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721A -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721A
KR20120070721A KR1020100132150A KR20100132150A KR20120070721A KR 20120070721 A KR20120070721 A KR 20120070721A KR 1020100132150 A KR1020100132150 A KR 1020100132150A KR 20100132150 A KR20100132150 A KR 20100132150A KR 20120070721 A KR20120070721 A KR 20120070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ting
elastic piece
connecto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1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점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0721A/en
Publication of KR2012007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72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PURPOSE: A terminal and a connector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be close to a tap terminal of a connector by pressing a retainer by a housing of the connector. CONSTITUTION: A barrel unit(24) prepares in a backend of a body unit(22). A coupling unit(26) is prepared in the body unit. A tap terminal is inserted inside the coupling unit. An elastic piece(29) is formed inside the coupling unit. The elastic piece adheres closely to the tap terminal. A through-unit(28) is formed in the elastic piece.

Description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미널의 탄성편이 결합부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고 탄성편의 선단이 리테이너에 의해 눌러져 상대 터미널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한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connecto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terminal and a connector using the same, which allows the elastic piece of the terminal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tip of the elastic piece is pressed by the retainer to be in contact with the mating terminal. It is about.

터미널은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터미널에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 터미널이 있는데,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 터미널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터미널들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랜스와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시에 뒤로 밀리는 것이 방지된다.The terminal constitutes a connector,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be coupled with the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Such a terminal includes a receptacle terminal and a tab terminal, and the tab terminals are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terminal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The terminals are supported by lances and retainers inside the housing to prevent pushing back upon engagement with the mating terminal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터미널(1)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몸체부(3)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3)는 실제로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부(5) 및 결합부(1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바렐부(5) 및 결합부(10)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this, the terminal 1 is made of metal and has a body 3. The body portion 3 is actually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barrel portion 5 and the coupling portion 10 to be described below, it is possible to clearly separate the region with the barrel portion 5 and coupling portion 10 none.

상기 터미널(1)의 후단에는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5)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5)는 크게 와이어바렐(7)와 인슐레이션바렐(8)로 나누어진다. 상기 와이어바렐(7)은 전선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8)은 전선의 인슐레이션을 감싸서 터미널(1)과 전선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The rear end of the terminal 1 is provided with a barrel portion 5 for connection with an electric wire. The barrel 5 is largely divided into a wire barrel 7 and an insulation barrel 8. The wire barrel 7 is compressed to surround the wire of the wire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insulation barrel 8 wraps the insulation of the wire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1 and the wire is firm.

상기 몸체부(3)의 선단에는 결합부(1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0)는 대략 사각형의 통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10)는 터미널(1)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개구되는 사각통상이다. 상기 결합부(10)의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1)이 형성된다.Coupling portion 10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dy portion 3. The coupling portion 10 is composed of a generally rectangular shape. The coupling part 10 is a rectangular cylinder that is open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1. An insertion space 11 into which the tab terminal, which is a relative terminal, is inserted, is formed inside the coupling part 10.

상기 결합부(10)의 삽입공간(11) 내부에는 상기 탭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탄성편(1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2)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탭터미널이 결합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결합부(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An elastic piece 12 for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ab terminal is formed in the insertion space 11 of the coupling part 10. The elastic piece 12 is capable of a predetermined elastic deformation, and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10 in a state where the tab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10.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receptac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탄성편(12)은 탭터미널과 리셉터클터미널 사이의 결합이 보다 확실하게 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탭터미널의 삽입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탄성복원력을 탭터미널에 작용하여 탭터미널의 결합부와 리셉터클 터미널의 결합부(10)의 천정사이가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The elastic piece 12 is to ensure a more secure coupling between the tab terminal and the receptacle terminal, it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insertion of the tab terminal an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on the tab terminal,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ab terminal and the receptacle terminal The ceiling between the coupling part 10 i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하지만, 상기 탄성편(12)은 상기 탭터미널이 결합부(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삽입력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물론, 상기 탄성편(12)의 탄성변형을 위해 큰 힘이 필요로 한 경우, 즉 삽입력이 큰 경우에 접압력도 크게 된다. 접압력은 탭터미널과 탄성편(12) 사이가 밀착된 정도를 말한다.
However, the elastic piece 12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insertion forc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ab terminal into the coupling portion (10). Of course, when a large force is required for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iece 12, that is, when the insertion force is large, the contact pressure is also large. The contact pressure refers to the degre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tab terminal and the elastic piece 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의 결합시에 삽입력을 줄이면서도 접압력을 커지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increase the contact pressure while reducing the insertion force when the terminal is coupl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 탭 터미널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상대 탭 터미널에 밀착되는 탄성편이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편 선단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탄성편의 선단이 결합부의 외부로 돌출가능하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body portion,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barrel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electric wire, and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relative tab terminal And a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and an elastic piece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ting tab terminal. The tip of the convenience is protruding out of the engagement portion.

