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220A - Module type connector - Google Patents
Module typ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2220A KR20210002220A KR1020190077451A KR20190077451A KR20210002220A KR 20210002220 A KR20210002220 A KR 20210002220A KR 1020190077451 A KR1020190077451 A KR 1020190077451A KR 20190077451 A KR20190077451 A KR 20190077451A KR 20210002220 A KR20210002220 A KR 202100022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ulator
 - twisted
 - inner module
 - crimp terminal
 - mounting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형 통신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트위스트페어케이블의 인슐레이터가 꼬인 상태에서 인슐레이터 각각의 동일측 가장자리에서 노출되는 컨덕터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압착터미널, 인슐레이터의 풀림량을 저감시키기 위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부피로 규격화된 채 트위스트페어케이블의 플라스틱 커버와 인슐레이터와 압착터미널을 고정하는 이너모듈, 및 규격화 또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이너모듈을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연통홀을 통공하는 아우터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적어도 꼬인 2 가닥의 인슐레이터(insulator)의 각 가닥을 비교적 작은 부피의 이너모듈에 끼움 조립 후, 이너모듈을 기존의 아우터하우징에 조립함으로써, 도체인 컨덕터(conductor)의 외층을 형성하는 인슐레이터끼리의 꼬임을 최대한 유지하고, 이너모듈의 픽세이션(fixation)을 통해 꼬인 인슐레이터를 감싸는 플라스틱 커버(plastic cover)를 지지하여 고정함에 따라 차량의 진동이나 조립시에 발생될 수 있는 인슐레이터의 꼬임 풀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in a state in which the insulator of a twisted pair cable is twisted, a crimp terminal individually connected to a conductor exposed at the same edge of each insulator, within a possible range to reduce the amount of loosening of the insulator. The inner module that fixes the plastic cover of the twisted pair cable, the insulator and the crimp terminal while standardized to the minimum volume, and communication holes that are standardized or made in various sizes and open to both s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insert and fix the inner modu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er housing through the hole.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by assembling each strand of at least two twisted insulators into an inner module of a relatively small volume, and then assembling the inner module to an existing outer housing, the outer layer of a conductor Insulators that may occur during vehicle vibration or assembly by maintaining the twist of the insulators forming the insulator as much as possible, and supporting and fixing the plastic cover surrounding the twisted insulator through the fixation of the inner module. It can further prevent the twisting of the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듈형 통신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꼬인 2 가닥의 인슐레이터(insulator)의 각 가닥을 비교적 작은 부피의 이너모듈에 끼움 조립 후, 이너모듈을 기존의 아우터하우징에 조립함으로써, 도체인 컨덕터(conductor)의 외층을 형성하는 인슐레이터끼리의 꼬임을 최대한 유지하고, 이너모듈의 픽세이션(fixation)을 통해 꼬인 인슐레이터를 감싸는 플라스틱 커버(plastic cover)를 지지하여 고정함에 따라 차량의 진동이나 조립시에 발생될 수 있는 인슐레이터의 꼬임 풀림을 더욱 방지하고자 하는 모듈형 통신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by assembling each strand of an insulator of at least two twisted strands into an inner module having a relatively small volume, and then assembling the inner module to an existing outer housing, The insulators that form the outer layer of the conductor, which form the outer layer of the conductor, are kept twisted as much as possible, and the plastic cover surrounding the twisted insulator is supported and fixed through the fixation of the inner module. It relates to a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to further prevent twisting of an insulator that may occur during assembly.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신호 및 데이터 전송 분야에서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코어(절연 시스(sheath)에 의해 둘러싸인 도전체)가 쌍으로(in pairs) 함께 트위스트된(twisted) 케이블에 대한 이름이다. 한 쌍의 코어가 평행하게 진행하는 케이블과 비교하여,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트위스트된 한 쌍의 코어 덕분에, 교차하는 외부 자기장 및 정전기 효과로부터 더 잘 보호되며, 그 이유는, 한 쌍의 코어가 트위스트 됨으로 인해 신호 전송이 대칭적(symmetrical)인 경우, 외부 장(external field)에 의한 효과가 대부분 서로 상쇄(cancel each other out)되기 때문이다.Twisted pair cables have long been known in the field of signal and data transmission. Twisted pair cable is the name for a cable in which a core (conductor surrounded by an insulating sheath) is twisted together in pairs. Compared to a cable with a pair of cores running in parallel, a twisted pair cable is better protected from intersecting external magnetic fields and electrostatic effects, thanks to the twisted pair of cores, because the pair of cores is This is because when the signal transmission is symmetrical due to being twisted, the effect of the external field is canceled each other out.
