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490A - Horse riding type health machine - Google Patents

Horse riding type health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490A
KR20120077490A KR1020100139456A KR20100139456A KR20120077490A KR 20120077490 A KR20120077490 A KR 20120077490A KR 1020100139456 A KR1020100139456 A KR 1020100139456A KR 20100139456 A KR20100139456 A KR 20100139456A KR 20120077490 A KR20120077490 A KR 20120077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ing
coupled
ri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00905B1 (en
Inventor
유해동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에스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9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905B1/en
Publication of KR2012007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4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PURPOSE: A horse riding type health machine exercise device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xperience uphill, downhill, and right and left inclines. CONSTITUTION: A horse riding type health machine exercise device comprises a saddle(110) on which user sits, a plurality of driving shafts(125a,125b) in which one end thereof is combined with the front and rear of the saddle, driving units(120a,120b) which move the driving shaft up and down, a third supporting unit(160) supporting the driving unit from the lower part, a second connection unit(155) which is pivotally combined with the third supporting unit, a second supporting unit(150) which supports the third supporting unit, a first connection unit(145) which is pivotally combined with the second supporting unit, a first supporting unit(140) which supports the second supporting unit, a first inclination unit, and a second inclination unit.

Description

승마형 운동 기구{Horse riding type health machine}Horse riding type health machine

본 발명은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마형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thletic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운동 기구 중 승마형 운동기구가 있다. 승마형 운동 기구는 마치 말을 타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다이어트 및 운동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승마형 운동 기구는 말이 달릴 때 전달하는 상하 운동감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전신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Among the sports equipment, there is a riding equipment. Equestrian sports equipment can give the user a diet and exercise effect by acting as if riding a horse. That is, the equestrian sports equipment is configured to enable the whole body movement by transmitting the up and down movement to the user when the horse runs.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는 말이 실제 달릴 때의 느낌을 충분히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말은 경사진 길을 달릴 때 기울어진 상태에서 달리게 되는데, 현재 승마형 운동 기구는 이러한 경사 상태의 주행을 구현하지 못함으로써 실제 말을 타는 느낌과 다른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iding type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es not fully implement the feeling when the horse actually runs. In particular, the horse is running in an inclined state when running on an inclined road, the current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does not implement the driving of the inclined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delivers a feeling different from the actual horse riding to the user.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holds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not necessarily be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제 말을 타는 느낌을 충분히 재현하기 위하여 승마형 운동 기구에 소정의 기울기를 부여하는 승마형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se riding exercise equipment that give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 the horse riding exercise equipment in order to fully reproduce the feeling of riding a horse.

또한, 본 발명은 승마형 운동 기구가 전후좌우로 경사진 상태에서 말이 달리는 주행 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오르막, 내리막, 좌측 경사, 우측 경사를 실감하도록 하는 승마형 운동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se riding type exercise equipment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the uphill, downhill, left inclination, right inclination by enabling the horse riding movement in the state inclined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will be.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 상기 안장의 하측에서 상기 안장의 전단 및 후단에 일단이 결합하는 복수의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타단에 결합하여 회전하여 상기 구동축을 상하 운동시키는 구동 수단; 상기 구동 수단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3 지지수단; 상기 제3 지지수단과 일단이 회동하도록 결합하는 제2 연결수단; 상기 제2 연결수단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제3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 상기 제2 지지수단과 일단이 회동하도록 결합하는 제1 연결수단; 상기 제1 연결수단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제2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 상기 제1 지지수단 및 상기 제2 지지수단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1 지지수단 및 상기 제2 지지수단의 일단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2 지지수단이 상기 제1 연결수단에 결합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작동하는 제1 경사수단; 및 상기 제2 지지수단 및 상기 제3 지지수단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2 지지수단 및 상기 제3 지지수단의 일단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3 지지수단이 상기 제2 연결수단에 결합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작동하는 제2 경사수단을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 기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user is seated saddle; A plurality of drive shaft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addle at the lower side of the saddle; Driving mean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to rotate the drive shaft up and down; Third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drive means from below; Second connecting means for engaging one end with the third supporting means to rotate; Second supporting mean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ans to support the third supporting means; First connecting means for engaging one end with the second supporting means to rotate; First supporting mean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ans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ing means; A first rotation shaft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mean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and the second support means by coupling to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and the second support means; First inclination means operable to rotate about the center; And a second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by adjusting an interval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unit and the third supporting unit by coupling to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unit and the third supporting unit. There is provided a riding-type exercise device including a second inclined means that is operative to rotate about an axis of rotation.

