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611A -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611A
KR20120078611A KR1020110142566A KR20110142566A KR20120078611A KR 20120078611 A KR20120078611 A KR 20120078611A KR 1020110142566 A KR1020110142566 A KR 1020110142566A KR 20110142566 A KR20110142566 A KR 20110142566A KR 20120078611 A KR20120078611 A KR 20120078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hemical filter
filter
electrochemical
water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5749B1 (ko
Inventor
권태성
조영건
임순호
문형민
이수영
황의선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1/01032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91500A2/en
Priority to CN2011800619730A priority patent/CN103269982A/zh
Priority to US13/996,414 priority patent/US20130277222A1/en
Priority to CN201610560281.5A priority patent/CN106082407B/zh
Publication of KR2012007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02F2001/4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using mixed b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5Vol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5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동안에도 정수 동작의 중단없이 연속적인 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수처리 장치는 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 및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는 병렬로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가 재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Water purifier and water-tre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동안에도 정수 동작의 중단없이 연속적인 운전이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의 발전에 따라 수질오염과 토양오염 등 자연환경 오염이 더욱 가중되고 있기 때문에 원수를 취수 정화시켜 보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 가정에서 수돗물에 대해 정수하여 깨끗한 물을 식수로서 활용하기 위해 정수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정수기의 형태는 수돗물에 잔류하는 이물질 내지는 각종 오염균을 정수 살균처리하여 정화하는 형태의 것으로, 역삼투압 정수기가 채택됨과 동시에 UV 살균램프에 의한 살균과정을 거쳐 정수를 취하는 형태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정수기 내부에는 공급된 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 중금속, 박테리아 등을 제거하기 위한 멤브레인필터가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 역삼투압 정수기는 멤브레인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정수기에 비해 정수 수준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으나, 일정한 수준의 정수를 얻기 위해서는 적정한 원수 압력이 필요하고, 정수 유량이 상당히 낮은 관계로 저장탱크를 사용하여 저장된 물을 정수로 이용하며, 이에 따른 공기 중 세균에 의한 저장수의 2차 오염과, 오염된 막의 세정, 주기적인 막의 교체 등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 탈염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들어 전기이중층의 원리를 이용한 축전식 탈염기술(Capacitive DeIonization, CDI)이 연구되어 탈염 공정에 적용하고 있다.
도 1은 CDI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CDI 공정은 캐패시터(capacitor) 공정에서 사용되는 전기이중층 이론을 근거로 하여, 전극표면에 전기를 가용할 때 수질 내부에 있는 상대극성 이온이 전극 표면에 흡착되는 성질을 이용한 방법이다. 즉, 도 1의 정수공정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이온, 음이온이 함유된 용액이 두 개의 다공성 탄소전극 층 사이를 통과할 때 정전기력을 인가함으로써 수용액속에 함유된 이온이 제거된다.
이와 같이, CDI 공정은 전극에 전위를 인가했을 때, 전극 표면에 형성되는 전기이중층에서 전기적 인력에 의한 이온들의 흡착 반응을 이용하기 때문에, 낮은 전극전위(약 1~2V)에서 작동하고, 그 결과 에너지 소비량이 다른 탈염기술에 비해 월등이 낮아 저에너지 소모형 차세대 탈염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CDI 공정에 이용되는 CDI 전극 구조체는 양극과 음극을 평판 형태의 전극으로 만들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물이 흘러갈 수 있도록 스페이서를 넣어 적층형태로 셀(Cell)을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CDI 공정을 이용한 정수시스템은 정수시와 재생시에 양 전극의 극성을 달리하여 정수와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전극 중에서 음전극에는 양이온교환수지(20)가 구비되어 있고, 양전극에는 음이온교환수지(10)가 구비되어 있어 물속의 양이온과 음이온을 교확적으로 제거한다.
여기서, 양이온교환수지(20)는 음전극에 흡착되는 양이온과 교환하며, 음이온교환수지(10)는 양전극에 흡착되는 음이온과 교환한다.
