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009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009A
KR20180022009A KR1020160106742A KR20160106742A KR20180022009A KR 20180022009 A KR20180022009 A KR 20180022009A KR 1020160106742 A KR1020160106742 A KR 1020160106742A KR 20160106742 A KR20160106742 A KR 20160106742A KR 20180022009 A KR20180022009 A KR 20180022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elastic arm
seating space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67021B1 (en
Inventor
고경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6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021B1/en
Publication of KR2018002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0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0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2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one or more pieces being of resili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10). A housing (12) forms the outer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seating space (14)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housing (12) in front and rear directions. A terminal (40) is provided in it. An opening (18) is formed to connect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 The opening (18) has an elastic arm (20)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40). A support terminal (22) protrudes from the end of the elastic arm (20) in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A checking protrusion (28) protrudes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housing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terminal (22) supports the terminal (40) more firml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nsertion state of the terminal (40) through the checking protrusion (28).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whether the terminal is incorrectly inserted.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에 터미널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for preventing a terminal from being erroneously inserted while firmly fixing a terminal in the housing.

커넥터는 절연 재질로 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된 도전성 재질의 터미널로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은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 또는 상대물의 버스바 등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The connector is composed of a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a termina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placed inside the housing. Th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or the bus bar of the mating object.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안착될 때, 정확한 방향으로 삽입되어야 랜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만약에 터미널이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방향이 잘못되면 터미널이 하우징 내에 들어갈 수는 있지만, 하우징에 고정되지 않게 되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시에 밀려 하우징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terminal is inserted and seated inside the housing, it must be inserted in the correct direction and fixed by the lance. If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s wrong, the terminal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but is not fixed to the housing, and is pushed out of the housing when paired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그리고, 터미널 끼리의 결합에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랜스만으로 터미널이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있지 못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리어홀더나 프론트홀더를 사용하여 터미널의 밀림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리어홀더나 프론트홀더를 사용하게 되면,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a large force is applied to the terminals, the terminal is not fixed to the housing by only the lanc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case, the rear holder or the front holder is separately used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thrown. However, if a rear holder or a front holder is used,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connector increases.

또한, 작업자가 터미널이 하우징의 내부에 제대로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이와 같은 상태를 일견하여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가 별도의 절차를 거쳐서 터미널이 정위치에 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confirm whether the terminal is proper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In the past, such a situation can not be confirmed at a glance.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for the operator to check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fixed in place through a separate procedur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5381호Korean Patent No. 10-146538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2713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9-027130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이 하우징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터미널의 오삽입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it possible to firmly fix a terminal in a housing and to easily confirm whether or not a terminal is erroneously inser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에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를 통해서 터미널을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터미널의 오삽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curely fix a terminal to a housing through a structure integrally provided in a housing, and to confirm whether or not a terminal is erroneously inser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안착되고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에 위치되는 탄성아암과, 상기 탄성아암의 선단에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 걸어지는 지지단과, 상기 탄성아암의 선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확인돌기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housing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having a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therethrough; a terminal mount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 resilient arm which is located at an open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seating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outside; a supporting end protru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resilient arm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and hook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And a check protrusion protruding outside the housing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탄성아암은 상기 터미널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터미널과 나란히 상기 개구부 내에서 연장된다.The resilient arm extends within the opening alongside the termina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extends.

상기 지지단에는 안내경사면이 상기 탄성아암의 기저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터미널에 걸어지는 터미널지지면이 형성된다.The support end is formed with a guide slope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base of the elastic arm, and on the opposite side, a terminal support surface for hanging to the terminal is formed.

상기 확인돌기에서 상기 탄성아암의 선단에 해당되는 모서리에는 쳄퍼가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선단에 안내되어 탄성아암이 탄성변형되도록 한다.A chamfer is formed at an edge of the check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resilient arm so that the resilient arm is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guided by the tip of the housing of the mating connector.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확인채널이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확인돌기는 상기 쳄퍼의 하단이 상기 확인채널 내에 위치되도록 확인채널에서 일부가 돌출된다.I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 check channel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check protrusion is partially protruded from the check channel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checker is positioned within the check channel.