여기서, 상기 제1 경사수단은, 상기 제2 지지수단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1 모터부; 상기 제1 지지수단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1 결합수단; 및 상기 제1 모터부와 상기 제1 결합수단을 연결하는 제1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모터부는 상기 제1 스크류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1 지지수단의 일단과 상기 제2 지지수단의 일단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inclination means, the first motor unit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ans; First coupling mean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And a first screw connecting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first coupling unit, wherein the first motor unit rotates the first screw to allow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unit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unit to rotate. The interval can be adjusted.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모터부와 상기 제1 결합수단의 간격을 측정하는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승마형 운동 기구의 동작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승마형 운동 기구의 정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근접 센서의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값이 될 때 상기 승마형 운동 기구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roximity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first coupling mean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tart and stop an operation of the riding exercise device, wherein the controller receives the stop signal of the riding exercise device whe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becomes a preset value. It is possi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mold exercise equipment.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수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승마형 운동 기구의 운동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rst support means; And an elastic mean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first support means, the elastic means absorbing a shock during the exercise of the riding type exercise device.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승마형 운동 기구의 주행 경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주행 경로의 경사에 상응하여 상기 제1 경사수단 및 상기 제2 경사 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driving route image of the riding equipmen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inclination means and the second inclination means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travel path output to the display unit.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실제 말을 타는 느낌을 충분히 재현하기 위하여 승마형 운동 기구에 소정의 기울기를 부여하며, 특히, 승마형 운동 기구가 전후좌우로 경사진 상태에서 말이 달리는 주행 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오르막, 내리막, 좌측 경사, 우측 경사를 실감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Equestrian-type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 the riding-type exercise equipment in order to fully reproduce the feeling of the user riding the horse, in particular, the running of the horse runn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riding-type exercise equipment is incline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By enabling the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uphill, downhill, left inclination, right incli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의 정지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의 반시계 방향 경사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의 시계 방향 경사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의 정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의 반시계 방향 경사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의 시계 방향 경사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의 동작 개념도.
1 is a stationary side view of a riding 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unterclockwise inclined side view of a horse riding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lockwise inclined side view of a riding-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a horse riding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unterclockwise inclined front view of a riding-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lockwise inclined front view of a riding 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 riding type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riding-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의 정지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시계 방향 경사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시계 방향 경사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 안장(110), 제1 구동수단(120a), 제2 구동수단(120b), 제1 구동축(125a), 제2 구동축(125b), 지지대(130), 탄성수단(135), 제1 지지수단(140), 제1 연결수단(145), 제1 회전축(147), 제2 지지수단(150), 제2 연결수단(155), 제3 지지수단(160), 제1 모터부(170), 제1 스크류(180), 제1 결합수단(190), 제1 근접센서(191)가 도시된다. 1 is a stop side view of a riding 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unterclockwise inclined sid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clockwise inclined side view of FIG. 1. 1 to 3, the housing 100, the saddle 110, the first driving unit 120a, the second driving unit 120b, the first driving shaft 125a, the second driving shaft 125b, and the support stand. 130, the elastic means 135, the first supporting means 140, the first connecting means 145, the first rotating shaft 147, the second supporting means 150, the second connecting means 155, the first 3, the support unit 160, the first motor unit 170, the first screw 180, the first coupling unit 190, and the first proximity sensor 191 are illustrated.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실제 말을 타는 느낌을 충분히 재현하기 위하여 승마형 운동 기구에 소정의 기울기를 부여하는 특징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승마형 운동 기구가 전후좌우로 경사진 상태에서 말이 달리는 주행 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오르막, 내리막, 좌측 경사, 우측 경사를 실감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given a predetermined slope to the riding-type exercise equipment in order to fully reproduce the feeling of riding a horse. That is, this embodiment has a feature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the uphill, downhill, left inclination, right inclination by allowing the horse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to run the horse running in a state inclined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하우징(100)은 승마형 운동 기구의 외부 몸체를 형성하며, 예를 들면, 말의 형상과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전단에는 고삐가 구비될 수 있으며, 좌우측에는 말등자가 구비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forms an outer body of the riding exercise device, and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in the shape of a horse. A rein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100, and a stator may be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안장(110)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00)이 구비되는 경우 하우징(100)과 접촉하여 하우징(100)을 전체적으로 운동시킴으로써 승마형 운동 기구로 하여금 뛰는 동작, 경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addle 110 is a component seated by a user. When the housing 100 is provided, the saddle 110 contacts the housing 100 and moves the housing 100 as a whole to perform the riding and tilting motion of the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To help.

