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614A - 증기조리용 트레이 및 증기조리냄비 - Google Patents

증기조리용 트레이 및 증기조리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614A
KR20120073614A KR1020100135433A KR20100135433A KR20120073614A KR 20120073614 A KR20120073614 A KR 20120073614A KR 1020100135433 A KR1020100135433 A KR 1020100135433A KR 20100135433 A KR20100135433 A KR 20100135433A KR 20120073614 A KR20120073614 A KR 20120073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ot
lid
mounting step
upp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후지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5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3614A/ko
Publication of KR2012007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범용의 냄비에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냄비덮개를 재치한 채 간단히 지지 운반할 수 있는 증기조리용 트레이 및 그 증기조리용 트레이를 구비한 증기조리냄비를 제공한다.
둘레벽부에 증기분출공(3)을 갖는 트레이(2)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에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상에 재치 또는 결합할 수 있는 플랜지부(4)를 설치하고, 이 플랜지부(4)를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 상에 재치함으로써 트레이(2)를 냄비본체(1) 내에 취출 자유롭게 수납배설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플랜지부(4)에 손잡이부(5)를 돌출설치하고 이 플랜지부(4)의 상기 손잡이부(5)보다 안쪽 위치에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위치결정상태로 재치할 수 있는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증기조리용 트레이 및 증기조리냄비{TRAY FOR STEAM COOKER AND COOKER PROVIDED WITH THE TRAY}
본 발명은 증기조리에 사용하는 증기조리용 트레이 및 증기조리냄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증기조리냄비로서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를 보유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제3069530호 특허문헌 2 : 일본특허 제3084260호 특허문헌 1을 간단히 설명하면,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의 내주면에 단차부를 설치한 냄비본체와, 이 냄비본체 내의 단차부에 착탈(着脫)이 자유롭게 올려놓아 결합하는 링체와, 재치 개소를 제외한 위치에서는 부상(浮上) 상태로 되도록 상기 링체상의 상부 가장자리부를 올려놓아 결합하여 상기 냄비본체 내에 수납하는 트레이와, 냄비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냄비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링체에 대한 상기 트레이의 상부 가장자리부의 올려놓아 결합하는 구조를 링체 상면에 소정간격을 두어 지지돌기부를 설치하던가 또는 상부 가장자리부 하면에 소정간격을 두어 지지돌기부를 설치하여 이 지지돌기부를 통해 링체상에 상부 가장자리부를 올려놓아 결합함으로써 상부 가장자리부가 링체상에 면접하여 결합하는 것 없이 부상상태로 올려놓아 결합되고 이 트레이의 상부 가장자리부가 링체와의 사이에 냄비본체 내와 연통하는 부상간격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트레이의 대략 전 둘레로부터 이 부상간격을 통하여 냄비본체 내의 증기가 냄비본체의 하면쪽으로 유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특허 문헌 2를 간단히 설명하면,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의 내주면에 단차부를 설치하고 이 단차부보다 아래쪽의 내주면에 결합부를 설치한 냄비본체와, 이 냄비본체 내주면과의 사이를 통하도록 상기 결합부에 상부 가장자리부를 결합하여 상기 냄비본체 내에 수납배설하는 트레이와, 상기 단차부에 착탈 자유롭게 올려놓아 결합하여 냄비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의 결합부에 대한 상기 트레이의 결합구조를 상기 단차부보다 아래쪽의 냄비본체 내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어 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결합 돌기부를 설치하여 상기 결합부를 구성하고 이 복수의 결합 돌기부상에 트레이의 상부 가장자리부를 올려놓아 결합함으로써 이 올려놓는 개소를 제외한 상부 가장자리부 위치에는 트레이의 상부 가장자리부와 냄비본체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냄비본체 내와 연통하는 상기 간격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이 트레이의 대략 전둘레로부터 이 간격을 통하여 냄비본체 내의 증기가 냄비덮개의 하면측으로 유출하여 트레이 내로 유출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단차부에 소정 간격을 두어 상기 덮개의 가장자리부가 맞닿을 수 있는 지지돌기부를 설치하고 이 지지돌기부에 덮개의 가장자리부를 올려놓아 덮개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단차부 사이에 냄비본체 내와 연통하는 부상간격이 형성되어 올려놓아져결합되는 개소를 제외한 위치에서는 냄비덮개의 가장자리부가 부상상태로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은 트레이를 냄비본체 내에 수납 배치하기 위하여 별개 부품인 링체를 사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부품수가 늘어나 코스트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는 트레이를 냄비본체 내에 수납 배치하기 위하여 냄비본체 내주면에 걸림부(걸림 돌기부)를 설치하는 구성이므로 범용(汎用)의 냄비는 사용할 수 없고 전용(專用) 설계의 냄비본체가 필요하여 코스트가 높아진다.