상기 탄성아암에서 상기 확인돌기 쪽의 표면 폭방향 양측에는 보강벽이 형성되어 외력을 지지한다.A reinforcing wall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surface width direction of the check projection side of the elastic arm to support the external force.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는 상기 탄성아암의 반대쪽으로 상기 터미널에 선단이 걸어지는 외팔보 형상의 랜스가 더 구비되어 상기 지지단과 함께 터미널을 지지한다.The terminal seating space further includes a cantilevered lance whose tip is hooked on the terminal opposite to the elastic arm, so as to support the terminal together with the support terminal.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외부와 터미널안착공간을 연통시키는 관통부에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아암을 두고, 상기 탄성아암의 자유단부에 지지단을 두어 터미널을 일단을 지지하여 터미널이 밀리지 않도록 하고, 상기 탄성아암에서 상기 지지단의 반대쪽으로 확인돌기를 두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작업자가 확인돌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아암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터미널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터미널의 오조립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arm capable of elastically deforming is provided in a through portion communicating the outside of the housing with the terminal seating space, a support end is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elastic arm to support the terminal at one end to prevent the terminal from being pushed, An arm is provided with a check protrus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end so that the operator can check the position of the check protrusion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the terminal with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elastic arm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and to confirm whether the terminal is misassembl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지지단과 터미널의 오조립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돌기가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아암에 각각 일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구성하는 부품을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projections, which serve to support the terminals, and the confirmation projections for confirming the misassembly of the terminals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elastic arm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various functions can be achieved while minimiz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확인돌기가 하우징 외면의 확인채널 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도록 하였으므로, 전체적으로 커넥터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firmation protrus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s exposed at least partly in the confirmation channel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size of the connector as a whole can be relatively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터미널이 오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터미널이 오조립된 상태로 상대 커넥터측과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rmina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housing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erminal assembl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terminal is joined to the mating connector side in a state where the terminal is assembl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10)의 외관을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하우징(12)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공간(14)이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은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만 형성되어 있는데,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housing 12 forms the appearance of the connector 1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re is a terminal seating space 14 through which the housing 12 passes back and forth. Although only one terminal seating space 14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ily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and a plurality of terminal seating spaces 14 may be formed.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의 내면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선단 방향을 향해 연장되게 랜스(16)가 있다. 상기 랜스(16)는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랜스(16)의 선단이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의 걸이부(45)에 걸어지면 상대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터미널안착공간(14)으로 삽입될 때 터미널(40)이 밀리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랜스(16)는 외팔보 형상이고 자유단부가 상대 터미널이 진입하는 쪽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And a lance 16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housing 12. The lance 16 is capable of som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When the tip of the lance 16 is hooked on the hook portion 45 of the terminal 40 to be described below, the terminal 40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when an opponent terminal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do. To this end, the lance 16 is formed in a cantilevered shape and its free end extends to the side where the relative terminal enters.

상기 하우징(12)의 일측 외면으로 개구되게 개구부(18)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8)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과 하우징(12)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된다. 상기 개구부(18)에는 탄성아암(20)이 있다. 상기 탄성아암(20)은 상기 랜스(16)의 연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탄성아암(20)은 탄성변형가능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탄성아암(20)은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에서 상기 랜스(16)가 있는 쪽의 반대쪽에 있고, 상기 탄성아암(20)과 랜스(16)는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탄성아암(20)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터미널(40)과 나란히 상기 개구부(18) 내에서 연장된다.An opening (18) is formed to open to the out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housing (12). The opening 18 allows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opening (18) has an elastic arm (20). The elastic arm 20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ance 16. [ The elastic arm 20 is made elastically deformable. The resilient arm 20 is located opposite the side where the lance 16 is locat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and the resilient arm 20 and the lance 16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the resilient arm 20 extends within the opening 18 alongside the terminal 4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40 extend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탄성아암(20)의 선단에는 지지단(22)이 있다. 상기 지지단(22)은 상기 탄성아암(20)의 자유단부 쪽에서 탄성아암(20)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탄성아암(20)에서 상기 지지단(22)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쪽으로 돌출된다.At the distal end of the elastic arm 20, there is a supporting end 22. The supporting end 22 protrudes from the free end side of the elastic arm 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elastic arm 20. [ That is, the support end 22 of the elastic arm 20 protrudes toward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상기 지지단(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40)의 결합부(43) 후단이 지지된다. 상기 지지단(22)이 터미널(40)의 결합부(43) 후단을 지지함에 의해 터미널(40)이 터미널안착공간(14) 내에서 밀리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랜스(16)도 상기 지지단(22)과 같은 역할을 한다.The supporting end 22 is supported at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43 of the terminal 40 to be described below. The supporting end 22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43 of the terminal 40 so that the terminal 40 is not push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 Of course, the lance 16 also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support end 22.

