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399B1 -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 Google Patents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399B1
KR102235399B1 KR1020190114204A KR20190114204A KR102235399B1 KR 102235399 B1 KR102235399 B1 KR 102235399B1 KR 1020190114204 A KR1020190114204 A KR 1020190114204A KR 20190114204 A KR20190114204 A KR 20190114204A KR 102235399 B1 KR102235399 B1 KR 102235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ater
sealing
closing
seal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2772A (ko
Inventor
이종민
이희경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399B1/ko
Priority to CN202080070715.8A priority patent/CN114514063A/zh
Priority to PCT/KR2020/011523 priority patent/WO2021054642A1/ko
Priority to JP2022517169A priority patent/JP7426478B2/ja
Priority to US17/761,564 priority patent/US20220387936A1/en
Publication of KR2021003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4Tubular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6Tubular membrane modules
    • B01D63/062Tubular membrane modules with membranes on a surface of a support tube
    • B01D63/065Tubular membrane modules with membranes on a surface of a support tube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03Membrane bonding or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01D65/06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with special washing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04Specific process operations in the feed stream; Feed 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separation process operations and control
    • B01D2311/16Flow or flux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4Specific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8Flow guidance means within the module or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8Specific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70Control mean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or a compu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90Additional auxiliary systems integrated with the module or apparatus
    • B01D2313/903Integrated control or detec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10Cross-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20Operation control schemes defined by a periodically repeated sequence comprising filtration cycles combined with cleaning or gas supply, e.g. a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83By reversing the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4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측단이 개구된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유입공을 관통형성한 통수관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여과시트가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분리막 모듈의 내부를 통과하는 원수를 정수와 농축수로 여과처리하는 필터 구조체에 있어서, 제1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출입구와, 제2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2유출입구를 갖추어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밀봉하는 제1밀봉부 ; 상기 통수관의 일측 개구단와 연통연결되는 배출구를 갖추며, 제3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3출입구와, 제4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4출입구를 갖추어 상기 하우징의 타단을 밀봉하는 제2밀봉부 및 상기 제1,2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3,4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밀봉부에서 제2밀봉부 측으로의 정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거나 상기 제2밀봉부에서 제1밀봉부 측으로의 역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2출입구 중 어느 하나의 출입구를 통한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거나 상기 제3,4출입구 중 어느 하나의 출입구를 통한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Filter structure having optional both ends collecting function and Filtering me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정수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필터 구조체의 간단한 유체흐름의 선택적인 변경에 의해서 사용시간대비 오염도가 증가되는 분리막 모듈의 여과면적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사용하도록 하여 분리막의 오염을 지연시킬 수 있고, 필터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인입 원수로부터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여 음용이 가능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는 핵심부품으로 필터 구조체가 사용된다.
이러한 필터 구조체의 여과방식은 정수 및 오폐수에 대한 수처리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종래의 모래여과 방식에서 분리막을 이용한 막여과 방식으로 처리기술의 방향이 변화되고 있다.
분리막 기술은 막의 기공크기, 기공분포 및 막 표면 전하에 따라 처리수 중에 존재하는 처리 대상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분리 제거하기 위한 고도의 분리여과 수처리기술이다.
핵심부품인 분리막은 기공의 크기에 따라 나뉘며 정밀여과막(MF막), 한외여과막(UF막), 나노분리막(NF막), 역삼투막(RO막)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수처리 분야에 있어서는 양질의 음용수 및 공업용수의 생산, 하/폐수처리 및 재이용, 무방류 시스템 개발과 관련된 청정생산공정 등 그 응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분리막 기술은 수질오염이 심각해지는 추세에 맞추어 근래에 주목받게 되는 핵심기술의 하나로서 자리잡아 보편화되고 있으며, 실제로 일반인들이 정수 처리되어 공급하는 수돗물을 다시 정수기를 통해 재처리하여 식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이에 대해 기술개발이 점점 더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정수기 시스템은 분리막 모듈, 전처리 및 후처리 필터, 펌프, 배관, 탱크 및 기타 보조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분리막 모듈인 필터 구조체이다.
