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093A - 스트레치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레치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093A
KR20120077093A KR1020100138921A KR20100138921A KR20120077093A KR 20120077093 A KR20120077093 A KR 20120077093A KR 1020100138921 A KR1020100138921 A KR 1020100138921A KR 20100138921 A KR20100138921 A KR 20100138921A KR 20120077093 A KR20120077093 A KR 20120077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movable
stretch
roll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065B1 (ko
Inventor
이문용
송문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20100138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065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02Bending by stretching or pulling over a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21D7/025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and pulling or pushing the ends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21D7/028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and altering the profile at the same time, e.g. forming bu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스트레치 벤딩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스트레치 벤딩장치는, 개단면으로 성형된 고강도 성형빔을 스트레치 벤딩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벤딩 다이와, ⅱ)성형빔의 양측부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회전 금형과, 성형빔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고정 금형으로 이루어지며, 벤딩 다이의 상부면에 구성되는 벤딩 금형유닛과, ⅲ)벤딩 금형유닛의 상측에서 벤딩 다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벤딩 금형유닛에 고정된 성형빔의 중앙부에서 양측부 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가동유닛과, ⅳ)각 가동유닛에 구성되며, 성형빔의 상측면 및 양측면을 롤러로서 압착하여 성형빔을 벤딩 성형하는 롤 금형유닛을 포함하되, 롤 금형유닛은 수직 실린더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성형빔의 상측면을 압착하며 회전하는 제1 롤러부재와, 수평 실린더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성형빔의 양측면을 각각 압착하며 회전하는 한 쌍의 제2 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롤러부재에는 성형빔의 상측면과 양측면의 연결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스트레치 벤딩장치 {STRETCH BENDING DEVIC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포밍으로 성형된 고강도의 직선 성형빔을 스트레치 벤딩하기 위한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치 벤딩장치는 고강도 소재의 빔류를 일정한 곡률로 벤딩성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벤딩 성형기로서, 특히, 차량용 범퍼빔과 같이 고강도 강판을 롤 포밍 공정을 통하여 개단면을 지닌 성형빔을 벤딩 성형하는데 주로 적용된다.
즉,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은 직선 성형빔(1)을 스트레치 벤딩 성형하여 도 2에서와 같은 벤딩 빔(3)을 제작하게 된다.
여기서, 직선 성형빔(1)은 상측면(2a)과 양측면(2b)을 지니며 하부가 개방된 개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2a)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대형 트럭의 범퍼 빔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측면(2a)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고강도 성형빔(1)을 일반적인 스트레치 벤딩장치로서 스트레치 벤딩하게 되면, 성형빔(1)의 스프링 백 때문에 도 2에서와 같이 벤딩부(B)의 내측 부위에 주름과 버클링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상부면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성형빔의 스프링 백을 제어하여 성형빔의 벤딩 내측면에서 발생하는 주름과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트레치 벤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는, 개단면으로 성형된 고강도 성형빔을 스트레치 벤딩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벤딩 다이와, ⅱ)상기 성형빔의 양측부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회전 금형과, 상기 성형빔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고정 금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벤딩 다이의 상부면에 구성되는 벤딩 금형유닛과, ⅲ)상기 벤딩 금형유닛의 상측에서 상기 벤딩 다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벤딩 금형유닛에 고정된 성형빔의 중앙부에서 양측부 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가동유닛과, ⅳ)상기 각 가동유닛에 구성되며, 상기 성형빔의 상측면 및 양측면을 롤러로서 압착하여 성형빔을 벤딩 성형하는 롤 금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롤 금형유닛은 수직 실린더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성형빔의 