상기 지지단(22)에는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경사면(24)과 터미널지지면(26)이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24)은 상기 탄성아암(20)의 기저부쪽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안내경사면(24)은 터미널(40)이 삽입될 때, 상기 지지단(22)에 터미널(40)이 걸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아암(20)이 탄성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지지면(26)은 상기 지지단(22)중에서 상기 탄성아암(20)의 자유단부 쪽에 있다. 상기 터미널지지면(26)에는 터미널(40)의 결합부(43) 후단이 접촉된다.As shown in FIG. 4, the support end 22 has a guide slope 24 and a terminal support surface 26. The guide slope 24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base of the elastic arm 20. The guide slope 24 prevents the terminal 40 from being hung on the support end 22 when the terminal 40 is inserted and allows the elastic arm 20 to be elastically deformed. The terminal support surface 26 is on the free end side of the elastic arm 20 among the support ends 22. The rea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43 of the terminal 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 supporting surface 26.

상기 탄성아암(20)에는 또한 확인돌기(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인돌기(28)는 상기 탄성아암(20)의 자유단부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확인돌기(28)는 하우징(12)의 외부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8)에 위치하여 하우징(12)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확인돌기(28)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The elastic arm 20 is also formed with a check projection 28 integrally therewith. The check protrusion 28 protrudes from the free end of the elastic arm 2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 The check protrusion 28 is located in the opening 18 so as to be easily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 and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2. The check protrusion 28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상기 확인돌기(28)의 선단 모서리에는 쳄퍼(30)가 형성된다. 상기 쳄퍼(30)는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10)를 상대 커넥터와 결합할 때, 확인돌기(28)가 걸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터미널(40)이 하우징(12)에 정확하게 삽입되었을 경우에만 그러하다.A chamfer (30) is formed at the leading edge of the confirmation projection (28). The chamfer 30 serves to prevent the check projection 28 from being caught when the connector 1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the mating connector. Of course, this is the case only when the terminal 40 is correctly inserted into the housing 12.

상기 탄성아암(20)에서 상기 확인돌기(28)가 형성된 쪽의 폭방향 양측을 따라서는 보강벽(32)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벽(32)은 상기 탄성아암(20)에 지나치게 큰 힘이 가해졌을 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벽(32)은 상기 탄성아암(20)이 상기 개구부(18)의 외부로 돌출되게 큰 외력을 받는 경우에 탄성아암(20)이 파손되지 않도록 버틸 수 있게 한다. 상기 보강벽(32)은 상기 탄성아암(20) 자체의 강성을 적절하게 설계하였을 경우에는 반드시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A reinforcing wall 32 is formed along both widthwise sides of the elastic arm 20 on which the confirmation projections 28 are formed. The reinforcing wall 32 prevents the elastic arm 20 from being damaged when an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elastic arm 20. The reinforcing wall 32 allows the resilient arm 20 to be held so as not to break when the resilient arm 20 receives a large external force so as to protrude out of the opening 18. The reinforcing wall 32 may not necessarily be used when the rigidity of the elastic arm 20 itself is appropriately designed.

상기 하우징(12)의 외면에는 확인채널(34)이 있는데, 상기 확인채널(34)에 상기 개구부(18)가 형성되고, 상기 확인돌기(28)는 상기 확인채널(34)에서 상기 쳄퍼(30) 부분 정도가 돌출되게 만들어진다. 이는 상대 커넥터와의 조립시에 상기 확인돌기(28)가 눌러지면서 상기 지지단(22)이 확실하게 터미널(40)의 결합부(43)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확인채널(34) 내에 상기 확인돌기(28)가 대부분 위치함에 의해 전체 하우징(12)의 크기가 커지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A confirmation channel 3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2 and the opening 18 is formed in the confirmation channel 34. The confirmation protrusion 28 is formed in the confirmation channel 34 ) Portion is made to protrude. This is to ensure that the supporting end 22 can be surely supported at the end of the engaging part 43 of the terminal 40 by pressing the confirming projection 28 when assembled with the mating connector. The size of the entire housing 12 is not increas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check protrusion 28 in the check channel 34 as described above.

상기 개구부(18)가 형성된 반대쪽의 하우징(12) 외면에는 체결레버(36)가 있다. 상기 체결레버(36)는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일종의 외팔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체결레버(36)의 일측에는 체결턱(37)이 있어서 상대 커넥터의 일측에 걸어진다. 도면부호 38)은 체결레버(36)에 임의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보호가이드이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2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opening 18 is formed, a locking lever 36 is provided. The coupling lever 36 is for coupling with the mating connector and has a cantilever shape. A locking jaw 37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lever 36 and is hooked on one side of the mating connector. Reference numeral 38 denotes a protection guide for preventing any external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locking lever 36.