삽입형 커넥터는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아이템(item), 예컨대,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도전성인 커넥션(connection)과 함께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Plug-in connectors are used to connect an electrically conductive item, eg, a cable,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이 종래의 삽입형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 추후 제거될 코어를 둘러싸는 외부 보호 시스(outer protective sheath)의 정의된 부분이 제공되고, 이 부분은, 코어가 삽입형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서 가이드 되는 하나이다. 절연이 프리된(freed) 코어의 이러한 단부들은, 그 후 삽입형 커넥터의 접촉 요소에 튼튼하게 연결된다. 접촉 요소들은 하우징에서 고정 상태(fixed state)가 된다. 하우징 내에서, 즉, 보호 시스가 제거된 부분의 길이에 대해, 코어는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연장된다.When a twisted pair cable is connected to a conventional plug-in connector, a defined portion of an outer protective sheath surrounding the core to be removed later is provided, this portion of which the core is guided within the housing of the plug-in connector. Is one. These ends of the freed core are then rigidly connected to the contact elements of the plug-in connector. The contact elements are in a fixed state in the housing. Within the housing, ie to the length of the portion from which the protective sheath has been removed, the core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관련 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9121호(발명의 명칭: 트위스트페어 통신 커넥터, 공개일: 2008.03.03.)가 있다.As a related technology, there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19121 (title of the invention: Twisted Pair communication connector, publication date: March 3, 2008).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technology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conventional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기존의 트위스트페어 통신케이블은 수커넥터의 외부도체를 한 가닥씩 손으로 잡고 암커넥터의 입구를 향하여 밀어 넣음으로써 결합 되는데, 삽입 과정에서 비교적 긴 구간에서 꼬임이 풀림으로써,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로 인해 통신 등 작동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Existing twisted pair communication cables are connected by holding the outer conductor of the male connector one by one by hand and pushing it toward the inlet of the female connector.The twist is loosened in a relatively long section during the insertion process, so communication due to the change in characteristic impedance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error occurs.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꼬인 적어도 2 가닥의 인슐레이터(insulator)의 각 가닥을 비교적 작은 부피의 이너모듈에 끼움 조립 후, 이너모듈을 기존 또는 설정된 부피의 아우터하우징에 조립함으로써, 도체인 컨덕터(conductor)의 외층을 형성하는 인슐레이터끼리의 꼬임을 최대한 유지하고자 하는 모듈형 통신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fter assembling each strand of an insulator of at least two twisted strands into an inner module having a relatively small volume, the inner module is attached to an existing or set volume outer hous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in which twisting between insulators forming an outer layer of a conductor, which is a conductor, is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은 이너모듈의 픽세이션(fixation)을 통해 꼬인 인슐레이터를 감싸는 플라스틱 커버(plastic cover)를 지지하여 고정함에 따라 차량의 진동이나 조립시에 발생될 수 있는 인슐레이터의 꼬임이 풀리는 현상을 줄여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를 방지함에 따라 통신 에러 발생을 차단하고자 하는 모듈형 통신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nd fixes a plastic cover surrounding a twisted insulator through a fixation of the inner module, thereby reducing vibration of the vehicle or the phenomenon of untwisting of the insulator that may occur during assembl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to block the occurrence of communication errors by preventing the change of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통신 커넥터는: 트위스트페어케이블의 인슐레이터가 꼬인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터 각각의 동일측 가장자리에서 노출되는 컨덕터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압착터미널; 상기 인슐레이터의 풀림량을 저감시키기 위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부피로 규격화된 채 상기 트위스트페어케이블의 플라스틱 커버와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압착터미널을 고정하는 이너모듈; 및 규격화 또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너모듈을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연통홀을 통공하는 아우터하우징을 포함한다.The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imp terminal individually connected to a conductor exposed from the same side edge of each of the insulators in a state in which the insulator of a twisted pair cable is twisted;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loosening of the insulator, an inner module for fixing the plastic cover of the twisted pair cable, the insulator and the crimp terminal while standardized to a minimum volume within a possible range; And an outer housing made of standardized or various sizes and passing through communication holes that are opened to both sides along an axial direction to insert and fix the inner module.