상기 결합부는 내부가 빈 사각기둥형상으로 길이방향 선단과 후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관통부와 반대되는 위치에는 랜스가 걸어지는 걸이공이 관통되어 형성된다.The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rectangular pillar in the longitudinal front end and the rear end and a hook hole through which the lance is walk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through portion.

상기 탄성편의 선단부에는 소정 크기의 선단지지편이 형성되는데, 상기 선단지지편은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A tip support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the tip portion of the elastic piece, and the tip support piece extends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외면으로 개방되게 리테이너공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부에 삽입되어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면에 형성된 랜스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터미널과, 상기 리테이너공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 후단을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부와 상기 터미널지지부와 연결목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의 탄성편 선단을 눌러 터미널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탭터미널에 밀착되게 하는 탄성편지지부를 포함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through which the terminal seating space is formed and the housing is formed in the retainer hole in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seating space so as to open to one outer surface,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The terminal supported by the lanc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inserted into the retainer hole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and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piece of the terminal And a retainer comprising an elastic knitted support for pressing the tip to bring the terminal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ating tab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상기 연결목에서 상기 탄성편지지부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터미널지지부와 연결되는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지지부가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전에는 리테이너공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 사이의 결합이 완성되는 시점에서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 내면에 의해 눌러진다.A portion of the connecting neck connected to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ar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a part connected to the terminal support part so that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ar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retainer hole before engag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and the terminal Is pressed by the inner side of the mating housing of the mating connector at the point at which the engagement between the mating and mating terminals is completed.

상기 탄성편지지부의 일측 외면에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단차와 연동되는 가이드경사가 형성된다.
One sid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guide slope interlocked with a guide step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ting housing of the mating connector.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nector using the sam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의 탄성편의 선단이 터미널의 결합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하우징의 내부에서 리테이너의 삽입 전까지는 탄성편의 선단이 지지되지 않으므로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시에 탄성편이 삽입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결합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어 커넥터의 결합작업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piece of the terminal is able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erminal, and the elastic piece is inserted at the time of engagement with the mating terminal because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piece is not supported until the retainer is inserted in the housing. Since the force does not affect the coupling force is hardly genera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connector is very easy.

특히, 본 발명의 커넥터에 구비된 리테이너는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눌러져 최종적으로 터미널의 탄성편이 상대 커넥터의 탭터미널과 밀착되도록 하므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매우 쉽게 되면서도 결합된 커넥터의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접촉은 매우 확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the retainer provided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by the housing of the mating connector when it is mated with the mating connector so that the elastic piece of the terminal finally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ab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Th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terminals of the mated connector is very sec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가 상대커넥터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the mating connecto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terminal and a connecto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터미널(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터미널(20)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몸체부(22)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22)는 실제로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부(24) 및 결합부(26)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바렐부(24) 및 결합부(26)와 영역을 명확하게 분리할 수는 없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2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The terminal 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body portion 22. The body portion 22 is actually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barrel portion 24 and the coupling portion 26 to be described below, it is possible to clearly separate the region with the barrel portion 24 and coupling portion 26 none.

상기 터미널(20)의 후단에는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24)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24)는 크게 와이어바렐(25)와 인슐레이션바렐(25')로 나누어진다. 상기 와이어바렐(25)은 전선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5')은 전선의 인슐레이션을 감싸서 터미널(20)과 전선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The rear end of the terminal 20 is provided with a barrel portion 24 for connection with the wire. The barrel portion 24 is largely divided into a wire barrel 25 and an insulation barrel 25 '. The wire barrel 25 is compressed to surround the wire of the wire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insulation barrel 25 ′ wraps the insulation of the wire so that the terminal 20 and the wire are firmly coupled.

