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032A - 광섬유 광분배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광분배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032A
KR20120071032A KR1020100132609A KR20100132609A KR20120071032A KR 20120071032 A KR20120071032 A KR 20120071032A KR 1020100132609 A KR1020100132609 A KR 1020100132609A KR 20100132609 A KR20100132609 A KR 20100132609A KR 20120071032 A KR20120071032 A KR 20120071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film
optical
cladding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1032A/ko
Publication of KR20120071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95Microstructured optical fibre
    • G02B6/02314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 G02B6/02319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characterised by core or core-cladding interface features
    • G02B6/02323Core having lower refractive index than cladding, e.g. photonic band gap guiding
    • G02B6/02328Hollow or gas filled co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5Bends, branchings or inters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64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2006/12083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2B2006/12088Monomo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광분배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른 광섬유 광분배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단일 모드 광섬유와 중공 광섬유를 융찹 접속하여 제작되어, 광분배기의 소형화 및 저가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광섬유 광분배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Optical-fiber splitter, method of forming the same and wavelength measur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섬유 광분배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파장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및 장치들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하나의 장치에서는, 콜리메이팅 미러에 의하여 입사빔이 정렬 되고 회절발(diffraction grating)에 의하여 파장에 따라 다른 각도로 빛이 반사 되며, 촛점 렌즈에 의하여 빛이 한점에 모이도록 되어 있다. 이 모이는 점은 파장에 따라 다르며, 광수광부를 움직여 모이는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파장을 알고 있는 빛이 모이는 점을 기준으로 임의의 빛에 대한 상대적인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임의의 빛에 대한 파장을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콜리메이터 미러, 회절발, 촛점 렌즈 등 고가의 광학 소자를 필요로 하며, 이를 공간적으로 배치를 해야 하므로 소형화가 어렵다. 또한 초점에 모인 빛을 검출 하기 위하여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 장치를 필요로 한다.
종래의 다른 장치에서는 빛을 입사 시키고, 도파시키고 분배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고가의 평판형 광도파로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소형화 및 저가화가 가능한 광분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소형화 및 저가화가 가능한 광분배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소형화 및 저가화가 가능한 광파장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기는, 광섬유를 이용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기는 광섬유 광분배기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광분배기는, 코어막을 둘러싸는 원통형의 제 1 클래딩막; 상기 제 1 클래딩막의 일 측 단부와 맞닿으며 빈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형의 제 2 클래딩막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막은 제 1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 클래딩막은 상기 코어막에 인접한 제 2 내부폭을 가지되, 상기 제 2 내부폭은 상기 제 1 폭 보다 좁으며, 상기 제 2 클래딩막의 타측 단부는 경사진다.
상기 광섬유 광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래딩막의 굴절률과 상기 제 2 클래딩막의 굴절률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2 클래딩막은 상기 제 1 클래딩막과 인접하며 상기 빈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어막의 단부는 상기 빈 내부 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클래딩막의 타측 단부의 경사각은 바람직하게는 45도이다.