상기 이너모듈은, 상기 연통홀에 축 삽입되고, 상기 압착터미널을 일대일 축 삽입 허용하도록 축 방향으로 장착홀을 통공한 이너하우징; 및 상기 이너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꼬인 상태의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플라스틱 커버를 지지 고정하는 픽세이션을 포함한다.The inner module may include an inner housing that is axially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hole, and through a mounting hole in an axial direction to allow a one-to-one shaft insertion of the crimp terminal; And a fix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s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housing and supporting and fixing the insulator and the plastic cover in a twisted state.
상기 이너모듈은, 상기 압착터미널이 상기 장착홀에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미널고정부; 및 상기 픽세이션을 상기 이너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The inner module may include a terminal fixing part that prevents the crimp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hole in the direction of being inserted; And a coupling part separably coupling the fixation to the inner housing.
상기 터미널고정부는, 상기 장착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이너블록; 상기 압착터미널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너블록에 의해 탄성 변형 된 후 상기 이너블록을 지나면서 탄성 복원됨에 따라 상기 이너블록에 걸리는 탄성리브; 상기 이너하우징의 둘레면에 일부 절개되어 상기 장착홀까지 연결되게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에 끼움되며, 상기 장착홀에 장착된 상기 압착터미널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The terminal fixing part may include an inner block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An elastic rib that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compression terminal and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inner block and then is elastically resto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ner block, so that the elastic rib is caught on the inner block; A cutout part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hole by being partially cut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a stopper that is fitted to the incision and prevents the compression terminal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from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이너하우징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 상기 결합돌부에 대응되는 상기 이너하우징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상기 픽세이션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홀더; 및 한 쌍의 상기 홀더의 마주하는 가장자리 각각 또는 어느 하나의 상기 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를 수용하는 결합홈부를 포함한다.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Holders extending from both edges of the fixture so as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in each of the opposite edges of the pair of holders or in any one of the holders to receive the coupling protrusion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통신 커넥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꼬인 적어도 2 가닥의 인슐레이터(insulator)의 각 가닥을 비교적 작은 부피의 이너모듈에 끼움 조립 후, 이너모듈을 기존 또는 설정된 부피의 아우터하우징에 조립함으로써, 도체인 컨덕터(conductor)의 외층을 형성하는 인슐레이터끼리의 꼬임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after assembling each strand of at least two twisted insulators into an inner module of a relatively small volume, the inner module is replaced with an existing or set volume. By assembling in the outer housing of the conductor, it is possible to keep the twist of the insulators forming the outer layer of the conductor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은 이너모듈의 픽세이션(fixation)을 통해 꼬인 인슐레이터를 감싸는 플라스틱 커버(plastic cover)를 지지하여 고정함에 따라 차량의 진동이나 조립시에 발생될 수 있는 인슐레이터의 꼬임이 풀리는 현상을 줄여 특성 임피던스의 변화를 방지함에 따라 통신 에러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nd fixes a plastic cover surrounding a twisted insulator through a fixation of the inner module, thereby reducing vibration of the vehicle or the phenomenon of untwisting of the insulator that may occur during assembly. By preventing the change of the communication error can be block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통신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통신 커넥터의 이너모듈과 로커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통신 커넥터의 이너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모듈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로커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터미널을 연결한 트위스트페어케이블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ner module and the locker are separat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odule of a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A-A' of FIG. 1.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B-B' of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rocker is removed from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isted pair cable connecting a crimp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통신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통신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통신 커넥터의 이너모듈과 로커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odule and a locker of the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통신 커넥터의 이너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모듈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module of a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A-A'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B-B' of FIG. 1.