그러나, 이러한 CDI 셀의 경우, 도 1의 재생공정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어느 정도의 정수 동작을 수행한 후에는 전극에 흡착된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재생 공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정수를 연속적으로 추출하기 어렵고 또한 재생 공정 동안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전기화학필터를 사용하는 정수 장치의 작동을 중단하지 않고서도 재생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으로서, 연속적인 운전이 가능하면서도 전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 및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는 병렬로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가 재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가 재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정수처리하는 전기화학필터를 전환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와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가 정수처리하는 시간 내에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완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시점은 상기 전기화학필터의 정수동작 시간, 상기 전기화학필터에서 정화된 정수수의 TDS 수치 또는 상기 전기화학필터에서 정화된 정수수의 전류값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용량은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용량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를 통과한 물이 유출되는 제1 유출관;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를 통과한 물이 유출되는 제2 유출관; 상기 제1 유출관과 제2 유출관에 연결되어 정수처리된 물이 흐르는 정수관; 및 상기 제1 유출관과 제2 유출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 발생하는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유출관, 정수관 및 드레인관이 연결되는 분기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출관을 상기 정수관 또는 드레인관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제2 유출관, 정수관 및 드레인관이 연결되는 분기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유출관을 상기 정수관 또는 드레인관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 유출관에서 유출된 물이 상기 정수관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의 유로를 전환하고, 상기 제2 유출관에서 유출된 물이 상기 드레인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 유로전환밸브의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와 제2 전기화학필터 간의 정수/재생 전환시에, 재생 중이던 전기화학필터에 연결된 유출관에 잔존하는 폐수를 상기 드레인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정수처리 중이던 전기화학필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정수처리를 계속하고, 재생 중이던 전기화학필터에 연결된 유출관의 분기점에 구비된 유로전환밸브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정수관 방향으로 전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여과된 정수의 일부를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을 위하여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로 공급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 물이 공급되도록 연결된 제1 연결관과 상기 제1 연결관으로부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와 연결된 제2 연결관이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된 유로전환밸브; 상기 제1 연결관과 드레인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차단밸브; 상기 제2 연결관과 상기 드레인관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차단밸브; 및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와 연결된 제1 유출관과,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와 연결된 제2 유출관 각각에 구비된 제3 차단밸브 및 제 4 차단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물이 상기 제2 연결관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 배출되는 폐수가 상기 드레인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 차단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차단밸브를 폐쇄하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 배출되는 폐수가 상기 드레인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 차단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차단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3 차단밸브를 폐쇄하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4 차단밸브를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 배출되는 폐수가 상기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전단에 선카본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에는 상기 선카본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후단에 후카본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 후단의 유로 상에 설치된 유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수처리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전단의 유로 상에 설치된 제1 전기전도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전도도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수처리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후단의 유로 상에 설치된 제2 전기전도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기전도도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는 CDI(Capacitive DeIoniztion) 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필터부를 구비하여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수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병렬로 설치된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와 제2 전기화학필터 중 적어도 하나에 원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처리 방법은 상기 수처리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완료시,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는 대기하고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수처리 방법은 상기 수처리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을 계속 수행하고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화학필터 후단의 유로 상에 설치된 유량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여부는 상기 유량센서가 감지한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부의 전단에는 제1 전기전도도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의 후단에는 제2 전기전도도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여부는 상기 제1 전기전도도센서와 제2 전기전도도센서가 감지한 각각의 TDS 수치의 차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여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 각각이 가지는 정수 가능 시간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여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 각각이 정화한 정수수의 전류값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병렬로 설치된 복수의 전기화학필터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공정 동안 다른 하나의 전기화학필터를 이용해 정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 정수 장치의 작동을 중단하지 않고서도 재생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속적인 운전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전기화학필터를 다른 하나의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공정 동안만 동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체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CDI 공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제1 전기화학필터의 정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시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제1 전기화학필터의 정수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의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원수공급부(110), 필터부(120), 제어부(130) 및 정수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원수공급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 사용되는 수돗물, 지하수 등의 가공되지 않은 원수를 수처리 장치(1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터부(120)는 원수공급부(110)에서 공급받은 원수를 정수처리하여 정수를 생성한다. 이러한 필터부(120)에는 다수의 필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병렬로 설치된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화학필터는 전기에 의해 이온성물질의 흡착 또는 제거, 분리가 가능한 필터로서, 일 예로 CDI 셀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화학필터로 예시된 CDI 셀은 양전극과 음전극이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며,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위치하는데, 상기 스페이서는 양전극과 음전극을 상호 이격시킴으로써 전극 사이에 물이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때, 스페이서는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얇고 촘촘히 짜인 망사천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또한, 각 셀의 양전극과 음전극은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흑연, 탄소종이 섬유, 티타늄과 같은 금속 메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거나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양전극과 음전극은 낮은 전압을 인가하기 때문에 전기가 잘 통하고 부식성이 없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화학필터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면, 양전극 단자에 양전압이 인가되고, 음전극 단자에 음전압이 인가되면 양전극에서는 스페이서를 통해 흐르는 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음이온이 흡착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음전극에 음전압이 인가되면 스페이서를 통해 흐르는 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양이온이 흡착되게 된다.
따라서, 전극 사이의 스페이서를 통해 흐르는 물은 이온들이 남아 있지 않은 순수에 가까운 총 용존성 고형물질(Total Dissolved Solid, TDS)이 O에 가까운 물로 정화된다.
이러한 전기화학필터는 정수동작을 하는 동안 전극에 흡착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재생동작을 일정시간마다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전기화학필터는 정수 가능 시간 동안 정수동작을 수행한 후에는 재생동작을 수행하여 다시 원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재생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화학필터의 정수 가능 시간과 재생시간은 전기화학필터의 구성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값이다.
또한, 전기화학필터는 정수시간과 재생시간이 서로 동일하거나 아니면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기화학필터의 정수 가능 시간은 전기화학필터의 용량과 비례할 수 있으며, 전기화학필터의 용량은 필터에 포함된 전극의 크기에 비례할 수 있다.
