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175A - 크레인용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175A
KR20120078175A KR1020100140391A KR20100140391A KR20120078175A KR 20120078175 A KR20120078175 A KR 20120078175A KR 1020100140391 A KR1020100140391 A KR 1020100140391A KR 20100140391 A KR20100140391 A KR 20100140391A KR 20120078175 A KR20120078175 A KR 20120078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ok
closing member
cran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이한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0014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8175A/ko
Publication of KR20120078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6Crane hooks with means, e.g. spring-biased det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disengagement of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크(Hook)에 형성된 개구(開口)를 개폐(開閉)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주개폐부재; 및 상기 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개폐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인용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개폐부재는 상기 후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후크로부터 이탈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는 상기 후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후크에 삽입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에 걸려 있는 대상물이 후크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후크에 대상물 외에 다른 물체가 임의로 삽입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크레인용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Safety Device for Crane and Cra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후크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한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Crane)이란 산업 현장에서 대상물을 운반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는 장비이다. 이러한 크레인은 권상, 권하, 주행, 횡행 등의 동작을 통해 대상물을 3차원 공간 내에서 원하는 지점으로 운반한다.
권상이란 후크(Hook)를 올리는 동작을 의미하고, 권하란 반대로 후크를 내리는 동작을 의미한다. 주행이란 크레인 전체가 이동하는 동작을 의미하고, 횡행이란 크레인이 후크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주행의 이동방향과 횡행의 이동방향은 서로 수직한 방향을 향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후크(300)에는 크레인(미도시)에 결합된 와이어(Wire, W)가 결합된다. 상기 후크(300)에는 개구(開口, 400)가 형성되어 있다. 대상물(미도시)은 상기 개구(400)를 통해 상기 후크(300)에 삽입되어 걸리고, 상기 개구(400)를 통해 상기 후크(300)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다. 대상물은 로프(rope, 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로프가 상기 후크(300)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후크(300)에 걸릴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후크(300)는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300)에 걸려 있는 대상물이 상기 개구(400)를 통해 상기 후크(3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후크(300)는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물 외에 다른 물체가 상기 개구(400)를 통해 상기 후크(300)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후크에 걸려 있는 대상물이 후크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크에 대상물 외에 다른 물체가 임의로 삽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크레인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는 후크(Hook)에 형성된 개구(開口)를 개폐(開閉)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주개폐부재; 및 상기 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는 상기 후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후크로부터 이탈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는 상기 후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후크에 삽입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은 제1개구가 형성된 제1후크; 상기 제1후크가 설치된 크랩(Crab); 상기 제1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제1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주개폐부재; 및 상기 제1개구를 개폐시기기 위해 상기 제1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부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주개폐부재는 상기 제1후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제1후크로부터 이탈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개폐부재는 상기 제1후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제1후크에 삽입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후크에 걸려 있는 대상물이 후크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후크에 대상물 외에 다른 물체가 임의로 삽입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후크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가 후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개폐부재와 부개폐부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랩, 제1승강유닛, 제2승강유닛, 이동유닛, 및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가 후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크레인(미도시)에 설치된 후크(10)를 개폐(開閉)시킨다. 상기 후크(10)에는 대상물(미도시)이 삽입되거나 대상물이 분리되기 위한 통로인 개구(開口, 11)가 형성되어 있다. 대상물은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후크(10)에 삽입되어 걸리고,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후크(10)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다. 상기 후크(10)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11)에 의해 일부분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대상물은 로프(rope, 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로프가 상기 후크(10)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후크(1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후크(10)는 일단(12), 결합부(13), 및 걸림부(14)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10)의 일단(12)은 상기 결합부(13)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크(10)의 일단(12)과 상기 결합부(13)가 이격된 공간은 상기 개구(11)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크레인에 결합된다. 