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282B1 -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282B1
KR101280282B1 KR1020110144206A KR20110144206A KR101280282B1 KR 101280282 B1 KR101280282 B1 KR 101280282B1 KR 1020110144206 A KR1020110144206 A KR 1020110144206A KR 20110144206 A KR20110144206 A KR 20110144206A KR 101280282 B1 KR101280282 B1 KR 101280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area
sensing module
image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명국
허정욱
김종일
이영준
황용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멘스
Priority to KR1020110144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21V23/047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by means of an image recording device, e.g. a came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조명영역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위하여, 복수개의 조명부들과,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에서 방출되는 광이 조명할 수 있는 조명영역을 일시(一時)에 센싱할 수 있는 이미지센싱모듈과,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 각각의 켜짐, 꺼짐 및 켜질 시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제어부를 구비하는, 조명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명 시스템{Lighting system}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조명영역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 시스템은 차량이나 사람이 이동하는 영역을 복수개의 조명부들로 조명하는 전체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컨대 건물의 지하주차장을 조명하는 복수개의 조명부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조명 시스템의 복수개의 조명부들 모두를 동시에 켜거나 꺼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 시스템의 경우, 복수개의 조명부들 모두를 동시에 켜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조명영역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복수개의 조명부들과,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에서 방출되는 광이 조명할 수 있는 조명영역을 일시(一時)에 센싱할 수 있는 이미지센싱모듈과,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 각각의 켜짐, 꺼짐 및 켜질 시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제어부를 구비하는, 조명 시스템이 제공된다.
나아가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상기 조명영역 내에서의 물체 움직임 방향을 결정하는 움직임 방향 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 중 상기 움직임 방향 결정부가 결정한 물체 움직임 방향 상의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들을 켜거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 중 물체 움직임이 종료된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들을 끄거나 광량을 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상기 조명영역 내에서의 물체 움직임 속도를 결정하는 움직임 속도 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속도 결정부가 결정한 움직임 속도에 따라 상기 움직임 방향 결정부가 결정한 물체 움직임 방향 상의 조명될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속도 결정부가 결정한 움직임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움직임 방향 결정부가 결정한 물체 움직임 방향 상의 조명될 영역의 면적을 넓게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상기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스처 식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식별부가 식별한 제스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켜거나, 끄거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상기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존재를 인식하면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을 켜고, 상기 제스처 식별부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이 켜진 시점부터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제스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조명부와, 상기 조명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조명할 수 있는 조명영역을 일시(一時)에 센싱할 수 있는 이미지센싱모듈과,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켜짐, 꺼짐 및 켜질 시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제어부와,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상기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스처 식별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식별부가 식별한 제스처에 따라 상기 조명부를 켜거나, 끄거나, 광량을 조절하는, 조명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조명영역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이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이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이미지센서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이미지센서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2의 조명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이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 이미지센싱모듈(140) 및 조명제어부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 각각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방출부(120)와 이를 수용하는 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은 모두 광을 방출할 경우 특정 조명영역 모두를 밝게 조명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광방출부(120)가 평판형상인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 각각이 구비하는 광방출부(120)는 복수개의 발광소자들을 포함하는데, 각 발광소자는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광을 방출하는 소자로서 예컨대 화합물 반도체의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발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불릴 수 있다. 광방출부(120)가 도시된 것과 같이 평판조명부일 경우, 발광소자들이 광방출부(120)의 전면(全面) 하부에 배치된 직하형 평판조명부일 수도 있고, 발광소자들이 광방출부(120)의 가장자리 부근에 배치된 에지형 평판조명부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물론 광방출부(120)는 도시된 것과 달리 평판조명부가 아닐 수 있으며, 예컨대 LED 형광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미지센싱모듈(140)은,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에서 방출되는 광이 조명할 수 있는 조명영역을 일시(一時)에 센싱할 수 있다. 즉, 이미지센싱모듈(140)은 시분할이나 공간분할 없이,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에서 방출되는 광이 조명할 수 있는 조명영역을 한꺼번에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이라 함은, 이미지센싱모듈(140) 내의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조명영역 내에 사람이나 차량 등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센싱모듈(140)은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의 주 조명방향(-z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이 조명하는 곳의 의미는,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이 모두 광을 방출할 시 그 광이 도달하는 곳을 의미한다. 