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535A - 공기 조화기 및 그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그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535A
KR20120071535A KR1020100133120A KR20100133120A KR20120071535A KR 20120071535 A KR20120071535 A KR 20120071535A KR 1020100133120 A KR1020100133120 A KR 1020100133120A KR 20100133120 A KR20100133120 A KR 20100133120A KR 20120071535 A KR20120071535 A KR 20120071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ommunication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1535A/ko
Publication of KR20120071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을 차폐하며, 접촉에 의한 인식영역이 규정되는 전면부;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며, 제 1 통신부가 구비되는 투영기; 상기 제 1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에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투영기에는, 상기 인식영역 내에 정보 입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접촉된 위치를 미리 설정된 정보로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그 실내기 {An air conditioner and inner apparatus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이렇게 공기조화기와 같은 생활의 편의 제품이 점차적으로 확대, 사용되면서 소비자들은 높은 에너지 사용 효율과, 성능향상 및 사용에 편리한 제품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 여부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설치 모습에 따라,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및 액자형 공기조화기와, 거실에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림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의 용량에 따라, 하나의 실내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되어 가정집과 같이 좁은 장소에서 이용되도록 구성된 싱글형 공기조화기와, 회사 또는 음식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매우 큰 용량으로 구성된 중대형 공기조화기와, 다수개의 실내기를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된 멀티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는, 공기 조화기의 작동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다수의 입력부가 구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 경우, 공기 조화기의 전면 외관이 투박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투영기에 의하여 특정 위치에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을 차폐하며, 접촉에 의한 인식영역이 규정되는 전면부;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며, 제 1 통신부가 구비되는 투영기; 상기 제 1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에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투영기에는, 상기 인식영역 내에 정보 입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접촉된 위치를 미리 설정된 정보로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면 패널이 포함되는 실내기; 상기 전면 패널 상에 또는 상기 전면 패널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 영역을 향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빔 출력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촉된 입력 정보 또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한 실내기의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조화기 전면 패널 또는 실내 공간의 특정 위치에 터치 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에 작동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입력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외관이 깔끔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영기 및 공기 조화기가 복수의 통신모듈에 의하여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공기 조화기의 구조가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투영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투영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투영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투영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내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0)는 실내 공간에 스탠딩 타입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상세히, 상기 본체(100)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프레임(150)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 프레임(120) 및 후면 프레임(150)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다수의 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전면 프레임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전면부'로서의 전면 패널(110)이 제공된다. 상기 전면 패널(1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을 가지며, 그 전면은 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화유리는 판유리를 가열한 다음 압축한 냉각공기에 의해 급랭시켜 유리 표면을 압축 변형시키고 내부를 인장 변형시켜 강화한 유리이다. 이러한 강화유리는 일반적인 유리에 비해 굽힘강도는 3?5배, 내충격성은 3?8배 강하며, 내열성도 우수하다.
상기 전면 패널(11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작동 명령을 입력하거나, 상기 공기 조화기(100)의 작동 상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8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는 후술하는 투영기(200)에 의하여 투사되는 화면 영역이며, 접촉 방식에 의하여 특정 명령이 입력될 수 있는 '입력부'로서의 "인식 영역"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접촉에 의한 인식영역이 규정되는 터치 스크린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이 ON/OFF 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전원 입력부(182)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 입력부(182)는 상기 투영기(200)에 구비되는 출력부(230, 도 3 참조)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부'로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상기 전원 입력부(182)를 한번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화면이 표시되며, 다시 한번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이 꺼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조화될 공기가 흡입되도는 흡입부(142) 및 상기 흡입부(142)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흡입 베인(144)이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142)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적어도 일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 베인(144)은 상기 흡입부(14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20)에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특정 공간(일례로,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126) 및 상기 토출부(126)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토출 베인(128)이 더 포함된다.
상기 토출부(126)는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적어도 일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 베인(128)은 상기 토출부(126)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베이스 프레임(160)이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60)은 상기 전면 프레임(120)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60)에는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되도록 하는 전면 흡입구(162)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열교환기(130)와, 상기 열교환기(130)로 공기를 불어주기 위한 팬 모터(135,136) 및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30)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정화되도록 하는 흡입 필터(138)가 포함된다.
상기 팬 모터(135,136)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모터(135) 및 상기 회전 모터(135)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송풍 팬(136)이 포함된다.
상기 열교환기(13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팬 모터(135,136)는 상기 열교환기(13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부(142)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흡입 필터(138)를 거쳐 정화된 후, 상기 팬 모터(135,136)를 경유하여 상기 열교환기(130)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열교환기(130)를 거친 공기는 상기 토출부(126)를 통하여 실내 공간등으로 배출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132)가 포함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132)는 상기 흡입 필터(138)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본체(100)의 상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흡입부(142)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기(130)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 내측에는, 상기 전면 패널(110)을 향하여 특정 영상을 투사시키는 투영기(200)가 제공된다.