터미널(40)은 도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40)은 고전압용이다. 따라서, 터미널(40)을 만들기 위한 재료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다. 상기 터미널(40)에는 몸체부(41)가 있다. 상기 몸체부(41)의 일측에 결합부(43)가 있다. 상기 결합부(43)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의 공간이 선단과 후단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43)의 일측에는 걸이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45)는 홈 또는 관통부 형태인데, 상기 랜스(18)의 선단이 걸어진다.The terminal 40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The terminal 40 is for high voltage.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for making the terminal 40 is relatively thick. The terminal 40 has a body 41. A coupling portion 4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41. The engaging portion 43 has a flat hexahedral shape and an inner space thereof is opened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 hook portion 4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43. The hooking portion 45 is in the form of a groove or a through-hole, and the distal end of the lance 18 is hooked.

상기 터미널(40)에서 상기 결합부(43)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몸체부(41)로는 바렐부(47)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47)에는 전선(50)이 압착되어 연결된다. 상기 바렐부(47)는 도 3에서는 압착되지 않은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바렐부(47)는 인슐레이션바렐과 와이어바렐로 나누어진다.A barrel portion 47 is provided at the terminal 40 in the body portion 41 opposite to the engaging portion 43. The wire 50 is pressed and connected to the barrel portion 47. The barrel portion 47 is not shown in Fig. 3. The barrel portion 47 is divided into an insulation barrel and a wire barrel.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10)의 하우징(12)에 터미널(40)이 설치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터미널(40)은 와이어(50)가 바렐부(4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의 터미널안착공간(14)에 삽입된다. 도 1을 기준으로 하우징(12)의 좌측에서 터미널(40)의 선단이 터미널안착공간(14)에 삽입된다.The terminal 4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2 of the connector 1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4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of the housing 12 in a state where the wire 50 is coupled to the barrel portion 47. 1, the tip of the terminal 4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from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12.

상기 터미널(40)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부(45)가 형성된 쪽의 결합부(43)에는 상기 랜스(16)가 접촉되어 안내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랜스(16)는 약간 탄성변형되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의 벽쪽으로 밀리게 된다.The lance 1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ngaging part 43 on the side where the hooking part 45 is forme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erminal 40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 In this process, the lance 16 is slightly elastically deformed and pushed toward the wall of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터미널(40)이 계속하여 터미널안착공간(14)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랜스(16)의 선단이 상기 걸이부(45)를 만나게 되면 상기 랜스(17)의 선단이 상기 걸이부(45)에 걸어지게 된다. 이 동안에 상기 터미널(40)의 결합부(45) 반대쪽 표면은 상기 탄성아암(20)을 따라 안내되다가 상기 지지단(22)의 안내경사면(24)을 만나면 상기 탄성아암(20)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이동한다.When the terminal 40 continues to enter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and the tip of the lance 16 meets the hooking part 45, the tip of the lance 17 is hooked on the hooking part 45 . The surface of the terminal opposite to the engaging portion 45 of the terminal 40 is guided along the elastic arm 20 and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elastic arm 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ing slant surface 24 of the supporting end 22 Move.

상기 지지단(22)이 상기 결합부(45)의 끝부분을 지나게 되면 상기 지지단(22)에 의해 상기 탄성아암(20)이 탄성변형되도록 하던 힘이 제거되면서 상기 탄성아암(20)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When the supporting end 22 passes the end of the engaging part 45, the elastic arm 2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supporting end 22, As shown in FIG. Such a state is shown in Figs. 1 and 2. Fig.