또한, 특허문헌 1과 2는 어느 것이나 트레이의 둘레벽 내주면에 후크부를 설치하고 이 후크부에 전용의 걸림부를 걸어 지지하는 것으로써, 냄비본체 내로부터 트레이를 꺼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후크부가 트레이의 수용가능 능력을 방해하지 않도록 소형화되어 있어서, 이 후크부에 걸림구를 거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조리 완료후에, 트레이를 그대로 식탁에 꺼내고 싶은 요망도 많지만 걸림구를 사용하여 행하는 트레이의 지지운반작업은 불안정하므로 부엌의 화로로부터 식탁까지라는 긴 거리를 지지운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았다. 또한, 트레이에 둘레벽 내주면의 후크부에 걸림구를 사용하는 구조상 트레이에 냄비본체를 건 채 지지운반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으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어느 것도 트레이에 냄비본체를 안정적으로 거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냄비덮개를 걸어 조리물을 식지 않도록 하면서 트레이를 식탁에 배치하는 것과 같은 편리한 사용법은 불가능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증기조리냄비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트레이를 범용의 냄비에 대해서도 간단히 세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트레이에 냄비덮개를 거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냄비덮개를 건 채 트레이를 직접 가지고 간단히 지지 운반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는 획기적인 증기조리용 트레이 및 그 증기조리용 트레이를 구비한 증기조리냄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냄비본체(1) 내에 수납배설하여 사용가능한 상부 개구형의 증기조리용 트레이에 있어서, 트레이(2)의 둘레벽부에 증기분출공(3)을 관통 형성하고, 이 트레이(2)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에 상기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연(開口緣) 상에 올려놓거나 걸림 가능한 플랜지부(4)를 설치하고, 이 플랜지부(4)를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연 상에 올려놓거나 결합하는 것으로써 트레이(2)를 냄비본체(1) 내로 착탈이 자유롭게 수납 배설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 플랜지부(4)에 손잡이부(5)를 돌출설치하고 이 플랜지부(4)의 상기 손잡이부(5)보다 내측부위에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위치결정상태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을 설치하여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재치함으로써 냄비덮개(6)가 위치결정상태로 트레이(2)의 상부개구부를 덮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조리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통수공(8)을 관통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증기조리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안쪽보다 바깥쪽이 낮아지는 경사면(7A)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경사면(7A) 바깥쪽 위치에 상기 통수공(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2) 기재의 증기조리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5)는 상기 플랜지부(4)의 대향하는 두 곳에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것인가 한 항에 기재된 증기조리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랜지부(4)는 상기 트레이(2)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수평돌출하여 이 플랜지부(4)를 상기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연 상에 재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수평돌출하는 플랜지부(4)의 안쪽 위치에 이 플랜지부(4)보다 낮아지는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을 설치하며,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의 상기 플랜지부에 연설(連設)하여 세운 직립부(7B)에 상기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가 맞닿아 냄비덮개(6)가 위치결정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것인가의 한 항에 기재된 증기조리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상기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돌기부(9)를 설치하고 이 지지용 돌기부(9)에 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재치 지지하는 것으로써 덮개(6)의 가장자리부와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와의 사이에 부상간격(10)이 형성되어, 재치지지 개소를 제외한 위치에서는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가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로부터 부상상태로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5항 