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060A -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060A
KR20120075060A KR1020100137081A KR20100137081A KR20120075060A KR 20120075060 A KR20120075060 A KR 20120075060A KR 1020100137081 A KR1020100137081 A KR 1020100137081A KR 20100137081 A KR20100137081 A KR 20100137081A KR 20120075060 A KR20120075060 A KR 20120075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unit
camera module
lighting
brightnes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명국
선경표
허정욱
김종일
이영준
정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00137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5060A/ko
Publication of KR2012007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21V23/047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by means of an image recording device, e.g.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환경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을 위하여,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를 감지하여 상기 조명부의 상기 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부에 전송하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조명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시스템{Illumination apparatus and illumin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주위환경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특정 장소에 배치되어 사전설정된 휘도로 광을 방출하는 조명장치이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천정 등에 매립되어 예컨대 실내조명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현재 이용 가능한 조명장치의 경우, 단순히 광을 방출하는 것만 가능할 뿐 능동적으로 방출 광량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결국, 주변 환경이 밝은 상황에서도 일정한 광량을 방출하기에, 에너지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위환경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를 감지하고 상기 조명부의 상기 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부에 전송하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조명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모듈은,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로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상기 조리개로 입사하는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조명부의 주 조명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명부의 상기 발광소자들이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기 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시, 상기 조명부의 상기 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여, 밝기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기 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에서의 물체 움직임을 감지할 시, 상기 조명부의 상기 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높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i) 복수개의 제1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제1조명부와, 상기 제1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1조명부의 상기 제1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조명부에 전송하는 제1카메라모듈과, 상기 제1조명부와 상기 제1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제1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조명장치와, (ii) 복수개의 제2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제2조명부와, 상기 제2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2조명부의 상기 제2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조명부에 전송하는 제2카메라모듈과, 상기 제2조명부와 상기 제2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조명장치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카메라모듈과 상기 제2카메라모듈 각각은,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로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상기 조리개로 입사하는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카메라모듈은 상기 제1조명부의 주 조명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카메라모듈은 상기 제2조명부의 주 조명방향을 향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조명부의 상기 제1발광소자들이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제1카메라모듈은 상기 제1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제1카메라모듈이 상기 제1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시, 상기 제1조명부의 상기 제1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여, 밝기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2조명부의 상기 제2발광소자들이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제2카메라모듈은 상기 제2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제2카메라모듈이 상기 제2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시, 상기 제2조명부의 상기 제2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여, 밝기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카메라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1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와, 상기 제2카메라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2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가 같도록, 상기 제1조명부와 상기 제2조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카메라모듈과 상기 제2카메라모듈 중 어느 하나가 물체 움직임을 감지할 시, 상기 제1조명부와 상기 제2조명부 중 상기 물체 움직임을 감지한 카메라모듈에 대응하는 것에서 방출하는 광량을 높이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에 따르면, 주위환경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의 일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일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카메라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면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가 평판조명장치인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조명장치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조명부(110), 카메라모듈(120) 및 프레임(130)을 구비한다. 프레임(130)은 조명부(110)와 카메라모듈(120)을 수용한다.
