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196B1 -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196B1
KR100903196B1 KR1020070096851A KR20070096851A KR100903196B1 KR 100903196 B1 KR100903196 B1 KR 100903196B1 KR 1020070096851 A KR1020070096851 A KR 1020070096851A KR 20070096851 A KR20070096851 A KR 20070096851A KR 100903196 B1 KR100903196 B1 KR 100903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eter reading
remote meter
maximum deman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049A (ko
Inventor
김선익
조선구
유인협
고종민
정남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7009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1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31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6Energy services, e.g. dispersed generation or demand or load or energy savings aggre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검침 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 검침 관리부가 수용가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원격 검침 데이터에 포함된 전력 소비 정보에서 최대수요전력, 요금적용전력, 역률 정보, 계약전력 정보 및 기본 요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원격 검침 관리부가 상기 최대수요전력과 계약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최대수요전력이 큰 경우에 해당 수용가에게 위약금을 부과하는 최대수요전력 분석 단계, 원격 검침 관리부가 상기 최대수요전력이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최대수요전력이 계약전력의 30%로 결정되는 경우 및 월별 최대수요전력의 편차가 설정된 조건보다 큰 경우를 각각 판단하여 월별 요금적용전력을 결정하는 요금적용전력 분석 단계, 원격 검침 관리부가 상기 역률 정보가 역률 90%일 경우에 기준역률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역률이 초과 여부의 판단에 따라 월별로 상기 기본요금을 추가 및 감액하는 역률 정보 분석 단계, 및 원격 검침 관리부가 상기 계약전력이 300KW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300KW 이상일 경우에 휴가보수 지원제도, 자율절전 지원제도, 비상절전 지원제도, 직접부하제어 지원제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요관리 옵션 제도를 해당 수용가에 적용하는 수요관리 옵션 적용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이 개시된다.
원격검침 데이터, 전력 요금 컨설팅, 전력 소비량, 전력 요금제, 수용가

Description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Method for selecting optimum electricity rate schedules using data from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본 발명은 원격검침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전력요율제를 산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검침 시스템을 통해 검침 서비스를 받고 있는 전력 수용가가 원격검침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화면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력 소비 유형을 이해하고 소비 유형에 맞는 가장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수도, 유량, 전기, 가스 등의 계량기에 대한 검침을 하기 위해 검침원이 일일이 가가호호를 방문하여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직접 수기로 기록하게 되고, 검침원의 기록된 수치를 바탕으로 청구서를 작성하여 발송하는 형태로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많은 인력 비용, 방문을 통한 주민 피해, 검침원을 가장한 범죄 발생, 검침상의 어려움, 유착관계, 검침오독에 의한 부과액 증대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운영센터의 경우 비생산적인 컴퓨터 입력 정산을 통해 많은 인력과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검침이 도입되었다.
현재 원격검침을 통해 정기적인 검침이 이루어지는 전력 사용자들은 고압전력을 사용하는 수용가들로써, 기존에는 전력 요금 절감을 원하는 수용가가 개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만 전력 사용 현황과 요금을 분석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시스템 구축 및 전문 인력 고용 비용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일부 대수용가 외에는 실제 전력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전력 사용을 분석하거나 비용 절감 계획을 수립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은 여전하다.