중 어느 것인가의 한 항에 기재된 증기조리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냄비본체(1)와, 이 냄비본체(1) 내에 수납 배설하는 트레이(2)와, 상기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덮개(6)로 이루어지는 증기조리냄비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2)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것인가의 한 항에 기재된 증기조리용 트레이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조리냄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처럼 구성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범용의 냄비본체이어도 트레이를 용이하게 수납배설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이용하여 트레이를 직접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이를 냄비본체에 세팅하거나 꺼내는 작업이나 목적의 장소로 파지운반하는 이동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더욱이 트레이에는 손잡이부에 걸리적거리는 일 없이, 냄비덮개를 위치결정상태로 재치할 수 있기 때문에 냄비덮개를 걸어 피조리물이 식지 않도록 한 채 트레이를 파지 운반하여 식탁으로 옮기는 것과 같은 편리한 사용방법도 가능하게 되는 등 극히 실용성이 뛰어난 획기적인 증기조리용 트레이 및 증기조리냄비로 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가열조리중에 냄비덮개의 내면(하면)을 따라 냄비덮개의 가장자리부로 전해지는 물방울이 트레이 내로 흘러들어 가는 일 없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의 통수공을 통해 냄비본체 내로 환원하게 되는, 한층 실용성이 뛰어난 구성의 증기조리용 트레이로 된다.
또한,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냄비덮개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로 흘러 떨어지는 물방울이 트레이 내측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물방울이 확실하게 통수공으로부터 냄비본체 내로 환원하게 되는, 한층 실용성이 뛰어난 구성의 증기조리용 트레이로 된다.
또한,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양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이의 냄비본체로의 출입조작이나 파지운반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를 위쪽을 향하여 돌출설치했기 때문에 트레이를 냄비본체에 세팅한 때에 이 손잡이부가 냄비본체에 구비된 손잡이에 간섭하지 않게 되는 등, 한층 실용성이 뛰어난 구성의 증기조리용 트레이로 된다.
또한,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냄비본체에 대하여 용이하게 트레이를 세팅할 수 있음과 아울러, 확실하게 덮개를 위치결정상태로 재치가능한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를 간단한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설계실현 가능하게 되는 등, 한층 실용성이 뛰어난 구성의 증기조리용 트레이로 된다.
또한,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가열시에 끓어 넘치기 않을 뿐만 아니라 피조리물이 질척거리지 않게 잘 쩌지는 등 한층 실용성이 뛰어난 구성의 증기조리용 트레이로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증기 유통 작용 및 물방울 환원 작용을 나타내는 부분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덮개재치용단차부에 덮개가 재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트레이(증기조리용 트레이)를 덮개를 건 채 냄비본체로부터 꺼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통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예컨대, 냄비본체(1) 내에 소정량의 물을 넣고 피조리물을 수용한 트레이(2)를 냄비본체(1) 내에 수납배치하고, 트레이(2)의 상부개구부에 냄비덮개(6)을 세팅하여 냄비본체(1)을 가열하면, 냄비본체(1) 내에 증기가 생기고 이 증기가 트레이(2)의 둘레벽부의 증기분출공(3)으로부터 트레이(2) 내로 분출하여 피조리물이 증기조리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조리용 트레이는 트레이(2)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플랜지(4)를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연상에 올려놓거나 걸치게 하는 것으로써 냄비본체(1) 내에 넣고 빼낼 수 있게 수납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증기조리용 트레이에 의하면 상기 특허문헌 1과 2처럼 별개 부품(링체)을 사용한다거나 상기 특허문헌 2처럼 냄비본체(1)에 특수한 가공을 한다거나 할 필요 없이, 예를 들어 냄비본체(1)가 범용(汎用) 형태이어도 이 냄비본체(1) 내에 용이하게 수납 배설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범용 타입의 냄비본체(1)를 채용한 저코스트의 증기조리냄비도 용이하게 설계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조리용 트레이는 플랜지부(4)의 내측 위치에 설치된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재치할 수 있고,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가장자리부를 재치한 냄비덮개(6)는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의 단차에 의해 트레이(2)에 대하여 위치결정상태로 되어 트레이(2)의 상부 개구부를 덮개 된다. 