이러한 필터 구조체의 종류로는 평판형, 중공사형, 관상형, 나권형 등이 상업화되어 있으며, 단위면적당 분리막 삽입밀도가 높고, 물속의 이온을 제거할 수 있는 나권형 분리막 모듈 필터 구조체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필터 구조체(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원통형의 하우징(10)과, 몸체 중앙에 통수관(21)을 갖는 분리막 모듈(20)을 포함하여 하우징(10)에는 브라인씰(13)의 외측단이 내부면에 접하도록 분리막 모듈(20)을 내부수용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구(3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생산수인 정수가 배출되는 정수배출구(35)와, 농축수가 배출되는 농축수배출구(34)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 구조체를 이용하여 원수를 정수하는 여과공정은, 상기 원수유입구를 통하여 압력을 가하여 원수가 일방향으로 유입되면, 하우징에 내장된 분리막 모듈을 통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정수가 이루어지고,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인 정수는 통수관으로 집수되어어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출수되고, 정수되고 남은 농축수는 상기 농축수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출수된다.
즉, 상기 필터 구조체는 도면상 좌측의 원수유입구를 통하여 일방향으로 원수가 유입되는 형태로 원수가 분리막 모듈을 일방향으로 통과하면서 농축이 되는 현상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분리막 모듈은 상기 농축수배출구와 인접하여 가까운 부위부터 막오염이 시작되고, 여과시간 대비 막오염이 시작된 부위를 중심으로 오염이 가속화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분리막 모듈의 여과성능이 떨어지게 되어 일정수준 이상 여과성능이 저하될 경우 필터 구조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게 된다.
특히, 산업용 정수 시스템의 경우 높은 운전압력을 이용하여 원수유입을 반대방향으로 변경함으로써 분리막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물리적으로 역세시켜 제거하거나, 산 내지 염기성 화합물을 이용하는 화학적 세정에 의해서 분리막 모듈에 잔존하는 오염물질을 화학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분리막 모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높은 운전압력을 필요로 하는 물리적인 역세척 및 약품처리를 필요로 하는 화학적 세정은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어렵고 인체에 해롭기 때문에 가정용 정수기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함에 따라 가정용 정수기 시스템용 필터 구조체의 분리막 모듈에 대한 오염을 저감시키는 기술개발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분리막 모듈을 중심으로 하여 원수가 유입되고 정수와 농축수가 출수되는 방향을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교차하여 사용하도록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농축수 방향에서 집중되어 시작되는 분리막 모듈의 오염현상을 양쪽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시키고, 분리막 모듈의 여과면적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일측단이 개구된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유입공을 관통형성한 통수관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여과시트가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분리막 모듈의 내부를 통과하는 원수를 정수와 농축수로 여과처리하는 필터 구조체에 있어서, 제1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출입구와, 제2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2유출입구를 갖추어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밀봉하는 제1밀봉부 ; 상기 통수관의 일측 개구단와 연통연결되는 배출구를 갖추며, 제3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3출입구와, 제4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4출입구를 갖추어 상기 하우징의 타단을 밀봉하는 제2밀봉부 및 상기 제1,2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3,4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밀봉부에서 제2밀봉부 측으로의 정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거나 상기 제2밀봉부에서 제1밀봉부 측으로의 역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2출입구 중 어느 하나의 출입구를 통한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거나 상기 제3,4출입구 중 어느 하나의 출입구를 통한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 를 포함하는,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밀봉부의 제1,2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1밀봉부에서 제2밀봉부 측으로 정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면서 여과되고, 농축수는 상기 제2밀봉부의 제3,4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고, 정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정방향 여과모드와, 상기 제2밀봉부의 제3,4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2밀봉부에서 제1밀봉부 측으로 역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면서 여과되고, 농축수는 상기 제1밀봉부의 제1,2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고, 정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역방향 여과모드를 일정시간을 두고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의 작동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2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2출입구 중 하나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제3,4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3,4출입구 중 하나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정수의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유량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량계에서 측정되는 정수배출량의 변화값을 근거로 하는 작동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2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2출입구 중 하나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제3,4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3,4출입구 중 하나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4시간 내지 12시간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정방향 여과모드와 역방향 여과모드간의 교차 여과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도록 공급되는 원수와 상기 분리막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하는 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씰링부는 상기 제1밀봉부와 대응하는 분리막 모듈의 일측단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외측단이 