또한 이런 이유로 전력회사의 전력 사용량 예측에 있어서도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해외의 전력 시장에 비해 높은 전력 예비율을 유지해야만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사용자가 자신의 전력 사용 시간대, 전력 사용 요금제 등을 결정하는 데 있어 원격검침 데이터를 웹상에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로 전력 소비 시간대를 이동하거나, 가장 경제적이며 수용가의 환경에 맞는 전력 요금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 사용자는 웹상에서 제공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수용가 내부의 전력 사용 패턴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장 · 단기적으로 잘못된 소비 형태가 나타났을 경우 이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전력 소비가 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은,
수용가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전력 사용 정보를 토대로 초기 표준값이나 이전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던 유사한 조건을 가져와서 수정하여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조건에 따른 월별 최대수요전력과 요금적용전력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된 최대수요전력과 요금적용전력으로부터 월별 역률정보를 체크하 는 단계와; 상기 월별 역률 정보를 체크한 후 적용 가능한 요금제 요금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하는 단계와; 상기 요금제 요금 시뮬레이션 단계 후 수요관리 옵션(휴가보수 지원제도, 자율절전 지원제도, 비상절전 지원제도, 직접부하제어 지원제도)에 대해 지원금액을 표시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하는 단계와; 상기 수요관리 옵션에 대해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후 최대수요전력 또는 부하량을 변경하며 시뮬레이션을 하는 단계와; 상기 최대수요전력 또는 부하량을 변경하는 단계 후 고객 기본정보가 유사한 고객에 있어서 사용전력량이 비슷한 고객을 찾아내 전기사용패턴을 비교해보는 단계와; 상기 유사한 고객과 전기사용패턴을 비교해보는 단계 후 상기 단계들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후 이 결과를 토대로 최전 전력요금제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최적 전력요금제를 출력하는 단계 후 처음 입력된 조건들이 변경되었는지 판별하여 변경되었다면 입력 조건을 변경시켜서 다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최적 전력요금제를 출력하는 단계 후 처음 입력된 조건들이 변경되었는지 판별하여 변경되지 않았다면 최적 전력요금제 기반의 전력소비 예측량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은 원격검침 시스템을 통해 검침 서비스를 받고 있는 전력 수용가가 원격검침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력 소비 유형을 이해하고 소비 유형에 맞는 가장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재 전력소비 유형이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상태인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제공된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가장 합리적인 요금제를 제시하거나 또는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소비자는 전력 비용 절감의 기회를 제공받으며, 전기 판매 사업자, 구역 전기 사업자 또는 에너지 서비스 제공자(ESP)는 자사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 및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전력의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원격검침 데이터 기반 전력 사용 요금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원격 검침 시스템과 수용가 단말기를 포함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에서 원격검침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원격검침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검침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네트워크를 통해 수용가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관리부(12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상기 네트워크 관리부(120)를 통해 접속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부(13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100)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을 처리하는 입출력부(14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전기판매 사업자(구역 전기 사업자 및 ESP(Energy Service Provider, 에너지 서비스 제공자) 포함)가 원격검침을 실시하고 있는 수용가(고객)를 대상으로 수집한 원격검침 데이터를 보관 및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원격검침 데이터에 포함된 전력 소비 정보를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공하는 원격검침 관리부(160)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기간별, 계량기 번호별, 시간별 전력소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전력소비 정보에 대한 사용자 패턴 분석 테이블 및 요금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표시창 관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130)는, 공인인증서를 통해 상기 수용가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로그인 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검침 시스템(100)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상기 수용가 단말기(200)에 대한 서비스 제공의 유료 또는 무료 여부를 결정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과금 처리부(18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도 2에서 원격검침 관리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검침 관리부(160)는 전력소비정보 추출부(161), 추출결과 제공부(162) 및 최적 전력요금 산출부(16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력소비정보 추출부(160)는 수용가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원격 검침 데이터에 포함된 전력 소비 정보에서 최대수요전력, 요금적용전력, 역률 정보, 계약전력 정보 및 기본 요금 정보 등을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추출결과 제공부(162)는 추출된 정보를 다양한 분석을 통해 수용가에게 제공하게 되는데, 최대수요전력 분석, 요금적용전력 분석, 역률 정보 분석 및 수요관리 옵션 적용 분석 등이 수행된다. 최대수요전력 분석은 최대수요전력과 계약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최대수요전력이 큰 경우에 해당 수용가에게 위약금을 부과하는 것을 지칭하고, 요금적용전력 분석은 최대수요전력이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최대수요전력이 계약전력의 30%로 결정되는 경우 및 월별 최대수요전력의 편차가 설정된 조건보다 큰 경우를 각각 판단하여 월별 요금적용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때, 최대수요 전력이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협의하에 계약전력을 상향조정하고, 요금적용전력이 계약전력의 30%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계약전력을 하향 조정하며, 월별 최대수요전력의 편차가 기 설정된 조건보다 큰 경우에는 월별 부하평준화를 유도하기 위한 정보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역률 정보 분석은 상기 역률 정보가 역률 90%일 경우에 기준역률로 설정하고, 기준역률이 초과 여부의 판단에 따라 기본요금을 추가 및 감액하는 것을 결정하는 것을 지칭하고, 수요관리 옵션 분석은 계약전력이 300KW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300KW 이상일 경우에 휴가보수 지원제도, 자율절전 지원제도, 비상절전 지원제도, 직접부하제어 지원제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요관리 옵션 제도를 해당 수용가에 적용하는 것을 지칭한다.