상기 몸체부(22)의 선단에는 결합부(26)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6)는 대략 내부가 빈 사각기둥 형태이다. 상기 결합부(26)는 터미널(20)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개구된다. 상기 결합부(26)의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42)인 탭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6')이 형성된다.Coupling portion 26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22. The coupling part 26 has a shape of a square pillar which is generally hollow. The engaging portion 26 is open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20. An insertion space 26 ′ into which the tab terminal, which is the counter terminal 42 is inserted, is formed inside the coupling part 26.

상기 결합부(26)에는 상기 삽입공간(26')과 외부가 연통되게 걸이공(2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27)은 아래에서 설명될 하우징(31)의 랜스(33)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26)에는 또한 관통부(28)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28)는 상기 걸이공(27)과 반대쪽에 해당되는 결합부(26)를 관통하여 형성된다.A hook hole 27 is formed in the coupling part 26 so that the insertion space 26 ′ and the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hook hole 27 is a part of the lance 33 of the housing 31,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engaging portion 26 is also formed with a penetrating portion 28. The through portion 28 is formed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26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to the hook hole (27).

상기 결합부(26)의 삽입공간(26') 내부에는 상기 탭 터미널(42)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탄성편(29)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29)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탭터미널(42)이 결합부(26)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결합부(26)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An elastic piece 29 for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ab terminal 42 is formed in the insertion space 26 ′ of the coupling part 26. The elastic piece 29 is capable of a predetermined elastic deformation, and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26 in a state where the tab terminal 4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26.

상기 탄성편(29)은 상기 결합부(26)의 선단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26)의 삽입공간(26') 내부에서 결합부(26)의 후단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29)의 중간부분은 상기 결합부(26)의 마주보는 내면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29)의 선단에는 선단지지편(29')이 구비된다. 상기 선단지지편(29')은 상기 결합부(26)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선단지지편(29')은 상기 관통부(28)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 상대 탭터미널(42)이 삽입될 때 상기 관통부(28)를 통해 결합부(26)의 외부로 돌출된다.The elastic piece 29 extends from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part 26 to extend toward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part 26 in the insertion space 26 ′ of the coupling part 26. The middle portion of the elastic piece 29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coupling portion 26. A tip support piece 29 ′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elastic piece 29. The tip support piece 29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6. The tip support piece 29 ′ protrudes out of the engaging portion 26 through the through portion 28 when the mating tap terminal 42 is inser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portion 28.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터미널(20)은 커넥터(30)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31)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하우징(31)은 절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1)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공간(3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32)에는 상기 터미널(2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The terminal 2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housing 31 constitu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connector 30. The housing 31 is made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terminal seating space 32 is formed to penetrate back and forth inside the housing 31. The terminal 20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32.

상기 터미널안착공간(32)의 내부에는 커넥터(30)의 선단을 향해 연장되게 랜스(33)가 구비된다. 상기 랜스(33)는 선단이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6)에 형성된 걸이공(27)에 걸어져 터미널(20)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The lance 33 is provid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32 to extend toward the tip of the connector 30. The lance 33 prevents the terminal 20 from being pushed backward by the end of the lance 33 is hooked to the hook hole 27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26 of the terminal 20.

상기 터미널안착공간(32)과 하우징(31)의 외부가 연통되게 리테이너공(34)이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공(34)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32)의 연장방향에 대해 직교하게 상기 하우징(31)의 일측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테이너공(34)은 두 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테이너(36)가 터미널지지부(37)와 탄성편지지부(38)가 연결목(3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기 때문이다.A retainer hole 34 is formed to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32 and the housing 31. The retainer hole 34 is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housing 31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32).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retainer holes 34 are formed side by side. This is because the retainer 3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37 and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ortion 3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neck 38 '.

상기 리테이너공(34)을 통해서는 하우징(31)의 외부에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32)의 내부로 리테이너(36)가 삽입된다. 상기 리테이너(36)는 본 발명에서 상기 터미널(20)이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터미널(20)의 탄성편(29)을 상대 탭터미널(42)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retainer 36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32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31 through the retainer hole 34. The retainer 36 serves to support the terminal 20 so as not to be push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losely contact the elastic piece 29 of the terminal 20 to the mating tap terminal 42.