접해지는 제1차단씰과, 상기 제2밀봉부와 대응하는 분리막 모듈의 타측단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외측단이 접해지는 제2차단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일측단이 개구된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유입공을 관통형성한 통수관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여과시트가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필터 구조체를 갖추어 상기 분리막 모듈의 내부를 통과하는 원수를 정수와 농축수로 여과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출입구와, 제2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2유출입구를 갖추어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밀봉하는 제1밀봉부 ; 상기 통수관의 일측 개구단와 연통연결되는 배출구를 갖추며, 제3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3출입구와, 제4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4출입구를 갖추어 상기 하우징의 타단을 밀봉하는 제2밀봉부 및 상기 제1,2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3,4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1밀봉부의 제1,2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는 상기 제1밀봉부에서 제2밀봉부 측으로 정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여 여과되고, 농축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2밀봉부의 제3,4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고, 정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정방향 여과모드 단계 ;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2밀봉부의 제3,4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는 상기 제2밀봉부에서 제1밀봉부 측으로 역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여 여과되고, 농축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1밀봉부의 제1,2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고, 정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역방향 여과모드 단계 ;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정방향 여과모드 단계와 역방향 여과모드 단계는 일정시간을 두고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되는,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방향 여과모드 단계와 역방향 여과모드 단계간의 교차 여과운전은,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의 작동신호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방향 여과모드 단계와 역방향 여과모드 단계간의 교차 여과운전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정수의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유량계에서 측정되는 정수배출량의 변화값을 근거로 하는 작동신호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방향 여과모드단계와 역방향 여과모드단계간의 교차 운전시간은 4시간 내지 12시간의 간격을 두고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필터 구조체에 구비되는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면서 여과처리되는 원수의 유입흐름을 제어부의 정방향 여과모드 및 역방향 여과모드간의 교차제어에 의해서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주기적으로 교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농축수의 배출방향에서 집중되어 시작되는 분리막 모듈의 오염현상을 양쪽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리막 모듈의 여과면적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분리막 모듈의 오염이 발생한 후 가속되는 오염현상을 지연시킬 수 있어 필터 구조체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필터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에서 원수의 정방향 유입시 여과처리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에서 원수의 역방향 유입시 여과처리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생산수유량과 여과 운전시간간의 상관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 은 여과운전후 분리해체된 분리막 모듈의 오염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비교예의 분리막 모듈
(b)는 실시예 4의 분리막 모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100)는 도 2 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 분리막 모듈(120), 제1,2밀봉부(130a,130b)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적어도 일단이 개구되어 상기 분리막 모듈(1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중공 원통형 부재이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제1밀봉부(130a)와 대응하는 일단이 개구된 중공원통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밀봉부와 대응하는 타단이 개구되거나 상기 제1,2밀봉부와 대응하는 양단이 개구된 중공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리막 모듈(120)은 적어도 하나의 유입공(122)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한 일정길이의 통수관(121)을 몸체 내부중앙에 구비하도록 상기 통수관의 외부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여과시트가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통수관(121)은 양단 중 어느 하나의 단부 또는 양단이 개구되고, 길이중간에 생산수인 정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공(122)을 관통형성되는 일정길이의 중공형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수관에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되어 분리막 모듈을 형성하는 여과시트는 멤브레인 시트와 투과수유로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멤브레인 시트는 폴리아미드계 분리막, 폴리이미드계 분리막, 폴리설폰계 분리막 및 폴리에테르 설폰계 분리막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계 분리막일 수 있다.
상기 투과수유로 시트는 섬유사들이 펠트, 폐이퍼, 부직포 등의 형태로 결합되거나 섬유사가 씨줄과 날줄로 서로 직조되어 이루어지는 트리코트지일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시트와 투과수유로 시트로 이루어지는 여과시트는 상기 통수관과 대응하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도포되는 접합라인을 매개로 하여 적층접합되어 다층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통수관의 외부면에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된다.
상기 제1밀봉부(130a)는 제1개폐밸브(131a)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제1출입구(131)와, 제2개폐밸브(132a)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제2유출입구(132)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일측단을 밀봉한다.