여기서, 휴가보수 지원제도라 함은 여름철 최대수요전력 발생기간 중에 일시휴가 또는 설비보수를 실시하여 자율적으로 최대 수요 전력을 조정하는 경우에 지급하는 제도이고, 자율절전 지원제도라 함은 여름철 최대수요전력 발생기간 중에 부하조정 당일 14시부터 16시 사이에 대당 수용가가 자율적으로 일정수준 이상의 전력수요를 줄이는 경우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이다.
비상절전 지원제도라 함은 해당 수용가의 사전에 약정을 체결하고, 전력수급 비상시의 요청에 따라 수용가가 자율적으로 전력사용을 줄이는 경우 지원금을 지급해 드리는 제도이며, 직접부하제어 지원제도라 함은 해당 수용가와 미리 약정을 체결하여 필요시 약정한 고객부하를 직접 제어하는 제도로서, 약정된 해당 수용가에게 일정금액의 기본 지원금과 실적 제어지원금을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비교부(163)는 추출결과 제공부(162)에서 제공된 추출결과에서 기존 전력요금 사용 내역을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최적 전력요금 산출부(164)는 데이터 비교부(163)에서 비교된 결과를 이용하여 최적의 전력요금제를 산출하는 기능이 수행되어 해당 수용가에게 최적의 전력요금제를 제안해 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검침 데이터 기반 전력 사용 요금 컨설팅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가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전력 사용 정보를 토대로 초기 표준값이나 이전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던 유사한 조건을 가져와서 수정하여 입력하는 단계(ST1)와; 상기 조건에 따른 월별 최대수요전력과 요금적용전력을 체크하는 단계(ST2)와; 상기 체크된 최대수요전력과 요금적용전력으로부터 월별 역률정보를 체크하는 단계(ST3)와; 상기 월별 역률 정보를 체크한 후 적용 가능한 요금제 요금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하는 단계(ST4)와; 상기 요금제 요금 시뮬레이션 단계 후 수요관리 옵션(휴가보수 지원제도, 자율절전 지원제도, 비상절전 지원제도, 직접부하제어 지원제도)에 대해 지원금액을 표시하기 위해 시 뮬레이션을 하는 단계(ST5)와; 상기 수요관리 옵션에 대해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후 최대수요전력 또는 부하량을 변경하며 시뮬레이션을 하는 단계(S36)와; 상기 최대수요전력 또는 부하량을 변경하는 단계 후 고객 기본정보가 유사한 고객에 있어서 사용전력량이 비슷한 고객을 찾아내 전기사용패턴을 비교해보는 단계(ST7)와; 상기 유사한 고객과 전기사용패턴을 비교해보는 단계 후 상기 단계들(ST2~ST7)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T8)와; 상기 시뮬레이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후 이 결과를 토대로 최전 전력요금제을 출력하는 단계(ST9)와; 상기 최적 전력요금제를 출력하는 단계 후 처음 입력된 조건들이 변경되었는지 판별하여 변경되었다면 입력 조건을 변경시켜서 다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단계(ST10, ST11)와; 상기 최적 전력요금제를 출력하는 단계 후 처음 입력된 조건들이 변경되었는지 판별하여 변경되지 않았다면 최적 전력요금제 기반의 전력소비 예측량을 출력하는 단계(ST10,ST12)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원격검침 데이터 기반 전력 사용 요금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원격검침 시스템을 통해 검침 서비스를 받고 있는 전력 수용가가 원격검침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화면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력 소비 유형을 이해하고 소비 유형에 맞는 가장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전기판매사업자 : 전기사업법 제7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전기판매사업의 허가를 받은 자이다.