상기 걸림부(14)는 상기 일단(12)과 상기 결합부(13)를 연결한다. 상기 걸림부(14)에는 상기 개구(11)를 통과한 대상물이 걸린다. 상기 걸림부(14)는 전체적으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4)에는 상기 대상물에 연결된 로프가 걸릴 수도 있다. 상기 후크(10)의 일단(12), 상기 결합부(13), 및 상기 걸림부(1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상기 개구(11)를 개폐시키기 위한 주개폐부재(2)를 포함한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개구(11)를 폐쇄(閉鎖)시킴으로써, 상기 후크(10)에 걸려 있는 대상물이 상기 후크(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크레인이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후크(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주개폐부재(2)가 상기 후크(10)에 걸려 있는 대상물이 상기 후크(1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상기 후크(10)로부터 대상물이 임의로 분리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상기 개구(11)를 개폐시키기 위한 부개폐부재(3)를 포함한다.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후크(10)에 상기 대상물 외에 다른 물체가 삽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크레인이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후크(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부개폐부재(3)가 상기 후크(10)에 상기 대상물 외에 다른 물체가 임의로 삽입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상기 후크(10)에 상기 대상물 외에 다른 물체가 삽입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크레인이 대상물을 운반하는 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개폐부재와 부개폐부재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가 상기 개구(11)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상기 주개폐부재(2)가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고, 상기 부개폐부재(3)가 상기 개구(11)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가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후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후크(1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고, 상기 개구(11)를 개방(開放)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후크(10)로부터 이탈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후크(10)에 걸려 있는 대상물이 상기 후크(1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개구(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물은 상기 주개폐부재(2)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후크(10)에 삽입되어 걸릴수 있고, 상기 후크(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2)가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후크(10)에 삽입되는 대상물에 밀려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후크(10)의 일단(1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개구(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대상물에 연결된 로프에 밀려서 상기 후크(10)의 일단(12)으로부터 이격되게 회전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업자가 직접 상기 주개폐부재(2)를 잡아서 상기 후크(10)의 일단(1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개구(11)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일측(2a)이 상기 후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타측(2b)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타측(2b)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접촉되거나 상기 타측(2b)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일측(2a)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크(10)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12)를 개폐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구(11)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주개폐부재(2)의 일측(2a)과 타측(2b) 간의 거리가, 상기 후크(10)의 일단(12)과 상기 결합부(13) 간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타측(2b)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고, 상기 타측(2b)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12)를 통해 상기 후크(10)로부터 이탈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일측(2a)이 상기 후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자중(自重)에 의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일측(2a)과 상기 타측(2b) 사이가 갖는 무게, 그리고 상기 타측(2b)이 갖는 무게에 의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후크(10)에 삽입되는 대상물에 밀려서 상기 개구(11)를 개방시키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 후, 상기 대상물이 상기 후크(10)에 삽입되면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개폐부재(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개폐부재(2)는 자중에 의해 상기 타측(2b)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크(10)는 일단(12)이 상기 제1개폐부재(2)의 일측(2a)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정장치(1)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후크(10)에 삽입된 후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상기 주개폐부재(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제1돌출부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제1돌출부재(21)가 갖는 무게에 의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일측(2a)과 상기 타측(2b) 사이가 갖는 무게, 상기 타측(2b)이 갖는 무게,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재(21)가 갖는 무게에 의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개폐부재(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제1돌출부재(21)가 갖는 무게만큼 더 강한 힘으로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크레인이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후크(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주개폐부재(2)가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21)는 