제1 구동수단(120a), 제2 구동수단(120b), 제1 구동축(125a) 및 제2 구동축(125b)은 승마형 운동 기구가 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 구동축(125a) 및 제2 구동축(125b)은 안장(110)의 하측에서 안장(110)의 전단 및 후단에 일단이 결합한다. 제1 구동축(125a) 및 제2 구동축(125b)은 좌우측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means 120a, the second driving means 120b, the first driving shaft 125a,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125b are components that allow the horse riding exercise device to perform an operation of jumping. One end of the first drive shaft 125a and the second drive shaft 125b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addle 110 at the lower side of the saddle 110. The first driving shaft 125a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125b may be provid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제1 구동수단(120a) 및 제2 구동수단(120b)은 각각 제1 구동축(125a) 및 제2 구동축(125b)의 타단에 결합하여 회전하여 제1 구동축(125a) 및 제2 구동축(125b)을 상하 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구동수단(120a)은 모터이고, 제1 구동수단(120a)과 제1 구동축(125a)은 소정의 링크로 결합하여 제1 구동수단(120a)이 회전함으로서 링크를 회동시키고, 링크에 결합한 제1 구동축(125a)의 타단이 회전함으로써, 안장(110)과 결합한 제1 구동축(125a)의 일단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means 120a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120b are rotated by being coupled to the other ends of the first driving shaft 125a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125b,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driving shaft 125a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125b are rotated. You can exercise up and down. 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means 120a is a motor, and the first driving means 120a and the first driving shaft 125a are coupled to a predetermined link to rotate the link by rotating the first driving means 120a. As the other end of the first drive shaft 125a coupled to the link rotates, one end of the first drive shaft 125a coupled to the saddle 110 may vertically move.

제1 구동수단(120a) 및 제2 구동수단(120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구동축(125a) 및 제2 구동축(125b)은 구동수단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means 120a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120b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in this case, the first driving shaft 125a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125b may be driven by being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by a chain. .

지지대(130)는 승마형 운동 기구의 최하부에서 바닥면(지면)과 결합하는 구성요소이다. 지지대(130)는 바닥면에 올려 지거나 또는 고정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The support 130 is a component that engages with the floor (ground) at the bottom of the equestrian sports equipment. Support 130 may be coupled to be raised or fixed on the bottom surface.

탄성수단(135)은 승마형 운동 기구의 작동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탄성수단(135)은 지지대 및 제1 지지수단(140) 사이에 구비되며, 승마형 운동 기구의 운동에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수단(135)은 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스프링은 가로로 놓이거나 또는 세로로 놓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프링이 좌측 및 우측에서 가로로 놓여졌다. The elastic means 135 may absorb the shock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iding type exercise equipment. The elastic means 135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first support means 140, it is possible to apply a restoring force to the movement of the riding-type exercise equipment. Here, the elastic means 135 may be a spring, the spring may be laid horizontally or vertically. Referring to FIG. 1, the springs were laid horizontal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제1 지지수단(140), 제2 지지수단(150) 및 제3 지지수단(160)은 순서대로 마련된 지지부재이다. 각 지지수단은 상층에 마련된 구성요소를 지지하며, 승마형 운동 기구가 전후좌우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supporting means 140, the second supporting means 150, and the third supporting means 160 are supporting members provided in order. Each support means supports the components provided on the upper floor, and allows the riding-type sports equipment to tilt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제3 지지수단(160)은 제1 구동수단(120a) 및 제2 구동수단(120b)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제2 연결수단(155)은 제3 지지수단(160)과 일단이 회동하도록 결합한다. The third supporting means 160 supports the first driving means 120a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120b from below, and the second connecting means 155 is coupled to the third supporting means 160 so that one end rotates. do.

제2 지지수단(150)은 제2 연결수단(155)의 타단과 결합하여 제3 지지수단(160)을 지지하고, 제1 연결수단(145)은 제2 지지수단(150)과 일단이 회동하도록 결합하며, 제1 지지수단(140)은 제1 연결수단(145)의 타단과 결합하여 제2 지지수단(150)을 지지한다. 제2 지지수단(150)은 제1 회전축(147)을 중심으로 제1 연결수단(145)과 회전가능하다. The second supporting means 15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ans 155 to support the third supporting means 160, and the first connecting means 145 is rotated at one end with the second supporting means 150. The first supporting means 14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ans 145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ing means 150. The second support means 150 is rotatable with the first connecting means 145 about the first rotation shaft 147.