상기 제 1 클래딩막과 제 2 클래딩막은 실리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코어막은 게르마늄이 도핑된 실리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클래딩막과 상기 제 2 클래딩막은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제 2 클래딩막은 상기 타측 단부와 인접한 제 3 내부폭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3 내부폭은 상기 제 2 내부폭 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광분배기의 제조 방법은, 원통형의 제 1 클래딩막과 상기 제 1 클래딩막 안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클래딩막의 일측 단부와 정렬되는 단부를 가지는 코어막을 포함하는 단일모드 광섬유를 준비하는 단계; 빈 내부 공간을 가지며 원통형의 제 2 클래딩막을 포함하는 중공 광섬유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상기 중공 광섬유를 융착 접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공 광섬유의 일 단부가 경사지도록 상기 중공 광섬유를 절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상기 중공 광섬유를 융착 접속시키는 단계는 광섬유 융착접속기(fusion splicer)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상기 중공 광섬유를 융착 접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클래딩막과 접하는 상기 제 2 클래딩막의 단부가 상기 빈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되, 상기 코어막의 단부가 상기 빈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상기 중공 광섬유를 융착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 광섬유의 일 단부가 경사지도록 상기 중공 광섬유를 절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클래딩막의 타측 단부의 경사각이 45도가 되도록 상기 중공 광섬유의 일 단부가 경사지도록 상기 중공 광섬유를 절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파장 측정 장치는, 상기 광분배기; 상기 빈 내부 공간을 통해 입사되는 제 1 광신호를 감지하여 제 1 광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 1 포토다이오드; 상기 제 2 클래딩막을 통해 입사되는 제 2 광신호를 감지하여 제 2 광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 2 포토다이오드; 및 상기 제 1 광 전압과 상기 제 2 광 전압을 각각 입력받아 상기 제 2 광 전압과 상기 제 1 광 전압의 차이를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광신호는 상기 제 2 클래딩막의 경사진 면에 반사되어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로 입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광섬유 광분배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단일 모드 광섬유와 중공 광섬유를 융찹 접속하여 제작되어, 광분배기의 소형화 및 저가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파장 측정 장치는 이러한 광섬유 광분배기를 포함하므로 소형화 및 저가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광섬유 광분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I-I'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도 2의 단면을 가지는 광섬유 광분배기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광파장 측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다른 광섬유 광분배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다른 광섬유 광분배기의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다른 광섬유 광분배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광섬유 광분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I-I'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광섬유 광분배기(20)는 원통형의 제 1 클래딩막(3), 및 상기 제 1 클래딩막(3) 안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클래딩막(cladding layer, 3)의 일측 단부와 정렬되는 단부를 가지는 코어막(core layer,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클래딩막(3)과 상기 코어막(1)은 단일 모드 광섬유(Single mode fiber, 5)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광섬유 광분배기(20)는 상기 제 1 클래딩막(3)의 일 측 단부와 맞닿으며 빈 내부 공간(7)을 가지는 원통형의 제 2 클래딩막(9)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클래딩막(9)과 상기 빈 내부 공간(7)은 중공 광섬유(Hollow optical fiber, 10)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제 1 클래딩막(3)과 제 2 클래딩막(9)은 실리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코어막(1)은 게르마늄이 도핑된 실리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클래딩막(3)의 굴절률과 상기 제 2 클래딩막(9)의 굴절률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5)와 상기 중공 광섬유(10)은 융착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코어막(1)은 제 1 폭(W1)을 가진다.
상기 제 2 클래딩막(9)은 상기 제 1 클래딩막(3)과 인접하며 상기 빈 내부 공간(7)으로 돌출된 돌출부(9a)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어막(1)의 단부는 상기 빈 내부 공간(7)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 2 클래딩막(9)은 상기 제 1 클래딩막(3)으로부터 이격된 제 3 내부폭(W3)과 상기 제 1 클래딩막(3)에 인접한 제 2 내부폭(W2)을 가지되, 상기 제 2 내부폭(W2)은 상기 제 3 내부폭(W3) 보다 좁다. 상기 제 2 클래딩막(9)의 타측 단부는 경사진다. 상기 제 2 클래딩막(9)의 타측 단부의 경사각(θ)은 바람직하게는 45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내부폭(W3)은 상기 제 1 폭(W1)과 같다. 또한 상기 제 1 클래딩막(3)의 폭은 상기 제 2 클래딩막(9)의 폭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광분배기(20)에 있어서, 상기 코어막(1)을 통해 입사되는 빛은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5)와 상기 중공 광섬유(10)가 만나는 지점에서 파워 분포에 따라 분리된다. 중심부로 도파되는 제 1 파워의 제 1 광은 상기 빈 내부 공간(7)으로 노출된 상기 코어막(1)의 단부를 통해 상기 빈 내부 공간(7) 속으로 직진할 수 있고, 주변부로 도파되는 제 2 파워의 제 2 광의 경로는 상기 코어막(1)의 단부 외주연과 접하는 상기 돌출부(9a)를 통해 상기 제 2 클래딩막(9) 안으로 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광분배기(2)는 효과적으로 파워 분포에 따라 광을 분리할 수 있다. 이는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분배기는 광섬유를 이용하므로 소형화 및 저가격화가 가능하다.