상기 주개폐부재(2)의 일측(2a)을 기준으로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대해 반대편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21)는 상기 주개폐부재(2)가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무게를 더할 수 있는 형태이면 사각형 형태, 삼각형 형태, 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제1돌출부재(21)가 상기 후크(10)에 간섭됨이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관통공(22,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관통공(22)에 상기 후크(10)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후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2)에는 상기 걸림부(14)가 삽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후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후크(1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고, 상기 개구(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후크(10)에 삽입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후크(10)에 상기 대상물 외에 다른 물체가 임의로 삽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3)와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대해 서로 다른 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후크(10)의 일단(12) 내면(12a)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고,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후크(10)의 일단(12) 외면(12b)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개구(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물은 상기 부개폐부재(3)에 방해됨이 없이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후크(10)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개폐부재(3)가 상기 후크(10)의 일단(12)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이고 상기 주개폐부재(2)가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후크(10)에 삽입되는 대상물에 밀려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후크(10)의 일단(1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개구(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작업자가 직접 상기 부개폐부재(3)를 잡아서 상기 후크(10)의 일단(1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개구(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3)는 일측(3a)이 상기 후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부개폐부재(3)는 타측(3b)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타측(3b)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접촉되거나 상기 타측(3b)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일측(3a)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3)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후크(10)에 결합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12)를 개폐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구(11)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부개폐부재(3)의 일측(3a)과 타측(3b) 간의 거리가, 상기 후크(10)의 일단(12)과 상기 결합부(13) 간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타측(3b)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고, 상기 타측(3b)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12)를 통해 상기 후크(10)에 삽입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부개폐부재(3)는 일측(3a)이 상기 후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자중(自重)에 의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일측(3a)과 상기 타측(3b) 사이가 갖는 무게, 그리고 상기 타측(3b)이 갖는 무게에 의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11)를 통해 상기 후크(10)에 대상물이 삽입되면, 상기 부개폐부재(3)는 자중에 의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개폐부재(3)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부개폐부재(3)는 자중에 의해 상기 타측(3b)이 상기 후크(10)의 일단(12)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정장치(1)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후크(10)에 삽입된 후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3)와 상기 주개폐부재(2)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킬 수 있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개구(1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레인이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후크(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부개폐부재(3)와 상기 주개폐부재(2)에 한쪽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서는 상기 개구(11)가 개방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크레인이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후크(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3)와 상기 주개폐부재(2)는 상기 후크(1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후크(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개폐부재(3)와 상기 주개폐부재(2)는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상기 개구(11)를 개폐시키기 위해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상기 부개폐부재(3)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제2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제2돌출부재가 갖는 무게에 의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일측(3a)과 상기 타측(3b) 사이가 갖는 무게, 상기 타측(3b)이 갖는 무게, 그리고 상기 제2돌출부재가 갖는 무게에 의해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개폐부재(3)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제2돌출부재가 갖는 무게만큼 더 강한 힘으로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크레인이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후크(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부개폐부재(3)가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주개폐부재(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부개폐부재(3)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부개폐부재(3)가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는 