이와 같이 터미널(40)이 하우징(12)의 터미널안착공간(14)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안착되면, 상기 랜스(16)의 선단이 상기 터미널(40)의 걸이부(45)에 걸어지고, 상기 지지단(22)의 터미널지지면(26)이 상기 결합부(43)의 단부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터미널(4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밀리지 않는다. 상기 터미널(4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은 주로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시에 발생한다.When the terminal 40 is correctly inserted and seat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of the housing 12, the tip of the lance 16 is hooked on the hook 45 of the terminal 40, The terminal support surface 26 of the step 22 is supported at the end of the engagement portion 43. [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In this stat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erminal 40, it is not easily pushe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erminal 40 mainly when the terminal 40 is engaged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한편,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으로 터미널(40)을 뒤집어서 삽입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랜스(16)가 있는 쪽에 상기 걸이부(45)가 있는 쪽이 가지 않고 반대로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랜스(16)가 상기 걸이부(45)에 걸어질 수 없고, 상기 지지단(22)도 상기 터미널(40)의 결합부(43) 단부에 걸어질 수 없다. 특히, 상기 지지단(22)은 상기 결합부(43)와 몸체부(41)가 연결되는 부분에 안착되면서 상기 탄성아암(20)이 탄성변형된 상태, 즉 상기 확인돌기(28)가 상기 하우징(12)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게 한다.On the other hand, it may happen that the terminal 40 is insert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in an inverted manner. That is, the side where the lance 16 is present does not have the hooking part 45 but is reversed. In this case, the lance 16 can not be hooked on the hook 45 and the support end 22 can not be hooked on th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43 of the terminal 40. Particularly, the support end 22 is seated in a portion where the engaging portion 43 and the body portion 4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esilient arm 20 is elastically deformed, that is, (Not shown).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확인돌기(28)가 상기 하우징(1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게 되면 작업자가 터미널(40)이 잘못 조립된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터미널(40)을 하우징(12)에서 분리하고 조립방향을 바꿔서 터미널(40)을 하우징(12)의 터미널안착공간(14)으로 다시 삽입하면 된다.Such a state is shown in Fig. When the confirmation protrusion 28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at the terminal 40 is improperly assembled. In this case, the terminal 40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2 and the assembly direction may be changed to insert the terminal 40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of the housing 12 again.

한편, 상기 확인돌기(28)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측(여기서는 정션블럭에 형성된 커넥터부)에 결합시키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확인돌기(28)가 하우징(1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상기 확인돌기(28)가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선단에 걸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state in which the check protrusion 28 is coupled to the mating connector side (here, a connector portion formed in the junction block) as shown in Fig. 6 in a state where the check protrusion 28 protrudes to the outside is shown. 6, the check protrusion 28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2, so that the check protrusion 28 is caught by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of the mating connector.

이때, 작업자가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더 큰 힘을 가할 수 있는데, 상기 보강벽(32)이 상기 탄성아암(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버텨주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operator does not engage the connector 10 with the mating connector, a larger force can be applied, and the reinforcing wall 32 is held to prevent the elastic arm 20 from being damaged.

그리고, 상기 터미널(40)이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터미널(40)의 삽입방향이 정확하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덜 삽입되면, 상기 지지단(22)이 완전히 터미널(40)의 결합부(43)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터미널(40)이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에 의해 밀릴 수도 있다.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terminal 40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even if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40 is correct, when the terminal 40 is inserted less, It may be in a state in which it can not come out from the engaging portion 43. In this case, the terminal 40 may be pushed by the terminal of the mating connector.

하지만, 상기 확인돌기(28)의 쳄퍼(30)가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에 안내되면서 상기 확인돌기(28)가 개구부(18)를 통해 터미널안착공간(14)의 내부로 밀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터미널(40)이 더 이동하게 되고 상기 지지단(22)이 터미널(40)의 결합부(43)를 통과해서 일측 단부에 걸어질 수 있다. However, the checker protrusion 28 is pushed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14 through the opening 18 while the chaser 30 of the check protrusion 28 is guided by the housing of the mating connector. In this process, the terminal 40 is moved further and the support end 22 can be hooked to one end of the terminal 40 through the engagement portion 43 of the terminal 40.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확인돌기(28)의 형상이 육면체형상이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확인돌기(28)가 반구형상으로 되거나 구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hape of the check protuberance 28 is hexahedral, but it need not be. The confirmation protrusion 28 may be hemispherical or spherical.

10: 커넥터 12: 하우징
14: 터미널안착공간 16: 랜스
18: 개구부 20: 탄성아암
22: 지지단 24: 안내경사면
26: 터미널지지면 28: 확인돌기
30: 쳄퍼 32: 보강벽
34: 확인채널 36: 체결레버
38: 보호가이드 40: 터미널
41: 몸체부 43: 결합부
45: 걸이부 47: 바렐부
10: connector 12: housing
14: Terminal seating space 16: Lance
18: opening 20: elastic arm
22: Support end 24: Guide slope
26: Terminal support surface 28: Identification projection
30: Chamfer 32: Reinforced wall
34: Confirmation channel 36: Tightening lever
38: Protection Guide 40: Terminal
41: body part 43:
45: hook part 47: barrel part