* 구역전기사업자 : 전기사업법 제7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구역전기사업의 허가를 받은 자이며, 집단 에너지 사업자를 포함한다.
* ESP(Energy Service Provider) : 에너지 서비스 제공자로서 한전을 비롯하여 전력 판매 사업자, 민간 부하관리 사업자, 에너지 컨설팅 등을 포함하는 전력 서비스 제공자 등을 말한다.
* 전력소비 정보 : 전력 사용자가 과거에 사용한 전력소비량에 대한 정보이다.
* 사용요금 정보 : 전력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한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이다.
* 전기 판매 사업자 요금제 : 전기 판매 사업자(구역 전기 사업자, ESP 포함)가 제공하는 전력요금제 정보이다.
* 인증 서비스 : 가입자가 개인의 전력 사용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가입 중인 전기 판매 사업자의 전력요금제를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웹 프로그램에 접근권한을 부여하는 아이디, 패스워드, 공인 인증서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그래서 전기 판매 사업자, 구역 전기 사업자 또는 에너지 서비스 제공자(ESP)가 원격검침 시스템(100)을 통해 사용자의 전력 소비 데이터를 수집 및 보유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및 이를 분석하는 웹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그리고 원격검침 대상 수용가는 이 프로그램에 가입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전력 사용 분석 결과를 조회하기 위해서 인증에 필요한 아이디,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접속한다.
또한 원격검침 데이터는 다양한 형태로 분석되어 수용가가 소비 패턴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일정 기간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수용가가 임의로 선택한 요금제에 가상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 유형에 가장 적합하고 저렴한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격검침 데이터 및 원격검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웹상에서 조회할 수 있도록 하며, 조회창에 시간별, 계기별, 요일별로 정렬하여 주는 메뉴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웹상에서 임의의 요금제를 선택하여 본인의 전력 소비 데이터를 적용해 볼 수 있는 전력 비용 산출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그 결과 최적의 요금제를 선택해주도록 하는 결과 메뉴가 포함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사용자의 전력소비 정보를 갖는 원격검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인증서 및 아이디를 이용하여 웹상에서 원격검침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 전력소비정보 및 전력사용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메뉴를 갖는 프로그램, 상기 정보를 조회 후 전력회사가 제공하는 요금제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대입정보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결과 사용자에게 가장 경제적인 요금제를 제안해주는 결과창 및 분석결과표를 나타내주는 웹상의 결과 화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검침 시스템(100)은 제어부(110), 네트워크 관리부(120), 사용자 인증부(130), 입출력부(14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 원격검침 관리부(160), 표시창 관리부(170)로 구성할 수 있고, 과금 처리부(180)를 더욱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10)는 원격검침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원격검침 시스템을 통해 검침 서비스를 받고 있는 전력 수용가가 원격검침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화면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력 소비 유형을 이해하고 소비 유형에 맞는 가장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용가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관리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부(130)는 네트워크 관리부(12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200)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처리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증부(130)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만으로 사용자 인증을 처리할 수도 있으며, 공인인증서를 통해 수용가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로그인 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입출력부(140)는 원격검침 시스템(100)에 필요한 데이터 입출력을 처리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는 전기판매 사업자가 원격검침을 실시하고 있는 수용가(고객)를 대상으로 수집한 원격검침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원격검침 관리부(160)는 원격검침 데이터에 포함된 전력 소비 정보를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원격검침 관리부(160)는, 도 3에서와 같이, 전력소비정보 추출부(161), 추출결과 제공부(162), 데이터 비교부(163), 최적 전력요금 산출부(16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전력소비정보 추출부(161)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0)에 보관된 원격검침 데이터에 포함된 전력 소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결과 제공부(162)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추출결과 제공부(162)는 전력소비정보 추출부(161)에서 추출된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결과를 데이터 비교부(163)에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 비교부(163)는 추출결과 제공부(162)에서 제공된 추출결과에서 기존 전력요금 사용 내역을 비교하여 최적 전력요금 산출부(164)로 전달한다.