또한, 청구항 1 중의 「냄비덮개가 위치결정상태」로 되는 기재는 트레이(2)에 대하여 냄비덮개(6)가 완전히 정지하는 위치결정상태뿐만 아니라 다소의 움직임이 허용되도록 하는 위치결정상태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플랜지부(4)에 돌출 설치한 손잡이부(5)는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가 이 손잡이부(5)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냄비덮개(6)을 재치하고자 할 때에 걸리적 거리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기조리용 트레이는 트레이(2)의 상부 개구부에 냄비덮개(6)을 안정적으로 재치할 수 있기 때문에 냄비덮개(6)을 꺼내는 것 없이 재치한채 트레이(2)를 냄비본체(1)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증기조리용 트레이는 사용자가 손잡이부(5)를 파지하여 직접 잡을 수 있기 때문에 냄비본체(1)로의 세팅이나 빼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목적하는 장소로 파지 운반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조리 종료 후에 손잡이부(5)를 이용하여 트레이(2)를 부엌의 화로로부터 식탁으로 파지 운반하도록 하는 사용방법도 가능하고, 이때 트레이(2)에 냄비덮개(6)을 걸어 피조리물이 식지 않도록 한 채 식탁으로 옮길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통수공을 관통 형성하면 가열조리중에 냄비덮개(6)의 내면(하면)에 부착한 물방울이 냄비덮개(6)의 내면을 거쳐 냄비덮개(6) 가장자리부 방향으로 흘러 아래쪽으로 떨어지지만, 이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낙하한 물방울은 트레이(2) 내로 흘러들어가지 않고,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가 재치하고 있는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의 통수공(8)을 통해 냄비본체(1) 내로 환원된다.
또한, 예컨대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안쪽보다 바깥쪽이 낮아지는 경사면(7A)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경사면(7A) 외측 위치에 상기 통수공(8)을 형성하면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냄비덮개재치용 단차부(7)의 경사면(7A)으로 떨어지는 물방울이 트레이(2)의 내측으로 흘러들어가는 것 없이 확실하게 하강 경사측인 경사면(7A)의 외측부 방향으로 흘러 통수공(8)로부터 냄비본체(1) 내로 되돌아 오게 된다.
또한, 예컨대 상기 손잡이부(5)는 상기 플랜지부(4)의 대향하는 두 곳에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 설치하면 사용자가 대향하는 두 곳에 손잡이부(4)를 양손으로 잡기 때문에 트레이(2)의 냄비본체(1)로의 출입 조작이나 파지 운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플랜지부(4)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설치하는 손잡이부(4)는 트레이(2)를 냄비본체(1)에 세팅할 때에 냄비본체(1)에 구비된 손잡이(11)에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예컨대 상기 플랜지부(4)는 상기 트레이(2)에 상기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수평돌출 설치하여 이 플랜지부(4)를 상기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연 상에 재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수평 돌출설치하는 플랜지부(4)의 내측 위치에 이 플랜지부보다 낮아지는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을 설치하며,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의 상기 플랜지부(4)에 연설하는 직립부(7B)에 상기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가 맞닿도록 함으로써 냄비덮개(6)가 위치결정되는 구조로 하면, 단지 냄비본체(1)의 위쪽으로부터 트레이(2)를 내려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연 상에 플랜지부(4)를 재치하는 것만으로 극히 용이하게 트레이(2)를 셋트가능 하게 함과 아울러 플랜지부(4)의 내측 부위에 플랜지부(4)보다 낮아지는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을 설치하는 것뿐인 간단한 구조에 의해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로 확실하게 냄비덮개(6)을 위치결정상태로 재치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상기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돌기부(9)를 설치하여 이 지지용 돌기부(9)에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재치 지지하는 것으로써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와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과의 사이에 부상간격(10)이 형성되어 재치지지 개소를 제외한 위치에서는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가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로부터 부상상태로 되도록 구성한다면 가열조리중에 트레이(2) 내로 분출한 증기가 부상간격(1)0으로부터 알맞게 배출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트레이(2) 내부가 알맞은 