제1 지지수단(140) 및 제2 지지수단(150)의 일단에는 제1 지지수단(140) 및 제2 지지수단(150)의 일단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2 지지수단(150)이 제1 연결수단(145)에 결합한 제1 회전축(147)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작동하는 제1 경사수단이 결합한다. 제1 경사수단은 제2 지지수단(150)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1 모터부(170)와, 제1 지지수단(140)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1 결합수단(190)과, 제1 모터부(170)와 제1 결합수단(190)을 연결하는 제1 스크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수단(190)은 너트가 될 수 있으며, 제1 스크류(180)와 나사 결합을 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140 and the second support means 150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140 and the second support means 150, the second support means 150 is the first The first inclined means which is operated to rotate about the first rotating shaft 147 coupled to the connecting means 145 is coupled. The first inclined means includes a first motor unit 170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ans 150, a first coupling means 190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140, and a first motor. It may include a first screw 180 connecting the portion 170 and the first coupling means 190. Here, the first coupling means 190 may be a nut and may be screwed with the first screw 180.

제1 모터부(170)가 제1 스크류(180)를 회전시키면, 제1 스크류(180)가 제1 결합수단(19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제1 모터부(170)와 제1 결합수단(190)의 사이 거리가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된다. 이러한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는 앞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뒤로 기울어지게 된다. 도 2는 제1 모터부(170)와 제1 결합수단(190)의 사이 거리가 벌어져서 승마형 운동 기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즉, 뒤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하며, 도 3은 제1 모터부(170)와 제1 결합수단(190)의 사이 거리가 좁아져서 승마형 운동 기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즉,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When the first motor unit 170 rotates the first screw 180, the first screw 180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crew 180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means 190, thereby coupling the first motor unit 170 with the first motor. The distance between the means 190 is widened or narrowed. As a result, the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clined forward or backward. 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riding type exercise device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at is, tilted backward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tor unit 170 and the first coupling unit 190 increases, and FIG. 3 shows the first motor.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nit 170 and the first coupling means 190 is narrowed, the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rotates clockwise, that is, the state inclined forward.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는 이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제1 구동수단(120a) 및 제2 구동수단(120b)이 작동하여 제1 구동축(125a) 및 제2 구동축(125b)이 상하 운동을 함으로써, 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정의 방향, 즉, 전후좌우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승마 운동을 함으로써, 실제 말이 경사진 상태에서 뛰는 상황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riding 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riving means 120a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120b operate in the inclined state such that the first driving shaft 125a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125b move up and down. By doing so, the jump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erefore, the user can perform a horse riding exercis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at is, in a state incline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so that the actual horse can be run in an inclined state.

제1 근접센서(191)는 제1 모터부(170)와 제1 결합수단(190)의 사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근접센서(191)의 센싱값은 기울어진 정도를 계산하는데 이용되거나 또는 승마형 운동 기구가 정지시 평행하게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는 승마형 운동 기구의 동작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승마형 운동 기구의 정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근접센서(191)의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값이 될 때 승마형 운동 기구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The first proximity sensor 191 ma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tor unit 170 and the first coupling unit 190.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191 may be used to calculate the degree of inclination or may cause the horse riding exercise equipment to stop in parallel when stopped. In this case,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starting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riding exercise device, and the controller receives the first proximity sensor when the stop signal of the riding exercise device is input from the user. When the sensing value of 191 becomes a preset value, the operation of the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may be stopped.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승마형 운동 기구의 정지 버튼을 클릭하거나 또는 전원 버튼을 눌러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 승마형 운동 기구가 최초 상태인 평형 상태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컨트롤러는 제1 모터부(170)를 동작시켜서 제1 근접 센서(191)의 센싱값이 최초 평형 상태에서의 제1 모터부(170)와 제1 결합수단(190)의 사이 거리가 될 때 승마형 운동 기구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clicks the stop button of the riding exercise equipment or presses the power button to turn off the power, the controller may allow the riding exercise equipment to be stopped in an equilibrium state which is the first state. The operation of the riding type exercise equipment can be stopped whe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191 become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tor unit 170 and the first coupling unit 190 in the initial equilibrium state by operating the control unit. have.