상기 제1,2출입구(131,132)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단에 대응삽입되는 밀봉캡(112)의 단부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관부재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10)의 일단에 밀폐된 단부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관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출입구(131,132)의 내부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2개폐밸브는 수동으로 개폐작동되는 수동식 밸브부재이거나 후술하는 제어부(140)의 전기신호에 의해서 개폐작동되는 전자식 밸브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밀봉부(130b)는 제1밀봉부와 마찬가지로 제3개폐밸브(133a)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제3출입구(133)와, 제4개폐밸브(134a)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유로를 개폐하는 제4출입구(134)를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타측단을 차단한다.
상기 제3,4출입구(133,134)는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타단의 밀폐된 단부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관부재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타단에 대응삽입되는 밀봉캡의 단부면에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중공관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4출입구(133,134)의 내부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4개폐밸브는 제1밀봉부와 마찬가지로 수동으로 개폐작동되는 수동식 밸브부재이거나 후술하는 제어부(140)의 전기신호에 의해서 개폐작동되는 전자식 밸브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밀봉부(130b)는 상기 통수관(121)의 일측 개구단과 연통연결되어 상기 분리막 모듈(120)을 통과하는 원수 중 여과처리되는 생산수인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밀봉부(130a)에 구비되는 제1,2개폐밸브(131a,132a)의 개폐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2밀봉부(130b)에 구비되는 제3,4개폐밸브(133a,134a)의 개폐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원수가 상기 제1밀봉부(130a)에서 제2밀봉부(130b) 측으로 진행하는 정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정방향 여과모드와, 원수가 상기 제2밀봉부(130b)에서 제1밀봉부(130a) 측으로 진행하는 정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역방향 여과모드를 일정시간을 두고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되도록 여과공정을 운전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의 작동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밀봉부(130a)에 구비되는 제1,2개폐밸브(131a,132a)의 개폐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2출입구 중 어느 하나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제2밀봉부(130b)에 구비되는 제3,4개폐밸브(133a,134a)의 개폐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3,4출입구(133,134) 중 어느 하나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배출구(135)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정수의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유량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량계에서 측정되는 정수배출량의 변화값을 근거로 하는 작동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밀봉부(130a)에 구비되는 제1,2개폐밸브(131a,132a)의 개폐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2출입구(131,132) 중 어느 하나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제2밀봉부에 구비되는 제3,4개폐밸브(133a,134a)의 개폐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3,4출입구(133,134)중 어느 하나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과 분리막 모듈(120)과의 사이에는 상기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도록 공급되는 원수와 상기 분리막 모듈(120)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하는 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씰링부는 상기 제1밀봉부(130a)와 대응하는 분리막 모듈의 일측단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외측단이 접해지는 제1차단씰(123)과, 상기 제2밀봉부(130b)와 대응하는 분리막 모듈(120)의 타측단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면에 외측단이 접해지는 제2차단씰(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리막 모듈(120)은 양단 집수를 위해 분리막 모듈의 양단 외부에 구비되는 제1,2차단씰(123,124)에 의해서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 씰링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원수가 어느 방향으로 유입되더라도 원수가 농축수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만약 원수가 농축수쪽으로 유입될 경우 운전압력 손실에 따른 투과수량 감소 및 염 배제율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1,2차단씰을 분리막 모듈의 양측단에 각각 부착하거나 쿼드링과 같이 하나의 씰을 분리막 모듈에 구비하여 양방향 씰링이 가능하도록 씰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정방향 여과모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밀봉부(130a)의 제1,2개폐밸브 중 제1개폐밸브(131a)는 개방되는 반면에 제2개폐밸브(132a)는 폐쇄되고, 상기 제2밀봉부(130b)의 제3,4개폐밸브중 제3개폐밸브(133a)는 폐쇄되는 반면에 제4개폐밸브(134a)는 개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개폐밸브가 개방된 제1출입구(131)를 통하여 원수가 공급되어 강제 유입되면, 상기 원수는 제1밀봉부와 대응하는 분리막 모듈(120)의 일단에서 상기 제2밀봉부와 대응하는 분리막의 모듈(120)의 타단으로 흐르는 정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면서 여과처리되기 때문에 상기 분리막 모듈(120)의 여과시트를 정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여과처리되는 원수 중 농축수는 상기 제4개폐밸브가 개방된 제4출입구(134)를 통하여 외부배출되고, 생산수인 정수는 통수관(121)의 유입공(122)으로 유입되어 상기 통수관과 연통연결된 배출구(135)를 통하여 외부배출된다.