도 7은 도 6에서 로커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터미널을 연결한 트위스트페어케이블의 사시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cker is removed from FIG. 6,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isted pair cable connecting a crimp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통신 커넥터(100)는 압착터미널(200), 이너모듈(300) 및 아우터하우징(400)을 포함한다.1 to 8, a 
         압착터미널(200)은 트위스트페어케이블(10)의 도체 부분인 컨덕터(conductor,14)를 압착 연결하고, 도전체이다. 압착터미널(20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The 
         특히, 트위스트페어케이블(10)은 컨덕터(14), 인슐레이터(insulator,12) 및 플라스틱 커버(16)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컨덕터(14)는 구리선 등 도체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2 가닥으로 이루어지며, 나선상 궤적을 따라 배열된 채 꼬여있다. 이때, 적어도 2 가닥의 컨덕터(14) 간의 꼬임 거리와 각 컨덕터(14)의 굵기에 의해, 특성 임피던스가 결정된다.The 
         인슐레이터(12)는 꼬인 상태의 각 컨덕터(14)를 절연하기 위해 컨덕터(14)를 일대일로 감싸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인슐레이터(12)가 꼬여있는 상태가 된다.The 
         플라스틱 커버(16)는 인슐레이터(12)끼리의 꼬임을 방지하고 절연층을 증가시키기 위해 꼬인 상태의 인슐레이터(12)끼리의 외피를 형성한다.The 
         특히, 기존에, 작업자는 꼬인 상태의 컨덕터(14) 각각을 손으로 잡고 비교적 큰 부피의 아우터하우징(400)에 직접 삽입함에 따라, 컨덕터(14)끼리의 설정 범위 이상의 구간에서 풀림에 의한 제조 산포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써, 설정 수치를 벗어난 특성임피던스 값에 의해, 통신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In particular, conventionally, as the operator holds each of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컨덕터(14) 각각은 비교적 작은 부피의 이너모듈(300)에 끼워지고, 이너모듈(300)이 비교적 부피가 큰 아우터하우징(400)에 조립된다. 이는, 꼬인 컨덕터(14)끼리의 풀림 구간이 최소화하기 위함이다.To prevent this, each of the 
         다시 말해서, 이너모듈(300)은 인슐레이터(12)의 풀림량을 저감시키기 위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부피로 규격화된 채 트위스트페어케이블(10)의 플라스틱 커버(16), 인슐레이터(12) 및 압착터미널(20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loosening of the 
         그리고, 아우터하우징(400)은 규격화 또는 설정된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트위스트페어케이블(10)을 삽입 고정한 이너모듈(300)을 조립하여 고정한다. 그래서, 아우터하우징(400)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연통홀(410)을 통공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이너모듈(300)은 이너하우징(inner housing,310), 픽세이션(fixation,320), 터미널고정부(330) 및 결합부(340)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이너하우징(310)은 아우터하우징(400)의 연통홀(410)에 축 삽입되고, 압착터미널(200)을 일대일 축 삽입 허용하도록 축 방향으로 장착홀(312)을 통공한다. 이때, 이너하우징(310)은 자연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연통홀(410)에 삽입된 후 고정된다.The 
         픽세이션(320)은 이너하우징(310)의 축 방향으로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꼬인 상태의 인슐레이터(12)와 플라스틱 커버(16)를 지지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즉, 픽세이션(320)이 플라스틱 커버(16) 일부와, 플라스틱 커버(16)의 축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노출된 꼬인 상태의 인슐레이터(12)를 지지 고정함에 따라, 적어도 2 가닥의 인슐레이터(12)는 꼬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at is, as the 
         물론, 픽세이션(3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아울러, 터미널고정부(330)는 압착터미널(200)이 장착홀(312)에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고정부는 픽세이션(320)을 이너하우징(3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serves to allow the 
         상세히, 터미널고정부(330)는 이너블록(332), 탄성리브(334), 절개부(336) 및 스토퍼(338)를 포함한다.In detail, the 
         이너블록(332)은 압착터미널(200)에 일대일 대응되는 장착홀(312) 각각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이너블록(332)은 압착터미널(200)의 삽입을 허용하는 크기로 장착홀(312)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물론, 이너블록(33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The 
         탄성리브(334)는 압착터미널(200)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너블록(332)에 의해 탄성 변형 된 후 이너블록(332)을 지나면서 탄성 복원됨에 따라 이너블록(332)에 걸린다. 이로써, 압착터미널(200)이 장착홀(312)에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물론, 탄성리브(334)는 다양한 형상으로 압착터미널(200)에 각각 구비된다.The 
         절개부(336)는 이너하우징(310)의 둘레면에 일부 절개되어 상기 장착홀(312)까지 연결되게 형성된다. The 
         그리고, 스토퍼(338)는 절개부(336)에 끼움되며, 장착홀(312)에 장착된 압착터미널(200)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압착터미널(200)은 스토퍼(338)를 수용하도록 위치설정홈(339)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결과적으로, 압착터미널(200) 각각은 이너블록(332)에 걸리는 탄성리브(334), 위치설정홈(339)에 끼워지는 스토퍼(338)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As a result, each of the 
         또한, 결합부(340)는 결합돌부(342), 홀더(344) 및 결합홈부(346)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결합돌부(342)는 이너하우징(310)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다. 물론, 결합돌부(34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The 
         그리고, 홀더(344)는 결합돌부(342)가 위치한 이너하우징(310)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픽세이션(32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된다. 홀더(344)는 이너하우징(310)의 둘레면을 탄성 가압한다.And, the 