이러한 기술은 안장(110), 제1 구동수단(120a), 제2 구동수단(120b), 제1 구동축(125a), 제2 구동축(125b)에도 적용되어 컨트롤러는 안장(110)과 제3 지지수단(160)의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센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안장(110)이 평형 상태로 될 때 승마형 운동 기구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This technique is also applied to the saddle 110, the first drive means (120a), the second drive means (120b), the first drive shaft (125a), the second drive shaft (125b) so that the controller is the saddle 110 and the third support When the saddle 110 is in an equilibrium state by using the sensing value of the proximity sensor measuring the distance of the means 160, the operation of the riding type exercise device may be stopp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의 정지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반시계 방향 경사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시계 방향 경사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0), 안장(110), 제1 구동수단(120a), 제2 구동수단(120b), 링크부(122b), 제2 구동축(125b), 지지대(130), 탄성수단(135), 제1 지지수단(140), 제1 연결수단(145), 제2 지지수단(150), 제2 연결수단(155), 회전축(157), 제3 지지수단(160), 제2 모터부(175), 제2 스크류(185), 제2 결합수단(195), 제2 근접센서(192)가 도시된다. 상술한 바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4 is a stop front view of the riding 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unterclockwise inclined front view of FIG. 4, and FIG. 6 is a clockwise inclined front view of FIG. 4. 4 to 6, the housing 100, the saddle 110, the first driving unit 120a, the second driving unit 120b, the link unit 122b, the second driving shaft 125b, and the supporter ( 130, elastic means 135, the first supporting means 140, the first connecting means 145, the second supporting means 150, the second connecting means 155, the rotating shaft 157, the third supporting means 160, the second motor unit 175, the second screw 185, the second coupling means 195,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92 are show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 will be explained mainly.

제2 구동축(125b)은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링크부(122b)를 개재하여 제2 구동수단(120b)과 결합한다. 제3 지지수단(160)은 제2 회전축(157)을 중심으로 제2 연결수단(155)과 회전가능하다. The second driving shaft 125b may be provided in a pair from right to left,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means 120b through the link part 122b. The third support means 160 is rotatable with the second connecting means 155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157.

제2 지지수단(150) 및 제3 지지수단(160)의 일단에는 제2 지지수단(150) 및 제3 지지수단(160)의 일단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3 지지수단(160)이 제2 연결수단(155)에 결합한 제2 회전축(157)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작동하는 제2 경사수단이 결합한다. 제2 경사수단은 제3 지지수단(160)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2 모터부(175)와, 제2 지지수단(150)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2 결합수단(195)과, 제2 모터부(175)와 제2 결합수단(195)을 연결하는 제2 스크류(18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결합수단(195)은 너트가 될 수 있으며, 제2 스크류(185)와 나사 결합을 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ans 150 and the third support means 160 adjusts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ans 150 and the third support means 160, so that the third support means 160 is the second support means. The second inclined means which is operated to rotate about the second rotating shaft 157 coupled to the connecting means 155 is coupled. The second inclined means includes a second motor portion 175 coupled to one end of the third support means 160, a second coupling means 195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ans 150, and a second motor. It may include a second screw 185 connecting the portion 175 and the second coupling means (195). Here, the second coupling means 195 may be a nut and may be screwed with the second screw 185.

