의 데이터 수집장치(DCU)와 연결되어, 검침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원격검침시스템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검침데이터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200), 데이터 검증부(210), 데이터 추산부(220) 및 룰설정부(23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00)는 수용가측 에너지 계량기가 검침한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검침데이터를 저장한다. 검침데이터에는 수용가의 식별 정보를 포함되어, 각각의 검침데이터의 출처를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수용가측 에너지 계량기에는 부여된 고유의 식별값이 검침데이터에 포함되어, 검침데이터에는 수용가의 에너지 사용량 정보와 함께 수용가측 에너지 계량기의 식별값이 포함될 수 있다.
수용가측 전력 소비자는 웹(Web)을 통해 데이터베이스(200)에 접근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검침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수용가측 전력 소비자는 검침데이터로부터 특정 기간 동안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일일 에너지 사용량, 월별 에너지 사용량, 계절별 에너지 사용량, 연간 에너지 사용량 등 일정 기간을 설정하여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검침데이터는 전기, 가스, 수도, 난방, 냉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에너지 사용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검증부(210)는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검침데이터를 독출하고, 룰설정부(230)가 생성한 검증룰(230a)에 기반하여 독출한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데이터 검증부(210)는 수용가별로 수집된 검침데이터를 과거 에너지 사용 이력과 비교하고, 양자의 비교결과가 검증룰에서 지정하는 오차범위 이내인지 판단하여,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현행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수용가의 전력량을 계량하기 위한 전력량계는 월별 데이터(Monthly Data)로 한달 동안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검침데이터가 생성되어 검침 서버로 저장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데이터 검증부(210)는 월별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검침데이터가 수집되면, 수집된 검침데이터가 유효한지 검증룰을 통해 판단한다.
즉, 데이터 검증부(210)는 데이터 수집장치(DCU)로부터 검침데이터가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면, 검침데이터를 과거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하고, 비교결과가 허용오차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함으로써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데이터 검증부(210)의 유효성 판단의 대상이 되는 검침데이터를 현행 검침데이터로 정의하여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과거 에너지 사용량은 전월 검침데이터, 전년도 동기간의 검침데이터, 또는 특정 시점의 검침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된 에너지 사용량일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검침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된 일정기간 동안 수용가의 에너지 사용량의 평균값 일 수 있다.
검증룰은 과거 검침데이터에 대한 정보와 오차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과거 검침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과거 에너지 사용량의 산출 기반이 되는 검침데이터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컨대, 과거 검침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월 검침데이터로 설정한 경우, 수집된 검침데이터와 비교될 과거 에너지 사용량은 전월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사용량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이다. 데이터 검증부(210)는 과거 검침데이터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서 해당 검침데이터를 독출하여 과거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과거 에너지 사용량과 현행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함으로써, 현행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오차범위에 대한 정보는, 현행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와 과거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값의 한계 오차에 관한 설정값이다. 데이터 검증부(210)는 양자를 비교하고, 비교결과가 오차범위를 넘어서는지를 판단하여,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오차범위는 상하한값으로 설정되거나, 과거 에너지 사용량 또는 현행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사용량에 대비 차이값의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검침데이터가 전력에 관한 것일 경우, 오차범위는 ±20kW의 상하한값으로 설정되거나 과거 에너지 사용량 대비 ±30%의 특정 비율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 검증부(210)는 현행 검침데이터와 과거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하여, 양자의 비교결과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가 오차범위 이내이면 현행 검침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양자의 비교 결과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현행 검침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검증부(210)는 과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해 일일 평균 에너지 사용량(ADU : Average Daily Usage)을 산출하여 현행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과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해 일일 평균 에너지 사용량(ADU)를 산출하고, 현행 검침데이터의 검침일수를 곱한 값을 비교함으로써 현행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이다.
특히 전월 검침데이터를 기반으로 과거 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한 경우, 전월 검침일수와 현행 검침데이터의 검침일수가 달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검침일수가 달라짐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현행 검침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데이터 검증부(210)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현행 검침데이터의 유효성 판단 시각, 유효성 검증에 사용한 검증룰(230a) 정보, 현행 검침데이터의 에너지 사용량과 과거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검증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다.