결국, 전기화학필터의 정수 가능 시간이 증가할수록 전기화학필터의 부피는 크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의 필터부(120)에는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1,122)의 전단에 선카본필터(125)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1,122)의 후단에는 후카본필터(1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의 종류, 개수 및 순서는 정수기의 여과방식 또는 정수기에 요구되는 여과성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카본필터(125)의 전단에 세디먼트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선카본필터(125)는 원수공급부(110)로부터 유입되는 상수도, 지하수 등의 원수에 함유된 먼지, 모래, 산화된 오염물 등과 같은 부유물질(입자성 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잔류염소(예를 들어, HOCl- 또는 ClO-)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흡착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선카본필터(125)는 침전필터와 일체로 결합된 복합 필터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카본필터(126)는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1,122)를 거친 정수수에서 추가적인 염소성분, 휘발성 유기화학 물질 및 냄새 등을 흡착 제거하고 물맛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서 탄소를 주원료로 하는 활성탄과 같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 제2 전기화학필터(122), 유량센서(210), 전기전도도센서, 유로전환밸브(300) 및 차단밸브와 연결되어 각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키고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정수공급부(140)는 필터부(120)에서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요소로서, 파우셋 또는 코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서, 제어부(130)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가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전기화학필터(121)가 정수동작을 수행하다가 재생이 필요하면 제2 전기화학필터(122)가 정수동작을 수행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가 정수동작을 하는 동안 제1 전기화학필터(121)는 재생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130)는 제2 전기화학필터(122)가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전기화학필터(122)가 정수동작을 수행하다가 재생이 필요하면 제1 전기화학필터(121)가 정수동작을 수행하고, 제1 전기화학필터(121)가 정수동작을 하는 동안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재생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기화학필터(121)와 제2 전기화학필터(122) 상술한 바와 같이 재생/정수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정수동작의 공백이 없이 사용자에게 정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와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용량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1,122)의 정수 가능 시간과 재생시간은 서로 동일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제어하되,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이 완료되면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정수처리하는 전기화학필터를 전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기화학필터(121)는 메인필터로 사용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가 재생되는 동안에만 정수동작을 하는 보조필터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간은 정수 가능 시간보다 짧기 때문에, 제1 전기화학필터(121)는 메인필터로 사용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보조필터로 사용되는 경우에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용량은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용량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정수 가능 시간과 재생시간은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정수 가능 시간과 재생시간보다 짧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부피가 작게 구성되어 수처리 장치(100)의 전체부피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용량과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용량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와 제2 전기화학필터(122)가 동시에 재생이 필요하여 정수처리를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1 전기화학필터(121)와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가 정수처리하는 시간 내에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이 완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는 처리수공급관(150), 제1 유출관(161), 제2 유출관(162), 정수관(170) 및 드레인관(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수공급관(150)은 선카본필터(125)와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1,122)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선카본필터(125)에서 여과된 처리수를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 각각으로 유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선카본필터(125)이 처리수에 포함된 중금속 및 이온성 물질을 흡착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출관(161)은 제1 전기화학필터(121)를 통과한 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출관(162)은 제2 전기화학필터(122)를 통과한 물이 유출될 수 있도록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관(170)은 제1 유출관(161)과 제2 유출관(162)에 연결되어,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 의해 정수처리된 물이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정수관(170)은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 의해 정수처리된 물이 후카본필터(126)에서 여과될 수 있도록 후카본필터(126)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관(180)은 제1 유출관(161)과 제2 유출관(162)에 연결되며 제1 전기화학필터(121) 또는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시 발생하는 폐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는 유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제1 유로전환밸브(191)와 제2 유로전환밸브(19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191)는 제1 유출관(161), 정수관(170) 및 드레인관(180)이 연결되는 분기점에 구비되어, 유로를 전환시켜 제1 전기화학필터(121)를 통과한 물이 정수관(170) 또는 드레인관(180)으로 흐를 수 있도록, 제1 유출관(161)을 정수관(170) 또는 드레인관(18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로전환밸브(192)는 제2 유출관(162), 정수관(170) 및 드레인관(180)이 연결되는 분기점에 구비되어, 제2 전기화학필터(122)를 통과한 물이 정수관(170) 또는 드레인관(180)으로 흐를 수 있도록, 제2 유출관(162)을 정수관(170) 또는 드레인관(180)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는 유량센서(210), 제1 전기전도도센서(221) 및 제2 전기전도도센서(22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량센서(210)는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1,122)의 후단의 유로 상에 설치되며, 일 실시예에서 후카본필터(126)의 처리수가 배출되는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량센서(210)는 원수가 유입되어 필터부(120)를 통과한 누적 통수량을 검출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유량센서(210)에 의해 측정된 누적 통수량을 적산한 후 그 값이 일정량 이상인 경우 필터 재생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기전도도센서(221)는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1,122)의 전단의 유로 상에 설치되며, 일 실시예에서 선카본필터(125)의 처리수가 유입되는 전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기전도도센서(222)는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1,122)의 후단의 유로 상에 설치되며, 일 실시예에서 후카본필터(126)의 처리수가 배출되는 후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서, 제어부(130)는 제1 전기전도도센서(221)와 제2 전기전도도센서(222)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제1 전기전도도센서(221)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와 제2 전기전도도센서(222)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를 비교하여 그 변화량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에러를 측정하고, 원하는 물맛을 선택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물맛은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전기전도도센서(221)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와 제2 전기전도도센서(222)에서 측정한 전기전도도의 차이를 알면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능력의 변화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상기 전기전도도의 차이를 기초로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 시점을 파악하여 제1 전기화학필터(121)와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정수/재생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처리수의 전기전도도는 총 용존성 고형물질(TDS)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측정기의 끝에 있는 감응센서 2개 사이를 흐르는 전기의 양에 의하여 TDS 수치가 변화하는데 이 원리를 이용해 측정된다.