또한 최적 전력요금 산출부(164)는 데이터 비교부(163)에서 비교된 결과를 이용하여 최적의 전력요금제를 산출하여 제안해주게 된다.
그리고 표시창 관리부(170)에서는 기간별, 계량기 번호별, 시간별 전력소비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전력소비 정보에 대한 사용자 패턴 분석 테이블 및 요금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도록 표시창을 관리한다.
또한 과금 처리부(180)는 수용가 단말기(200)에 대한 서비스 제공의 유료 또 는 무료 여부를 결정하여 과금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4를 통해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검침 데이터 기반 전력 사용 요금 컨설팅 방법은 원격검침 시스템(100)을 통해 검침 서비스를 받고 있는 전력 수용가가 원격검침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력 소비 유형을 이해하고 소비 유형에 맞는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먼저 원격검침 시스템(100)에서 시뮬레이션이 가동되면, 수용가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전력 사용 정보를 토대로 초기 표준값이나 이전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던 유사한 조건을 가져와서 수정하여 입력하고, 시뮬레이션에서 상기 조건에 따른 월별 최대수요전력과 요금적용전력을 체크한 다음, 체크된 월별 최대수요전력과 요금적용전력으로부터 역률정보를 알 수 있도록 월별 역률정보를 체크한다(ST1~ST3).
이때, 체크되는 정보들은 수용가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원격 검침 데이터에 포함된 전력 소비 정보로서, 위와 같은 정보 예외 계약전력 정보 및 기본 요금 정보 등이 더 체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원격검침 관리부(160)에서 적용 가능한 요금제 요금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ST4).
그래서 적용 가능한 요금제 요금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했으면, 이제 수요관리 옵션(휴가보수 지원제도, 자율절전 지원제도, 비상절전 지원제도, 직접부하제어 지원제도)에 대해 지원 금액을 표시하기 위해 해당 수요관리 옵션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ST5).
그런 다음 이번에는 최대수요전력 또는 부하량은 변경하며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ST6).
그리고 고객 기본정보가 유사한 고객에 있어서 사용전력량이 비슷한 고객을 찾아내 전기사용 패턴을 비교한다(ST37).
그런 다음 상기 단계들(ST2~ST7)의 결과를 전송하며, 이 결과를 토대로 최적 전력요금제를 산출하여 출력한다(ST8~ST9). 이때, ST8 단계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로서, 시뮬레이션 결과는 앞서 도 3의 추출결과 제공부(162)에서 설명한 최대수요전력 분석, 요금적용전력 분석, 월별 역률 정보 분석, 및 수요관리 옵션 적용 분석을 의미하며, 이뿐만 아니라, 최대 수용전력/부하량 변경 분석 및 유사 수용가 비교 분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수요전력 분석, 요금적용전력 분석, 월별 역률 정보 분석, 및 수요관리 옵션 적용 분석 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처음 입력된 조건들이 변경되었는지 판별하여 변경되었다면 입력조건을 변경시켜서 다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변경되지 않았다면 최적 전력요금제 기반의 전력소비 예측량을 출력한다(ST10~12)
도 5은 본 발명에서 주요 파라미터의 관계를 나타낸 관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월별 전기요금은 크게 보면 기본요금과 사용량 요금으로 구성되며, 기본 요금은 수용가의 최대수요전력(KW), 사용량 요금은 1달 동안의 총 누적 전력사용량(KWh)으로서 결정되는데, 여기에 계절별/시간대별로 각기 다른 요율을 적용함으로써 전기사용의 합리화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력요금절감을 위한 1차적인 파라미터는 계약종별과 선택요금제로 이루어지는 요금제라고 할 수 있으며, 역률감액요금과 관계가 있는 월별 역률값 또한 독립적인 1차 파라미터이다.