         결합홈부(346)는 한 쌍의 홀더(344)의 마주하는 가장자리 각각 또는 어느 하나의 홀더(344)에 형성되어 결합돌부(342)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The 
         따라서, 한 쌍의 홀더(344)가 이너하우징(310)의 둘레면을 탄성 가압한 채, 결합홈부(346)가 결합돌부(342)를 수용함으로써, 픽세이션(320)은 이너하우징(3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Therefore, while the pair of 
         그래서, 픽세이션(320)은 이너하우징(310)에 삽입되는 컨덕터(14)에서 연장되는 트위스트페어케이블(10)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한다.Thus, the 
         또한, 아우터하우징(400)은 이너모듈(300)을 조립 후 통전을 위해 상대물인 타커넥터(도시하지 않음)와 결합된다. 이때, 아우터하우징(400)은 타커넥터와 결합 또는 결합 해제를 위해 후커(420)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후커(420)는 일측이 타커넥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아울러, 작업자가 후커(420)의 타측을 누르게 되면, 후커(420)는 힌지 부위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탄성 변형이 이뤄지고, 이 후 타커넥터는 아우터하우징(4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물론, 후커(4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이때, 후커(420)의 타측이 임의적으로 눌려질 경우, 아우터하우징(400)과 타커넥터가 분리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other side of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중 안전 잠금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로커(430)가 구비된다.To prevent this, a 
         로커(430)는 후커(420)의 타측 하측에 끼워짐으로써, 후커(420)의 타측이 임의적으로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로커(430)는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아우터하우징(400)에 탄성적으로 강제 끼움된다. 물론, 로커(4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트위스트페어케이블    100: 모듈형 통신 케이블
200: 압착터미널           300: 이너모듈
310: 이너하우징           312: 장착홀
320: 픽세이션             330: 터미널고정부
332: 이너블록             334: 탄성리브
336: 절개부               338: 스토퍼
340: 결합부               342: 결합돌부
344: 홀더                 346: 결합홈부
400: 아우터하우징         410: 연통홀
420: 후커(hooker)         430: 로커(locker)10: twisted pair cable 100: modular communication cable
 200: crimp terminal 300: inner module
 310: inner housing 312: mounting hole
 320: Fixation 330: Terminal Fixation
 332: inner block 334: elastic rib
 336: incision 338: stopper
 340: coupling portion 342: coupling protrusion
 344: holder 346: coupling groove
 400: outer housing 410: communication hole
 420: hooker 430: locker
      
Claims (5)
상기 인슐레이터의 풀림량을 저감시키기 위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부피로 규격화된 채 상기 트위스트페어케이블의 플라스틱 커버와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압착터미널을 고정하는 이너모듈; 및
규격화 또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너모듈을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연통홀을 통공하는 아우터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통신 커넥터.
A crimp terminal individually connected to a conductor exposed from the same edge of each of the insulators while the insulators of the twisted pair cable are twisted;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loosening of the insulator, an inner module for fixing the plastic cover of the twisted pair cable, the insulator and the crimp terminal while standardized to a minimum volume within a possible range; And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er housing made of a standardized or various sizes, and through communication holes that are opened to both sides along an axial direction to insert and fix the inner module.
상기 연통홀에 축 삽입되고, 상기 압착터미널을 일대일 축 삽입 허용하도록 축 방향으로 장착홀을 통공한 이너하우징; 및
상기 이너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꼬인 상태의 상기 인슐레이터와 상기 플라스틱 커버를 지지 고정하는 픽세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통신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module,
An inner housing that is axially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hole and through a mounting hole in an axial direction to allow one-to-one shaft insertion of the crimp terminal; And
A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comprising: a fixtur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 front side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inner housing and supports and fixes the insulator and the plastic cover in a twisted state.
상기 압착터미널이 상기 장착홀에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미널고정부; 및
상기 픽세이션을 상기 이너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통신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inner module,
A terminal fixing part that prevents the crimp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unting hole in the direction of being inserted; And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comprising a coupling portion for detachably coupling the fixation to the inner housing.