여기서, 이러한 원수의 정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는 정방향 여과모드의 운전에 의해서 일정시간 동안 생산수인 정수를 생산하게 되면, 분리막 모듈의 오염도가 일측인 농축수 배출측으로 치우치게 되기 때문에 사전에 설정된 타이머의 설정시간이나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정수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의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분리막 모듈의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입방향을 역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역방향 여과모드 운전을 적어도 1회이상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역방향 여과모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밀봉부(130a)의 제1,2개폐밸브중 개방된 제1개폐밸브(131a)는 폐쇄상태로 절환되는 반면에 폐쇄된 제2개폐밸브(132a)는 개방상태로 절환되고, 상기 제2밀봉부의 제3,4개폐밸브중 폐쇄된 제3개폐밸브(133a)는 개방상태로 절환되는 반면에 개방된 제4개폐밸브(134a)는 폐쇄상태로 절환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3개폐밸브가 개방된 제3출입구(133)를 통하여 원수가 공급되어 유입되면, 상기 원수는 제2밀봉부(130b)와 대응하는 분리막 모듈(120)의 타단에서 상기 제1밀봉부(130a)와 대응하는 분리막의 모듈의 일단으로 흐르는 역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면서 여과처리되기 때문에 상기 분리막 모듈을 역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여과처리되는 원수 중 농축수는 상기 제2개폐밸브가 개방된 제2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고, 생산수인 정수는 통수관의 유입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통수관과 연통연결된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된다.
이에 따라, 필터 구조체에 구비되는 핵심부품인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면서 여과처리되는 원수의 유입흐름을 제어부의 정방향 여과모드 및 역방향 여과모드간의 교차제어에 의해서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교차 사용함으로써, 농축수의 배출방향에서 집중되어 시작되는 분리막 모듈의 오염현상을 양쪽 방향으로 분산시켜 분리막 모듈의 여과면적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분리막 모듈의 오염이 발생한 후 가속되는 오염현상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필터 구조체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구조체의 분리막 모듈을 이용한 원수 여과처리는 정수기 사용시간인 실제적인 여과운전시간 또는 통수량, 분리막 모듈 자체의 투과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4시간 내지 12시간 간격을 두고 원수를 유입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여과운전하는 함으로써 분리막 모듈의 오염을 지연시켜 필터 구조체의 사용수명을 연장하는데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운전시간 간격이 4시간보다 짧거나 12시간보다 길어질 경우 원수를 양방향으로 교차 운전하는 효과가 떨어지면서 분리막 모듈의 오염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필터 구조체(100)는, 원수 유입 방향을 일방향이 아닌 양쪽 양방향으로 교차 사용하도록 구조를 변경하고 제어함으로써 분리막 모듈에서 발생하는 오염현상을 지연시켜 필터 구조체의 사용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이때, 필터 구조체의 사용수명은 운전시간에 따라 오염에 의한 수투과도 저하 정도로 상대적인 비교가 가능하며, 실제 사용한 분리막 모듈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여 해체한 후 표면의 오염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비교할 수 있다.