제2 모터부(175)가 제2 스크류(185)를 회전시키면, 제2 스크류(185)가 제2 결합수단(195)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제2 모터부(175)와 제2 결합수단(195)의 사이 거리가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된다. 이러한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는 좌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도 5는 제2 모터부(175)와 제2 결합수단(195)의 사이 거리가 벌어져서 승마형 운동 기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즉, 좌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하며, 도 6은 제2 모터부(175)와 제2 결합수단(195)의 사이 거리가 좁아져서 승마형 운동 기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즉,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When the second motor unit 175 rotates the second screw 185, the second screw 185 rotates while being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unit 195, thereby coupling the second motor unit 175 with the second motor unit 175. The distance between the means 195 is widened or narrowed. As a result, the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clined to the left or to the right.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otor unit 175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195 is widened, so that the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rotates counterclockwise, that is, tilted to the left. The distance between the motor unit 175 and the second coupling means 195 is narrowed, so that the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rotates clockwise, that is, the state tilted to the right.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는 이와 같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제1 구동수단(120a) 및 제2 구동수단(120b)이 작동하여 제1 구동축(125a) 및 제2 구동축(125b)이 상하 운동을 함으로써, 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e riding 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riving means 120a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120b operate in the inclined state such that the first driving shaft 125a and the second driving shaft 125b move up and down. By doing so, the jump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제2 근접센서(192)는 제2 모터부(175)와 제2 결합수단(195)의 사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근접센서(192)의 센싱값은 기울어진 정도를 계산하는데 이용되거나 또는 승마형 운동 기구가 정지시 평행하게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는 승마형 운동 기구의 동작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승마형 운동 기구의 정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2 근접센서(192)의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값이 될 때 승마형 운동 기구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92 ma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otor unit 175 and the second coupling means 195. The sensing value of the second proximity sensor 192 may be used to calculate the degree of inclination or may cause the horse riding exercise equipment to stop in parallel when stopped. In this case,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for starting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riding exercise equipment, and the controller receives the second proximity sensor when the stop signal of the riding exercise equipment is input from the user. When the sensing value of 192 becomes a preset value, the operation of the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may be stopp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트롤 박스는 전방향 경사 버튼(701), 후방향 경사 버튼(702), 우방향 경사 버튼(703), 좌방향 경사 버튼(704), 자율 주행 버튼(710)을 포함할 수 있다. 7 is a plan view of a riding type exercise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control box may include a forward tilt button 701, a backward tilt button 702, a right tilt button 703, a left tilt button 704, and an autonomous driving button 710. Can be.

본 실시예는 상술한 각 구동수단 및 경사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가 승마 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리하게 하우징(100)의 평면에 위치하는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box for controlling each of the driving means and the inclination means described above is located in the plane of the housing 100 so as to be easily operated by a user who is riding.

전방향 경사 버튼(701), 후방향 경사 버튼(702), 우방향 경사 버튼(703), 좌방향 경사 버튼(704)은 상술한 제1 경사수단 및 제2 경사수단을 제어하여 승마형 운동 기구를 전후좌우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The forward inclined button 701, the backward inclined button 702, the right inclined button 703, the left inclined button 704 controls the first inclined means and the second inclined means described above, and riding-type exercise equipment Can be tilte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자율 주행 버튼(710)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승마형 운동 기구가 동작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자율 주행 버튼(710)을 누르면, 승마형 운동 기구는 5분 동안 평형 상태에서 구동수단을 구동하고, 이후 5분동안 소정의 경사 상태에서 구동수단을 구동하는 등 승마형 운동 기구는 미리 설정된 시간, 경사 각도, 뛰는 속도 등이 조절되어 동작할 수 있다. The autonomous driving button 710 allows the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to operate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autonomous driving button 710, the horse riding exercise equipment drives the driving means in an equilibrium state for five minutes, and then drives the driving means in a predetermined inclination state for five minutes. The instrument can operate with a preset time, tilt angle, running speed, and the like adjust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의 동작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방향 경사 버튼(701), 후방향 경사 버튼(702), 우방향 경사 버튼(703), 좌방향 경사 버튼(704), 자율 주행 버튼(710)을 포함하는 컨트롤 박스, 디스플레이부(800), 주행 경로(801)가 도시된다. 8 is a conceptual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riding-type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a control box including a forward tilt button 701, a backward tilt button 702, a right tilt button 703, a left tilt button 704, and an autonomous driving button 710, The display 800 and the driving route 801 are shown.

본 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승마형 운동 기구를 동작시키며, 이 경우 해당 프로그램을 영상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iding type exercise device is operated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In this case, the program may be imaged and displayed.

디스플레이부(800)는 미리 설정된 주행 경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800)는 주행 경로(801), 자연 경치(하늘, 육지, 식물, 산, 호수 등)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제 자연에 형성된 주행 경로(801)를 따라 주행한다는 느낌을 전달 수 있다. The display 800 may display a preset driving route. The display 800 may display the driving route 801 and the natural scenery (sky, land, plant, mountain, lake, etc.) to transmit a feeling that the user is traveling along the driving route 801 formed in nature.

디스플레이부(800)에 출력되는 주행 경로(801)의 진행 방향 정보, 경사 정보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부가 해당 정보를 추출하여 상술한 각 구동수단 및 경사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주행 경로(801)에 포함된 경사 정보가 오르막 정보(예를 들면, 오르막 10도)인 경우 제어부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모터부(170)를 구동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를 뒤로 기울게 할 수 있다. The driving direction information and the inclination information of the driving route 801 output to the display unit 800 may be stored in a storage unit (not shown).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when the inclin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urrent driving route 801 is uphill information (for example, uphill 10 degrees), the controller drives the first motor unit 170 us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hereby provid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se riding exercise equipment can be tilted backwards.