또한 주 조명방향의 의미는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에서 방출되는 광의 강도가 가장 큰 방향, 즉 광이 주로 방출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컨대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이 도시된 것과 같은 평판조명부일 경우 평판조명부에 대략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센싱모듈(140)은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이미지센싱모듈(140)은 촬상소자(143)와, 이 촬상소자(143)로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142)와, 조리개(142)로 입사하는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141)를 구비한다. 물론 이 외에도,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센싱모듈(14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미지센싱모듈(140)이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에서 방출되는 광이 조명할 수 있는 조명영역을 한꺼번에 센싱할 경우, 즉 이미지센싱모듈(140)이 조명영역 내에 사람이나 차량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구동될 경우, CPU(149)는 렌즈 구동부(141a), 조리개 구동부(142a) 및 촬상소자 제어부(143a)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각각 렌즈(141)의 위치, 조리개(142)의 개방 정도 및 촬상소자(143)의 감도 등이 제어된다. 이는 조작부(148) 등을 통해 사전 세팅될 수 있다. 촬상소자(143)는 입력된 광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예컨대 CMOS소자 및/또는 CCD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4)는 촬상소자(143)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물론 촬상소자(143)의 특성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4)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촬상소자(143)로부터의 데이터는 메모리(146)를 거쳐 디지털 신호 처리부(145)에 입력될 수도 있고, 메모리(146)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145)에 입력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CPU(149)에도 입력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146)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45)는 필요에 따라 감마(gamma) 보정,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45)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메모리(146)를 통하여 또는 직접 저장/판독 제어부(147a)에 입력되는데, 이 저장/판독 제어부(147a)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147)에 저장한다. 물론 저장/판독 제어부(147a)는 저장매체(147)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146)를 통해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해 CPU(149)나 디지털 신호 처리부(145)에 전송하여 데이터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저장매체(147)는 착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디지털 촬영장치에 영구장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센싱모듈(14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 중 어느 한 조명부(108)와 일체(一體)화되어, 프레임(13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이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센싱모듈(140)은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 중 어느 하나와도 일체화되지 않고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조명제어부는, 이미지센싱모듈(140)의 센싱 데이터에 따라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 각각의 켜짐, 꺼짐 및 켜질 시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경우, 복수개의 조명부들 모두를 동시에 최대휘도로 켜는 종래의 조명 시스템과 달리, 이미지센싱모듈(140)의 센싱 데이터에 따라 조명제어부가 복수개 조명부들(101 내지 115) 각각의 켜짐, 꺼짐 및 켜질 시의 광량을 제어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여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조명영역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이 조명하고자 하는 조명영역 내의 사람이나 차량 등의 움직임 여부를 이미지센싱모듈(140)이 감지하여 피드백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제어부(122)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 각각의 켜짐, 꺼짐 및 켜질 시의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센싱모듈(140)이 조명영역 내에서 사람이나 자동차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이 꺼지거나 최소한의 광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황 하에서 사람이나 차량 등이 조명영역 내로 진입하여 이를 이미지센싱모듈(140)이 감지할 경우, 이미지센싱모듈(140)의 그러한 센싱 결과에 따라, 조명제어부가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 중 감지된 사람이나 차량 등이 위치한 부분을 조명하는 조명부들이 방출하는 광량이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도 높이면서도 효과적인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센싱모듈(140)이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이나 차량 등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센싱모듈(140)은 저장매체(147)와 저장/판독 제어부(147a)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상소자(143) 등에서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저장매체(147)에 저장하고, 상이한 시간에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조명영역 내에서의 물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물론 물체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능동형/수동형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적외선 센서는 물체 움직임 감지 범위가 매우 좁은 반면, 이미지센싱모듈(140)은 광각 렌즈 등을 이용함으로써 물체 움직임 감지 범위를 조명영역 전범위로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이미지센서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인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센싱모듈(140)은 움직임 방향 결정부(1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움직임 방향 결정부(145`)는 이미지센싱모듈(140)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조명영역 내에서의 물체 움직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방향 결정부(145`)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센싱모듈(140)의 일부일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움직임 방향 결정부(145`)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촬상소자(143) 등에서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이한 시간에 획득한 이미지데이터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이나 차량 등의 움직임 방향을 결정한다. 예컨대 시간 t에 사람이나 자동차 등이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영역 내에 위치했다가 시간 t+dt에 조명부(109)가 조명하는 영역 내에 위치했다면, 움직임 방향 결정부(145`)는 해당 사람이나 자동차 등이 조명부(108)가 조명하는 영역 내로 이동할 것으로 그 움직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조명제어부(122)는,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 중 움직임 방향 결정부(145`)가 결정한 물체 움직임 방향 상의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들을 켜거나 광량을 증가시킨다.