<실시예 1>
1812 사이즈의 가정용 분리막 모듈(120)의 외부면에 제1,2차단씰(123,124)을 양쪽으로 각각 부착한 다음, 평가기 베셀에 장착하고, 상기 분리막 모듈에서의 여과처리시 오염이 잘 발생할 수 있도록 이물질인 스케일 성분으로 250ppm 칼슘클로라이드, 160ppm 소듐하이드로젠 카보네이트, 90ppm 소듐클로라이드 조재수를 원수로 하여, 80psi, 25℃, 60~65% 회수율로 운전하였다. 이때, 원수를 정방향으로 유입하는 정방향 여과모드와, 원수를 역방향으로 유입하는 역방향 여과모드를 1시간의 간격을 두고 변경하였고, 운전시간에 따른 투과수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정방향 여과모드와 역방향 여과모드를 2시간의 간격을 두고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원수를 유입하는 정방향 여과모드와 역방향 여과모드를 4시간의 간격을 두고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원수를 유입하는 정방향 여과모드와 역방향 여과모드를 8시간의 간격을 두고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원수를 유입하는 정방향 여과모드와 역방향 여과모드를 12시간의 간격을 두고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원수를 유입하는 정방향 여과모드와 역방향 여과모드를 14시간의 간격을 두고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1>
원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변경하지 않고 정방향 여과모드로 하여 일반적인 정수기 시스템과 동일하게 일방향으로 운전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Figure 112019094942260-pat00001
상기 표 1과 및 도 6에서와 같이, 원수를 일방향인 정방향 여과모드만으로 유입한 비교예 1에 대비하여 실시예 1 ~ 실시예 6의 경우 약 3000분 가량 여과운전후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원수의 유입방향을 정방향 여과모드와 역방향 여과모드로 교차하는 시간에 따라 효과가 달라지며, 4시간 이상 교차하여 운전하는 경우 유량감소율이 더욱 낮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원수의 유입방향이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변경됨으로 인하여 농축수가 분리막 모듈의 한쪽부위에만 치중되어 농축수의 배출측 부분부터 발생하는 막 오염현상이 완화된 결과로 유량 감소율이 낮은 만큼 분리막 필터 구조체의 사용수명이 연장할 수 있어 필터 구조체의 교체시기를 늦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교예 1에서는 약 3000분 여과운전 후 생산수 유량이 약 36% 감소한 반면, 실시예 4의 경우 동일시간 운전조건에서 생산수 유량이 약 25% 감소하여 유량감소율이 10%가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4 시간 단위로 교차 여과운전한 실시예 6의 경우 상기 비교예와 대비해보면, 상대적으로 효과가 우수하나 실시예 5에 비하여 효과가 소폭 낮아 분리막 모듈 자체의 성능, 운전조건에 따라 적절한 교차 운전시간이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a 와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능평가 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막 모듈을 해체하여 상대적인 분리막 인 여과시트의 표면오염 정도를 비교하였다.
비교예 1인 도 7a 에서와 같이, 농축수 방향을 중심으로 오염물질이 쌓여져 있는 것이 확인되는 반면, 유량감소율이 가장 낮은 실시예 4인 도 7b 에서는 표면에 오염물질이 쌓인 것이 육안으로는 확인이 되지 않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염정도에 따른 유량감소율의 차이와 동일한 경향으로 정방향 여과모드와 역방향 여과모드간의 교차운전에 따른 분리막 모듈의 오염이 저감되는 효과를 증명하는 결과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빠른 시간내에 교차운전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분리막 모듈의 오염을 가속시킬수 있도록 스케일 성분을 다량 혼합한 원수조건에서 평가를 실시한 결과로, 일반적인 정수기 시스템 사용조건인 수돗물을 원수로 하고, 전처리 필터를 사용할 경우 분리막 모듈의 오염 저감에 따른 수명연장 효과를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 구조체를 적용한 정수기 시스템에서 원수를 유입하는 방향을 일정시간을 주기로 교차로 변경하면서 사용하게 되면, 핵심부품인 분리막 모듈의 오염이 저감되어 필터 구조체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정수기 시스템용 필터 구조체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하우징
120 : 필터모듈
121 : 통수관
122 : 유입공
130a : 제1밀봉부
130b : 제2밀봉부
131 : 제1출입구
131a : 제1개폐밸브
132 : 제2출입구
132a : 제2개폐밸브
133 : 제3출입구
133a : 제3개폐밸브
134 : 제4출입구
134a : 제4개폐밸브
140 : 제어부

Claims (11)

  1. 적어도 일측단이 개구된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유입공을 관통형성한 통수관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여과시트가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분리막 모듈의 내부를 통과하는 원수를 정수와 농축수로 여과처리하는 필터 구조체에 있어서,
    제1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출입구와, 제2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2유출입구를 갖추어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밀봉하는 제1밀봉부 ;
    상기 통수관의 일측 개구단와 연통연결되는 배출구를 갖추며, 제3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3출입구와, 제4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4출입구를 갖추어 상기 하우징의 타단을 밀봉하는 제2밀봉부 및
    상기 제1,2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3,4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1밀봉부에서 제2밀봉부 측으로의 정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거나 상기 제2밀봉부에서 제1밀봉부 측으로의 역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2출입구 중 어느 하나의 출입구를 통한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거나 상기 제3,4출입구 중 어느 하나의 출입구를 통한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 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밀봉부와 대응하는 일단이 밀폐된 통수관의 개방된 타단과 연통연결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정수의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유량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량계에서 측정되는 정수배출량의 변화값을 근거로 하는 작동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2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2출입구 중 하나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제3,4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3,4출입구 중 하나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상기 제어부는 정방향 여과모드와 역방향 여과모드간 교차 여과운전을 제어하며,