상측면을 압착하며 회전하는 제1 롤러부재와, 수평 실린더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성형빔의 양측면을 각각 압착하며 회전하는 한 쌍의 제2 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재에는 상기 성형빔의 상측면과 양측면의 연결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 롤러부재의 롤러면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홈과, 상기 지지홈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롤러부재의 롤러면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홈과 결합하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는, 상기 지지 돌기와 롤러면이 라운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는, 상기 벤딩 다이에 고정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기 가동유닛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가동유닛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가동 실린더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가동 실린더의 작동 로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은 양방향 실린더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양방향 실린더는 상기 각 이동 블록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금형은 양단부에 라운드 형태의 슬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벤딩 다이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금형은 상기 고정 금형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힌지 브라켓을 통해 상기 벤딩 다이의 상부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금형에는 상기 고정 금형의 슬립홈과 슬립 결합이 이루어지는 슬립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딩 금형유닛은 상기 고정 금형의 슬립홈에 상기 회전 금형의 슬립 돌기가 슬립 결합되면서 일직선을 이루고, 그 일직선 상에 상기 성형빔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금형과 고정 금형으로 분할된 벤딩 금형유닛과, 롤러로서 성형빔의 상측면 및 양측면을 압착하는 롤 금형유닛을 구비하므로, 롤 포밍으로 성형된 고강도 성형빔을 스트레치 벤딩함으로써 상측면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성형빔의 스프링 백을 제어하여 벤딩 내측면에서 발생하는 주름과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고, 성형 자유도가 양호하여 여러 가지 성형빔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롤 금형유닛의 롤러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며 성형빔의 상측면과 양측면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라운드지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빔의 벤딩 부위에 집중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성형빔의 연결 부분이 터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스프링 백에 따른 벤딩 부위의 주름 발생을 더욱더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롤 포밍 공정으로 성형된 직선 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스트레치 벤딩장치를 이용하여 스트레치 벤딩 성형한 벤딩 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적용되는 롤 금형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적용되는 롤 금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3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100)는 차량용 범퍼빔과 같이 고강도 강판을 롤 포밍 공정을 통하여 성형한 고강도의 직선 빔(1: 이하 도 1 참조)(이하에서는 편의 상 "성형빔" 이라고 한다)을 스트레치 벤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성형빔(1)은 상측면(2a: 이하 도 1 참조)과 양측면(2b: 이하 도 1 참조)을 지니며 하부가 개방된 개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측면(2a)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대형 트럭의 범퍼 빔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스트레치 벤딩장치(100)는 상측면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성형빔의 스프링 백을 제어하여 성형빔(1)의 벤딩 내측면에서 발생하는 주름과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벤딩 다이(10), 벤딩 금형유닛(30), 가동유닛(50), 및 롤 금형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 벤딩 다이(10)는 하기의 각종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으로서 이루어지는 바, 하나의 프레임에 구성 요소들이 모두 설치될 수 있고, 구성 요소들이 서로 분획된 프레임에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벤딩 다이(10)는 각종 블록, 돌기, 칼라, 플레이트, 브라켓 등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파트들은 하기의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부속 요소들이므로,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벤딩 다이(10)로 통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벤딩 금형유닛(30)은 성형빔(1)의 양측부에 일정 곡률의 벤딩부를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벤딩 다이(10)의 