관리자는 출력된 알림 메시지를 통해 현행 검침데이터의 유효성 판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검증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현행 검침데이터 유효성 판단결과의 신뢰성, 유효성 판단 과정에 사용한 검증룰(230a)의 유효적절성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검증부(210)는 미리 지정된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검침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수용가를 선별할 수 있다. 연속적으로 검침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것으로 판단된 수용가는 에너지 소비 패턴이 불규칙함을 의미하므로, 검침데이터의 검증 대상에서 제외하거나, 데이터 추산부(220)에서 데이터 추산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수용가의 검침데이터가 3회 연속으로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수용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선별된 수용가에 대해서는 다음번 수집될 검침데이터부터 데이터 검증부(210)의 검증대상에서 제외하거나 데이터 추산부(220)의 추산 과정을 거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검증부(210)에서 현행 검침데이터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데이터 추산부(220)는 룰설정부(230)가 생성한 추산룰(230b)에 기반하여 수용가의 실제 에너지 사용량 또는 에너지 사용요금을 추산한다.
추산룰(230b)은 추산과정에 사용될 추산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산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추산 과정에 적용될 과거 검침데이터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컨대, 전월 검침데이터 또는 전년도 동기간 동안의 검침데이터를 추산 과정에 적용될 검침데이터로 지정한 경우, 데이터 추산부(220)는 지정된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사용량 정보, 또는 지정된 검침데이터의 검침일수 동안의 과금 정보를 기반으로 검침데이터의 추산이 가능하다.
데이터 추산부(220)는 과거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사용량을 기반으로 현행 검침데이터의 검침일수 동안 수용가의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추산할 수 있다. 과거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사용량을 추산값으로 하고, 유효성이 없는 검침데이터에 추산값을 반영하여 현행 검침데이터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다.
이때, 과거 검침데이터의 제 1 검침일수와 현행 검침데이터의 제 2 검침일수가 달라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일 평균 사용량(ADU : Average Daily Usage)에 기초하여 추산값을 산정할 수 있다. 즉, 과거 검침데이터의 일일 평균 사용량을 수집된 검침데이터의 제 2 검침일수와 곱하여 추산값을 산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에너지 사용량을 추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데이터 추산부(220)는 과거 에너지 사용량뿐만 아니라, 과금 정보를 이용하여 검침값을 산정할 수 있다. 과거 과금 정보를 기반으로 수집된 검침데이터의 과금을 추산하여, 에너지 사용량이 아닌 사용 요금을 기반으로 추산값을 산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부하율(Load Factor)에 기반하여 추산값을 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추산부(220)가 지정된 검침데이터로부터 전력량(kW)과 단위시간당 전력량(kWh)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지정된 검침데이터의 제 1 검침일수와 현행 검침데이터의 단위시간당 전력량 및 현행 검침데이터 산정의 기반이 되는 제 2 검침일수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부하율과 추산값을 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추산값이 산정된 경우, 데이터 추산부(220)는 추산값 생성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추산값 산출 시각, 추산값 산정에 사용된 추산룰(230b)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추산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다. 관리자는 추산 이력 정보를 바탕으로, 현행 검침데이터의 추산값 산정결과의 신뢰성, 추산값 산정 과정에서 사용한 추산룰(230b)의 유효적절성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추산값이 산정된 경우, 산정된 추산값을 기초로 현행 검침데이터를 수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추산부(220)는 추산값이 산정되면, 관리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관리자가 추산값을 기초로 한 검침데이터 수정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추산부(220)는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관리자가 추산값을 적용하여 현행 검침데이터를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현행 검침데이터를 수정하고, 수정된 검침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다.
관리자는 룰설정부(230)를 통해 데이터 검증부(210)가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한 검증룰(230a)과 데이터 추산부(220)가 추산값을 산정하기 위한 추산룰(230b)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관리자가 검증룰과 추산룰의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룰설정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검증룰과 추산룰의 기반이 되는 검침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고, 검증룰과 관련하여 오차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검증룰과 추산룰의 설정이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제공되도록 설명하고 있지만, 검증룰과 추산룰의 설정은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관리자는 검증룰 또는 추산룰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인터페이스에서 검증룰 또는 추산룰의 기반이 되는 검침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검증룰의 경우, 검증룰의 기반이 되는 검침데이터를 선택함과 아울러, 관리자가 직접 오차범위를 임의로 조절하여, 상황에 따른 유연한 설정값을 제시할 수 있다.