도 5는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이 -z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여 조명영역(IA)을 조명할 수 있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사람이나 자동차 등이 우측에서 -y 방향으로 진입하여 직진하다가 -x 방향으로 방향을 바꿔 직진하는 경로(R)로 이동하는 경우라면, 움직임 방향 결정부(145`)는 조명영역(IA) 내에서의 사람이나 차량 등의 움직임 방향을 결정하여, 사람이나 자동차 등이 이동하는 방향 상의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들(110, 109, 108, 107, 102)에서 광이 방출되도록 하거나 방출되는 광량을 높이도록, 조명제어부(122)가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을 제어한다. 이를 통해 다른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들(101, 103, 104, 105, 106, 111, 112, 113, 114, 115)은 광을 방출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광만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조명 시스템의 소비전력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더 나아가, 조명제어부(122)는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 중 물체 움직임이 종료된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들을 끄거나 광량을 줄일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경로(R)를 따라 사람이나 차량 등이 이동할 경우, 사람이나 차량이 조명부(109)가 조명하는 영역에서 조명부(108)가 조명하는 영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이미지센싱모듈(140)이 센싱한 데이터로부터 판단할 경우, 이미 지나친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109)가 광을 방출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광만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조명 시스템의 소비전력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센싱모듈(140)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조명영역(IA) 내에서의 물체 움직임 속도를 결정하는 움직임 속도 결정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명제어부(122)는, 움직임 속도 결정부가 결정한 움직임 속도에 따라 움직임 방향 결정부(145`)가 결정한 물체 움직임 방향 상의 조명될 영역의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움직임 속도 결정부는, 예컨대 시간 t에 사람이나 자동차 등이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영역 내에 위치했다가 시간 t+dt에 조명부(109)가 조명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보다, 시간 t에 사람이나 자동차 등이 조명부(110)가 조명하는 영역 내에 위치했다가 시간 t+dt에 조명부(108)가 조명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가, 물체의 움직임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움직임 속도 결정부가 결정한 움직임 속도에 따라 움직임 방향 결정부(145`)가 결정한 물체 움직임 방향 상의 조명될 영역의 면적을 결정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움직임 속도 결정부가 결정한 움직임 속도가 빠를수록, 움직임 방향 결정부(145`)가 결정한 물체 움직임 방향 상의 조명될 영역의 면적을 넓게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경로(R)를 따라 사람이나 차량 등이 이동할 경우, 움직임 속도 결정부가 해당 움직임의 속도를 느리다고 판단할 시에는 조명부(109)가 조명하는 영역 내에서 사람이나 자동차 등의 움직임을 감지했을 시 그 움직임 방향 상인 조명부(108)가 켜지거나 방출 휘도가 높아지도록 한다. 만일 움직임 속도 결정부가 해당 움직임의 속도가 빠르다고 판단할 시에는 조명부(109)가 조명하는 영역 내에서 사람이나 자동차 등의 움직임을 감지했을 시 그 움직임 방향 상인 조명부(108) 뿐만 아니라 조명부(107)까지 켜지거나 방출 휘도가 높아지도록 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한편, 도 1이나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조명 시스템에서, 이미지센싱모듈(140)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스처 식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제어부는, 제스처 식별부가 식별한 제스처에 따라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 중 적어도 하나를 켜거나, 끄거나, 광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미지센싱모듈(140)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손을 위로 들고 좌우로 흔드는 사람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스처 식별부가 그와 같은 제스처를 식별할 경우, 조명부들(101 내지 115)이 꺼져 있거나 최소한의 광을 방출하고 있었다면 조명제어부는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에서의 방출휘도가 높아지도록 하거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이 충분한 휘도의 광을 방출하고 있었다면 조명제어부는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에서의 방출휘도를 낮추거나 광이 방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전설정된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조명부들(101 내지 115)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물론 특정 제스처의 경우 조명부들(101 내지 115)에서 방출되는 휘도가 낮아지도록 하거나 높아지도록 하는 등의 설정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스처 식별부가 식별할 수 있는 사전설정된 동작은 다양한 것이 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손을 위로 들고 좌우로 흔드는 제스처나,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손을 위로 들고 원 형상으로 돌리는 제스처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 시스템은 예컨대 사무실 등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조명영역 내에 위치한 사람이 우연히 사전설정된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예상치 못하게 조명부들(101 내지 115)이 의도와 달리 제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미지센싱모듈(140)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존재를 인식하면 조명제어부(122)는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을 켜고, 제스처 식별부는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이 켜진 시점부터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만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제스처를 식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전설정된 시간 이후에는 조명영역 내에 위치한 사람이 우연히 사전설정된 제스처를 취하더라도 예상치 못한 조명부들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조명 시스템을 조정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이 켜진 시점 직후이므로,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이 켜진 시점부터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만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제스처를 제스처 식별부가 식별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지금까지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조명부들(101 내지 115)을 조명 시스템이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한 개의 조명부와, 이 조명부에서 방출되는 광이 조명할 수 있는 조명영역을 일시(一時)에 센싱할 수 있는 이미지센싱모듈과,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에 따라 조명부의 켜짐, 꺼짐 및 켜질 시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제어부와,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스처 식별부를 구비하고, 조명제어부는, 제스처 식별부가 식별한 제스처에 따라 조명부를 켜거나, 끄거나, 광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내지 115: 조명부들 120: 광방출부