즉, 물속에 이온물질이 많으면 전기가 잘 흐르게 되고 높은 TDS 수치를 나타내게 되는데, 이러한 TDS는 산소 이외의 다른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물속에 포함된 물질들에 의해 물맛이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서는 전기전도도센서를 이용해 처리수의 전기전도도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해 필터부(120)의 성능을 조절함으로써 물맛을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서,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1,122)의 재생 시점은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1,122)에서 정화한 정수수에 흐르는 전류값을 기초로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정수수 내에 포함된 이온의 양과 전류값은 비례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재생 시점이 결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수처리 동작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에 구비된 제1 전기화학필터의 정수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 재생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유로전환밸브(191)를 on 시켜서 제1 유출관(161)에서 유출된 정수수가 정수관(17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2 유로전환밸브(192)를 off 시켜서 제2 유출관(162)에서 유출된 폐수가 드레인관(18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 정수전압을 인가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는 재생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정수전압과 재생전압은 전기화학필터에 있는 전극의 극성이 서로 반대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고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 재생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2 유로전환밸브(192)를 on 시켜서 제2 유출관(162)에서 유출된 정수수가 정수관(170)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1 유로전환밸브(191)를 off 시켜서 제1 유출관(161)에서 유출된 폐수가 드레인관(18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 재생전압을 인가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는 정수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1,122)가 정수 가능 시간보다 재생시간이 더 짧게 구성되는 경우에, 재생이 완료된 전기화학필터에 물이 계속 공급되면 공급되는 물은 드레인관(180)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 물이 유입되는 각각의 유로에는 차단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재생이 완료된 전기화학필터 측 차단밸브를 폐쇄하여 재생이 완료된 전기화학필터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에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와 제2 전기화학필터(122) 간의 정수/재생 전환시에 재생동작에서 정수동작으로 전환되는 전기화학필터에 연결된 유출관(161,162)에는 폐수가 잔존할 수 있다. 이때, 정수동작으로 전환된 전기화학필터가 정수수를 생성하여 정수관(170)으로 배출하면 처음에 배출되는 정수수에는 폐수가 섞여있을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130)는 정수처리 중이던 전기화학필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정수처리를 계속하고, 재생중이던 전기화학필터에 연결된 유출관(161,162)의 분기점에 구비된 유로전환밸브(300)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관된 후에 정수관(170)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기화학필터(121)가 재생중이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가 정수동작을 하다가 서로 정수/재생이 전환될 때, 제1 전기화학필터(121)는 정수동작을 수행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정수를 멈추고 재생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중 발생한 폐수가 제1 유출관(161)에 잔존하던 상태에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가 정수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제1 유출관(161)에 잔존하던 폐수가 정수관(170)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전기화학필터(122)가 정수동작을 계속해서 유지하게 하고, 제1 유로전환밸브(191)를 off 상태로 유지시키며, 제2 유로전환밸브(192)를 on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유출관(161)에 잔존하던 폐수는 드레인관(180)으로 씻겨서 배출되고, 그동안의 정수동작은 제2 전기화학필터(122)가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제어부(130)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전압을 정수전압으로 전환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정수전압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제1 유출관(161)에 잔존하던 폐수가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 의해 정화되어 초기에 유출되는 정수수로 씻겨나갈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전기화학필터는 재생에 필요한 물을 정수수로 사용할 경우 재생이 더 양호하게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시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보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1)에서, 제어부(130)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 재생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 여과된 정수의 일부를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을 위하여 제1 전기화학필터(121)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 의해 생성된 정수수 중에서 일부는 제1 유출관(161)을 통해 제1 전기화학필터(121)로 공급될 수 있고, 나머지는 정수관(170)을 통해 정수공급부(14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1)는 제1 연결관(311), 제2 연결관(312), 유로전환밸브(300), 제1 차단밸브(321), 제2 차단밸브(322), 제3 차단밸브(323), 제4 차단밸브(324) 및 체크밸브(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관(311)은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 선카본필터(125)에 의해 여과된 처리수가 공급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관(312)은 제1 연결관(311)으로부터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 연결된다.
이때, 제1 연결관(311)과 제2 연결관(312)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처리수공급관(150)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밸브(300)는 제1 연결관(311)과 제2 연결관(312)이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되어, 처리수가 제1 연결관(311)으로부터 제2 연결관(312)으로 선택적으로 흐를 수 있도록 제1 연결관(311)을 제2 연결관(312)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밸브(321)는 제1 연결관(311)과 드레인관(18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차단밸브(322)는 제2 연결관(312)과 드레인관(180) 사이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차단밸브(321)와 제2 차단밸브(322)는 선카본필터(125)로부터 유입되는 처리수가 드레인관(18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차단밸브(323)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와 연결된 제1 유출관(161)에 구비되어, 제1 전기화학필터(121)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차단밸브(324)는 제2 전기화학필터(122)와 연결된 제2 유출관(162)에 구비어, 제2 전기화학필터(122)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3 차단밸브(323)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시 및 정수시에 모두 개방되므로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330)는 제1 연결관(311) 및 제2 연결관(312) 각각에 구비되어,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시 배출되는 폐수가 제1 연결관(311) 및 제2 연결관(312)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100-1)에 있어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정수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공급부(110)의 원수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원수차단밸브(325)가 열리면, 원수공급원으로부터 원수가 선카본필터(125)로 유입된다.
그러면, 선카본필터(125)는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입자성 물질을 여과하고, 염소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흡착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선카본필터(125)와 제1 연결관(311) 사이에 구비된 제1 전기전도도센서(221)는 선카본필터(125)의 처리수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결관(311)에 구비된 유로전환밸브(300)는 선카본필터(125)로부터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방향으로 처리수가 흐르도록 전환된다. 이에 의해,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는 선카본필터(125)의 처리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연결관(311)에 구비된 역류방지 체크밸브(330)에 의해 처리수의 역류가 방지되고, 제1 전기화학필터(121)와 드레인관(180) 사이에 배치된 제1 차단벨브는 폐쇄되어 유입된 처리수가 드레인관(180)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선카본필터(125)의 처리수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로 유입되고, 제1 전기화학필터(121)는 처리수에 포함된 중금속 및 이온성 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정수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제1 전기화학필터(121)와 제1 유출관(161)에 구비된 제3차단밸브는 개방되며, 제2 전기화학필터(122)와 제2 유출관(162) 사이에 구비된 제4 차단밸브(324)는 폐쇄된다.