방향(B'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무게를 더할 수 있는 형태이면 사각형 형태, 삼각형 형태, 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를 상기 후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샤프트(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샤프트(4)를 공통의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4)는 상기 주개폐부재(2)의 일측(2a), 상기 부개폐부재(3)의 일측(3a), 및 상기 후크(1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주개폐부재(2)의 일측(2a)과 상기 부개폐부재(3)의 일측(3a)을 상기 후크(10)에 결합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를 각각 상기 후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샤프트(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샤프트(4)는 상기 주개폐부재(2), 상기 부개폐부재(3), 및 상기 후크(10)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를 상기 후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크(10)의 결합부(13)에는 상기 샤프트(4)가 관통하기 위한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샤프트(4)는 상기 후크(10)가 갖는 브라켓(Bracket, 15)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브라켓(15)은 상기 후크(10)의 결합부(13)에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4)는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를 상기 브라켓(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샤프트(4)는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를 관통하여 상기 브라켓(1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를 상기 후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는 상기 결합부(13)에 결합공(미도시)을 형성하지 않고도, 상기 후크(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3)에 상기 결합공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후크(10)가 갖는 기계적인 특성, 예컨대 강성, 강도 등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는 상기 샤프트(4)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브라켓(15)은 삽입부재(151) 및 결합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151)는 상기 후크(10)의 결합부(13)에 삽입된다. 상기 브라켓(15)은 상기 삽입부재(151)가 상기 결합부(13)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결합부(1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52)에는 상기 샤프트(4)가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4)는 상기 결합부재(15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주개폐부재(2)와 상기 부개폐부재(3)를 상기 브라켓(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브라켓(15)은 상기 결합부재(152)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152)들은 상기 결합부(13)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152)들에는 각각 상기 샤프트(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151)는 전체적으로 중공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52)는 상기 삽입부재(151)에서 상기 후크(10)의 걸림부(14)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삽입부재(151)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52)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의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랩, 제1승강유닛, 제2승강유닛, 이동유닛, 및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주행 방향 및 횡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크랩(Crab, 20), 및 상기 크랩(20)에 설치된 제1후크(30)를 포함한다. 주행 방향과 횡행 방향은 서로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제1후크(30)에는 대상물(미도시)이 삽입되거나 대상물이 분리되기 위한 통로인 제1개구(301)가 형성되어 있다. 대상물은 상기 제1개구(301)를 통해 상기 제1후크(30)에 삽입되어 걸리고, 상기 제1개구(301)를 통해 상기 제1후크(30)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다. 상기 제1후크(30)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개구(301)에 의해 일부분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대상물은 로프(rope, 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로프가 상기 제1후크(30)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후크(30)에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상기 크랩(20)을 주행 방향 및 횡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후크(30)를 주행 방향 및 횡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상기 제1후크(30)를 승강(昇降)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상기 제1후크(30)를 권상, 권하, 주행, 횡행 동작시킴으로써 대상물을 운반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상기 제1개구(301)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1주개폐부재(41) 및 제1제1부개폐부재(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주개폐부재(41)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에 있어서 상기 후크(10)에 형성된 개구(11)를 개폐시키기 위한 주개폐부재(2)와 대략 일치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부개폐부재(42)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에 있어서 상기 후크(10)에 형성된 개구(11)를 개폐시키기 위한 부개폐부재(3)와 대략 일치하게 구성되므로, 상기 제1주개폐부재(41)와 상기 제1부개폐부재(42)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제1후크(3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1주개폐부재(41)가 상기 제1후크(30)에 걸려 있는 대상물이 상기 제1후크(3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상기 제1후크(30)로부터 대상물이 임의로 분리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제1후크(3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1부개폐부재(42)가 상기 제1후크(30)에 상기 대상물 외에 다른 물체가 임의로 삽입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상기 제1후크(30)에 상기 대상물 외에 다른 물체가 삽입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대상물을 운반하는 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주개폐부재(41)는 제1돌출부재(4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부재(411)가 갖는 무게에 의해 상기 제1개구(301)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크랩(20)에 관해 