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342A -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342A
KR20120078342A KR1020100140614A KR20100140614A KR20120078342A KR 20120078342 A KR20120078342 A KR 20120078342A KR 1020100140614 A KR1020100140614 A KR 1020100140614A KR 20100140614 A KR20100140614 A KR 20100140614A KR 20120078342 A KR20120078342 A KR 20120078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resin
weight
resin composition
carbon nanotubes
conductive poly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열
이윤택
장영규
배승용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8342A/ko
Publication of KR2012007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3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4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0 내지 95 중량%; (B) SAN 수지 5 내지 60 중량%; 및 상기 (A) 및 (B) 수지를 합한 100 중량부에 대하여 (C) 번들타입의 탄소나노튜브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번들형 탄소나노튜브를 전도성 충진제로 도입하여 낮은 표면저항을 가지며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an excellent electro-conductivity}
본 발명은 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번들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는 흑연 면이 말린 실린더 형태를 나타내며,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여 전자 방출소자, 전자소자, 센서 등의 소자에 많이 응용되고 있고,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여 고강도 복합소재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실린더 형태의 말린 면의 개수에 따라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ingle walled carbon nanotube),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ouble walled carbon nanotube), 다층벽 탄소나노튜브(Multi walled carbon nanotube)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벽수에 따라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된다.
최근 들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복합체의 연구 및 개발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복합체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하여 전기 및 전자제품 등에 적용하여 전자파 차폐, 대전방지 등의 고부가용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소나노튜브는 통상 고가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탄소나노튜브를 값싸게 대량으로 합성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적은 함량의 탄소나노튜브로 원하는 전기전도성을 얻기 위해서는 수지의 특성 및 가공조건 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탄소나노튜브 자체의 특성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
탄소나노튜브를 충진제로 사용하여 전기 전도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있어,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형태로 존재하며, 분산된 탄소나노튜브간에 전도성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네트워크가 효율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을 적게 투입하더라도 우수한 전도성을 발현 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매트릭스 내에 고르게 잘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고분자 수지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 핵심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직경이 1 내지 수십nm 이며 길이는 수십~수백 ㎛로 종횡비가 매우 큰 물질로서 실타래 처럼 엉겨있는  탄소나노튜브를 개별적으로 하나씩 풀어내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할 때 수지 함침시 분산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제어된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것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효율적인 전도성 네트워크 구축과 원가 절감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데 있어서 중요한 해결과제라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저항이 낮아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0 내지 95 중량%; (B) SAN 수지 5  내지 60 중량%; 및 상기 (A) 및 (B) 수지를 합한 100 중량부에 대하여 (C) 번들타입의 탄소나노튜브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0.001 내지 0.05 g/ml의 벌크 덴서티(bulk density)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로서 상기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표면저항은 103 내지 109 Ω/sq이다.
본 발명의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번들형 탄소나노튜브를 전도성 충진제로 도입하여 낮은 표면저항을 가지며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다.