Claims (7)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내부를 관통하여 터미널안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안착되고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터미널안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에 위치되는 탄성아암과,
상기 탄성아암의 선단에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 내부로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에 걸어지는 지지단과,
상기 탄성아암의 선단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하우징 외부로 노출되는 확인돌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A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having a terminal seating space formed therethrough;
A terminal mounted in the terminal seating space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 elastic arm positioned in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seating space of the housing;
A supporting end protru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elastic arm into the terminal seating space and hook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And a check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elastic arm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아암은 상기 터미널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터미널과 나란히 상기 개구부 내에서 연장되는 커넥터.
2. The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resilient arm extends within the opening alongside the termina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erminal extend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에는 안내경사면이 상기 탄성아암의 기저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상기 터미널에 걸어지는 터미널지지면이 형성되는 커넥터.
3.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upport end is formed with a guide slope downwardly inclined toward the base of the elastic arm and a terminal support surfac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be hooked to the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돌기에서 상기 탄성아암의 선단에 해당되는 모서리에는 쳄퍼가 형성되어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선단에 안내되어 탄성아암이 탄성변형되도록 하는 커넥터.
4.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chamfer is formed at a corner corresponding to a tip end of the elastic arm in the check projection to guide the tip of the housing of the mating connector to elastically deform the elastic ar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확인채널이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확인돌기는 상기 쳄퍼의 하단이 상기 확인채널 내에 위치되도록 확인채널에서 일부가 돌출되는 커넥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check channel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wherein the check protrusion is partially protruded from the check channel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checker is positioned within the check channe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아암에서 상기 확인돌기 쪽의 표면 폭방향 양측에는 보강벽이 형성되어 외력을 지지하는 커넥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reinforcing wall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arm in the surface width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check projection so as to support the external force.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는 상기 탄성아암의 반대쪽으로 상기 터미널에 선단이 걸어지는 외팔보 형상의 랜스가 더 구비되어 상기 지지단과 함께 터미널을 지지하는 커넥터.
The conne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further comprising: a cantilevered lance which has a distal end attached to the terminal opposite to the elastic arm, the terminal seating space supporting the terminal together with the supporting end.
KR1020160106742A 2016-08-23 2016-08-23 Connector KR1025670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742A KR102567021B1 (en) 2016-08-23 2016-08-23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742A KR102567021B1 (en) 2016-08-23 2016-08-23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009A true KR20180022009A (en) 2018-03-06
KR102567021B1 KR102567021B1 (en) 2023-08-16

Family

ID=6172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742A KR102567021B1 (en) 2016-08-23 2016-08-23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021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130A (en) 1997-09-29 1999-04-15 양재신 Terminal detachment prevention structure of splicing connector
KR20090128283A (en) * 2008-06-10 2009-1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20100107305A (en) * 2009-03-25 2010-10-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20120070721A (en) * 2010-12-22 2012-07-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KR20120073696A (en) * 2010-12-27 2012-07-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20140025255A (en) * 2012-08-22 2014-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nector
KR101465381B1 (en) 2011-06-17 2014-11-26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terminal fitt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130A (en) 1997-09-29 1999-04-15 양재신 Terminal detachment prevention structure of splicing connector
KR20090128283A (en) * 2008-06-10 2009-1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20100107305A (en) * 2009-03-25 2010-10-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20120070721A (en) * 2010-12-22 2012-07-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KR20120073696A (en) * 2010-12-27 2012-07-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KR101465381B1 (en) 2011-06-17 2014-11-26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terminal fitting
KR20140025255A (en) * 2012-08-22 2014-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021B1 (en)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3350A1 (e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connec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connector system
US674305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985106B2 (en) Female type terminal pin
KR101568886B1 (en)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forming it
CN107851919B (en) Terminal fitting
CN107017498B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O2012127541A1 (en) Wire-to-board connector
US718264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se
EP1120861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female contact
US20130330956A1 (en) Joint Connector
JPH02244574A (en) Connector
JP2010056084A (en) Terminal position assuring member for electric connector
CN112652902B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JP5312528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50044303A (en) Female terminal fitting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CN112909608B (en) Terminal fitting
EP0657968A1 (en) Lock detection connector
CN110649410B (en) Terminal metal fitting
KR200437689Y1 (en) Connector
KR200440518Y1 (en) Connector
KR20180022009A (en) Connector
KR20170078199A (en) Front Holder and Terminal Block having the same
KR200476338Y1 (en) Connector
JP2001167834A (e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