이를 통해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 정수된 정수수가 제2 전기화학필터(122)로 유입되지 않으며 제3연결관을 통해 후카본필터(126)로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정수 유로는 선카본필터(125) -> 제1 연결관(311) -> 제1 전기화학필터(121) -> 제1 유출관(161) -> 후카본필터(126)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후카본필터(126)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정수수에 포함된 잔류 염소 및 휘발성 유기화학 물질을 추가적으로 흡착 제거하며, 후카본필터(126)를 거쳐서 정수 처리된 정수수는 정수공급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유량센서(210)는 후카본필터(126)로부터 정수공급부(140)로 공급되는 정수수의 통수량을 측정하고, 제2 전기전도도센서(222)는 정수수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100-1)에 있어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시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을 위해 유로전환밸브(300)는 선카본필터(125)의 처리수가 제2 전기화학필터(122) 방향으로 흐로도록 전환된다. 이를 통해 제1 전기화학필터(121)로는 선카본필터(125)의 처리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 정수 처리된 정수수가 제1 전기화학필터(121)로 유입되며, 상기 정수수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 동안 플러싱용수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제1 전기화학필터(121) 내를 흐르는 물의 방향은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 물이 정수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이 된다.
그리고,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 공정 동안 배출되는 폐수는 드레인관(18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1 연결관(311)에 구비된 역류방지 체크벨브를 통해 페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 연결관(312)에 구비된 제2 차단벨브는 폐쇄되어 제2 전기화학필터(122)로 상기 폐수가 유입되는 것과 선카본필터(125)의 처리수가 드레인관(18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 유로는 제1 유출관(161) -> 제1 전기화학필터(121) -> 제1 연결관(311) -> 드레인관(18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동작 동안,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정수동작을 수행하며,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정수동작 과정은 도 6에서 설명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정수동작 과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제3 차단벨브와 제4 차단밸브(324)가 모두 개방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 정수된 정수수가 제1 전기화학필터(121)로 유입되어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전극 플러싱(flushing)을 위한 플러싱용수로 이용되며, 후카본필터(126)로도 정수수가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정수 유로는 후카본필터(126) -> 제2 연결관(312) -> 제2 전기화학필터(122) -> 제2 유출관(162) -> 후카본필터(126)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이 완료되면, 유로전환벨브는 후카본필터(126)의 처리수가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방향으로 흐르도록 다시 전환되며, 개방된 제1 및 제4차단밸브는 폐쇄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전기화학필터(121)는 다시 정수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정수동작을 중단하게 된다.
한편,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은 도 6에 도시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정수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제2 차단밸브(322) 및 제4 차단밸브(324)는 개방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로부터 유입되는 정수수를 이용해 재생을 수행하고, 재생 공정시 배출되는 폐수를 드레인관(18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정수/재생 전환시,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 발생한 폐수는 제1 연결관(311) 및 제2 연결관(312)에 잔존할 수 있고, 전기화학필터의 정수시에는 물의 흐름이 반대로 바뀌어 제1 연결관(311) 및 제2 연결관(312)에 잔존하던 폐수를 선카본필터(125)의 처리수가 정수동작을 시작한 전기화학필터로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장치(100)처럼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정수/재생 전환 시간을 오버랩시키는 구동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방법에서, 정수처리될 원수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와 제2 전기화학필터(122)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된다(S110).
공급된 원수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 의해 정수될 수 있고, 이때,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재생될 수 있다(S120).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 정수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 필요 여부가 판단된다(S130). 여기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 필요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반복되는 시간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121) 재생 필요 여부 판단단계(S130)에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는 재생동작이 수행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는 정수처리가 이루어진다(S140).
반면에,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 필요 여부 판단단계(S130)에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는 정수처리가 계속된다(S120).
한편, 제1 전기화학필터(121)가 재생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 정수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 필요 여부가 판단된다(S150).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122) 재생 필요 여부 판단단계(S150)에서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는 재생동작이 수행되고,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는 정수처리가 이루어진다(S120).
즉,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 정수동작이 수행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재생되는 단계(S120)부터 다시 반복하게 된다.
반면에,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 필요 여부 판단단계(S150)에서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는 정수처리가 계속된다(140).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방법은 제1 전기화학필터(121)와 제2 전기화학필터(122)가 정수/재생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연속적인 정수처리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방법에서, 정수처리될 원수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와 제2 전기화학필터(122)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급된다(S210).
공급된 원수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 의해 정수될 수 있고, 이때,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대기상태에 있을 수 있다(S220).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 정수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반복적으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 필요 여부가 판단된다(S230).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121) 재생 필요 여부 판단단계(S230)에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는 재생동작이 수행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는 정수처리가 이루어진다(S240).
반면에,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 필요 여부 판단단계(230)에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는 정수처리가 계속된다(S220).
한편, 제1 전기화학필터(121)가 재생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 정수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 완료 여부가 판단된다(S250).
이때,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 완료 여부는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에 소요되는 시간의 경과 여부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완료 여부를 반복적으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121) 재생 완료 여부 판단단계(S250)에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는 재생동작이 수행되고,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는 정수처리가 이루어진다(S260).
반면에,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 완료 여부 판단단계(S250)에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재생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2 전기화학필터(122)에서는 정수처리가 계속되고, 제1 전기화학필터(121)는 재생동작이 계속된다(S240).
한편, 단계 S260에서 제1 전기화학필터(121)가 정수동작을 수행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가 재생되는 동안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 완료 여부가 판단된다(S270).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122) 재생 완료 여부 판단단계(S270)에서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는 정수처리가 계속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대기상태가 될 수 있다(S220).