도 1 및 2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5)와 상기 중공 광섬유(10)는 상기 클래딩 막들(3, 7)을 각각 감싸는 버퍼막(Buffer layer)과 자켓막(Jacket lay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도 2의 단면을 가지는 광섬유 광분배기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원통형의 제 1 클래딩막(3)과 그 내부에 삽입된 코어막(1)을 포함하는 단일 모드 광섬유(5)를 준비한다. 상기 코어막(1)은 제 1 폭(W1)을 가진다. 원통형의 빈 내부 공간(7)을 가지는 제 2 클래딩막(9)을 포함하는 중공 광섬유(10)를 준비한다. 상기 빈 내부 공간(7)은 제 3 내부폭(W3)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5)와 상기 중공 광섬유(10)를 광섬유 융착접속기(fusion splicer)를 이용하여 융착 접속시킨다. 이때, 광섬유 융착접속기의 방전량(방전시간과 방전 전압)을 조작하여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5)와 상기 중공 광섬유(10) 사이의 접촉 계면에서 상기 제 2 클래딩막(9)의 단부를 녹여 상기 빈 내부 공간(7) 쪽으로 돌출부(9a)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9a)의 폭(W4)은 0보다는 크고 상기 제 1 폭(W1)의 1/2 보다는 작아야 한다. 광섬유 융착접속기의 방전량이 너무 크면 상기 제 2 클래딩막(9)의 단부가 너무 많이 녹아 상기 돌출부들(9a)가 서로 닿아 상기 코어막(1)의 단부가 상기 빈 내부 공간(7)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광분배기로서 기능을 할 수 없다. 한편, 광섬유 융착접속기의 방전량이 너무 작으면 상기 돌출부(9a)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또한 광분배기로서 기능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 융착 접속기의 방전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상기 돌출부(9a)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중공 광섬유(10)의 타측 단부를 경사지도록 절단한다. 이때 상기 중공 광섬유(10)는 제 1 점직선(L1)을 따라 절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점직선(L1)과 상기 중공 광섬유(10)의 제 2 클래딩막(9)의 하부면이 이루는 경사각(θ)은 바람직하게는 45도이다. 이로써 도 2의 단면도를 가지는 광섬유 광분배기(20)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광섬유 광분배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광섬유 융착접속기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일정 영역에 방전을 노출시킴으로써 광분배기(2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광결합 효율을 조절할 수 있다. 저가의 중공 광섬유를 이용하므로 저가격화가 가능하다. 또한 광분배기 제작을 위해 특별한 반도체 공정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손쉽게 제작이 가능하다.
다음은 이를 포함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광파장 측정 장치(100)는, 도 2의 광분배기(20), 제 1 포토다이오드(30), 제 2 포토다이오드(40), 및 차동 증폭기(50)를 포함한다. 광원(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되며 상기 광섬유 광분배기(20)의 상기 코어막(1)을 통해 입사되는 파장이 λL인 빛은 상기 코어막(1) 내부에서 가우시안 분포(G)로 분포되는 광 파워를 가지며 직진하다가, 상기 단일 모드 광섬유(5)와 상기 중공 광섬유(10)가 만나는 지점에서 두 부분의 파워(P1, P2)로 분리된다. 중심부로 도파되는 제 1 파워(P1)는 상기 빈 내부 공간(7)으로 노출된 상기 코어막(1)의 단부를 통해 상기 빈 내부 공간(7) 속으로 직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파워(P1)은 제 1 포토다이오드(30)로 입사되며,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30)는 상기 제 1 파워(P1)를 감지하여 제 1 광 전압(V1)으로 변환한다. 한편, 주변부로 도파되는 제 2 파워(P2)는 상기 코어막(1)의 단부 외주연과 접하는 상기 돌출부(9a)를 통해 상기 제 2 클래딩막(9) 안으로 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파워(P2)는 상기 제 2 클래딩막(9)의 경사진 단면에서 휘어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40)으로 입사된다.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40)은 제 2 파워(P2)을 감지하여 제 2 광 전압(V2)으로 변환한다. 상기 제 1 광 전압(V1)과 상기 제 2 광 전압(V2)은 상기 차동 증폭기(50)로 각각 전달되고, 상기 차동 증폭기(50)는 상기 제 2 광 전압(V2)과 상기 제 1 광 전압(V1)의 차이를 증폭 및 출력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포토다이오드(30)와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40)에서 검출되는 광 전압의 차이 또는 비율이 빛의 파장의 함수가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입사되는 빛의 파장을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다른 광섬유 광분배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2에 따른 광섬유 광분배기(21)에서 제 1 클래딩막과 제 2 클래딩막은 경계가 없이 일체형으로 되어있다. 즉 원통형의 제 1 클래딩막(3a) 안의 일부 영역까지 코어막(1)이 개재되고, 상기 제 1 클래딩막(3a)은 상기 코어막(1)이 개재되지 않은 빈 내부 공간(7)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어막(1)의 일 단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 1 클래딩막(3a)은 상기 빈 내부공간(7)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b)를 포함한다.