첨부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크랩(20)의 밑면에는 횡행 휠(20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횡행 휠(201)은 횡행 빔(202)의 윗면에 설치된 횡행 레일(20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횡행 휠(201)이 상기 횡행 레일(203)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크랩(20)은 상기 횡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횡행 빔(202)의 밑면에는 주행 휠(20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행 휠(204)은 주행 빔(205)의 윗면에 설치된 주행 레일(206)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주행 휠(204)이 상기 주행 레일(206)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크랩(20)은 상기 주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크랩(20)은 전체적으로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랩(20)의 윗면에는 상기 제1후크(30)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승강유닛(207)이 설치된다. 상기 제1승강유닛(207)은 제1와이어드럼(2071), 제1와이어(2072), 제1지지부재(2073), 및 제1호이스트모터(207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와이어드럼(2071)에는 상기 제1와이어(2072)가 감겨져 있다. 상기 제1와이어(2072)에는 상기 제1후크(30)가 결합된다. 상기 제1와이어드럼(2071)은 상기 크랩(20)의 윗면에 설치된 제1지지부재(207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호이스트모터(2074)는 상기 크랩(20)의 윗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드럼(2071)에 상기 제1와이어(2072)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제1와이어드럼(2071)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1와이어(2072)가 상기 제1와이어드럼(2071)에 감기면, 상기 제1와이어(2072)에 결합된 제1후크(30)가 상승한다. 상기 제1와이어(2072)가 상기 제1와이어드럼(2071)으로부터 풀리면, 상기 제1와이어(2072)에 결합된 제1후크(30)가 하강한다. 상기 크랩(20)이 상기 주행 방향 및 횡행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승강유닛(207)은 상기 주행 방향 및 횡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상기 크랩(20)에 설치된 제2후크(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50)에는 대상물(미도시)이 삽입되거나 대상물이 분리되기 위한 통로인 제2개구(501)가 형성되어 있다. 대상물은 상기 제2개구(501)를 통해 상기 제2후크(50)에 삽입되어 걸리고, 상기 제2개구(501)를 통해 상기 제2후크(50)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다. 상기 제2후크(50)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501)에 의해 일부분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대상물은 로프(rope, 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로프가 상기 제2후크(50)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후크(50)에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상기 크랩(20)을 주행 방향 및 횡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후크(50)를 주행 방향 및 횡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상기 제2후크(50)를 승강(昇降)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상기 제2후크(50)를 권상, 권하, 주행, 횡행 동작시킴으로써 대상물을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50)는 상기 제1후크(3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상기 크랩(2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상기 제2개구(501)를 개폐시키기 위한 제2주개폐부재(61) 및 제2부개폐부재(6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주개폐부재(61)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에 있어서 상기 후크(10)에 형성된 개구(11)를 개폐시키기 위한 주개폐부재(2)와 대략 일치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부개폐부재(62)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에 있어서 상기 후크(10)에 형성된 개구(11)를 개폐시키기 위한 부개폐부재(3)와 대략 일치하게 구성되므로, 상기 제2주개폐부재(61)와 상기 제2부개폐부재(62)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제2후크(5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2주개폐부재(61)가 상기 제2후크(50)에 걸려 있는 대상물이 상기 제2후크(5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상기 제2후크(50)로부터 대상물이 임의로 분리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대상물을 운반하기 위해 상기 제2후크(5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제2부개폐부재(62)가 상기 제2후크(50)에 상기 대상물 외에 다른 물체가 임의로 삽입되는 것을 막음으로써, 상기 제2후크(50)에 상기 대상물 외에 다른 물체가 삽입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대상물을 운반하는 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주개폐부재(61)는 제3돌출부재(611)를 포함하고, 상기 제3돌출부재(611)가 갖는 무게에 의해 상기 제2개구(501)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크랩(20)의 윗면에는 상기 제2후크(50)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승강유닛(208)이 설치된다. 상기 제2승강유닛(208)은 제2와이어드럼(2081), 제2와이어(2082), 제2지지부재(2083), 및 제2호이스트모터(2084)를 포함한다. 상기 제2와이어드럼(2081)에는 상기 제2와이어(2082)가 감겨져 있다. 상기 제2와이어(2082)에는 상기 제2후크(50)가 결합된다. 상기 제2와이어드럼(2081)은 상기 크랩(20)의 윗면에 설치된 제2지지부재(208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호이스트모터(2084)는 상기 크랩(20)의 윗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와이어드럼(2081)에 상기 제2와이어(2082)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상기 제2와이어드럼(2081)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2와이어(2082)가 상기 제2와이어드럼(2081)에 감기면, 상기 제2와이어(2082)에 결합된 제2후크(50)가 상승한다. 상기 제2와이어(2082)가 상기 제2와이어드럼(2081)으로부터 풀리면, 상기 제2와이어(2082)에 결합된 제2후크(50)가 하강한다. 