상부면에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벤딩 금형유닛(30)은 성형빔(1)의 양측부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회전 금형(31)과, 성형빔(1)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고정 금형(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고정 금형(33)은 벤딩 다이(10)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의 양단부에는 삼각 라운드 형태의 슬립홈(35: 이하 도 8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금형(31)은 고정 금형(33)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힌지 브라켓(37)을 통해 벤딩 다이(10)의 상부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금형(33)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각 회전 금형(31)의 단부에는 고정 금형(33)의 슬립홈(35)과 슬립 결합이 이루어지는 삼각 형태의 슬립 돌기(39: 이하 도 8 참조)가 형성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벤딩 금형유닛(30)은 고정 금형(33)에 슬립홈(35)을 형성하고 회전 금형(31)에 슬립 돌기(39)를 형성하므로, 그 슬립홈(35)에 슬립 돌기(39)가 슬립 결합되면서 일직선을 이루며 그 일직선 상에 성형빔(1)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동유닛(50)은 한 쌍으로서 구비되며, 벤딩 금형유닛(30)의 상측에서 벤딩 다이(1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벤딩 금형유닛(30)에 고정된 성형빔(1)의 중앙부에서 양측부 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가동유닛(50)을 구성하기 위해 벤딩 다이(10)에는 고정 프레임(60)이 설치되는 바, 고정 프레임(60)은 벤딩 다이(10)에 수직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가동유닛(50)은 고정 프레임(60)에 가동 실린더(61)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 블록(6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가동 실린더(61)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실린더로서 고정 프레임(60)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가동 실린더(61)의 작동 로드(62)에는 이동 블록(63)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블록(63)은 작동 로드(62)의 단부에 볼 조인트 등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블록(63)은 작동 로드(6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벤딩 금형유닛(30)에 고정된 성형빔(1)의 중앙부에서 양측부 쪽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이동 블록(63)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양방향 실린더(65)(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복동식 실린더" 라고도 한다)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바, 이 양방향 실린더(65)는 양단부가 이동 블록(63)에 각각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롤 금형유닛(70)은 벤딩 금형유닛(30)에 고정된 성형빔(1)의 상측면 및 양측면을 롤러로서 압착하여 성형빔(1)을 벤딩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롤 금형유닛(70)은 각각의 가동유닛(50)에 구성되는 바, 가동유닛(50)의 이동 블록(63)에 수직 실린더(71)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롤러부재(73)와, 이동 블록(63)에 수평 실린더(75)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2 롤러부재(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롤러부재(73)는 성형빔(1)의 상측면에 대응하여 제1 장착 브라켓(8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벤딩 롤러(83)를 포함하는 바, 제1 장착 브라켓(81)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수직 실린더(7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벤딩 롤러(83)는 롤러면(84)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며 성형빔(1)의 상측면에 접촉하며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롤러부재(77)는 성형빔(1)의 양측면에 각각 대응하여 제2 장착 브라켓(8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벤딩 롤러(87)를 포함하는 바, 제2 장착 브라켓(85)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수평 실린더(75)에 의해 도면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벤딩 롤러(87)는 롤러면(88)이 좌우 방향으로 위치하며 성형빔(1)의 양측면에 접촉하며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롤러부재(73, 77)에 성형빔(1)의 상측면(2a)과 양측면(2b)의 연결 부분(2c)을 라운드지게 지지하는 지지수단(90)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지지수단(90)은 제1 롤러부재(73)에 있어 제1 벤딩 롤러(83)의 롤러면(84)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홈(91)과, 제2 롤러부재(77)에 있어 제2 벤딩 롤러(87)의 롤러면(88)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1 벤딩 롤러(83)의 지지홈(91)과 결합하는 지지 돌기(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지지 돌기(93)는 제2 벤딩 롤러(87)의 롤러면(88)과 라운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벤딩 금형유닛(30)의 회전 금형(31)과 고정 금형(33)이 일직선을 이루고 있다.