조명부(110)는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데, 각 발광소자는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광을 방출하는 소자로서 예컨대 화합물 반도체의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발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불릴 수 있다. 조명부(110)가 도시된 것과 같이 평판조명부일 경우, 발광소자들이 조명부(110)의 전면(全面) 하부에 배치된 직하형 평판조명부일 수도 있고, 발광소자들이 조명부(110)의 가장자리 부근에 배치된 에지형 평판조명부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물론 조명부(110)는 도시된 것과 달리 평판조명부가 아닐 수 있으며, 예컨대 LED 형광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카메라모듈(120)은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를 감지하여, 조명부(110)의 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모듈(120)은 조명부(110)의 주 조명방향(-z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의미는, 조명부(110)의 발광소자가 발광중일 경우에는 그 광이 도달하는 곳을 의미하며, 조명부(110)의 발광소자가 발광하지 않는 때에는 조명부(110)의 발광소자가 발광할 시 그 광이 도달할 곳을 의미한다. 또한 주 조명방향의 의미는 조명부(110)에서 방출되는 광의 강도가 가장 큰 방향, 즉 광이 주로 방출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컨대 조명부(110)가 도시된 것과 같은 평판조명부일 경우 평판조명부에 대략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모듈(120)은 촬상소자(123)와, 이 촬상소자(123)로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122)와, 조리개(122)로 입사하는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121)를 구비한다. 물론 이 외에도,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모듈(12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모듈(120)이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를 측정할 경우, CPU(100)는 렌즈 구동부(121a), 조리개 구동부(122a) 및 촬상소자 제어부(123a)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21)의 위치, 조리개(122)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123)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이는 조작부(128) 등을 통해 사전 세팅될 수 있다. 촬상소자(123)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예컨대 CMOS소자 및/또는 CCD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24)는 촬상소자(123)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123)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24)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123)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126)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125)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126)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125)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00)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126)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25)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25)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메모리(126)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127a)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127a)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127)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127a)는 저장매체(127)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126)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CPU(129)나 디지털 신호 처리부(125)에 전송하여 데이터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127)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주위환경을 고려하여 조명하고자 하는 곳을 효과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즉, 조명부(110)가 조명하고자 하는 곳의 밝기 변화여부를 카메라모듈(120)이 감지하여 조명부(110)의 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부(11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조명부(110)에서 적절한 광량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부(110)의 발광소자들이 광을 방출하고 있는 상황 하에서,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에서의 밝기가 (조명부(110)에 의한 것이 아니라) 외부 조명에 의해 변하게 되면, 해당 변화에 따라 조명부(110)의 발광소자들의 발광량을 조절함으로써,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모듈(120)의 CPU(129)는 조명부(110)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물론 카메라모듈(120)이 아닌 일반적인 조도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나 카메라모듈(120)이 아닌 일반적인 조도센서의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인 조도센서의 경우 광의 존재유무만을 확인하거나 사전설정된 밝기에 미치는지 여부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특정 장소의 밝기 변화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일반적인 조도센서를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카메라모듈(120) 위치에 배치시킨다면, 조명부(110)가 광을 방출하는 동안 조도센서는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가 충분하다고만 판단할 뿐,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에서의 외부 광원에 의한 밝기 변화를 전혀 감지하지 못하며, 따라서 외부 광원에 의한 밝기 변화를 감지하여 조명부(110)에서 방출되는 광량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구현할 수 없다. 이러한 일반적인 조도센서의 경우 광원에서 광이 방출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광원의 단순한 온-오프에만 이용될 뿐이다. 결국, 주변 환경이 밝은 상황에서도 일정한 광량을 방출하기에, 에너지 효율이 낮을 수밖에 없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경우 조명부(110)가 조명하고자 하는 곳의 밝기 변화여부를 카메라모듈(120)이 감지하여 조명부(110)에서 적절한 광량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도 높이면서도 효과적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장치(100)가 창문 근방에 위치할 경우, 충분한 광량이 창문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낮 동안에는 조명장치(100)가 광을 방출하지 않도록 하며, 시간이 흘러 밤이 되어가거나 날씨가 흐려짐에 따라 창문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광량이 줄어들 경우 줄어드는 광량을 고려하여 조명부(110)에서 광이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가 구비하는 카메라모듈(120)의 경우, 조리개(122)의 개방 정도를 조정하거나 촬상소자(123)의 감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에서의 미세한 밝기 변화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경우, 조명부(110)의 발광소자들이 광을 방출하는 동안, 카메라모듈(120)은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여부를 감지하며, 카메라모듈(120)이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시, 조명부(110)의 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여,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모듈(120)은 저장매체(127)와 저장/판독 제어부(127a)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상소자(123) 등에서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저장매체(127)에 저장하고, 상이한 시간에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에서의 물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20)이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에서의 물체 움직임을 감지할 시, 조명부(110)의 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높이는 등의 광량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물체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능동형/수동형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적외선 센서는 물체 움직임 감지 범위가 매우 좁은 반면, 카메라모듈(120)은 광각 렌즈 등을 이용함으로써 물체 움직임 감지 범위를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조명장치의 일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장치(100)는 벽에 매립되어, 일 방향(-z 방향)을 주 조명방향으로 하여 광을 방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모듈(120)은 상기 일 방향(-z 방향)을 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일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 템은 제1조명장치(100)와 제2조명장치(200)를 구비한다.