제1도는 탄소나노튜브의 형태에 따른 표면저항과 벌크덴서티의 관계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수지 조성 및 탄소나노튜브의 형태에 따른 표면저항의 수치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40 내지 95 중량%;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SAN) 수지 5 내지 60 중량%; 및 상기 (A) 및 (B)수지를 합한 100중량부에 대하여 (C) 벌크 덴서티(bulk density)가 0.001 내지 0.05 g/ml인 번들타입의 탄소나노튜브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전도성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 및 적용되는 탄소나노튜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하기 일반식 I로 표시되는 디페놀 화합물을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또는 탄산 디에스테르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A1은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리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5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리덴, CO, S, 및 S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그리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여기서, "치환된"이란 수소 원자가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 탄소수 1 내지 30의 할로알킬,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 탄소수 6 내지 30의 헤테로아릴,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하이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디페놀 화합물로는 하이드로퀴논, 레조시놀과 같은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스페놀-A라고도 불리는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000 내지 200,000 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15,000 내지 80,000 g/mol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뿐만 아니라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선형과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비스페놀 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바람직하게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 화합물의 전량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의 트리-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예를 들면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 있으며,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블렌드 형태도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B)SAN 수지
본 발명에 따른 SAN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50 내지 90중량%와 상기 불포화 니트릴단량체 10 내지 50중량%를 공중합하여 조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60 내지 80중량%와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20 내지 40중량%를 공중합하여 조성되며, 그 함량은 상기 (A) 및 (B) 수지를 합한 100중량%에 대하여 5 내지 6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핵치환 스티렌 등이 바람직하고, 이 중 스티렌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불포화 니트릴계 단량체가 바람직하며 특히 아크릴로니트릴 20 내지 4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 1 에서와 같이 상기 폴리카보네이트(A)와 하기 번들타입의 탄소나노튜브(C)만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상기 성분과 함께 SAN(B)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표면 저항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는 SAN 수지보다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친화성이 우수하므로 SAN 수지를 혼합하는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의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향상된 분산성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효율적인 전도성 네트워크의 구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SAN 수지(B)는 상기 (A) 및 (B) 수지를 합한 100중량%에 대하여 대하여 5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탄소나노튜브
본 발명에서 전도성 충진제로 사용하는 탄소나노튜브는 번들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소나노튜브의 형태는 크게 번들(실타래)형태 또는 코튼(Cotton, 뭉침형태)형태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코튼형태 탄소나노튜브 또는 번들 및 코튼형태의 탄소나노튜브 조합에 비하여 번들형태 탄소나노튜브를 단독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SAN 수지에 함침시키는 경우 전기 전도성이 개선됨을 알게 되었다. 이는 코튼형태의 탄소나노튜브에 비하여 번들형태의 탄소나노튜브가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함침시 분산성이 더욱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기 번들형태의 탄소나노튜브(C)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및 SAN 수지(B)를 합한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번들형태의 탄소나노튜브는 0.001 내지 0.05 g/ml의 벌크 덴서티(bulk density)를 가지며, 직경은 1  내지 100nm이며, 길이는 1 내지 1000㎛이며, 종횡비(L/H)는 101 내지 106 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전도성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구축 및 그에 따른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사용된 성분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25,000g/mol인 비스페놀-A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였다.
(B) SAN 수지
스티렌을 71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을 29중량부로 하며, 중량평균 분자량은 130,000의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였다.
(C) 탄소나노튜브
두께가 5~15 nm이고, 길이가 1~200 ㎛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로서  각각 다른 형상을 가진 CNT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c1) 번들형태
(c2) 번들형태 및 코튼형태의 혼합
(c3) 코튼형태
 
물성평가
표면 저항(Ω/sq): Wolfgang Warmbler사의 SRM-100을 사용하여 ASTM D257에 따라 사출 시편의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
실시예 1은 번들형태의 탄소나노튜브(c1), 비교예 1는 번들형태 및 코튼형태를 조합한 경우, 비교예 2은 코튼형태인 경우 벌크덴서티 및 표면저항을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1에 그 측정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하기 측정값을 기초로 탄소나노튜브의 형태에 따른 벌크덴서티와 표면저항의 관계를 도 1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구분 탄소나노튜브 bulk density
(g/ml)
CNT 표면저항
(Ω/□)
형상 기호
실시예1 번들 C1 0.03 0.55
비교예1 번들+코튼 C2 0.052 0.65
비교예2 코튼 C3 0.072 0.87