상기 크랩(20)이 상기 주행 방향 및 횡행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승강유닛(208)은 상기 주행 방향 및 횡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상기 크랩(20)을 주행 방향 및 횡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70,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70)은 상기 횡행 빔(202)을 주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크랩(20)을 상기 주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70)은 상기 크랩(20)을 횡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유닛(70)은 모터와 랙기어(Rack Gear)와 피니언기어(Pinion Gear) 등을 이용한 기어방식, 모터와 풀리와 벨트 등을 이용한 벨트방식, 모터와 볼스크류 등을 이용한 볼스크류방식, 코일과 자성체 등을 이용한 리니어모터(Linear Motor) 등을 이용하여 상기 크랩(20)을 주행 방향 및 횡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동유닛(70)은 상기 횡행 빔(202)을 주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동기구, 및 상기 크랩(20)을 횡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이동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후크(30)와 상기 제2후크(50) 모두가 하강된 상태이면, 상기 이동유닛(70)이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후크(30)와 상기 제2후크(50) 모두가 하강된 상태이면, 상기 제1후크(30)에 결합된 제1와이어(2072)와 상기 제2후크(50)에 결합된 제2와이어(2082)가 모두 상기 크랩(20)으로부터 상당한 길이로 풀려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크랩(20)이 가속, 감속, 정지 등을 수행함에 따라 진동 등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1와이어(2072)와 상기 제2와이어(2082)가 모두 상당한 길이로 풀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1후크(30)와 상기 제2후크(50) 또한 상당한 폭으로 흔들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후크(30)와 상기 제2후크(50)가 서로 충돌할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후크(30)와 상기 제2후크(50) 모두가 하강된 상태, 즉 권하 상태이면, 상기 크랩(20)이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이동유닛(7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후크(30)와 상기 제2후크(50) 중 적어도 하나가 상승된 상태, 즉 권상 상태이면, 상기 크랩(20)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유닛(7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대상물을 운반하는 작업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은 경광등(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광등(90)은 상기 제1후크(30)가 상승된 상태인지 하강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제1발광부(91), 및 상기 제2후크(50)가 상승된 상태인지 하강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제2발광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부(91)는 상기 제1후크(30)가 상승된 상태인지 하강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다른 색(色)을 갖는 광을 방출하거나, 선택적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1후크(30)가 상승된 상태인지 하강된 상태인지 여부는 상기 제1승강유닛(207)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발광부(92)는 상기 제2후크(50)가 상승된 상태인지 하강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다른 색(色)을 갖는 광을 방출하거나, 선택적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50)가 상승된 상태인지 하강된 상태인지 여부는 상기 제2승강유닛(208)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광등(90)은 크레인 본체(100a)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100)이 리모콘(미도시)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경우, 상기 경광등(90)은 상기 리모콘의 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인지 꺼져 있는 상태인지에 따라 광을 방출하는 제3발광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크레인용 안전장치 2 : 주개폐부재 3 : 부개폐부재 4 : 샤프트
10 : 후크 11 : 개구 12 : 일단 21 : 제1돌출부재
100 : 크레인 20 : 크랩 30 : 제1후크 301 : 제1개구
41 : 제1주개폐부재 42 : 제1부개폐부재 50 : 제2후크 501 : 제2개구
61 : 제2주개폐부재 62 : 제2부개폐부재 70 : 이동유닛 80 : 제어부

Claims (15)

  1. 후크(Hook)에 형성된 개구(開口)를 개폐(開閉)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주개폐부재; 및
    상기 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개폐부재는 상기 후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후크로부터 이탈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되고,
    상기 부개폐부재는 상기 후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후크에 삽입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크레인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후크의 일단과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의 일단은 상기 결합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주개폐부재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안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개폐부재는 상기 후크의 일단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閉鎖)시키고,
    상기 부개폐부재는 상기 후크의 일단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안전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개폐부재와 상기 부개폐부재는 상기 후크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서 회전하도록 상기 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안전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개폐부재는 자중(自重)에 의해 상기 후크의 일단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일측이 상기 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안전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개폐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제1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주개폐부재는 상기 제1돌출부재가 갖는 무게에 의해 상기 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안전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개폐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후크의 일단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일측이 상기 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안전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개폐부재와 상기 부개폐부재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를 개방(開放)시키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안전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개폐부재와 상기 부개폐부재를 상기 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주개폐부재와 상기 부개폐부재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안전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개폐부재와 상기 부개폐부재에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는 브라켓(Bracket)을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주개폐부재와 상기 부개폐부재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안전장치.