이와 같은 리테이너(36)는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6) 후단을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부(37)를 구비한다. 상기 터미널지지부(37)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31)의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터미널지지부(37)의 일측은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6) 후단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어져 터미널(20)을 지지하게 된다.Such a retainer 36 has a terminal support portion 37 for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26 of the terminal 20.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37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housing 31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ne side of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37 is supported by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26 of the terminal 20 as shown in Figure 4 to support the terminal 20.

상기 리테이너(36)에는 상기 탄성편(29)의 선단을 지지하는 탄성편지지부(38)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편지지부(38)는 상기 터미널지지부(37)와 연결목(38')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목(38')은 상기 탄성편지지부(38)와 터미널지지부(37)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리테이너(36)는 합성수지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드는 것인데, 상기 연결목(38')중에서 상기 탄성편지지부(38)와 연결되는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결목(38')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의해 상기 탄성편지지부(38)는 상대 커넥터(40)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하우징(31)의 외부로 약간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연결목(38')은 터미널지지부(37)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탄성편지지부(38)와 연결되는 부분이 서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된다.The retainer 36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iece support portion 38 for supporting the tip of the elastic piece 29.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ortion 38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37 and the connection neck 38 ′. The neck 38 ′ connects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ortion 38 and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37 to each other. The retainer 36 is made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portion of the connecting neck 38 ′ connected to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ortion 38 is inclined. As the neck 38 ′ is formed to be inclined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art 38 is slightly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1 in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knitting member 38 is not engaged with the mating connector 40. The connection neck 38 ′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37 and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ortion 38 at a predetermined angle to each other.

상기 탄성편지지부(38)의 선단 일측에는 가이드경사(39)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경사(39)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 커넥터(40)의 상대 하우징(41)의 내면에 안내되어 상기 탄성편지지부(38)가 안내되어 리테이너공(34)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즉, 상대 커넥터(40)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탄성편지지부(38)가 하우징(31)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하고, 이와 같은 탄성편지지부(38)의 이동은 상기 터미널(20)의 탄성편(29)을 눌러 상대 탭터미널(42)에 밀착되도록 한다.A guide slope 39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ortion 38. The guide inclination 39 is gui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ting housing 41 of the mating connector 40 to be described below to guide the elastic knitted portion 38 to be inserted into the retainer hole 34. That is, the elastic piece support portion 38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31 by coupl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40, and the movement of the elastic piece support portion 38 is such that the elastic piece of the terminal 20 29)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ting tap terminal 42.

참고로 도 4에는 본 발명의 커넥터(30)와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4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상대 커넥터(40)의 외관과 골격을 상대 하우징(41)이 형성한다. 상기 상대 하우징(4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41')이 상대 하우징(41)의 선단과 후단으로 각각 개구되게 형성되고, 이에는 상대 터미널인 탭터미널(42)이 설치되어 있다.For reference, FIG. 4 illustrates a mating connector 40 coupled to the connecto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ting housing 41 forms an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mating connector 40. An inner space 41 ′ is formed inside the mating housing 41 so as to be open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mating housing 41, and a tab terminal 42 serving as a mating terminal is provided therein.

상기 내부공간(41')의 내면에는 가이드단차(43)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단차(43)는 본 발명의 커넥터(30)가 상대 커넥터(40)에 결합될 때 상기 리테이너(36)의 탄성편지지부(38)가 탄성편(29)을 눌러 탄성변형시키는 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탄성편지지부(38)가 탄성편(29)을 눌러 탄성변형시키는 시점은 상기 상대 탭터미널(42)이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6) 내부의 삽입공간(26')으로 삽입된 이후이다.The guide step 43 is formed to be incli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41 ′. The guide step 43 determines a point at which the elastic piece supporting portion 38 of the retainer 36 presses the elastic piece 29 to elastically deform when the connecto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mating connector 40. Done. When the elastic knitting support 38 presses the elastic piece 29 to elastically deform, the mating tab terminal 4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6 ′ inside the coupling part 26 of the terminal 20. Sinc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terminal and the connecto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본 발명의 커넥터(30)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31)의 터미널안착공간(32)에 터미널(20)을 삽입하여 조립한다. 터미널(20)은 상기 랜스(33)가 상기 걸이공(27)에 걸어짐에 의해 터미널(20)과 상대 탭터미널(42)이 결합할 때, 터미널안착공간(32) 내에서 밀리지 않도록 한다.Firs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connecto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The terminal 20 is assembl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32 of the housing 31. The terminal 20 prevents the lance 33 from being push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32 when the terminal 20 and the mating tap terminal 42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hook hole 27.