내압으로 유지되어 끓어 넘치지 않고 또한 조리물에 수분이 과잉부착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질척거리지 않게 바람직하게 쩌질 수 있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냄비본체(1)와, 이 냄비본체(1) 내에 수납배설하는 트레이(2)와, 상기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덮개(6)로 이루어지는 증기조리냄비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냄비본체(1)는 가장자리부 벽의 상부 모서리의 대향 위치에 손잡이(11)가 돌출 설치됨과 아울러 이 둘레벽의 상기 손잡이(11)보다 윗쪽 위치에 전둘레에 냄비덮개(6) 재치용단차부(12)가 형성된 일반적인 냄비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냄비덮개(6)은 냄비본체(1)의 단차부(12)에 가장자리부를 재치할 수 있는 외경칫수를 가짐과 아울러 상면의 중심부에 덮개손잡이(13)을 구비한 투명 유리 덮개를 채용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요부인 트레이(2)(증기조리용 트레이)는 상부 개구형으로써 상기 냄비본체(1)보다 직경이 작고 또한 깊이가 낮은 용기를 구성하고 이 트레이(2)의 가장자리부 벽부의 상부 모서리에 이 가장자리부 벽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개의 증기분출공(3)을 관통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트레이(2)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상에 재치 또는 결합 가능한 플랜지부(4)를 설치하고, 이 플랜지부(4)를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상에 재치 또는 결합함으로써 트레이(2)를 냄비본체(1) 내에 넣고 빼낼 수 있게 수납 배설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2)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에 전 둘레로부터 수평 방향 외측 방향으로 향하여 원주상의 평판상의 상기 플랜지부를 일체적으로 돌출설치함과 동시에 이 플랜지부(4)의 외경치수를 상기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부의 직경 칫수보다 큰 직경 치수로 설정하여 이 플랜지부의 하면을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의 전 둘레상에 재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는 트레이(2)를 냄비본체(1)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아래로 하여 플랜지부(4)를 냄비본체(1)의 상부개구 가장자리부에 전둘레 상에 재치하는 것 만의 조작으로 이 트레이(2)를 냄비본체(1)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세팅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진 않지만, 플랜지부(4)에 냄비본체(1)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에 적정한 걸림 구조를 설치하여 플랜지부(4)가 냄비본체(1)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상에 걸리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부(4)의 돌출 상단부를 만곡시켜 R 형상의 선단 가장자리로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플랜지부(4)에 손을 접촉하여도 다치지 않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2)의 상부 개구부를 사이에 둔 플랜지부(4)의 대향하는 두 곳에 손잡이부(5)를 돌출설치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플랜지부(4)의 대향하는 두 곳의 상면에 역U 자 형상의 손잡이부(5)를 입설 상태로 부설하고 있다. 또한, 이 손잡이부(5)는 열전도성이 낮은 소재(예컨대, 합성수지재)로 하는 편이 가열조리 직후에도 잡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 대향하는 두곳의 손잡이부(5)는 각각을 위쪽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경사하는(상측으로 갈수록 손잡이부(5)의 대향 간격이 넓어진다) 형상으로 형성하여 후술하는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상기 냄비덮개(6)을 재치할 때 이 대향하는 두 곳의 손잡이부(5)가 걸리적 거리지 않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 플랜지부(4)의 상기 손잡이부(5)보다 안쪽 위치에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위치결정상태로 재치할 수 있는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를 설치하여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재치함으로써 덮개(6)가 위치결정상태로 트레이(2)의 상부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레이(2)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플랜지부(4)의 중간정도 위치에 걸려 이 중간 정도 위치로부터 바깥쪽보다 한 단 낮아지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한 단 낮아진 단차 부분을 상기 덮개 재치용 단차부(7)로 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트레이(2)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플랜지부(4)의 대략 중앙 위치에 걸쳐 상면을 아래쪽 방향으로 향하여 오목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이 오목 형상을 상기 덮개 재치용 단차부(7)로 하고 있다.