상기 투영기(200)에서 투사되는 영상은 상기 전면 패널(110)에 도달되며, 도달된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를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특정 명령이 인식될 수 있는 "인식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내기(10)와 투영기(2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투영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다른 투영기(2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소정 영상(빔,beam)을 투사시키는 출력부(2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신호 송수신부(24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입력된 명령의 내용 즉, 터치된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220) 및 상기 위치 인식부(220)에서 인식된 내용을 상기 실내기(10)에 전달하는 제 1 통신부(210)가 포함된다.
상기 신호 송수신부(24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신호 송신부(241) 및 신호 수신부(242)가 포함된다.
상기 출력부(230)와 위치 인식부(220)는 하나의 모듈내에 일체로 제공될 수도 있고, 별도의 모듈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230) 및 위치 인식부(22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 내측에 일체 모듈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출력부(23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 내측에, 그리고 상기 위치 인식부(220)는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측에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출력부(230)와 위치 인식부(220)의 위치는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상기 실내기(10)에는, 상기 제 1 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1 통신부(210)에 대하여 소정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 2 통신부(12) 및 상기 제 2 통신부(12)에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통신부(210)와 제 2 통신부(12)는 각각 모듈로서 구비되어, 서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2 통신부(210,12)가 무선 통신 연결될 경우, 통신 방법에는 블루투스(Bluetooth), AP(공유기)를 이용한 와이파이(Wifi), 다이렉트 와이파이(Direct wifi), Ad-hoc 또는 지그비(Zigbee)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상기 실내기(10)의 제어를 위한 소정의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소정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를 터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은 화면과의 대화로 조작 가능한 양방향 인터페이스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는, 적외선 광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송신부(241) 및 신호 수신부(242)는, 소정의 빔 출력부로서 상기 적외선 광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외선 광 방식"은, 적외선이 직진성을 가지며 장애물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는 성질에 기인한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를 터치하면 적외선의 진행은 차단될 수 있으며, 차단된 위치를 읽음으로써 터치된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의 가로 방향 일측에는, 소정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신호 송신부(241a)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신호 송신부(241a)의 마주보는 측면에는 제 1 신호 수신부(241b)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신호 송신부(241a)에서 송신되는 적외선은 상기 제 1 신호 수신부(241b)에 수신되며, 다수의 적외선 빔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는 가로 방향(x축 방향)의 적외선 격자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의 세로 방향 일측에는, 소정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신호 송신부(242a)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신호 송신부(242a)의 마주보는 측면에는 제 2 신호 수신부(242b)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신호 송신부(241b)에서 송신되는 적외선은 상기 제 2 신호 수신부(241b)에 수신되며, 다수의 적외선 빔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세로 방향(y축 방향)의 적외선 격자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신호 송신부 및 신호 수신부에 의하여 적외선 격자가 형성된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터치 펜과 같은 대상물이 상기 적외선 격자내로 들어오면 빛(적외선)이 차단되며, 차단된 위치는 상기 위치 인식부(220)를 통하여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인식부(220)는 상기 차단된 위치 좌표를 상기 실내기(1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차단된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제어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실내기(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상기 실내기(10)의 작동 제어를 위한 다수의 입력부, 즉 "공기청정, 운전/정지, 운전선택, 바람세기, 선택 방향키"와 같은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가 상기 "공기청정"을 표시하는 위치에 해당할 경우, 상기 위치 인식부(220)는 '터치 위치좌표'를 인식하여 그 위치좌표를 상기 실내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위치좌표가 "공기청정" 명령이라는 것으로 해석하여, 상기 실내기(10)의 일 구성요소에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위치 인식부(220)는 상기 위치좌표가 "공기청정" 명령이라는 것을 해석하고, 해석된 정보(신호)를 상기 실내기(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공기청정"을 위한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제 1 실시예는 적외선 광센서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터치 스크린 방식에는 감압식(resistive), 정전용량식(capacitive) 또는 초음파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압식은,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터치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서, 터치된 부분의 전류와 저항값이 변하여 해당 위치의 좌표값이 인식될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 정전용량식은, 터치 스크린에 전기가 통하는 물체가 터치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터치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서, 손가락등이 터치되면 해당 부분에 전류값이 변하게 되어 그 위치 및 좌표값이 인식될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 초음파 방식은, 초음파가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특성과 일정한 시간에 진행하는 거리는 일정하다는 소리의 전파 특성을 이용한 원리로서, 초음파를 발사하는 트랜스미터, 발사된 초음파를 반사시키는 다수의 리플렉터, 반사된 초음파가 수신되는 리시버가 포함되는 방식이다.
상세히, 상기 리플렉터 간의 간격이 일정하므로, 초음파가 반사되어 리시버에 수신되는 시간 간격도 일정하게 된다. 다만, 손가락등과 같은 대상물이 초음파의 진행 경로에 있게 되면, 초음파가 리시버에 수신되지 않으므로 차단된 시점을 계산하여 접촉된 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투영기의 장착 위치 또는 이동 여부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투영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투영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영기(300)는 실내기(10)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투영기(300)는 실내기(10)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의 벽(30)과 같은 구조물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벽(30)은 장착위치로서의 일 예일 뿐이며, 상기 투영기(300)는 다른 어떠한 구조물에 고정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벽(30)에는 디스플레이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투영기(300)는 상기 벽(30) 위에 영상을 투사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32)에는 상기 실내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물론, 상기 투영기(300)에는 동작의 온/오플 제어하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영기(3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2)에 빔(소정 영상)을 출력하는 제 1 빔 출력부(33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2)에 터치되는 위치 좌표를 인식하기 위하여 빔을 출력하는 제 2 출력부(340) 및 상기 제 2 출력부(340)에서 인식된 정보(위치 좌표, 또는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를 상기 실내기(10)에 전송하는 제 1 통신부(310)가 포함된다.