다음으로, 상기 리테이너(36)를 상기 리테이너공(34)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36)의 터미널지지부(37)가 리테이너공(34)중 하나에 삽입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20)의 결합부(26) 후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랜스(33)와 리테이너(36)의 터미널지지부(37)에 의해 이중으로 지지된다.Next, the retainer 36 is inserted into the retainer hole 34. At this time,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37 of the retainer 36 is inserted into one of the retainer holes 34 to support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26 of the terminal 2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terminal 20 is dually supported by the terminal support portion 37 of the lance 33 and the retainer 36.

이때, 상기 리테이너(36)의 탄성편지지부(38)는 아직 다른 리테이너공(34)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는 상기 연결목(38')의 형상때문으로, 상기 연결목(38')에 의해 상기 탄성편지지부(38)는 일부가 상기 하우징(3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ortion 38 of the retainer 36 is not completely inserted into another retainer hole 34. This is because of the shape of the connection neck 38 ', the elastic piece support portion 38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31 by the connection neck 38'. This state is well illustrated in FIG. 3.

도 3의 상태에서는 상기 터미널(20)의 탄성편(29) 선단이 아직 리테이너(36)의 탄성편지지부(38)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대 탭터미널(42)이 삽입되면 쉽게 탄성변형되어 선단지지편(29')이 결합부(26)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물론, 처음부터 상기 선단지지편(29')이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6) 외부로 어느 정도 돌출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In the state of FIG. 3, since the tip of the elastic piece 29 of the terminal 20 is not yet supported by the elastic piece supporting portion 38 of the retainer 36, the elastic tab 29 is easily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mating tab terminal 42 is inserted. The tip support piece 29 ′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art 26. Of course, the tip support piece 29 ′ may be made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ortion 26 of the terminal 20 from the beginning.

도 3의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40)와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상대 커넥터(40)의 선단을 통해 내부공간(41')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30)가 상기 내부공간(4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리테이너(36)의 탄성편지지부(38)의 가이드경사(39)는 상기 내부공간(41')의 내면을 따라 안내된다.Coupl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40 is made in the state of FIG. That is, the connector 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41 ′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mating connector 40.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nnector 30 into the inner space 41 ', the guide inclination 39 of the elastic knitting support portion 38 of the retainer 36 is guid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41'. .

상기 커넥터(30)가 일정 이상 상대 커넥터(40)와 결합되면, 즉 상기 상대 터미널(42)이 상기 터미널(20)의 결합부(26) 내부의 삽입공간(26')으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편(29)과 결합부(26)의 일측 내면 사이로 들어간 후에 상기 리테이너(36)의 탄성편지지부(38)가 리테이너공(34)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는 상기 가이드단차(43)에 상기 탄성편지지부(38)의 가이드경사(39)가 안내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When the connector 30 is coupled to the mating connector 40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the mating terminal 4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6 ′ inside the coupling part 26 of the terminal 20 so that the elastic piece is connected. After entering between 29 and one inn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26,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ortion 38 of the retainer 36 enters into the retainer hole 34. This is achieved by guiding the guide inclination 39 of the elastic piece support portion 38 to the guide step 43. This state is well illustrated in FIG. 4.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20: 터미널 22: 몸체부
24: 바렐부 25: 와이어바렐
25': 인슐레이션바렐 26: 결합부
26': 삽입공간 27: 걸이공
28: 관통부 29: 탄성편
29': 선단지지편 30: 커넥터
31: 하우징 32: 터미널안착공간
33: 랜스 34: 리테이너공
36: 리테이너 37: 터미널지지부
38: 탄성편지지부 38': 연결목
39: 가이드경사 40: 상대 커넥터
41: 상대하우징 41': 내부공간
42: 상대터미널 43: 가이드단차
20: terminal 22: body
24: barrel part 25: wire barrel
25 ': insulation barrel 26: coupling part
26 ': Insertion space 27: Hanger
28: penetrating portion 29: elastic piece
29 ': tip support 30: connector
31: housing 32: terminal seating space
33: Lance 34: Retainer Ball
36: Retainer 37: Terminal Support
38: elastic knitted support portion 38 ': connecting neck
39: guide slope 40: mating connector
41: relative housing 41 ': internal space
42: Terminal 43: Guided Steps