이 경우 오르막에서는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제1 구동수단(120a) 및 제2 구동수단(120b)의 구동 속도를 크게 하여 승마형 운동 기구의 튀는 정도를 크게 조절할 수 있으며, 내리막에서는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제1 구동수단(120a) 및 제2 구동수단(120b)의 구동 속도를 작게 하여 승마형 운동 기구의 튀는 정도를 작게 조절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driving speed of the first driving unit 120a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20b may be increased in the uphill to adjust the splashing degree of the riding type sports equipment, and similarly to the actual situation in the downhill. By reducing the driving speed of the first driving means (120a) and the second driving means (120b)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splashing of the riding-type exercise equipment small.

그 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형 운동 기구에 대한 구체적인 형태, 임베디드 시스템, O/S 등의 공통 플랫폼 기술과 통신 프로토콜, I/O 인터페이스 등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및 엑추에이터, 배터리, 카메라, 센서 등 부품 표준화 기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Other common platform technologies, such as specific forms of riding-type sports equipment, embedded systems, O / S, communication protocols, I / O interfaces, and actuators, batteries, cameras, sensors, etc.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art standardization technology, etc. will be omitted sinc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인접한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각 구성 요소는 인접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은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 또는 제어실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physically adjacent component or may be implemented in different components. In the latter case, each component may be controlled by being located adjacent or in different zones. In this cas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trol means or control room for controlling each component to control each component by wire or wirelessly. You may.

상기한 바에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 or func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and combin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하우징 110 : 안장
120a : 제1 구동수단 120b : 제2 구동수단
122b : 링크부 125a : 제1 구동축
125b : 제2 구동축 130 : 지지대
135 : 탄성수단 140 : 제1 지지수단
145 : 제1 연결수단 147 : 제1 회전축
150 : 제2 지지수단 155 : 제2 연결수단
157 : 제2 회전축 160 : 제3 지지수단
170 : 제1 모터부 175 : 제2 모터부
180 : 제1 스크류 185 : 제2 스크류
190 : 제1 결합수단 191 : 제1 근접센서
192 : 제2 근접센서 195 : 제2 결합수단
701 : 전방향 경사 버튼 702 : 후방향 경사 버튼
703 : 우방향 경사 버튼 704 : 좌방향 경사 버튼
710 : 자율 주행 버튼 800 : 디스플레이부
801 : 주행 경로
100 housing 110 saddle
120a: first drive means 120b: second drive means
122b: link portion 125a: first drive shaft
125b: second drive shaft 130: support
135: elastic means 140: first support means
145: first connecting means 147: first rotating shaft
150: second supporting means 155: second connecting means
157: second axis of rotation 160: third support means
170: first motor unit 175: second motor unit
180: first screw 185: second screw
190: first coupling means 191: first proximity sensor
192: second proximity sensor 195: second coupling means
701: forward inclination button 702: backward inclination button
703: right tilt button 704: left tilt button
710: autonomous driving button 800: display unit
801: driving route