도 7의 광섬유 광분배기(21)는 단일모드 광섬유에서 상기 코어막(1)을 일부 제거한 후에, 상기 코어막(1)에 인접한 상기 제 1 클래딩막(3a)의 내부를 일부 녹여 상기 돌출부(3a)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외의 구성 및 제조 과정은 실시예 1과 같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다른 광섬유 광분배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3에 따른 광섬유 광분배기(22)에서 제 2 클래딩막(9b)은 빈 내부 공간(7)을 가지되, 상기 빈 내부 공간(7)의 내부폭은 제 2 내부폭(W2)으로 일정하다. 상기 제 2 내부폭(W2)은 코어막(1)의 제 1 폭(W1) 보다 작다. 상기 제 2 클래딩막(9b)은 도 2의 돌출부(9a)를 가지지 않는다.
도 8의 광섬유 광분배기(22)는 단일 모드 광섬유(5)와 중공 광섬유(10a)를 융착 접속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 광섬유(10a)의 내부폭(W2)은 상기 코어막(1)의 내부폭(W1)보다 작아야한다. 단일 모드 광섬유(5)와 중공 광섬유(10a)를 융착 접속시킬 때 융착 접속기의 방전량을 조절하여 돌출부(9a)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그외의 구성 및 제조 과정은 실시예 1과 같을 수 있다.
<실시예 4>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다른 광섬유 광분배기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 4에 다른 광섬유 광분배기(23)는 제 1 클래딩막과 제 2 클래딩막은 경계가 없이 일체형으로 되어있다. 즉, 원통형의 제 1 클래딩막(3c) 안의 일부 영역까지 코어막(1)이 개재되고, 상기 제 1 클래딩막(3c)은 상기 코어막(1)이 개재되지 않은 빈 내부 공간(7)을 포함한다. 상기 빈 내부 공간(7)의 내부폭은 제 2 내부폭(W2)으로 일정하다. 상기 제 2 내부폭(W2)은 코어막(1)의 제 1 폭(W1) 보다 작다. 그외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을 수 있다.

Claims (13)

  1. 코어막을 둘러싸는 원통형의 제 1 클래딩막;
    상기 제 1 클래딩막의 일 측 단부와 맞닿으며 빈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형의 제 2 클래딩막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막은 제 1 폭을 가지며, 상기 제 2 클래딩막은 상기 코어막에 인접한 제 2 내부폭을 가지되, 상기 제 2 내부폭은 상기 제 1 폭 보다 좁으며,
    상기 제 2 클래딩막의 타측 단부는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광분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래딩막의 굴절률과 상기 제 2 클래딩막의 굴절률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광분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클래딩막은, 상기 제 1 클래딩막과 인접하여 상기 빈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코어막의 단부는 상기 빈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광분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클래딩막의 타측 단부의 경사각은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광분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래딩막과 제 2 클래딩막은 실리카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막은 게르마늄이 도핑된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광분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래딩막과 상기 제 2 클래딩막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광분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클래딩막은 상기 타측 단부와 인접한 제 3 내부폭을 가지며, 상기 제 3 내부폭은 상기 제 2 내부폭 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광분배기.