Claims (6)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 탭 터미널이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는 상기 상대 탭 터미널에 밀착되는 탄성편이 형성되는데, 상기 탄성편 선단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를 통해 상기 탄성편의 선단이 결합부의 외부로 돌출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Body,
A barrel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coupled to an electric wir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mating tab terminal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side,
An elastic piec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ting tab terminal is formed inside the coupling part, and a through part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piece so that the tip of the elastic piece protrudes out of the coupling part through the through par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내부가 빈 사각기둥형상으로 길이방향 선단과 후단으로 개방되고 상기 관통부와 반대되는 위치에는 랜스가 걸어지는 걸이공이 관통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The terminal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part has a hollow rectangular column shape, which is open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hook hole through which the lance is engaged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through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의 선단부에는 소정 크기의 선단지지편이 형성되는데, 상기 선단지지편은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The terminal of claim 3, wherein a tip support pie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a tip end of the elastic piece, and the tip support piece extends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a coupling part of the terminal.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외면으로 개방되게 리테이너공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부에 삽입되어 터미널안착공간의 내면에 형성된 랜스에 의해 지지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항 중 어느 한 항의 터미널과,
상기 리테이너공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 후단을 지지하는 터미널지지부와 상기 터미널지지부와 연결목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의 탄성편 선단을 눌러 터미널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탭터미널에 밀착되게 하는 탄성편지지부를 포함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A housing through which the terminal seating space is formed and the retainer hole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seating space so as to open to one outer surface;
Claim 1 to claim 3 of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and supported by a lanc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Inserted into the retainer hole is installed through the terminal support and the terminal support for supporting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terminal and press the end of the elastic piece of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ting tap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And a retainer including an elastic knitted support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목에서 상기 탄성편지지부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터미널지지부와 연결되는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지지부가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전에는 리테이너공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고 상기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 사이의 결합이 완성되는 시점에서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 내면에 의해 눌러짐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The portion of the connecting neck which is connected to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ar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part connected to the terminal support part, so that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retainer hole before the mating connector. And a portion of which is pushed by the inner side of the mating housing of the mating connector at a time when a portion protrudes and the mating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mating terminal is comple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지지부의 일측 외면에는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단차와 연동되는 가이드경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6.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guide inclination is form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knitted support part to be interlocked with a guide step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ating housing of the mating connector.
KR1020100132150A 2010-12-22 2010-12-22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KR201200707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150A KR20120070721A (en) 2010-12-22 2010-12-22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150A KR20120070721A (en) 2010-12-22 2010-12-22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721A true KR20120070721A (en) 2012-07-02

Family

ID=4670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150A KR20120070721A (en) 2010-12-22 2010-12-22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072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43Y1 (en) * 2013-12-17 2015-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Connector
KR20180022009A (en) * 2016-08-23 2018-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20210002220A (en) * 2019-06-28 2021-01-07 주식회사 경신 Module type connector
KR20240001931A (en) 2022-06-28 2024-01-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643Y1 (en) * 2013-12-17 2015-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Connector
KR20180022009A (en) * 2016-08-23 2018-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20210002220A (en) * 2019-06-28 2021-01-07 주식회사 경신 Module type connector
KR20240001931A (en) 2022-06-28 2024-01-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539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reliable waterproof performance
CN102195153B (en) Board terminal
CN109119785B (en) Power supply connector
KR20130023148A (en) Rubber plug and waterproof connector
US20130164996A1 (en) Connector
KR20120070721A (e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US10283902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US11158972B2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KR101707144B1 (en) Connector
CN204516961U (en) Electric connector
KR200437689Y1 (en) Connector
KR200442919Y1 (en) A connector
KR20170004802A (en) Waterproof connector housing
KR100955052B1 (en) Connector
KR102076325B1 (en) Electric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 connector
KR200466960Y1 (en) connector
KR200450639Y1 (en) Terminal
KR20140083826A (en) Connector
KR200476338Y1 (en) Connector
KR20090129229A (en) Connector assembly
KR200464159Y1 (en) Tab terminal and terminal assembly having this
KR20090073779A (en) Receptacle terminal
US10544765B2 (en) Connector device
KR20100002986A (en) Connector
US1015818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lamping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