즉, 고정 금형(33)의 슬립홈(35)에 회전 금형(31)의 슬립 돌기(39)가 슬립 결합되면서 벤딩 금형유닛(30)의 회전 금형(31)과 고정 금형(33)은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롤 포밍에 의해 직선 형태로 성형된 성형빔(1)을 벤딩 금형유닛(30)에 설치한다. 여기서, 가동유닛(50)의 이동 블록(63)은 가동 실린더(61)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나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실린더(61)를 작동시켜 이동 블록(63)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이동 블록(63)의 롤 금형유닛(70)은 회전 금형(31)과 고정 금형(33)의 결합 부위 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롤 금형유닛(70)의 제1 롤러부재(73)는 성형빔(1)의 상측면(2a)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제2 롤러부재(77)는 양측면(2b)에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후, 수직 실린더(71)를 작동시켜 제1 롤러부재(73)의 제1 벤딩 롤러(83)를 성형빔(1)의 상측면(2a)에 접촉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수평 실린더(65)를 작동시켜 제2 롤러부재(77)의 제2 벤딩 롤러(87)를 성형빔(1)의 양측면(2b)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벤딩 롤러(87)는 성형빔(1)의 양측면(2b)에 밀착됨과 동시에 지지 돌기(93)가 제1 벤딩 롤러(83)의 지지홈(9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가동유닛(50)의 양방향 실린더(65)를 작동시켜 이동 블록(63)을 성형빔(1)의 중앙부에서 양측부 쪽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벤딩 롤러(83) 및 제2 벤딩 롤러(87)는 성형빔(1)의 상측면 및 양측면을 압착하며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벤딩 금형유닛(30)의 회전 금형(31)이 고정 금형(33)에 슬립되면서 이동 블록(63)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성형빔(1)을 일정 곡률로서 벤딩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 있듯이 제2 벤딩 롤러(87)의 지지 돌기(93)가 제1 벤딩 롤러(83)의 지지홈(91)에 결합되고, 그 지지 돌기(93)와 제2 벤딩 롤러(87)의 롤러면(88)이 라운드 형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벤딩 과정에서 성형빔(1)의 상측면(2a)과 양측면(2b)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2c)을 라운드지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치 벤딩장치(100)에 의하면, 회전 금형(31)과 고정 금형(33)으로 분할된 벤딩 금형유닛(30)과, 롤러로서 성형빔(1)의 상측면 및 양측면을 압착하는 롤 금형유닛(70)을 구비하므로, 롤 포밍으로 성형된 고강도 성형빔(1)을 스트레치 벤딩함으로써 상측면의 폭이 상대적으로 큰 성형빔(1)의 스프링 백을 제어하여 벤딩 내측면에서 발생하는 주름과 버클링을 방지할 수 있고, 성형 자유도가 양호하여 여러 가지 성형빔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롤 금형유닛(30)의 제1 벤딩 롤러(83)와 제2 벤딩 롤러(87)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회전하며 성형빔(1)의 상측면(2a)과 양측면(2b)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2c)을 라운드지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성형빔(1)의 벤딩 부위에 집중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성형빔(1)의 연결 부분(2c)이 터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스프링 백에 따른 벤딩 부위의 주름 발생을 더욱더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성형빔 10... 벤딩 다이
30... 벤딩 금형유닛 31... 회전 금형
33... 고정 금형 35... 슬립홈
37... 힌지 브라켓 39... 슬립 돌기
50... 가동유닛 60... 고정 프레임
61... 가동 실린더 62... 작동 로드
63... 이동 블록 65... 양방향 실린더
70... 롤 금형유닛 71... 수직 실린더
73... 제1 롤러부재 75... 수평 실린더
77... 제2 롤러부재 81... 제1 장착 브라켓
83... 제1 벤딩 롤러 84, 88... 롤러면
85... 제2 장착 브라켓 87... 제2 벤딩 롤러
90... 지지수단 91... 지지홈
93... 지지 돌기

Claims (11)

  1. 개단면으로 성형된 고강도 성형빔을 스트레치 벤딩하기 위한 스트레치 벤딩장치에 있어서,
    벤딩 다이;
    상기 성형빔의 양측부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회전 금형과, 상기 성형빔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고정 금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벤딩 다이의 상부면에 구성되는 벤딩 금형유닛;
    상기 벤딩 금형유닛의 상측에서 상기 벤딩 다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벤딩 금형유닛에 고정된 성형빔의 중앙부에서 양측부 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가동유닛; 및
    상기 각 가동유닛에 구성되며, 상기 성형빔의 상측면 및 양측면을 롤러로서 압착하여 성형빔을 벤딩 성형하는 롤 금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롤 금형유닛은 수직 실린더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성형빔의 상측면을 압착하며 회전하는 제1 롤러부재와, 수평 실린더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성형빔의 양측면을 각각 압착하며 회전하는 한 쌍의 제2 롤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롤러부재에는 상기 성형빔의 상측면과 양측면의 연결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성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1 롤러부재의 롤러면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지지홈과,
    상기 지지홈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롤러부재의 롤러면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홈과 결합하는 지지 돌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와 롤러면이 라운드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다이에 고정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기 가동유닛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동유닛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가동 실린더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 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가동 실린더의 작동 로드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블록은 양방향 실린더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양방향 실린더는 상기 각 이동 블록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금형은 양단부에 라운드 형태의 슬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벤딩 다이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금형은,
    상기 고정 금형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힌지 브라켓을 통해 상기 벤딩 다이의 상부면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금형에는,
    상기 고정 금형의 슬립홈과 슬립 결합이 이루어지는 슬립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금형유닛은,
    상기 고정 금형의 슬립홈에 상기 회전 금형의 슬립 돌기가 슬립 결합되면서 일직선을 이루고, 그 일직선 상에 상기 성형빔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치 벤딩장치.