  8. 제 1 항의 광섬유 광분배기;
    상기 빈 내부 공간을 통해 입사되는 제 1 광신호를 감지하여 제 1 광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 1 포토다이오드;
    상기 제 2 클래딩막을 통해 입사되는 제 2 광신호를 감지하여 제 2 광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 2 포토다이오드; 및
    상기 제 1 광 전압과 상기 제 2 광 전압을 각각 입력받아 상기 제 2 광 전압과 상기 제 1 광 전압의 차이를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신호는 상기 제 2 클래딩막의 경사진 면에 반사되어 상기 제 2 포토다이오드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
  10. 원통형의 제 1 클래딩막과 상기 제 1 클래딩막 안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클래딩막의 일측 단부와 정렬되는 단부를 가지는 코어막을 포함하는 단일모드 광섬유를 준비하는 단계;
    빈 내부 공간을 가지며 원통형의 제 2 클래딩막을 포함하는 중공 광섬유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상기 중공 광섬유를 융착 접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공 광섬유의 일 단부가 경사지도록 상기 중공 광섬유를 절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섬유 광분배기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상기 중공 광섬유를 융착 접속시키는 단계는 광섬유 융착접속기(fusion splicer)를 이용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광분배기의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상기 중공 광섬유를 융착 접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클래딩막과 접하는 상기 제 2 클래딩막의 단부가 상기 빈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되, 상기 코어막의 단부가 상기 빈 내부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단일모드 광섬유와 상기 중공 광섬유를 융착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광분배기의 제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광섬유의 일 단부가 경사지도록 상기 중공 광섬유를 절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2 클래딩막의 타측 단부의 경사각이 45도가 되도록 상기 중공 광섬유의 일 단부가 경사지도록 상기 중공 광섬유를 절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광섬유 광분배기의 제조 방법.
KR1020100132609A 2010-12-22 2010-12-22 광섬유 광분배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 KR20120071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609A KR20120071032A (ko) 2010-12-22 2010-12-22 광섬유 광분배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609A KR20120071032A (ko) 2010-12-22 2010-12-22 광섬유 광분배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032A true KR20120071032A (ko) 2012-07-02

Family

ID=4670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609A KR20120071032A (ko) 2010-12-22 2010-12-22 광섬유 광분배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10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871A1 (en) * 2018-06-28 2020-01-02 Opticis Co., Ltd. Optical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871A1 (en) * 2018-06-28 2020-01-02 Opticis Co., Ltd. Optical connector
US11422309B2 (en) 2018-06-28 2022-08-23 Opticis Co., Ltd. Optical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3042B2 (ja) 平面導波路および光ファイバ結合
US20080069497A1 (en) Optical waveguide tap monitor
US20120328238A1 (en) Optical device
JPH10319262A (ja) 光導波路構造および平面光導波装置
US10725244B2 (en) Optical fiber with cladding-embedded light-converging structure for lateral optical coupling
US4739501A (en) Optical multiplexer/demultiplexer
JP4221965B2 (ja) 回折格子、波長合分波器及びこれらを用いた波長多重信号光伝送モジュール
Xu et al. 3D-printed facet-attached microlenses for advanced photonic system assembly
US20030174962A1 (en) Low-loss optical fiber tap with integral reflecting surface
US20030026539A1 (en) Optical fiber having a light converging fun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170471A (ja) ファイバレンズ、ファイバレンズアレイ、ファイバコリメータおよび光モジュール
JP4330560B2 (ja) 光分波器及び波長多重光伝送モジュール
KR20120071032A (ko) 광섬유 광분배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파장 측정 장치
JP2005241822A (ja) 融着光部品、融着光部品製造方法及び融着光部品製造装置
CN114911009A (zh) 光纤滤波器
JP3949137B2 (ja) 光ファイバ端末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結合器及び光部品
JP2004271803A (ja) 光導波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システム
EP1236064B1 (en) Multilayer optical fiber with beam expanding refractive index taper
JP2004302292A (ja) 光ファイバ端末とその作製方法並びに光結合器及び光部品
JP4764654B2 (ja) 光モジュール
JPWO2004053547A6 (ja) 光ファイバ端末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結合器及び光部品
JP4555269B2 (ja) ファイバ型カプラ、光検出装置及びレーザモジュール
US20030026535A1 (en) Optical fiber collimators and their manufacture
CA3023878C (en) Optical fiber with cladding-embedded light-converging structure for lateral optical coupling
JP2005207849A (ja) 微小変位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