또한, 수요관리옵션의 경우, 월 전기요금과는 별개로 실적에 따라 인센티브를 직접 지급받게 되므로 1차적인 파라미터라고 볼 수 있으며, 최대수요전력이나 부하량 증감은 2차적인 파라미터라고 볼 수 있으며, 계약전력의 경우는 간접적으로 월 전기요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해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이 수행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그래서 전력 소비자는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전력회사는 에너지 절약을 통한 생산 관리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ESP에서는 전력 소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전력 소비자로부터 비용을 받음으로써 수익 창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원격검침 시스템을 통해 검침 서비스를 받고 있는 전력 수용가가 원격검침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 화면에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력 소비 유형을 이해하고 소비 유형에 맞는 가장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원격 검침 시스템과 수용가 단말기를 포함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에서 원격검침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원격검침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원격검침 관리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서 주요 파라미터의 관계를 나타낸 관계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해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이 수행되는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원격검침 110 : 제어부
120 : 네트워크 관리부 130 : 사용자 인증부
140 : 입출력부 15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60 : 원격검침 관리부 161 : 전력소비정보 추출부
162 : 추출결과 제공부 163 : 데이터 비교부
164 : 최적 전력요금 산출부
170 : 표시창 관리부 180 : 과금 처리부
200 : 수용가 단말기

Claims (2)

  1. (a) 원격 검침 관리부가 수용가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원격 검침 데이터에 포함된 전력 소비 정보에서 최대수요전력, 요금적용전력, 역률 정보, 계약전력 정보 및 기본 요금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원격 검침 관리부가 상기 최대수요전력과 계약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최대수요전력이 큰 경우에 해당 수용가에게 위약금을 부과하는 최대수요전력 분석 단계,
    (c) 원격 검침 관리부가 상기 최대수요전력이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최대수요전력이 계약전력의 30%로 결정되는 경우 및 월별 최대수요전력의 편차가 설정된 조건보다 큰 경우를 각각 판단하여 월별 요금적용전력을 결정하는 요금적용전력 분석 단계,
    (d) 원격 검침 관리부가 상기 역률 정보가 역률 90%일 경우에 기준역률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역률이 초과 여부의 판단에 따라 월별로 상기 기본요금을 추가 및 감액하는 역률 정보 분석 단계, 및
    (e) 원격 검침 관리부가 상기 계약전력이 300KW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 300KW 이상일 경우에 휴가보수 지원제도, 자율절전 지원제도, 비상절전 지원제도, 직접부하제어 지원제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요관리 옵션 제도를 해당 수용가에 적용하는 수요관리 옵션 적용 분석 단계
    를 포함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최대수요전력이 계약전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협의하에 계
    약전력을 상향조정하고, 상기 요금적용전력이 계약전력의 30%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계약전력을 하향 조정하며, 상기 월별 최대수요전력의 편차가 기 설정된 조건보다 큰 경우에는 월별 부하평준화를 유도하기 위한 정보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
KR1020070096851A 2007-09-21 2007-09-21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 KR100903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851A KR100903196B1 (ko) 2007-09-21 2007-09-21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851A KR100903196B1 (ko) 2007-09-21 2007-09-21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049A KR20090031049A (ko) 2009-03-25
KR100903196B1 true KR100903196B1 (ko) 2009-06-18

Family

ID=4069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851A KR100903196B1 (ko) 2007-09-21 2007-09-21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1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505A (ko) 2013-11-04 2015-05-13 주식회사 티앤엠테크 계약 전력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60096992A (ko) 2015-02-06 2016-08-17 주식회사 티앤엠테크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10155271A (ko) * 2020-06-15 2021-12-22 정병창 전력사용 및 비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87731B1 (en) 2010-06-26 2016-09-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component for network system