또한,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의 가장 바깥 위치에는 연직방향으로 세워진 직립부(7B)가 형성되어 이 직립부(7B)의 상단부가 상기 플랜지부(4)에 연설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는 플랜지부(4)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부(4)에 연설하는 외측부에 직립부(7B)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는 트레이(2)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에 전 둘레로 연설하도록 하여 설계하고 있다. 즉,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는 플랜지부(4)와 동심원 형상의 원주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외주면부에 원주상의 상기 직립부(7B)가 존재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원주형상의 직립부(7B)의 외측면이 냄비본체(1)의 단차부(12)보다 위쪽의 둘레벽 내면으로 연설하고 있어서 트레이(2)가 냄비본체(1)에 대하여 흔들리지 않는 상태로 세팅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의 외경치수(원주상으로 존재하는 상기 직립부(7B)의 직경치수)를 상기 냄비덮개(6)의 외경치수보다 약간 큰 직경칫수로 설정하여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 둘레부 전부를 재치하여 트레이(2)의 상부 개구부를 냄비덮개(6)로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때, 냄비덮개(6)의 전둘레부와 원주상의 직립부(7B)에는 약간의 간격이 생기지만 냄비덮개(6)가 횡이동하려고 하여도 냄비덮개(6)의 전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설하고 있는 직립부(7B)에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가 맞닿고 있어서 냄비덮개(6)의 횡이동이 저지되어 위치결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재치한 냄비덮개(6)는 그 가장자리부에 전 둘레부에 대하여 위치결정 작용이 발휘되어 트레이(2)의 상부 개구를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의 상기 직립부(7B)보다 안쪽(트레이(2)의 상부 개구부 쪽)의 부위는 그 내측부로부터 외측부로 향하여 하강 경사하는(내측부보다 외측부가 낮아지는) 경사면(7A)으로 형성하고 이 경사면(7A)의 가장 경사진 아래쪽의 단부를 상기 직립부(7B)의 하단에 연설하고 있다.
또한, 이 경사면(7A)의 경사아래쪽인 외측 위치에 통수공(8)을 관통형성함과 아울러 이 통수공(8)은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의 둘레 방향에 좁은 간격을 두어 다수 병설상태로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가열조리중에는 냄비덮개(6)의 내면(하면)에 물방울이 부착하고 이 물방울이 냄비덮개(6) 내면을 거쳐 냄비덮개(6) 가장자리부 방향으로 흘러 떨어지지만 이 물방울은 경사면(7A)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그 경사 위쪽으로 흐르지 않고 (트레이(2) 내로 흘러들어 가지 않는다) 경사 아래쪽 (외측)으로 흘러 다수의 통수공(8)을 통해 냄비본체(1) 내로 되돌아 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상기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돌기부(9)를 설치하여 이 지지용 돌기부(9)에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재치 지지함으로써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와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과의 사이에 부상간격(10)이 형성되어 재치 지지 개소를 제외한 위치에서는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가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로부터 부상상태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의 상기 경사면(7A)에 지지돌기부(9)를 설치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경사면(7A))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다수 개소(도면에서는 세 곳)에 지지돌기부(9)를 설치하여 이 다수 개소의 지지 돌기부(9)에 냄비덮개(6)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 지지돌기부(9)는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직립부(7B)보다 높지 않은 돌기로 형성하여 이 지지돌기부(9)에 냄비덮개(6)을 재치하여도 이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가 직립부(7B)에 맞닿는 것에 의해 위치결정 작용이 발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경사면(7A) 아래쪽의 다수개소를 위쪽으로 향하여 오목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경사면(7A)의 다수 곳을 상향 돌출시켜 이 각 돌출부를 지지돌기부(9)로 하고 있다. 즉 이 지지돌기부(9)는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과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예컨대, 냄비본체(1) 내에 소정량의 물을 넣고 피조리물을 수용한 트레이(2)를 그 플랜지부(4)를 냄비본체(1)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상에 재치함으로써 냄비본체(1) 내에 수납 배설함과 아울러 냄비덮개(6)의 가장자리부를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7)에 재치하여 트레이(2)의 상부 개구부를 냄비덮개(6)로 덮는다.