    상기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도록 공급되는 원수와 상기 분리막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하는 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씰링부는 상기 제1밀봉부와 대응하는 분리막 모듈의 일측단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외측단이 접해지는 제1차단씰과, 상기 제2밀봉부와 대응하는 분리막 모듈의 타측단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외측단이 접해지는 제2차단씰을 포함하는,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밀봉부의 제1,2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1밀봉부에서 제2밀봉부 측으로 정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면서 여과되고, 농축수는 상기 제2밀봉부의 제3,4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고, 정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정방향 여과모드와,
    상기 제2밀봉부의 제3,4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가 상기 제2밀봉부에서 제1밀봉부 측으로 역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면서 여과되고, 농축수는 상기 제1밀봉부의 제1,2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고, 정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역방향 여과모드를 일정시간을 두고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의 작동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1,2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2출입구 중 하나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고, 상기 제3,4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3,4출입구 중 하나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4시간 내지 12시간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정방향 여과모드와 역방향 여과모드간의 교차 여과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6. 삭제
  7. 적어도 일측단이 개구된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유입공을 관통형성한 통수관의 외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여과시트가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분리막 모듈을 포함하는 필터 구조체를 갖추어 상기 분리막 모듈의 내부를 통과하는 원수를 정수와 농축수로 여과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출입구와, 제2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2유출입구를 갖추어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밀봉하는 제1밀봉부 ;
    상기 제1밀봉부와 대응하는 일단이 밀폐된 통수관의 일측 개구단과 연통연결되는 배출구를 갖추며, 제3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3출입구와, 제4개폐밸브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4출입구를 갖추어 상기 하우징의 타단을 밀봉하는 제2밀봉부 및
    상기 제1,2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3,4개폐밸브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1밀봉부의 제1,2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는 상기 제1밀봉부에서 제2밀봉부 측으로 정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여 여과되고, 농축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2밀봉부의 제3,4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고, 정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정방향 여과모드 단계 ;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2밀봉부의 제3,4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는 상기 제2밀봉부에서 제1밀봉부 측으로 역방향 유체흐름을 형성하면서 상기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여 여과되고, 농축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제1밀봉부의 제1,2출입구 중 선택적으로 개방된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고, 정수는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역방향 여과모드 단계 ; 를 포함하고,
    상기 정방향 여과모드 단계와 역방향 여과모드 단계간의 교차 여과운전은, 상기 제1밀봉부와 대응하는 일단이 밀폐된 통수관의 일측 개구단과 연통연결되는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배출되는 정수의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유량계에서 측정되는 정수배출량의 변화값을 근거로 하는 작동신호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분리막 모듈을 통과하도록 공급되는 원수와 상기 분리막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분리하는 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씰링부는 상기 제1밀봉부와 대응하는 분리막 모듈의 일측단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과 외측단이 접해지는 제1차단씰과, 상기 제2밀봉부와 대응하는 분리막 모듈의 타측단 외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 외측단이 접해지는 제2차단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여과모드 단계와 역방향 여과모드 단계간의 교차 여과운전은, 사전에 설정된 시간에 맞추어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의 작동신호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방향 여과모드 단계와 역방향 여과모드 단계간의 교차 운전시간은 4시간 내지 12시간의 간격을 두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를 이용한 여과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필터 구조체를 포함하는 정수기 시스템.