KR20100138921A 2010-12-30 2010-12-30 스트레치 벤딩장치 KR101189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8921A KR101189065B1 (ko) 2010-12-30 2010-12-30 스트레치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38921A KR101189065B1 (ko) 2010-12-30 2010-12-30 스트레치 벤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093A true KR20120077093A (ko) 2012-07-10
KR101189065B1 KR101189065B1 (ko) 2012-10-10

Family

ID=46710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38921A KR101189065B1 (ko) 2010-12-30 2010-12-30 스트레치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0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6797A (zh) * 2013-12-30 2014-04-23 浙江兴宇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多功能导轨拉弯成型设备
CN104482830A (zh) * 2014-11-24 2015-04-01 芜湖新兴铸管有限责任公司 棒材弯曲度测量装置
KR20200075238A (ko) *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내장재 벤딩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6797A (zh) * 2013-12-30 2014-04-23 浙江兴宇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多功能导轨拉弯成型设备
CN103736797B (zh) * 2013-12-30 2015-11-25 浙江兴宇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多功能导轨拉弯成型设备
CN104482830A (zh) * 2014-11-24 2015-04-01 芜湖新兴铸管有限责任公司 棒材弯曲度测量装置
KR20200075238A (ko) *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내장재 벤딩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065B1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111B1 (ko) 벤딩 프레스 장치
KR101641550B1 (ko) 스트레치 벤딩장치
KR101792085B1 (ko) 벤딩 장치
KR101241762B1 (ko) 롤 포밍 장치
KR101279798B1 (ko) 스트레치 벤딩장치
KR20140077017A (ko) 벤딩 프레스용 클램핑 장치
KR101279357B1 (ko) 스트레치 벤딩기용 용접장치
KR20110050996A (ko) 벤딩장치
KR101334061B1 (ko) 스트레치 벤딩장치
KR101189065B1 (ko) 스트레치 벤딩장치
KR20120126455A (ko) 벤딩장치
CN101508002B (zh) 型材压型液压机
CN102699609B (zh) 一种轨道车辆裙板格栅焊接用旋转式工装
KR20120077084A (ko) 스트레치 벤딩장치
CN103221161B (zh) 滚子卷边装置
KR102204517B1 (ko) 플레이트 에지 프리밴딩 머신
KR101579531B1 (ko) 벤딩 장치
CN215757434U (zh) 一种用于人造革的张紧裁切装置
KR20120077090A (ko) 스트레치 벤딩장치
JP3618162B2 (ja) プレス装置
JPH04190925A (ja) 折曲げ機
KR101462921B1 (ko) 스트레치 벤딩 금형 교환장치
CN206838819U (zh) 弯曲成型装置
CN217251703U (zh) 一种拉弯时防皱模具
JPH0692010B2 (ja) 板材折曲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