도 4는 추산값에 기초하여 현행 검침데이터의 수정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는 수용가 정보를 통해 해당 수용가의 검침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조회 화면에는 수용가의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 검증부(210)의 유효성 판단 결과 및 데이터 추산부(220)의 에너지 사용량 추산 결과가 표시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검증이력정보 및 추산이력정보의 주소값을 링크하여 관리자가 손쉽게 검증 이력 정보 또는 추산 이력 정보에 조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관리자는 검증 이력 정보 또는 추산 이력 정보를 조회하고, 검침데이터를 데이터 추산부(220)의 에너지 사용량 추산값으로 수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검증부(210)는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검침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0)로부터 독출하고(S510), 현행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사용량과 검증룰(230a)에서 지정된 과거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과거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한다(S520). 데이터 검증부(210)는 양자의 비교 결과가 검증룰(230a)이 정하는 오차범위 내인지 판단하고(S530), 검증룰(230a)이 정하는 오차범위 내인 경우에 한하여 검침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검증룰(230a)이 지정하는 과거 검침데이터의 제 1 검침일수와 현행 검침데이터의 제 2 검침일수가 달라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일 평균 사용량을 산출하여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검침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데이터 검증부(210)는 관리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고, 유효성 검증에 사용한 검증룰(230a) 정보,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수용가의 에너지 사용량과 과거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검증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다(S540).
검침데이터가 유효성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데이터 추산부(220)는 수용가의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추산한다(S550). 데이터 추산부(220)는 관리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고, 검침데이터 추산 시각, 추산 과정에 사용된 추산룰(230b)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추산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다(S560). 관리자는 수용가의 실제 에너지 사용량 추산값에 기반하여 검침데이터를 수정할 것인지를 결정한다(S570). 검침데이터를 수정하는 경우, 데이터 추산부(220)는 수정된 검침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00)로 저장한다(S580).
본 명세서에서는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월간 검침데이터를 기준으로, 검침데이터의 검증과정 및 추산과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월간 검침데이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검침서버에 수집된 검침데이터 전부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등으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한다. 특히,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경우, 룰설정부가 생성한 룰(Rule) 데이터는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Import, Export 할 수 있도록 파일로 구현되어 타 시스템으로의 이식성, 호환성,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에너지 계량기 110 : 데이터 수집 장치
120 : 검침 서버 200 : 데이터베이스
210 : 데이터 검증부 220 : 데이터 추산부
230 : 룰설정부

Claims (13)

  1. 수용가의 검침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검침데이터를 독출하여 유효성을 판단하는 데이터 검증부; 및
    상기 데이터 검증부의 유효성 판단의 기반이 되는 검증룰을 설정하는 룰설정부
    를 포함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증부의 유효성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수용가의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추산하는 데이터 추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룰설정부는 상기 데이터 추산부의 추산 과정의 기반이 되는 추산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데이터는 상기 수용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수용가의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에너지 사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룰은 상기 검침데이터와 비교될 과거 검침데이터의 정보와 오차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증부는 상기 검침데이터와 상기 과거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하고, 상기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와 상기 오차범위를 기반으로 상기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증부는 상기 과거 검침데이터의 평균 일일 에너지 소비량을 기반으로 상기 검침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산룰은 과거 검침데이터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산부는 상기 과거 검침데이터의 에너지 사용량을 추산값으로 산정하고, 상기 추산값에 기반하여 상기 검침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산부는 상기 과거 검침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과금액을 추산값으로 산정하고, 상기 추산값에 기반하여 상기 검침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추산부는 상기 과거 검침데이터를 기반으로 부하율(Load Factor)를 산정하고, 상기 부하율에 근거하여 추산값을 산정하며, 상기 추산값에 기반하여 상기 검침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데이터에 포함된 검침 에너지의 종류는 전기, 가스, 수도, 난방 및 냉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12. 데이터 검침부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침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검침부가 상기 검침데이터와 검증룰이 정하는 과거 검침데이터를 비교하여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값이 상기 검증룰이 정하는 오차범위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값이 상기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데이터 추산부가 상기 수용가의 실제 에너지 사용량을 추산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추산부가 관리자에게 추산값을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추산부가 상기 추산값을 기반으로 상기 검침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방법.
