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718B1 -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718B1
KR101740718B1 KR1020150141327A KR20150141327A KR101740718B1 KR 101740718 B1 KR101740718 B1 KR 101740718B1 KR 1020150141327 A KR1020150141327 A KR 1020150141327A KR 20150141327 A KR20150141327 A KR 20150141327A KR 101740718 B1 KR101740718 B1 KR 101740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composite material
resin
material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982A (ko
Inventor
손영곤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1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7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1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90 초과 내지 99.5 이하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0.5 이상 내지 10 미만 중량%의 카본나노튜브를 혼합하는 혼합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한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1 이상 내지 10 미만 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여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한 복합소재 조성물 중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중점도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고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간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폴리카보네이트의 전단응력 감소에 의한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 향상 및 3차원 네트워크의 형성을 통해 첨가되는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Electroconductive polycarbonate composit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는 투명성이 높고, 열에 안정하며,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소재로서, 상용 플라스틱 또는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널리 사용되는 열가소성 고분자이다.
하지만, 폴리카보네이트는 전기절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대전방지필름, 전자파 차폐 필름 또는 캐리어 테이프 등과 같은 전기전도성이 필요한 분야에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폴리카보네이트에 전도성을 부여하여 보다 다양한 분야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에는 폴리카보네이트에 전도성을 가지는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를 혼합하여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 내용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의 점도가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에 영향주기 때문에 조성물의 전기전도도 부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분산성이 좋고 전단응력이 높은 고점도의 폴리카보네이트와 카본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전기전도성 복합소재를 제조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카본나노튜브 사이의 반 데르 발스(van der Waals)의 힘과 같은 표면인력으로 인해 응집이 발생하기 쉽고, 제조 시 카본나노튜브의 파괴 등으로 인해 분산이 용이하지 않으며, 전기전도도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본나노튜브의 양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폴리카보네이트에 카본나노튜브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전기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1805호 (등록일:2011년 03월 07일)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1303호 (등록일:2014년 10월 08일)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7162호 (등록일:2012년 04월 09일) 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5676호 (등록일:2006년 12월 29일)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폴리카보네이트에 분산되는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 향상을 통해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90 초과 내지 99.5 이하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0.5 이상 내지 10 미만 중량%의 카본나노튜브를 혼합하는 혼합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한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1 이상 내지 10 미만 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여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한 복합소재 조성물 중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는 102 내지 105 Pa.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점도는 101 내지 105 Pa.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조성물로 형성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합소재의 체적저항이 107 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중점도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고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간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폴리카보네이트의 전단응력 감소에 의한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 향상 및 3차원 네트워크의 형성을 통해 첨가되는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는 체적저항이 107Ω/□이하로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나타내, 대전방지, 전자파 차폐용 제품 또는 캐리어 테이프의 제조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전기전도성 복합소재를 촬영한 실제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체적저항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체적저항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및 비교예 3의 체적저항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전단응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90 초과 내지 99.5 이하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0.5 이상 내지 10 미만 중량%의 카본나노튜브를 혼합하는 혼합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한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1 이상 내지 10 미만 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여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한 복합소재 조성물 중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a)는 폴리카보네이트에 카본나노튜브를 혼합하여 폴리카보네이트에 전도성을 부여하는 단계로서, 전기절연성을 나타내는 폴리카보네이트에 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카본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전기전도성 혼합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을 감소시키면서도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중점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여 카본나노튜브와 혼합한 혼합수지를 제조하고, 혼합수지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여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이 향상되고 우수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제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혼합수지에 포함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점도가 102 내지 105 Pa.s의 중점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는 상기 점도보다 높은 고점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이 높지만 전단응력이 높아 카본나노튜브의 3차원적 네트워크 형성을 방해하며, 상기 점도보다 낮은 저점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경우 전단응력이 낮아 카본나노튜브의 3차원적 네트워크 형성에 용이하나 분산성이 떨어지는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중점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면,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이 향상되고 3차원적 네트워크 형성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상기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기전도도가 더욱 향상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가 102 내지 105 Pa.s 인 점도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나노튜브는 높은 전기전도성을 가지고 있어 충전제로서 고분자와 복합소재를 제조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카본나노튜브의 구조에 따라 단일벽 카본나노튜브 또는 다중벽 카본나노튜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카본나노튜브는 제조되는 조성물에 높은 전기전도도를 부여하기 위해 전기전도성 및 가공성이 좋고, 경제적으로도 유리하여 충전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다중벽 카본나노튜브를 바람직하게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특성을 나타내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전체 혼합수지의 90 초과 내지 99.5 이하 중량%이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7 초과 내지 99.5 이하 중량%이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카본나노튜브는 전체 혼합수지의 0.5 이상 내지 10 미만 중량%로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내지 3 미만 중량%를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중량비를 가진 혼합수지는 상기 점도에서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을 최적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에서 제조된 혼합수지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여 전기전도성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혼합수지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는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일으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전단응력을 감소시켜 카본나노튜브의 3차원적 네트워크 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조성물의 전기전도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첨가하면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통해 서로 간의 상용성을 보이고, 점도를 낮춰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을 높이고, 전단응력을 낮춰 카본나노튜브의 3차원적 네트워크 형성을 용이하게 하여 복합소재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킨다.