반면에,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 완료 여부 판단단계(S270)에서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이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전기화학필터(121)에서는 정수처리가 계속되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재생동작이 계속된다(S26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 방법은 제1 전기화학필터(121)의 용량이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용량보다 큰 경우이다.
이때, 제1 전기화학필터(121)는 메인으로 사용될 수 있고, 제2 전기화학필터(122)는 보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 필요 여부는 유량센서(210)가 감지한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전기화학필터가 정수할 수 있는 정수수의 누적 통수량을 통해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 필요 여부는 필터부(120)의 전단에 구비된 제1 전기전도도센서(221)와 필터부(120)의 후단에 구비된 제2 전기전도도센서(222)가 감지한 각각의 TDS 수치의 차이를 기초로도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20) 전후의 물의 TDS 수치의 차이가 감소되면 정수가 잘 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를 통해 정수동작 수행중인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 필요 여부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 각각이 가지는 정수 가능 시간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수처리 장치(100,100-1)에서 추출되는 정수의 양이 시간당 동일한 경우, 정수공급부(140)를 통해 정수가 추출됨에 따라 정수동작 중이던 전기화학필터가 물을 정화하는 총시간을 측정하고, 이 총시간을 전기화학필터가 가지는 정수 가능 시간과 비교하여 재생 필요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의 재생 필요 여부는 제1 전기화학필터(121) 및 제2 전기화학필터(122) 각각이 정화한 정수수의 전류값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즉, 정수수 내에 포함된 이온의 양과 전류값은 서로 비례하므로, 정수수에 흐르는 전류값이 기준값 이상이 되는 시점은 전기화학필터에서 정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정수수에 많은 양의 이온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기화학필터에서 정화된 정수수에 흐르는 전류값이 기준값 이상이 되는 시점을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100-1 : 수처리 장치 110 : 원수공급부
120 : 필터부 121 : 제1 전기화학필터
122 : 제2 전기화학필터 125 : 선카본필터
126 : 후카본필터 130 : 제어부
140 : 정수공급부 150 : 처리수공급관
161 : 제1 유출관 162 : 제2 유출관
170 : 정수관 180 : 드레인관
191 : 제1 유로전환밸브 192 : 제2 유로전환밸브
210 : 유량센서 221 : 제1 전기전도도센서
222 : 제2 전기전도도센서 300 : 유로전환밸브
311 : 제1 연결관 312 : 제2 연결관
321 : 제1 차단밸브 322 : 제2 차단밸브
323 : 제3 차단밸브 324 : 제4 차단밸브
325 : 원수차단밸브 330 : 체크밸브
312 : 제2 연결관 321 : 제1 차단밸브
322 : 제2 차단밸브 323 : 제3 차단밸브
324 : 제4 차단밸브 325 : 원수차단밸브
330 : 체크밸브

Claims (30)

  1. 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를 구비하는 필터부; 및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는 병렬로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가 재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가 재생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되도록 정수처리하는 전기화학필터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와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가 정수처리하는 시간 내에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완료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시점은,
    상기 전기화학필터의 정수동작 시간, 상기 전기화학필터에서 정화된 정수수의 TDS 수치 또는 상기 전기화학필터에서 정화된 정수수의 전류값을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용량은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용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를 통과한 물이 유출되는 제1 유출관;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를 통과한 물이 유출되는 제2 유출관;
    상기 제1 유출관과 제2 유출관에 연결되어 정수처리된 물이 흐르는 정수관; 및
    상기 제1 유출관과 제2 유출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 발생하는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출관, 정수관 및 드레인관이 연결되는 분기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유출관을 상기 정수관 또는 드레인관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유로전환밸브; 및
    상기 제2 유출관, 정수관 및 드레인관이 연결되는 분기점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유출관을 상기 정수관 또는 드레인관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유로전환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1 유출관에서 유출된 물이 상기 정수관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의 유로를 전환하고, 상기 제2 유출관에서 유출된 물이 상기 드레인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 유로전환밸브의 유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2 유출관에서 유출된 물이 상기 정수관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2 유로전환밸브의 유로를 전환하고, 상기 제1 유출관에서 유출된 물이 상기 드레인관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 유로전환밸브의 유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와 제2 전기화학필터 간의 정수/재생 전환시에, 재생 중이던 전기화학필터에 연결된 유출관에 잔존하는 폐수를 상기 드레인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정수처리 중이던 전기화학필터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정수처리를 계속하고, 재생 중이던 전기화학필터에 연결된 유출관의 분기점에 구비된 유로전환밸브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정수관 방향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여과된 정수의 일부를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을 위하여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 물이 공급되도록 연결된 제1 연결관과 상기 제1 연결관으로부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와 연결된 제2 연결관이 분기되는 지점에 구비된 유로전환밸브;
    상기 제1 연결관과 드레인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차단밸브;
    상기 제2 연결관과 상기 드레인관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차단밸브; 및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와 연결된 제1 유출관과,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와 연결된 제2 유출관 각각에 구비된 제3 차단밸브 및 제 4 차단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 물이 상기 제2 연결관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로전환밸브의 유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 배출되는 폐수가 상기 드레인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 차단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차단밸브를 폐쇄하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 배출되는 폐수가 상기 드레인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 차단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차단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3 차단밸브를 폐쇄하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4 차단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 배출되는 폐수가 상기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전단에 선카본필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에는 상기 선카본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후단에 후카본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 후단의 유로 상에 설치된 유량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1.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전단의 유로 상에 설치된 제1 전기전도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기전도도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2.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후단의 유로 상에 설치된 제2 전기전도도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전기전도도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3.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기화학필터는 CDI(Capacitive DeIoniztion) 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4. 필터부를 구비하여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수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병렬로 설치된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와 제2 전기화학필터 중 적어도 하나에 원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완료시,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는 대기하고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귀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시,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의 재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에서 재생동작을 계속 수행하고 상기 제2 전기화학필터에서 정수처리가 계속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필터 후단의 유로 상에 설치된 유량센서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여부는 상기 유량센서가 감지한 데이터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전단에는 제1 전기전도도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의 후단에는 제2 전기전도도센서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여부는 상기 제1 전기전도도센서와 제2 전기전도도센서가 감지한 각각의 TDS 수치의 차이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여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 각각이 가지는 정수 가능 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의 재생 필요 여부는 상기 제1 전기화학필터 및 제2 전기화학필터 각각이 정화한 정수수의 전류값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방법.