그리고, 냄비본체(1)를 가열하면 냄비본체(1) 내에 증기가 생기고 이 증기가 도4 중에 화살표 Y1처럼 증기분출공(3)을 통하여 트레이(2) 내로 분출함과 아울러 도 4 중에 화살표 Y2처럼 통수공(8)을 통해 냄비덮개(6)의 하면으로 분출하여 트레이(2) 내로 유출하는 것으로 된다. 즉, 본 실시예의 통수공(8)은 증기분출공으로서의 기능도 아울러 구비한 구성이다.
따라서, 다수개의 증기분출공(3)과 다수개의 통수공(8)을 통하여 트레이(5)의 대략 전둘레로부터 증기가 분출하여 피조물이 골고루 증기조리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가열조리 중에 트레이(2) 내로 분출한 증기는 냄비덮개(6)의 부상간격(10)으로부터 적절하게 배출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트레이(2) 내가 적절한 내압을 유지하여 끓어 넘치지 않고 또한 피조리물로의 수분의 과도한 부착도 방지되기 때문에 질척거리지 않게 양호한 찜 조리 피조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열조리 중에는 덮개(6)의 하면에 물방울이 부착하고 이 물방울이 덮개(6)의 내면(하면)을 거쳐 가장자리부 방향으로 흐른 다음 아래쪽으로 떨어지지만 이 때 경사면(7A)에 대하여 덮개(6)의 가장자리부가 부상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물방울이 냄비본체(1)의 주연부에 도달하기까지 어떻게 접촉하여 낙하하더라도 그 냄비덮개의 주연부까지 거친 다음 아래쪽의 경사면(7A)로 낙하하기 쉽게 된다.
또한, 물방울의 낙하 위치가 경사면(7A)이기 때문에 물방울이 트레이(2) 내로 흐르는 것 없이 도 4 중의 화살표 Y3처럼 통수공(8)로부터 냄비본체(1) 내로 되돌아가기 쉽게 된다.
또한, 에컨대 조리 종료 후에 손잡이부(5)를 잡고 트레이(2)를 부엌의 화로로부터 식탁으로 파지 운반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때,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트레이(2)에 냄비덮개(6)를 덮어 피조리물이 식지 않은 상태로 한 채 식탁으로 옮기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각 구성의 구체적인 구성은 적절하게 설계변경 할 수 있는 것이다.