본 단계에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액정 결정성 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 LC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점도가 101 내지 105 Pa.s의 범위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고, 폴리카보네이트와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조성물 내에 반응기 교환에 의한 수지 간 상용성이 형성되고 조성물의 점도 및 전단응력을 낮추어 제조되는 조성물의 전기전도도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한 점도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상기 단계(a)에서 제조된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1 이상 내지 10 미만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첨가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상기 중량 이상으로 첨가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져 물성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어 상기한 함량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에서는 (b)단계에서 제조한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전도성을 향상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가 가지고 있는 에스테르기에 붙어 있는 알킬기를 서로 교환하는 반응을 의미한다.
일례로,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간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폴리카보네이트를 구성하는 비스페놀A의 일단 또는 양단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부탄디올로 치환될 수 있으며, 또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구성하는 테레프탈산의 일단 또는 양단이 폴리카보네이트의 비스페놀 A로 치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교환 반응을 통해 생성된 공중합체는 서로 간의 상용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폴리카보네이트의 전단응력 감소에 의한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 향상 및 3차원 네트워크의 형성을 통해 첨가되는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을 낮추면서도,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250 내지 350℃에서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70 내지 280℃에서 유도할 수 있는데,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반응 시간이 길수록 에스테르 교환반응의 효율은 증가하나 온도 유지 등의 조건 유지를 위한 비용이 많이 소모될 수 있어, 이와 같은 경제적인 이유로 10시간 이내로 유도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이 용이한 중점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여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간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시켜 두 수지 간의 상용성을 가지게 하면, 폴리카보네이트가 가지고 있는 전단응력을 감소되어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성 향상과 3차원적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하게 하여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를 제공한다.
상기 복합소재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높은 전단력에 의해 응집된 카본나노튜브 입자들을 파괴하여 분산을 도모하는 용융혼합법(melt intercalation)과 카본나노튜브를 용매에 녹여 액상으로 만든 고분자에 분산시킨 후 용매를 제거하는 용액혼합법(solvent intercalation)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융혼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 압출 성형, 필름 성형 및 섬유 성형 등 다양한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상기 복합소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형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는 대전방지 또는 전자파 차폐용 제품으로 사용 가능한 체적저항(volume resistivity) 107Ω/□이하의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나타낸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시된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전기전도성 복합소재 조성물의 제조
280℃에서 340 Pa.s를 가지는 중점도 폴리카보네이트 24.5g과 다중벽 카본나노튜브 0.5g을 믹서를 이용하여 혼합수지를 제조하였고, 상기 혼합수지에 280℃에서 460 Pa.s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0.5g을 첨가하여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소재 조성물을 오븐에 넣고 280℃에서 10시간 동안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실시예 1에 따른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 체적저항 측정용 복합소재 샘플의 제조
상기 단계(1)과 같이하여 제조된 복합소재 조성물을 이축 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사용하여 280℃, 150rpm의 조건의 용융혼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복합소재는 80℃ 오븐에 하루 동안 감압 건조를 실시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간이 사출 성형기(mini injection machine)를 사용하여 280℃의 온도로 사출하고 80℃의 온도인 몰드에 주입하여 복합소재(길이x두께x너비)를 성형하였다.
성형된 복합소재는 체적저항 측정 샘플로 성형되며, 샘플은 63x13x2mm의 바(bar)형태로 성형되었다.