KR1020110142566A 2010-12-30 2011-12-26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675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10328 WO2012091500A2 (en) 2010-12-30 2011-12-29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CN2011800619730A CN103269982A (zh) 2010-12-30 2011-12-29 水处理设备和使用该水处理设备的水处理方法
US13/996,414 US20130277222A1 (en) 2010-12-30 2011-12-29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CN201610560281.5A CN106082407B (zh) 2010-12-30 2011-12-29 水处理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541 2010-12-30
KR20100138541 2010-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611A true KR20120078611A (ko) 2012-07-10
KR101675749B1 KR101675749B1 (ko) 2016-11-16

Family

ID=4671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566A KR101675749B1 (ko) 2010-12-30 2011-12-26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277222A1 (ko)
KR (1) KR101675749B1 (ko)
CN (2) CN106082407B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091A (ko) * 2013-03-06 2014-09-18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 탈이온 방식 정수기용 정수량 조절 시스템
KR20140111090A (ko) * 2013-03-06 2014-09-18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115259A (ko) * 2013-03-20 2014-09-30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 탈이온 방식의 수처리 장치
WO2015088219A1 (ko) * 2013-12-10 2015-06-18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20150067873A (ko) * 2013-12-10 2015-06-19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20150074245A (ko) * 2013-12-23 2015-07-02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20150074244A (ko) * 2013-12-23 2015-07-02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20160012265A (ko) * 2014-07-23 2016-02-03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CN105452176A (zh) * 2013-08-05 2016-03-30 豪威株式会社 Cdi型水处理设备
KR20160082744A (ko) * 2014-12-29 2016-07-11 코웨이 주식회사 탈이온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CN107428569A (zh) * 2015-03-27 2017-12-01 依科沃特系统有限公司 用于水处理系统的储存和输送及其使用方法
KR20180119142A (ko) * 2018-05-17 2018-11-01 (주) 테크윈 전기 흡착모듈의 세정 제어장치
KR20190069791A (ko) * 2017-12-12 2019-06-20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탈이온 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90101024A (ko) * 2018-02-22 2019-08-30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탈이온 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37026B1 (ko) * 2019-01-24 2019-10-25 김우진 멤브레인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07785A (ko) * 2019-03-07 2020-09-1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20220096174A (ko) 2020-12-30 2022-07-07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탈이온 방식의 정수기
KR20230110236A (ko) * 2019-03-07 2023-07-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155B1 (ko) * 2012-01-09 2014-02-2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여과막 오염 지수 측정 장치
US9040144B2 (en) * 2012-09-04 2015-05-26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Filtering film structure
JP5678388B1 (ja) * 2013-04-15 2015-03-04 有限会社ターナープロセス 系に保持されている水性液体のイオン濃度を低減する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を備える装置
EP2974907B1 (en) * 2014-07-16 2019-05-15 Airbus Operations GmbH Mobile water cart with water pre-conditioning device
CN104132467B (zh) * 2014-08-05 2018-05-08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防触电式电热水器
EP3283440A1 (en) * 2015-04-14 2018-02-21 Koninklijke Philips N.V. Electrosorption purification system with recirculation
CN106245059B (zh) * 2016-08-08 2018-03-09 侯梦斌 一种基于流过式电容去离子法的贵金属回收设备与工艺
KR20180066665A (ko) * 2016-12-09 201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KR20180076768A (ko) * 2016-12-28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WO2018200388A1 (en) 2017-04-23 2018-11-01 Third Wave Water Llc Water mineralizing system
US11274051B2 (en) 2017-08-22 2022-03-15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Capacitive-deionization-type nutritive salt 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dam or weir
KR101881463B1 (ko) * 2018-02-13 2018-08-27 주식회사 한화건설 축전식 탈염 및 전기산화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255518B1 (ko) * 2019-04-24 2021-05-24 알티피코리아주식회사 수소발생기의 사용수명이 증가된 수소수 제공 정수장치
CN110143649B (zh) * 2019-06-28 2021-09-07 马鞍山市新桥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双路流体净化系统
CN110240231B (zh) * 2019-06-28 2021-09-28 马鞍山市新桥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流体净化系统及净化方法
KR102333880B1 (ko) * 2020-01-14 2021-12-03 (주) 시온텍 연속정수장치 및 연속정수방법
CN113397376A (zh) * 2020-03-16 2021-09-17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烧水装置的控制方法、烧水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397375A (zh) * 2020-03-16 2021-09-17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烧水装置的控制方法、烧水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30058247A (ko) 2021-10-22 2023-05-03 코웨이 주식회사 복합 필터가 구비된 정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373A (ja) * 1992-07-27 1994-02-15 Sanden Corp 浄水システム
JPH10156344A (ja) * 1996-10-03 1998-06-16 Toray Ind Inc 浄水器、造水機およびその洗浄方法
KR20050008344A (ko) * 2003-07-15 2005-01-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간헐적 재생 방식으로 운전되는 전기 탈이온 정수시스템및 그 간헐적 재생 제어방법