1 : 냄비본체
2 : 트레이
3 : 증기분출공
4 : 플랜지부
5 : 손잡이부
6 : 냄비덮개
7 :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
7A:경사면
7B:직립부
8 : 통수공
9 : 지지용 돌기부
10:부상간격

Claims (7)

  1. 냄비본체 내에 수납 배설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부개구형의 증기조리용 트레이에 있어서, 트레이의 둘레벽부에 증기분출공을 관통 형성하고, 이 트레이 상부 개구 둘레 가장자리부에 상기 냄비본체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상에 재치 또는 결합 가능한 플랜지부를 설치하며, 이 플랜지부를 냄비본체에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상에 재치 또는 결합함으로써 트레이를 냄비본체 내에 취출자유롭게 수납배설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플랜지부에 손잡이부를 돌출 설치하고 이 플랜지부 상기 손잡이부보다 안쪽 위치에 냄비덮개의 가장자리부를 위치결정상태로 재치할 수 있는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를 설치하여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에 냄비덮개의 가장자리부를 재치함으로써 냄비덮개가 위치결정상태로 트레이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조리용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에 통수공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조리용 트레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에 내측부보다 외측부가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경사면의 바깥쪽 위치에 상기 통수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조리용 트레이
  4. 청구항 1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대향하는 두 곳에 위쪽으로 향하여 돌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조리용 트레이
  5. 청구항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트레이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수평돌출하여 이 플랜지부를 상기 냄비본체의 상부 개구 가장자리부상에 재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 수평돌출 설치하는 플랜지부의 내측 위치에 이 플랜지부보다 낮아지는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를 설치하며, 이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의 상기 플랜지부에 연설하는 직립부에 상기 냄비덮개의 가장자리부가 당접함으로써 냄비덮개가 위치결정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조리용 트레이
  6. 청구항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에 상기 냄비덮개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지지용 돌기를 설치하고, 이 지지용 돌기부에 냄비덮개의 가장자리부를 재치 지지함으로써 냄비덮개의 가장자리부와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 사이에 부상 간격이 형성되어 재치 지지 개소를 제외한 위치에서는 냄비덮개의 주연부가 냄비덮개재치용단차부로 부터 부상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증기조리용 트레이
  7. 냄비본체와, 이 냄비본체 내에 수납 배설하는 트레이와, 상기 냄비본체에 상부 개구부를 막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증기조리냄비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6의 어느 것인가의 한 항에 기재된 증기조리용 트레이를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조리냄비
KR1020100135433A 2010-12-27 2010-12-27 증기조리용 트레이 및 증기조리냄비 KR20120073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433A KR20120073614A (ko) 2010-12-27 2010-12-27 증기조리용 트레이 및 증기조리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433A KR20120073614A (ko) 2010-12-27 2010-12-27 증기조리용 트레이 및 증기조리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614A true KR20120073614A (ko) 2012-07-05

Family

ID=4670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433A KR20120073614A (ko) 2010-12-27 2010-12-27 증기조리용 트레이 및 증기조리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36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3027A (zh) * 2016-08-26 2018-03-0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7912985A (zh) * 2017-08-25 2018-04-17 贺运香 一种锅体加热式烹调器
CN109124319A (zh) * 2018-10-18 2019-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蒸笼及蒸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3027A (zh) * 2016-08-26 2018-03-09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7912985A (zh) * 2017-08-25 2018-04-17 贺运香 一种锅体加热式烹调器
CN107912985B (zh) * 2017-08-25 2023-11-24 贺运香 一种锅体加热式烹调器
CN109124319A (zh) * 2018-10-18 2019-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蒸笼及蒸具
CN109124319B (zh) * 2018-10-18 2024-04-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蒸笼及蒸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60640B2 (en) Countertop appliance having detachable base
US20050166767A1 (en) Barbecue grill and support frame assembly
KR20060089653A (ko) 조리용 포트
US20090321459A1 (en) Splatter shield for range top burner
US9675197B2 (en) Steam cooker
KR20120073614A (ko) 증기조리용 트레이 및 증기조리냄비
KR101587937B1 (ko) 조리용기 손잡이
JP5174801B2 (ja) 蒸気調理用トレー並びに蒸気調理鍋
KR100936895B1 (ko) 전기식 로스터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2125481B1 (ko) 무쇠팬 조리 기구
KR101217604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20140021939A (ko) 구이기
JP2011168311A (ja) 電子レンジ用容器
CN215175280U (zh) 便携式卡式炉和便携式卡式炉套件
JP3173069U (ja) 調理用容器
KR200307528Y1 (ko) 솥뚜껑 구이판
US20050205078A1 (en) Bench top grill assembly
CN220898451U (zh) 电煮锅
CN215686733U (zh) 蒸格组件及蒸锅
JP3226055U (ja) 蒸籠ホルダー
KR200462124Y1 (ko) 조리기구 착탈형 소반
KR20110010007U (ko) 뚜껑거치식 냄비손잡이
TWM631977U (zh) 鍋蓋
JP2004008489A (ja) 加熱調理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