성형된 복합소재에 카본나노튜브의 분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소재의 표면을 관찰하였으며, 관찰결과를 도 1(a)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0.5g 대신에 저점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0.5g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0.5g 대신에 액정 결정성 폴리머 0.5g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0.5g 대신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0.5g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성형된 복합소재에 카본나노튜브의 분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소재의 표면을 관찰하였으며, 관찰결과를 도 1(b)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에스테르 교환반응 방지제(AX)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에스테르 교환반응 방지제(AX)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소재를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조성물의 함량 및 첨가되는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 분석
조성물의 함량 및 첨가되는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른 체적저항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제조된 복합소재의 체적저항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첨가된 실시예 1의 경우 체적저항이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2 내지 4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해서 체적저항이 높아 전기전도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체적 저항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의 전단응력이 감소하여 전기전도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첨가되는 카본나노튜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체적저항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체적저항의 감소는 전기전도성을 가진 카본나노튜브의 첨가되는 양이 증가할수록 당연히 발생하는 것이나, 3 중량%로 카본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실시예 1에 따른 복합소재의 경우, 대전방지 및 전자파 차폐의 용도로 충분히 활용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첨가로 인한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따른 체적저항의 영향 분석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첨가로 인한 체적저항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복합소재의 체적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2이 비해 체적저항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가 가지고 있는 전단응력이 감소되어 카본나노튜브의 3차원적 네트워크 형성이 용이하게 되어 저항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3> 액정 결정성 폴리머 첨가로 인한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따른 체적저항의 영향 분석
액정 결정성 폴리머 첨가로 인한 체적저항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 따른 복합소재의 체적저항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비교예 3이 비해 체적저항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가 가지고 있는 전단응력이 감소되어 카본나노튜브의 3차원적 네트워크 형성이 용이하게 되어 저항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제조된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단응력(shear stress) 분석
제조된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단응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전단응력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폴리부틸렌 텔레프탈레이트를 첨가한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단응력이 다른 실시예에 비해 낮게 나왔으며, 이로 인해 폴리부티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첨가가 폴리카보네이트의 전단응력을 낮춰 카본나노튜브의 3차원적 네트워크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제조한 복합소재가 중점도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카본나노튜브를 포함하여 체적저항이 107 Ω/□이하로서 대전방지 또는 전자파 차폐에 사용되는 소재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1. (a) 90 초과 내지 99.5 이하 중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0.5 이상 내지 10 미만 중량%의 카본나노튜브를 혼합하는 혼합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제조한 혼합수지 100중량부에 1 이상 내지 10 미만 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여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한 복합소재 조성물 중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복합소재 조성물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는 340 내지 105 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점도는 101 내지 105 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로 형성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의 체적저항이 107 Ω/□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KR1020150141327A 2015-10-08 2015-10-08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0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327A KR101740718B1 (ko) 2015-10-08 2015-10-08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327A KR101740718B1 (ko) 2015-10-08 2015-10-08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82A KR20170041982A (ko) 2017-04-18
KR101740718B1 true KR101740718B1 (ko) 2017-05-26

Family

ID=5870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327A KR101740718B1 (ko) 2015-10-08 2015-10-08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377B1 (ko) * 2018-01-29 2019-09-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계 필러 함유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CN109369873A (zh) * 2018-08-24 2019-02-22 东莞市加伏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功能浆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0196A (ja) * 1999-08-03 2001-02-13 Teijin Ltd 導電性樹脂組成物
JP2014091825A (ja) * 2012-11-07 2014-05-19 Mitsubishi Rayon Co Ltd プリプレグおよび複合材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0196A (ja) * 1999-08-03 2001-02-13 Teijin Ltd 導電性樹脂組成物
JP2014091825A (ja) * 2012-11-07 2014-05-19 Mitsubishi Rayon Co Ltd プリプレグおよび複合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82A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ng et al. Impro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through incorporation of paraffin wax coated exfoliated graphene nanoplatelets and multi-wall carbon nano-tubes
JP5616943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樹脂組成物
KR101666881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표면전기저항이 1ω/□ 이하인 무금속 전기전도성 cnt복합소재 제조방법,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cnt펠렛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제품
US8048341B2 (en) Nanocarbon-reinforced polymer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Zhan et al. Electrical,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arylene ether nitriles/graphite nanosheets nanocomposites prepared by masterbatch route
Mina et al. Structures and properties of injection‐molded biodegradable poly (lactic acid) nanocomposites prepared with untreated and treat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KR101338199B1 (ko) 고분자-전도성 필러 복합체와 그 제조방법
Kim et al. Effects of matrix viscosity, mixing method and annealing o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injection molded polycarbonate/MWCNT nanocomposites
KR20120077647A (ko)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0718B1 (ko)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5055B1 (ko) 전자파차폐 효율이 우수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KR101055620B1 (ko) 전기적 특성이 뛰어난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와 이의 제조방법
Sullivan et al. Effect of compounding method and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electrical response of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polylactic acid nanocomposite films
Lei et al. Preparation process and properties of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lets filled Bisphthalonitrile nanocomposites
KR101654638B1 (ko) 하이브리드 필러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3564315B1 (en)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JP5216230B2 (ja) 導電性樹脂組成物
KR20120078342A (ko) 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582590B1 (ko) 고분자/하이브리드 전도성 필러의 전기 전도성 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1617B1 (ko) 고분자 복합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21377B1 (ko) 탄소계 필러 함유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기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나노복합소재
CN104419139A (zh) 纳米碳纤维增强阻燃pbt/pet合金
Kausar Enhancement of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carbonate/Poly (Ethylene Oxide) and Carbon Black Composite
KR102334670B1 (ko) 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92782B1 (ko)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