  11. 제1개구가 형성된 제1후크;
    상기 제1후크가 설치된 크랩(Crab);
    상기 제1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제1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주개폐부재; 및
    상기 제1개구를 개폐시기기 위해 상기 제1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부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주개폐부재는 상기 제1후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제1후크로부터 이탈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부개폐부재는 상기 제1후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1개구를 통해 상기 제1후크에 삽입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개폐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1후크의 일단 내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부개폐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1후크의 일단 외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주개폐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제1돌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주개폐부재는 상기 제1돌출부재가 갖는 무게에 의해 상기 제1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랩에 설치된 제2후크, 상기 제2후크에 형성된 제2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제2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주개폐부재, 및 상기 제2개구를 개폐시키기 위해 상기 제2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부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주개폐부재는 상기 제2후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상기 제2후크로부터 이탈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부개폐부재는 상기 제2후크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상기 제2후크에 삽입되게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주개폐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2후크의 일단 내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2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부개폐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2후크의 일단 외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2후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주개폐부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제3돌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주개폐부재는 상기 제3돌출부재가 갖는 무게에 의해 상기 제2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랩에 설치된 제2후크;
    상기 크랩을 주행방향과 횡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유닛; 및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 모두가 하강된 상태이면 상기 이동유닛이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KR1020100140391A 2010-12-31 2010-12-31 크레인용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 KR20120078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391A KR20120078175A (ko) 2010-12-31 2010-12-31 크레인용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391A KR20120078175A (ko) 2010-12-31 2010-12-31 크레인용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175A true KR20120078175A (ko) 2012-07-10

Family

ID=4671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391A KR20120078175A (ko) 2010-12-31 2010-12-31 크레인용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81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976B1 (ko) * 2018-11-20 2019-10-16 한국수자원공사 흡착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976B1 (ko) * 2018-11-20 2019-10-16 한국수자원공사 흡착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302B1 (ko) 호이스트 크레인 래칭 장치
JP2014181098A (ja) 玉掛け外し装置及び自動スリング式吊具
KR100654786B1 (ko) 레일거더를 이용한 로우 스페이스 크레인
KR20120078175A (ko) 크레인용 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
KR20130053486A (ko) 체인 호이스트 승강장치
KR200487304Y1 (ko) 갠트리 크레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40033592A (ko) 권상 장치
KR200415055Y1 (ko) 레일거더를 이용한 로우 스페이스 크레인
KR101350463B1 (ko) 중추 리미트 장치
KR101689702B1 (ko) 렉기어식 리프트
JP2010095322A (ja) クレーン及びクレーンによるコンテナの吊り下ろし方法
JP2019142711A (ja) 吊り下げ支持機具および搬送方法
JP2007217172A (ja) フォーク旋回式自動吊具
JP2015189542A (ja) 岸壁クレーン
JP2019156619A (ja) 岸壁クレーン
JP2020111432A (ja) クレーンとワイヤリング方法
JP2019156628A (ja) トロリおよびトロリによる荷役方法
KR101894743B1 (ko) 호이스트의 탈·장착이 용이한 크레인의 구조
CN117068981B (zh) 一种防坠式智能卷扬机
KR20240059451A (ko) 권상 장치
JP6602923B1 (ja) エレベータの重量物運搬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KR200471755Y1 (ko) 굴삭기용 인양장치
JP2018104108A (ja) クレーン
JP2018043822A (ja) アンカー装置およびアンカー装置の制御方法
KR200485249Y1 (ko) 트롤리 호이스트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