KR1020190114204A 2019-09-17 2019-09-17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102235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204A KR102235399B1 (ko) 2019-09-17 2019-09-17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CN202080070715.8A CN114514063A (zh) 2019-09-17 2020-08-28 具有选择型两端集水功能的过滤结构及利用此的过滤方法
PCT/KR2020/011523 WO2021054642A1 (ko) 2019-09-17 2020-08-28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JP2022517169A JP7426478B2 (ja) 2019-09-17 2020-08-28 選択型両端集水機能を有するフィルタ構造体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濾過方法
US17/761,564 US20220387936A1 (en) 2019-09-17 2020-08-28 Filter structure having function of selectively collecting water through opposite ends thereof and filter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204A KR102235399B1 (ko) 2019-09-17 2019-09-17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772A KR20210032772A (ko) 2021-03-25
KR102235399B1 true KR102235399B1 (ko) 2021-04-01

Family

ID=7488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204A KR102235399B1 (ko) 2019-09-17 2019-09-17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87936A1 (ko)
JP (1) JP7426478B2 (ko)
KR (1) KR102235399B1 (ko)
CN (1) CN114514063A (ko)
WO (1) WO202105464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654B1 (ko) * 2014-09-24 2015-08-03 현대건설주식회사 교차 운전을 이용한 역삼투막 여과장치 및 여과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9151B2 (ja) * 2002-12-26 2006-12-20 オルガノ株式会社 分離膜モジュール、分離膜装置及び分離膜装置の運転方法
KR20100008213A (ko) * 2008-07-15 2010-01-25 토시히로 하세가와 정수기 및 그 작동방법
KR101212573B1 (ko) * 2010-03-31 2012-12-14 아쿠아스 포스 가부시키가이샤 연속운전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세척 방법
KR20130000477A (ko) * 2011-06-23 2013-01-03 윤충열 역 세척이 가능한 고농도 액체 여과 장치
KR101604017B1 (ko) * 2015-05-14 2016-03-16 주식회사 아크로워터테크 역방향 교차운전을 이용한 알오 멤브레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케일 오염방지 방법
MY189348A (en) * 2015-12-29 2022-02-07 Picogram Co Ltd Side-flow type ro filter with extended fluid transfer pat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654B1 (ko) * 2014-09-24 2015-08-03 현대건설주식회사 교차 운전을 이용한 역삼투막 여과장치 및 여과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54642A1 (ko) 2021-03-25
KR20210032772A (ko) 2021-03-25
JP2022548281A (ja) 2022-11-17
JP7426478B2 (ja) 2024-02-01
US20220387936A1 (en) 2022-12-08
CN114514063A (zh)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8611A (ko)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717307B1 (ko) 여과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9012206B (zh) 滤芯及净水机
KR101948006B1 (ko) 수처리 장치
KR101954760B1 (ko) 역플러싱 전처리 필터를 구비한 정수시스템 및 그 정수방법
CN215559587U (zh) 一种净水装置、自清洗过滤系统
CN106457158B (zh) 过滤器系统
CN109574288B (zh) 净水系统
KR20050033547A (ko) 분리막 모듈 및 분리막 모듈의 운전 방법
KR102235399B1 (ko) 선택형 양단 집수기능을 갖는 필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여과방법
KR20130107041A (ko) 수처리 장치
CN111867700A (zh) 净水器用一体型复合过滤器模块
JP2017113735A (ja) 分離膜ろ過装置および浄水装置の運転方法
CN204918201U (zh) 净水系统及净水器
KR20100051947A (ko) 정수용 필터 하우징
KR102006397B1 (ko) 유입튜브를 이용하여 전처리 침전 필터의 오염물질 배출이 가능한 정수시스템
JP4454922B2 (ja) 中空糸型分離膜を用いた濾過装置の制御方法
KR20100106858A (ko) 화학반응에 의한 잔류염소 제거가 가능한 정수기
RU2630121C1 (ru) Устройство микрофильтрационное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загрязнений
CN218435118U (zh) 一种具有相互反冲洗功能的双出水净水系统和净水机
KR200420335Y1 (ko) 정수기용 전처리 장치
CN215886571U (zh) 一种反渗透净水器用前置滤芯的反冲洗装置以及净水器
CN212559687U (zh) 一种可实现自冲洗的净水水路及净水机
CN216073106U (zh) 双过滤模块反冲洗过滤装置
JP5968592B2 (ja) 浄水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