KR1020110001053A 2011-01-05 2011-01-05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243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053A KR101243214B1 (ko) 2011-01-05 2011-01-05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053A KR101243214B1 (ko) 2011-01-05 2011-01-05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709A true KR20120079709A (ko) 2012-07-13
KR101243214B1 KR101243214B1 (ko) 2013-03-13

Family

ID=4671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053A KR101243214B1 (ko) 2011-01-05 2011-01-05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2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697B1 (ko) * 2012-11-22 2013-02-08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상수도 수용가 검침데이터 보정 방법
KR101409025B1 (ko) * 2013-05-20 2014-06-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부하 예측 장치 및 보정 방법
KR20140122010A (ko) * 2013-04-09 2014-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양광 모듈의 전력 데이터 관리 향상을 위한 검침 데이터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1671281B1 (ko) * 2015-05-18 2016-11-16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공동주택 검침장치의 이상 사용 감지 시스템
WO2020013369A1 (ko) * 2018-07-13 2020-01-16 전자부품연구원 비전 IoT를 이용한 전력량계 전력 측정문자 학습 방법
KR20210001567A (ko) * 2019-06-28 2021-01-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계측기기 신뢰성 검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4766A (ja) * 2002-09-03 2004-03-25 Kazuo Kitahara 顧客検針システム
JP2004295413A (ja) * 2003-03-26 2004-10-21 Osaka Gas Co Ltd 誤検針判定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697B1 (ko) * 2012-11-22 2013-02-08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상수도 수용가 검침데이터 보정 방법
KR20140122010A (ko) * 2013-04-09 2014-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양광 모듈의 전력 데이터 관리 향상을 위한 검침 데이터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1409025B1 (ko) * 2013-05-20 2014-06-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부하 예측 장치 및 보정 방법
KR101671281B1 (ko) * 2015-05-18 2016-11-16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공동주택 검침장치의 이상 사용 감지 시스템
WO2016186234A1 (ko) * 2015-05-18 2016-11-24 옴니시스템주식회사 공동주택 검침장치의 이상 사용 감지 시스템
WO2020013369A1 (ko) * 2018-07-13 2020-01-16 전자부품연구원 비전 IoT를 이용한 전력량계 전력 측정문자 학습 방법
KR20210001567A (ko) * 2019-06-28 2021-01-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계측기기 신뢰성 검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3214B1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214B1 (ko) 원격검침데이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Heffner et al. Innovative approaches to verifying demand response of water heater load control
George et al. High resolution measured domestic hot water consumption of Canadian homes
RU2428708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оверки измерительных приборов
JP2017531998A (ja) 電力網システムにおけるpv電力の投入及び消費のための監査の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供給の方法及びシステム
Lubkeman et al. Field results for a distribution circuit state estimator implementation
CN107563740A (zh) 电力交易购电管理平台系统及表计数据采集方法
Lamagna et al. Hourly energy profile determination technique from monthly energy bills
KR101214986B1 (ko) 옥내 누수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원격검침시스템과 옥내 누수판단 제어방법
Tang et al. Enhancement of distribution load modeling using statistical hybrid regression
KR102036166B1 (ko) 미검침 구간의 검침 데이터 예측 및 보정 방법과 그 장치
KR101848923B1 (ko) 검침데이터 검증 장치 및 방법
CN116933157A (zh) 一种窃电检测方法
KR100903196B1 (ko)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
Schofield Dynamic time-of-use electricity pricing for residential demand response: Design and analysis of the Low Carbon London smart-metering trial
KR20160074325A (ko) 기상변화에 따른 전력수요지수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Murali et al. A comparison of fixed cost based transmission pricing methods
JP2005045899A (ja) 電力取引システムおよび電力取引方法
Milligan et al. Wind integration cost and cost-causation
CN115496358A (zh) 电能表在线误差远程估计测试数据生成方法、装置和设备
Abaide et al. Assessment of the smart grids applied in reducing the cost of distribution system losses
KR101115163B1 (ko) 빌링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anale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among Standard Load Profiles for Natural Gas consumption simulation at urban scale
Bahatskyi et al. Smart Home Subsystem for Calculating the Quality of Public Utilities
KR20220007429A (ko) 통합 검침 정보 알림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