KR20070049542A (ko) * 2006-07-20 2007-05-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온수기의 전해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3831A (en) * 1985-12-23 1987-02-17 Ews Water Treatment Inc. Water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5425858A (en) * 1994-05-20 1995-06-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apparatus for capacitive deionization, electrochemical purification, and regeneration of electrodes
JPH10151445A (ja) * 1996-09-24 1998-06-09 Toray Ind Inc 造水機とその洗浄方法
US6709560B2 (en) * 2001-04-18 2004-03-23 Biosource, Inc. Charge barrier flow-through capacitor
US8142633B2 (en) * 2003-10-27 2012-03-27 Ge Ionics, Inc. Electrodialysis system and process
EP1838900A2 (en) * 2004-11-02 2007-10-03 The Water Company LLC Electronic components associated and apparatus for deionization and electrochemical purification and regeneration of electrodes
CN101412550A (zh) * 2007-10-16 2009-04-22 黄樟焱 电吸附除盐净水器
GB0822816D0 (en) * 2008-12-15 2009-01-21 Enpar Technologies Inc Electrostatic water filtration (esf) system and methi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373A (ja) * 1992-07-27 1994-02-15 Sanden Corp 浄水システム
JPH10156344A (ja) * 1996-10-03 1998-06-16 Toray Ind Inc 浄水器、造水機およびその洗浄方法
KR20050008344A (ko) * 2003-07-15 2005-01-2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간헐적 재생 방식으로 운전되는 전기 탈이온 정수시스템및 그 간헐적 재생 제어방법
KR20070049542A (ko) * 2006-07-20 2007-05-1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이온수기의 전해조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1090A (ko) * 2013-03-06 2014-09-18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40111091A (ko) * 2013-03-06 2014-09-18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 탈이온 방식 정수기용 정수량 조절 시스템
KR20140115259A (ko) * 2013-03-20 2014-09-30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 탈이온 방식의 수처리 장치
CN105452176A (zh) * 2013-08-05 2016-03-30 豪威株式会社 Cdi型水处理设备
US10040706B2 (en) 2013-08-05 2018-08-07 Coway Co., Ltd. CDI type water treatment apparatus
CN105452176B (zh) * 2013-08-05 2018-01-26 豪威株式会社 Cdi型水处理设备
WO2015088219A1 (ko) * 2013-12-10 2015-06-18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20150067873A (ko) * 2013-12-10 2015-06-19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20150074244A (ko) * 2013-12-23 2015-07-02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US11084740B2 (en) 2013-12-23 2021-08-10 Coway Co., Ltd. CDI-type water treatment method
KR20150074245A (ko) * 2013-12-23 2015-07-02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20160012265A (ko) * 2014-07-23 2016-02-03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장치
KR20160082744A (ko) * 2014-12-29 2016-07-11 코웨이 주식회사 탈이온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기
CN107428569A (zh) * 2015-03-27 2017-12-01 依科沃特系统有限公司 用于水处理系统的储存和输送及其使用方法
KR20190069791A (ko) * 2017-12-12 2019-06-20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탈이온 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90101024A (ko) * 2018-02-22 2019-08-30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탈이온 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119142A (ko) * 2018-05-17 2018-11-01 (주) 테크윈 전기 흡착모듈의 세정 제어장치
KR102037026B1 (ko) * 2019-01-24 2019-10-25 김우진 멤브레인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07785A (ko) * 2019-03-07 2020-09-1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20230110236A (ko) * 2019-03-07 2023-07-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20220096174A (ko) 2020-12-30 2022-07-07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탈이온 방식의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82407B (zh) 2020-07-03
CN106082407A (zh) 2016-11-09
US20130277222A1 (en) 2013-10-24
KR101675749B1 (ko) 2016-11-16
CN103269982A (zh)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8611A (ko)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948006B1 (ko) 수처리 장치
KR100973669B1 (ko) 축전 탈이온화 방식을 이용한 간이 상수도의 정수 처리 시스템
KR20120132348A (ko) 수처리 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6739338B2 (ja) Cdi方式の水処理装置
KR100521628B1 (ko) 전기탈이온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KR101897567B1 (ko)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20120132347A (ko) 총용존고형물질 조절장치 및 방법, 총용존고형물질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
KR20140111091A (ko) 전기 탈이온 방식 정수기용 정수량 조절 시스템
KR20130107041A (ko) 수처리 장치
KR20040000058A (ko) 역삼투막법/전극법을 이용한 폐수 탈염장치
KR101856982B1 (ko) 수처리 장치 및 그 살균세척방법
KR101575049B1 (ko) 수처리장치와 수처리장치의 역삼투막필터 세정방법
CN212403777U (zh) 一种净水装置
CN113402084A (zh) 一种净水装置
KR20090126858A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KR102220165B1 (ko) 전기 탈이온 방식의 수처리 장치
KR20160105262A (ko) 수처리장치, 수처리장치의 세척시스템 및 그 세척방법
CN212403787U (zh) 一种家用净水装置
KR100598900B1 (ko) 이온수 생성기능을 가지는 역삼투정수기
KR101586319B1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KR101777236B1 (ko) 순환식 미생물 제거 정수기
KR102235399B1 (ko)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US20160376174A1 (en) Device for treating water by cdi method
JPH1071393A (ja) 連続通水式電解水生成装置の洗浄・殺菌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機構を備えた連続通水式電解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