Claims (5)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
상기 안장의 하측에서 상기 안장의 전단 및 후단에 일단이 결합하는 복수의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타단에 결합하여 회전하여 상기 구동축을 상하 운동시키는 구동 수단;
상기 구동 수단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3 지지수단;
상기 제3 지지수단과 일단이 회동하도록 결합하는 제2 연결수단;
상기 제2 연결수단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제3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
상기 제2 지지수단과 일단이 회동하도록 결합하는 제1 연결수단;
상기 제1 연결수단의 타단과 결합하여 상기 제2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
상기 제1 지지수단 및 상기 제2 지지수단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1 지지수단 및 상기 제2 지지수단의 일단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2 지지수단이 상기 제1 연결수단에 결합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작동하는 제1 경사수단; 및
상기 제2 지지수단 및 상기 제3 지지수단의 일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2 지지수단 및 상기 제3 지지수단의 일단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제3 지지수단이 상기 제2 연결수단에 결합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작동하는 제2 경사수단을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 기구.
Saddle seated by the user;
A plurality of drive shaft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addle at the lower side of the saddle;
Driving mean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to rotate the drive shaft up and down;
Third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drive means from below;
Second connecting means for engaging one end with the third supporting means to rotate;
Second supporting mean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ans to support the third supporting means;
First connecting means for engaging one end with the second supporting means to rotate;
First supporting mean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means to support the second supporting means;
A first rotation shaft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mean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and the second support means by coupling to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and the second support means; First inclination means operable to rotate about the center; And
A second rotary shaft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ans by the third supporting mean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means and the third supporting means to adjust an interval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ing means and the third supporting means. Equestrian-type exercise equipment comprising a second inclined means that operates to rotate around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수단은,
상기 제2 지지수단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1 모터부;
상기 제1 지지수단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1 결합수단; 및
상기 제1 모터부와 상기 제1 결합수단을 연결하는 제1 스크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모터부는 상기 제1 스크류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1 지지수단의 일단과 상기 제2 지지수단의 일단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inclination means,
A first motor unit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unit;
First coupling mean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And
It includes a first screw for connecting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first coupling means,
The first motor unit is a riding type exercise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and one end of the second support means by rotating the first scr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부와 상기 제1 결합수단의 간격을 측정하는 제1 근접 센서; 및
상기 승마형 운동 기구의 동작을 개시 및 정지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승마형 운동 기구의 정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근접 센서의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값이 될 때 상기 승마형 운동 기구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형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proximity sens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tor unit and the first coupling unit; And
Including a controller for starting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riding type exercise equipment,
And the controll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riding type exercise device when the sensing value of the first proximity sensor is a preset value when the stop signal of the riding type exercise device is recei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수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승마형 운동 기구의 운동시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first support means; And
Equestrian-type sports equipment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and the first support means,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ans for absorbing a shock during the movement of the riding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마형 운동 기구의 주행 경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주행 경로의 경사에 상응하여 상기 제1 경사수단 및 상기 제2 경사 수단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승마형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output a driving route image of the riding exercise device;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inclination means and the second inclination means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travel path output to the display unit.
KR1020100139456A 2010-12-30 2010-12-30 Horse riding type health machine KR101200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456A KR101200905B1 (en) 2010-12-30 2010-12-30 Horse riding type health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456A KR101200905B1 (en) 2010-12-30 2010-12-30 Horse riding type health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490A true KR20120077490A (en) 2012-07-10
KR101200905B1 KR101200905B1 (en) 2012-11-14

Family

ID=4671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456A KR101200905B1 (en) 2010-12-30 2010-12-30 Horse riding type health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9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19B1 (en) * 2014-12-26 2015-04-23 주식회사 라이더 Driving device and exercise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0155B1 (en) 2014-01-14 2015-10-14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An operating device for Horse ri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366B1 (en) 2006-01-20 2008-02-13 지마인터내셔날 주식회사 Riding Apparatus synchronized with Scenes
KR100996592B1 (en) 2010-06-08 2010-11-25 베르아델 승마클럽(주) Horse-riding simul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19B1 (en) * 2014-12-26 2015-04-23 주식회사 라이더 Driving device and exercise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905B1 (en)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012B1 (en) Ski simulation apparatus and simulation method of the same
CN110582332B (en) Seat type sports simulation amusement park scenery spot
KR100762286B1 (en) Treadmill system
KR101492372B1 (en) Virtual Reality Simulation Apparatus Having Motion Control Unit
KR101677713B1 (en) Cycle athletic apparatus
WO2014140621A1 (en) Horse riding training aid
KR101200905B1 (en) Horse riding type health machine
CN112440972A (en) Brake steer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nomous navigation of electric scooter
CN108635836A (en) A kind of both feet that VR game uses trample the periphera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of control
CN100443134C (en) Treadlemill with topographic stimulating function
CN106621319A (en) Separating type analog walking device for virtual reality
KR101254006B1 (en) Health bicycle
KR101364594B1 (en) Tangible Snowboard Apparatus based on Bi-directional Interaction between motion of user and Motion Platform
KR20180047466A (en) Motorcycle simulation game system
KR101370833B1 (en) Bicycle simulation gam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725648B (en) Man-machine interactive motion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CN110152244A (en) A kind of bicycle analogue system that driving in the wrong direction and can provide load and device
CN114073843B (en) Balance train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JP6350421B2 (en) Training system
JP4186858B2 (en) Mobile device in virtual space
GB2482269A (en) A powered horse riding training aid with a pivoting neck directly linked to the base
KR101457577B1 (en) Horse riding device
KR20180054398A (en) device for bicycles trainer having accelerator and decelerator with non-contacting
KR101595299B1 (en) ski simulation apparatus implementing rotation motion
KR102153723B1 (en) Screen Riding Exercise Device Using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