상기 장착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이너블록;
상기 압착터미널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이너블록에 의해 탄성 변형 된 후 상기 이너블록을 지나면서 탄성 복원됨에 따라 상기 이너블록에 걸리는 탄성리브;
상기 이너하우징의 둘레면에 일부 절개되어 상기 장착홀까지 연결되게 형성되는 절개부; 및
상기 절개부에 끼움되며, 상기 장착홀에 장착된 상기 압착터미널이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통신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erminal fixing unit,
An inner block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An elastic rib that is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compression terminal and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inner block and then is elastically resto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ner block, so that the elastic rib is caught on the inner block;
A cutout part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hole by being partially cut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that is fitted to the cutout and prevents the crimp terminal mounted in the mounting hole from moving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이너하우징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
상기 결합돌부에 대응되는 상기 이너하우징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상기 픽세이션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홀더; 및
한 쌍의 상기 홀더의 마주하는 가장자리 각각 또는 어느 하나의 상기 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를 수용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통신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Holders extending from both edges of the fixture so as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groove formed in each of the opposite edges of the pair of holders or in any one of the holders to receive the coupling protrus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77451A KR102264931B1 (en) | 2019-06-28 | 2019-06-28 | Module typ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077451A KR102264931B1 (en) | 2019-06-28 | 2019-06-28 | Module type connecto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02220A true KR20210002220A (en) | 2021-01-07 | 
| KR102264931B1 KR102264931B1 (en) | 2021-06-15 | 
Family
ID=7412684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077451A Active KR102264931B1 (en) | 2019-06-28 | 2019-06-28 | Module typ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64931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4131249A1 (en) * | 2022-12-20 | 2024-06-27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 
| KR20250036585A (en) * | 2023-09-07 | 2025-03-14 | 주식회사 경신 | Modular ethernet connector with shielding 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347963B1 (en) | 2021-06-18 | 2022-01-07 | (주)케이아이기술단 | Communication Repeater | 
| KR102347968B1 (en) | 2021-06-21 | 2022-01-07 | (주)케이아이기술단 | Communication Connector Equipment For Connecting Indoor Communication Cables | 
| KR102347966B1 (en) | 2021-06-21 | 2022-01-07 | (주)케이아이기술단 | Communication Case For Connecting Indoor Cables | 
| KR102347970B1 (en) | 2021-06-22 | 2022-01-07 | (주)케이아이기술단 | Communication Connector Equipment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2069258A (en) * | 2010-09-21 | 2012-04-05 | Yazaki Corp | Connector | 
| KR20120070721A (en) * | 2010-12-22 | 2012-07-0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 
| JP2013025957A (en) * | 2011-07-19 | 2013-02-04 | Yazaki Corp | Shield connector | 
- 
        2019
        
- 2019-06-28 KR KR1020190077451A patent/KR10226493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2069258A (en) * | 2010-09-21 | 2012-04-05 | Yazaki Corp | Connector | 
| KR20120070721A (en) * | 2010-12-22 | 2012-07-0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 
| JP2013025957A (en) * | 2011-07-19 | 2013-02-04 | Yazaki Corp | Shield connector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4131249A1 (en) * | 2022-12-20 | 2024-06-27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 
| KR20250036585A (en) * | 2023-09-07 | 2025-03-14 | 주식회사 경신 | Modular ethernet connector with shielding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64931B1 (en) | 2021-06-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264931B1 (en) | Module type connector | |
| US12266892B2 (en) | Connectors and contact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 |
| US12347973B2 (en) | Connector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 |
| EP0105723B1 (en) | A connector for shielded cable | |
| US8591268B2 (en) | Electrical plug-in connector and electrical plug-in connection | |
| US7601029B2 (en) |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it and shielded cable harness | |
| JP5922442B2 (en) | Coaxial connector | |
| US20200005966A1 (en) | Cable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 | |
| KR20100053578A (en) | Electrical termination device | |
| JP6341528B2 (en) | Elastic bush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 |
| JP6244332B2 (en) | Connector an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 |
| CN113841302A (en) | Contact carrier for shielding a hybrid contact assembly and plug connector | |
| US11688970B2 (en) | Cable connector having over-molded strain relief member formed from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 |
| CN111771307A (en) | Electrical shielding members for network connectors | |
| US6309250B1 (en) | Coaxial connector termination | |
| KR100382175B1 (en) |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coaxial cable management system | |
| US6200163B1 (en) |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means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a high speed cable | |
| CN115668659A (en) | Cable assembly with dielectric clamshell connector for impedance control | |
| CN111834793A (en) | Connector for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cable and its shell structure | |
| WO2008070558A2 (en) | Multi-position coaxial connector system | |
| JP7206906B2 (en) | Terminal modules and connectors | |
| EP1120867B1 (en) | High speed, shielded cable assembly | |
| US20250316930A1 (en) | Shield connector | |
| CN111864434B (en) | Electric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 JP2024068587A (en) | Connector, connector with cable and connector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5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