실내기(10)의 제어와 관련된 소정 정보는 상기 제 1 통신부(310)를 통하여 상기 제 2 통신부(12)로 전달되며, 전달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15)에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는 해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투영기가 실내기 설치공간 중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실내기의 작동을 위하여 실내기까지 접근하여야 하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와 투영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투영기(400)는 이동 가능하게 또는 휴대 가능하게 제공된다 (Portable 투영기). 상기 투영기(400)는 상기 실내기(10)와 통신 가능한 거리에 위치되어, 상기 실내기(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내기(10)의 설치 공간에는, 상기 투영기(400)가 안착되는 안착부(5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0)는 이동 가능한 투영기(400)의 조작을 위하여 안착될 수 있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부(50)에는, 책상, 식탁, 의자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투영기(400)가 동작하면, 상기 안착부(50)에는 입력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52)를 터치하여 소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투영기(400)는 특정 정보(터치된 위치 좌표 또는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특정 명령를 인식하여 상기 실내기(1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0)에 구비되는 제어부는 상기 투영기(4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기(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투영기가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10 : 실내기 100 : 본체
180 : 디스플레이부 200 : 투영기
210 : 제 1 통신부 220 : 위치 인식부
230 : 출력부 240 : 신호 송수신부

Claims (15)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을 차폐하며, 접촉에 의한 인식영역이 규정되는 전면부;
    상기 설치공간에 배치되며, 제 1 통신부가 구비되는 투영기;
    상기 제 1 통신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에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투영기에는,
    상기 인식영역 내에 정보 입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접촉된 위치를 미리 설정된 정보로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는,
    상기 출력부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명령하기 위한 전원 입력부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영역은 상기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규정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정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 또는
    상기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 및 제 2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이 수행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방식의 통신에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다이렉트 와이파이, Ad-hoc 또는 zigbee 방식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영역은 적외선, 감압식, 정전식 또는 초음파 방식의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신호 송신부;
    상기 제 1 신호 송신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배치되는 제 1 신호 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신호 송신부; 및
    상기 제 2 신호 송신부의 마주보는 측면에 배치되는 제 2 신호 수신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9.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면 패널이 포함되는 실내기;
    상기 전면 패널 상에 또는 상기 전면 패널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 영역을 향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빔 출력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촉된 입력 정보 또는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한 실내기의 제어 정보를 무선 통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출력부 및 통신 모듈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출력부 및 통신 모듈은 상기 본체 및 전면 패널의 외부에 고정되는 공기 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출력부는 상기 실내기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의 일 지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공기 조화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전면 패널의 외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빔 출력부를 가지는 포터블 투영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포터블 투영기는 상기 실내기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의 일 지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공기 조화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듈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접촉된 입력 정보를 인식하는 제 1 통신부; 및
    상기 실내기에 구비되며,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 2 통신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출력부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제 1 출력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접촉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제 2 출력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100133120A 2010-12-23 2010-12-23 공기 조화기 및 그 실내기 KR20120071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120A KR20120071535A (ko) 2010-12-23 2010-12-23 공기 조화기 및 그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120A KR20120071535A (ko) 2010-12-23 2010-12-23 공기 조화기 및 그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535A true KR20120071535A (ko) 2012-07-03

Family

ID=46706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120A KR20120071535A (ko) 2010-12-23 2010-12-23 공기 조화기 및 그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15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7589B2 (en) Air blower and air blowing system
CN103032935B (zh) 空调控制终端和空调控制的设定操作方法
JP6596269B2 (ja) 空気調和機
US200600642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door air through cooperation between air conditioner and mobile assistant device
JP2011058720A (ja) 空気調和機
CN103968496A (zh) 空调器的控制方法及空调器
JP2015025564A (ja) 空気調和機
KR2009008447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6559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90129536A (ko) 공기조화기
JP2016130600A (ja) 空気調和機、その外部端末装置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40047324A (ko) 공기 조화기
CN101737869A (zh) 空调的室内机
CN106264336A (zh) 一种具有语音识别功能的家庭多功能吸尘器
KR20120071535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실내기
CN205747330U (zh) 前后双屏空调遥控器
JP2012107837A (ja) 空気調和機
KR20190004849A (ko) 이동형 공조장치
JP2018151079A (ja) 空調機システム
KR201301424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06292305A (zh) 一种用于厨房环境的多媒体装置
CN205403075U (zh) 手势控制空调器
KR100812370B1 (ko)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
CN205156137U (zh) 采用3d触屏的柜式室内机
CN211454530U (zh) 一种空中成像式互联网家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