상기 표1 및 도 1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번들형태를 단독으로 사용한 실시예 1은 일정한 방향성 없이 랜덤하게 성장한 코튼형태의 탄소섬유에 비하여 벌크덴서티가 낮으며, 상대적으로 표면적이 넓으므로 표면저항값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3 내지 7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3 내지 7에서 사용한 각 성분의 조성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2의 조성 및 함량에 따른 각 성분과 함께 산화 방지제 및 열안정제를 혼합하여 각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L/D=35, Φ=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한 후 압출물을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10 oz 사출기에서 사출 온도 280℃ 하에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값을 기초로 수지 조성 및 탄소나노튜브의 형태에 따른 상관관계를 도 2의 그래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를 기초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분석해보면, SAN 수지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필수적으로 포함시키고, 번들형태 탄소나노튜브를 단독으로 사용한 실시예 2 내지 3의 경우에는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이 고르게 잘 이루어져 표면저항이 비교적 낮은 값을 가지고, 전기 전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번들형태와 코튼형태의 탄소나노튜브를 조합하여 사용한 비교예 4 내지 5, 및 코튼형태를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6 내지 7의 경우에는 표면 저항값이 실시예와 비교해서 현저히 높은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번들형태의 탄소나노튜브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3의 경우에는 SAN수지를 필수적 성분으로 포함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탄소나노튜브가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여 다른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표면저항값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0 내지 95 중량%;
    (B) SAN 수지 5 내지 60 중량%; 및
    상기 (A) 및 (B) 수지를 합한 100 중량부에 대하여 (C) 번들타입의 탄소나노튜브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0.001 내지 0.05 g/ml의 벌크 덴서티(bulk density)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직경이 1 내지 100 nm이고, 길이는 1 내지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101 내지 106의 종횡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는 10,000 내지 200,000 g/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AN 수지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50 내지 90중량% 및 상기 불포화 니트릴단량체 1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핵치환 스티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성형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표면저항이 103 내지 109 Ω/sq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성형품.
KR1020100140614A 2010-12-31 2010-12-31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20078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614A KR20120078342A (ko) 2010-12-31 2010-12-31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614A KR20120078342A (ko) 2010-12-31 2010-12-31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342A true KR20120078342A (ko) 2012-07-10

Family

ID=4671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614A KR20120078342A (ko) 2010-12-31 2010-12-31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83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009B1 (ko) * 2013-07-26 2015-06-04 제일모직주식회사 전도성 난연수지 조성물
WO2016032296A1 (ko) * 2014-08-29 2016-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05850B1 (ko) * 2019-11-08 2021-01-2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009B1 (ko) * 2013-07-26 2015-06-04 제일모직주식회사 전도성 난연수지 조성물
WO2016032296A1 (ko) * 2014-08-29 2016-03-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도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05850B1 (ko) * 2019-11-08 2021-01-2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전도성이 향상된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u et al.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amide 12/graphene nanoplatelets nanocomposites and parts fabricated by fused deposition modeling
KR101269422B1 (ko) 내마모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90424B1 (ko) 전자파 차폐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JP5357047B2 (ja) 導電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品
US8048341B2 (en) Nanocarbon-reinforced polymer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KR100981929B1 (ko) 전기 전도성,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KR101851952B1 (ko) 전기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4529352A (ja) ナノチューブ及び微粉砕炭素繊維ポリマー複合組成物ならびに作製方法
KR101338199B1 (ko) 고분자-전도성 필러 복합체와 그 제조방법
KR20120078342A (ko)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02424720A (zh) 一种导电增强型pc/pb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018716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740718B1 (ko)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43314B1 (ko) 대전방지 트레이 및 그 제조방법
CN104448761A (zh) 一种聚碳酸酯复合材料
CN114350133A (zh) 具有阻燃性能的抗静电热塑性材料、制备方法以及应用
CN103173016A (zh) 一种导电性碳纳米高耐热mPSU化合物
KR101526009B1 (ko) 전도성 난연수지 조성물
US20220112370A1 (en) Polymeric blend composit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102021377B1 (ko) 탄소계 필러 함유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CN108026117B (zh) 碳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KR101859010B1 (ko) 전도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체
KR102314278B1 (ko) 방사선 차폐성 사출성형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방사선 차폐성 사출성형품
CN113817298B (zh) 一种增强pbt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EP3626778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resin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