제1조명장치(100)와 제2조명장치(200) 각각은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변형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조명장치(100)는 복수개의 제1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제1조명부(110)와, 제1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제1카메라모듈(120)과, 제1조명부(110)와 제1카메라모듈(120)을 수용하는 제1프레임(130)을 포함하고, 제2조명장치(200)는 복수개의 제2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제2조명부(210)와, 제2조명부(2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제2카메라모듈(220)과, 제2조명부(210)와 제2카메라모듈(220)을 수용하는 제2프레임(230)을 포함한다.
제1카메라모듈(120)과 제2카메라모듈(220) 각각은, 촬상소자와, 촬상소자로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조리개로 입사하는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제1카메라모듈(120)은 제1조명부(110)의 주 조명방향을 향하고, 제2카메라모듈(220)은 제2조명부(210)의 주 조명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1카메라모듈(120)은, 제1조명부(110)의 제1발광소자들이 광을 방출하는 동안 제1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여부를 감지하며, 제1카메라모듈(120)이 제1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시, 제1조명부(110)의 제1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여 제1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제2카메라모듈(220)은, 제2조명부(210)의 제2발광소자들이 광을 방출하는 동안 제2조명부(2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여부를 감지하며, 제2카메라모듈(220)이 제2조명부(2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시, 제2조명부(210)의 제2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여 제1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조명부(110)의 방출광량 제어와 제2조명부(210)의 방출광량 제어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조명장치(100)와 제2조명장치(200)가 천정(310)에 매립되되 제1조명장치(100)가 제2조명장치(200)보다 벽(320)에 인접하여, 결과적으로 제1조명장치(100)가 제2조명장치(200)보다 벽(320)에 마련된 창문(330)에 인접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창문(330)을 통해 외부로부터 실내로 들어오는 광에 의해, 제1조명장치(100)가 조명하고자 하는 곳의 밝기가 제2조명장치(200)가 조명하고자 하는 곳의 밝기보다 외부 광원에 의해 변화가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경우, 제1조명부(110)의 방출광량 제어와 제2조명부(210)의 방출광량 제어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2조명장치(200)의 방출광량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제1조명장치(100)의 방출광량을 제1조명장치(100)의 제1카메라모듈(120)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제1조명장치(100)가 조명하고자 하는 곳의 외부 광원에 의한 밝기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 창문(330)을 통한 외부 광원에 의한 광량 변화에 관계없이, 제1카메라모듈(120)이 측정한 제1조명부(1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와, 제2카메라모듈(220)이 측정한 제2조명부(210)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가 같도록, 제1조명부(110)와 제2조명부(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방출하는 광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1,2카메라모듈(120, 220)은 저장매체와 저장/판독 제어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상소자 등에서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저장매체에 저장하고, 상이한 시간에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제1,2조명부(110, 210)가 조명하는 곳에서의 물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2카메라모듈(120, 220)이 제1,2조명부(110, 210)가 조명하는 곳에서의 물체 움직임을 감지할 시, 제1,2조명부(110, 210)의 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높이는 등의 광량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제1,2조명부(110, 210)에서의 광량변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제1조명부(110)와 제2조명부(210) 중 물체 움직임을 감지한 카메라모듈에 대응하는 것에서 방출하는 광량을 변화시킴으로써, 능동형 조명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장치 및/또는 조명시스템은, 실내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실내가 아닌 외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능동형 조명장치 및/또는 조명시스템으로써, 효과적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조명장치 110: 조명부
120: 카메라모듈 130: 프레임

Claims (9)

  1.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를 감지하고, 상기 조명부의 상기 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부에 전송하는 카메라모듈 및
    상기 조명부와 상기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프레임
    을 구비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로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상기 조리개로 입사하는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의 주 조명방향을 향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의 상기 발광소자들이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기 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시, 상기 조명부의 상기 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여, 밝기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이 상기 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에서의 물체 움직임을 감지할 시, 상기 조명부의 상기 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높이는, 조명장치.