122: 조명제어부 130: 프레임
140: 이미지센싱모듈

Claims (8)

  1. 복수개의 조명부들;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에서 방출되는 광이 조명할 수 있는 조명영역을 일시(一時)에 센싱할 수 있는 이미지센싱모듈; 및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 각각의 켜짐, 꺼짐 및 켜질 시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는 조명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상기 조명영역 내에서의 물체 움직임 방향을 결정하는 움직임 방향 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 중 상기 움직임 방향 결정부가 결정한 물체 움직임 방향 상의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들을 켜거나 광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상기 조명영역 내에서의 물체 움직임 속도를 결정하는 움직임 속도 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속도 결정부가 결정한 움직임 속도에 따라 상기 움직임 방향 결정부가 결정한 물체 움직임 방향 상의 조명될 영역의 면적을 결정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속도 결정부가 결정한 움직임 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움직임 방향 결정부가 결정한 물체 움직임 방향 상의 조명될 영역의 면적을 넓게 결정하는, 조명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 중 물체 움직임이 종료된 영역을 조명하는 조명부들을 끄거나 광량을 줄이는, 조명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상기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제스처를 식별하는 제스처 식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제스처 식별부가 식별한 제스처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켜거나, 끄거나, 광량을 조절하는, 조명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센싱모듈의 센싱 데이터를 통해 상기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존재를 인식하면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을 켜고, 상기 제스처 식별부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부들이 켜진 시점부터 사전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조명영역 내에서의 사람의 제스처를 식별하는, 조명 시스템.
  8. 삭제
KR1020110144206A 2011-12-28 2011-12-28 조명 시스템 KR101280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206A KR101280282B1 (ko) 2011-12-28 2011-12-28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206A KR101280282B1 (ko) 2011-12-28 2011-12-28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0282B1 true KR101280282B1 (ko) 2013-07-01

Family

ID=4899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206A KR101280282B1 (ko) 2011-12-28 2011-12-28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2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6289A (ja) 2006-07-05 2008-01-24 Doshish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0935012B1 (ko) 2008-11-25 2010-01-06 주식회사 엘시스 감시장치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20100086709A (ko) * 2009-01-23 2010-08-02 이창욱 지하주차장의 조명관리 장치
KR101052803B1 (ko) 2011-01-05 2011-07-29 김도연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조명제어 및 사건/사고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6289A (ja) 2006-07-05 2008-01-24 Doshish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0935012B1 (ko) 2008-11-25 2010-01-06 주식회사 엘시스 감시장치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20100086709A (ko) * 2009-01-23 2010-08-02 이창욱 지하주차장의 조명관리 장치
KR101052803B1 (ko) 2011-01-05 2011-07-29 김도연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조명제어 및 사건/사고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136B1 (ko) 검지 장치, 부하 제어 장치 및 부하 제어 시스템
JP5374266B2 (ja) 光学式位置検出装置
KR101205039B1 (ko) 눈 검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1862733B1 (ko)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US10573179B2 (en) Illuminating device, illuminating guidance system and illuminating guidance method
US8477234B2 (en) Brightness sensing system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744210B1 (ko) 센서 제어 장치, 센서 시스템 및 부하 제어 시스템
JP2007104444A5 (ko)
JP2007053096A (ja) 光センサ照明スイッチ
JP2008139732A5 (ko)
JP2010176382A (ja) 照明装置、及び当該装置で用いられる照明方法
CN102753349B (zh) 用于检测用于印刷机上的登记控制的反光材料上的标记的装置
CN111357008A (zh) 生物计量成像系统以及用于控制该系统的方法
US20130342112A1 (en) Lighting system
US10809058B2 (en) Road surface assessment apparatus for vehicle
KR101280282B1 (ko) 조명 시스템
JP2014181949A (ja) 情報取得装置および物体検出装置
US20210166000A1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JP7117646B2 (ja) 距離測定装置
KR20180000158A (ko) 광학 장치가 설치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광학 센싱 방법
JP2011142500A (ja) 撮像装置
KR20120075060A (ko)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명시스템
EP3971769A1 (en) Preprocessing method for improving image recognition
US20210153326A1 (en) Omni-Directional Camera Based Motion Sensor for LED Light Fixtures
KR20120127560A (ko) 눈 검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