KR101130395B1 (ko) * 2010-07-14 2012-03-27 한국전력공사 자동 검침 시스템의 위약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719689B1 (ko) * 2015-07-22 2017-03-2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장파 방송국, 수용가 단말 및 전력 요율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7714A (ja) 2001-03-30 2002-10-11 Fukuoka Shoji:Kk 電気料金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KR20020078982A (ko) * 2001-04-12 2002-10-19 현대네트웍 주식회사 절전 및 예비전력 증강 시스템
JP2004164009A (ja) * 2002-11-08 2004-06-10 Sanmei:Kk 使用電力最適化提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7714A (ja) 2001-03-30 2002-10-11 Fukuoka Shoji:Kk 電気料金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KR20020078982A (ko) * 2001-04-12 2002-10-19 현대네트웍 주식회사 절전 및 예비전력 증강 시스템
JP2004164009A (ja) * 2002-11-08 2004-06-10 Sanmei:Kk 使用電力最適化提案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505A (ko) 2013-11-04 2015-05-13 주식회사 티앤엠테크 계약 전력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60096992A (ko) 2015-02-06 2016-08-17 주식회사 티앤엠테크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10155271A (ko) * 2020-06-15 2021-12-22 정병창 전력사용 및 비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82105B1 (ko) * 2020-06-15 2022-12-27 정병창 전력사용 및 비용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049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685B1 (ko) 원격검침 데이터 기반 전력 사용 요금 컨설팅 시스템 및방법
Ghazvini et al. Demand response implementation in smart households
Venizelou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time-of-use tariff algorithm for residential prosumer price-based demand side management
Hao et al. Potentials and economics of residential thermal loads providing regulation reserve
KR101846026B1 (ko) 사전 전력수요예측에 의한 전력수요관리 방법 및 시스템
CA2749770C (en) Optimization of microgrid energy use and distribution
US9727069B2 (en) Power demand adjustment system and power demand adjustment method
US20100106342A1 (en) Day-ahead load reduction system based on customer baseline load
Pérez Arriaga et al. A framework for redesigning distribution network use of system charges under high penetration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New principles for new problems
KR100903196B1 (ko)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
CA2766650C (en) Demand side portfolio manager system for recommending and processing energy rebates
Avau et al. Impact of distribution tariffs on prosumer demand response
Gagne et al. Demand response compensation methodologies: Case studies for Mexico
Schofield Dynamic time-of-use electricity pricing for residential demand response: Design and analysis of the Low Carbon London smart-metering trial
JP2002297832A (ja) 情報処理装置、料金提示用プログラムおよび料金提示方法
Cervigni et al. Regulating smart metering in europe: Technological, economic and legal challenges
JP2002230097A (ja) エネルギの販売方法
KR20220123365A (ko) 사업장 수요 특성을 고려한 최적 ess 사업성 평가 방법
Yeboah The impact of distribution tariffs on flexible electric vehicle charging
Bompard et al. A comprehensive model of virtual competition in distribution energy systems
Good et al. Business cases
WO2017035571A1 (en) Analysing smart meter data for solar or storage recommendation
Lai Evaluation of evolving residential electricity tariffs
Wood et al. Can demand response help reduce future distribution grid investments?: an economic study of peak shaving in the Norwegian distribution grid: SEMIAH pilot in Engene, Sørlandet (Southern Norway)
JP5613800B1 (ja) 電力使用最適化支援システムおよび電力使用最適化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