  5. 복수개의 제1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제1조명부와, 상기 제1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1조명부의 상기 제1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조명부에 전송하는 제1카메라모듈과, 상기 제1조명부와 상기 제1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제1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조명장치 및
    복수개의 제2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 제2조명부와, 상기 제2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2조명부의 상기 제2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조명부에 전송하는 제2카메라모듈과, 상기 제2조명부와 상기 제2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조명장치
    를 구비하는, 조명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모듈과 상기 제2카메라모듈 각각은,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로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상기 조리개로 입사하는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카메라모듈은 상기 제1조명부의 주 조명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카메라모듈은 상기 제2조명부의 주 조명방향을 향하는, 조명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명부의 상기 제1발광소자들이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제1카메라모듈은 상기 제1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제1카메라모듈이 상기 제1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시, 상기 제1조명부의 상기 제1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여, 밝기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2조명부의 상기 제2발광소자들이 광을 방출하는 동안, 상기 제2카메라모듈은 상기 제2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제2카메라모듈이 상기 제2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 변화를 감지할 시, 상기 제2조명부의 상기 제2발광소자들이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여, 밝기 변화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조명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1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와, 상기 제2카메라모듈이 측정한 상기 제2조명부가 조명하는 곳의 밝기가 같도록, 상기 제1조명부와 상기 제2조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방출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명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모듈과 상기 제2카메라모듈 중 어느 하나가 물체 움직임을 감지할 시, 상기 제1조명부와 상기 제2조명부 중 상기 물체 움직임을 감지한 카메라모듈에 대응하는 것에서 방출하는 광량을 높이는, 조명시스템.
KR1020100137081A 2010-12-28 2010-12-28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시스템 KR20120075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081A KR20120075060A (ko) 2010-12-28 2010-12-28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081A KR20120075060A (ko) 2010-12-28 2010-12-28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060A true KR20120075060A (ko) 2012-07-06

Family

ID=4670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081A KR20120075060A (ko) 2010-12-28 2010-12-28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50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510A1 (ko) * 2013-07-11 2015-01-15 주식회사 엔젤럭스 스마트 회전 led 조명장치
KR101671732B1 (ko) * 2016-09-07 2016-11-02 강대선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이스웨이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510A1 (ko) * 2013-07-11 2015-01-15 주식회사 엔젤럭스 스마트 회전 led 조명장치
KR101671732B1 (ko) * 2016-09-07 2016-11-02 강대선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이스웨이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0463B2 (ja) 感知される光レベルに対する異なる貢献度を区別する照明センサ
US9332610B2 (en) Light fix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illuminance in an active smart manner
US9591718B2 (en) Illuminance configuring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JP5743392B2 (ja) 手術用照明、カメラおよびモニタを備えた装置
US9414464B2 (en) Lighting system
JP6108150B2 (ja) 照明制御システム
BR0212734A (pt) Circuito com uma unidade de visualização optoeletrÈnica
KR100518250B1 (ko) 광 발산 조정용 적외선 조명장치
ATE412172T1 (de) System zur einstellung der lichtintensität
KR20120075060A (ko)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시스템
US20180184499A1 (en) Photoelectric module, motion sens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062954B1 (ko) 다열로 배열된 적외선광원을 이용한 근적외선 조명장치
KR20140085851A (ko) 줌배율에 따른 적외선 엘이디 디밍기능을 가진 카메라
US20140300803A1 (en) Image-capturing system
US8154224B2 (en) Display apparatus that can be moved in space
CN103217857B (zh) 狩猎相机及其照明自动调节系统和调节方法
US20210166000A1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KR102525680B1 (ko) 감시용 카메라의 촬영영상에 대한 역광 보정장치 및 그 보정방법
TWI412872B (zh) 具有自動調整投影亮度功能的投影裝置及方法
JP2005094080A (ja) 監視カメラの照明装置及び監視カメラ、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6805238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KR101427509B1 (ko) 능동 배광 제어 조명 기구 및 그 제어 방법
JP2005148200A (ja) 撮影用光量制御装置
KR101280282B1 (ko) 조명 시스템
US20200355986A1 (en) Led lens structure and trail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