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532A - 안경테 - Google Patents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532A
KR20120070532A KR1020110139273A KR20110139273A KR20120070532A KR 20120070532 A KR20120070532 A KR 20120070532A KR 1020110139273 A KR1020110139273 A KR 1020110139273A KR 20110139273 A KR20110139273 A KR 20110139273A KR 20120070532 A KR20120070532 A KR 20120070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ldspar
leg
shaft
hinge
j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849B1 (ko
Inventor
월터 피리놀리
Original Assignee
제이. 알. 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알. 엘 filed Critical 제이. 알. 엘
Publication of KR2012007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54Resilient hinges comprising elastic means other than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2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sheet type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2Leaf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6Coil spring pushed upon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첩부분에 의해 각각의 다리와 연결되는 장석(20)이 구비된 전면부(10)로 이루어진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장석(20)은 직각으로 구부러진 두개의 이음부(12)로 마무리되며 경첩축(41)을 위해 수평으로 정렬되어 형성된 구멍(23)을 각각 한 개씩 가진다. 각각의 다리(30)는 경첩부분(40) 쪽의 말단부분이 장석(20)의 이음부(22)를 향하도록 직각으로 구부러진 2개의 이음부(32)로 이루어지며 경첩축(41)을 받는 각각의 구멍을 가지고 있다. 말단(411, 412a)이 다리(30)의 이음부(32)과 장석(20)의 이음부(22)를 결합시키는 축(41)과 장석(20)의 내부 측면 사이에 장착되는 버팀목(42)은 경첩부분의 이음부(22,32) 사이의 축(41)을 지탱하며 이 축(41)에 의해 고정된다.

Description

안경테{SPECTACLES FRAME}
본 발명은 경첩부(힌지부)에 의해 다리와 연결되는 장석이 구비된 전면부로 이루어진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다리를 안경테 전면부의 장석에 결합시킨 다양한 종류의 안경테와 경첩부는 이미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경첩부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나사에 의해 결합하고 조립하는 것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나사가 풀리거나 나사를 잃어버릴 위험이 있다.
어떤 안경테는 안경다리가 좌우로 더 넓게 벌어지는 것을 가능케 할 만큼 매우 정교하게 만들어진 경첩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데, 다시 말해서 두 개의 안경다리가 일반적으로 벌어지는 것 이상으로 벌어졌다가 용수철과 피스톤 시스템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첩부는 상당히 복잡하고 일반적으로 경첩부가 안경사에 의해 수리되는 경우 이것은 안경다리를 안경테의 장석과 결합시킨 것이 아니다.
안경테가 안경을 쓴 사람의 얼굴에 적응되는 것 또는 시각적 아름다움에 대한 고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미학적 부분의 요구사항과 안경점에서 요구하는 안경테의 형태에 관련한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많은 종류의 안경테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나사조립에 의한 문제, 나사의 분실이나 나사의 손상, 그리고 안경이 개방된 상태에서 경첩의 불안정성을 피하고, 또한 클라이언트의 선택에 따라 안경테가 쉽게 적응되도록 하는 안경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 각각의 장석은 경첩축에 대해 수평으로 정렬된 축 상에 형성된 구멍을 가지며 구부러진 두 개의 이음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 각각의 안경다리는 경첩부를 향하는 말단부분이 장석의 이음부와 맞대어 있기 위해 휘어진 2개의 이음부로 되어있으며 이들 각각은 경첩축과 연결되는 구멍을 갖추고 있으며,
- 경첩축의 말단부분은 각각의 안경다리의 이음부와 각각의 장석의 이음부를 연결시키며,
- 장석과 안경다리의 이음부의 구멍은 경첩부분의 축의 말단부분과 같은 지름을 가지며,
- 경첩축은 슬리브(sleeve)로 구성되는데, 이 슬리브는 이음부의 구멍의 지름과 완전히 동일한 지름을 갖고 장석와 다리의 2개의 조합된 이음부의 총 두께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 경첩축의 말단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축의 부품을 가지는 피스톤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은 축의 슬리브 내에 있는 용수철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혀지며, 상기 축의 부품이 슬리브의 돌출부에서 접혀지는 길이는 이음부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부품의 지름은 이음부 내의 구멍의 지름과 동일하며,
- 슬리브의 길이는 결합된 이음부들 사이의 자유로운 간격과 동일한 길이이며, 그리고
- 버팀목은 경첩축과 함께 이음부들 사이를 지탱하기 위해 경첩축의 본체가 장석의 내부 측면 사이로 들어가도록 장석 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경테는 결합이 매우 쉽고, 동일한 경첩 방식에 의해 안경테와 다양한 형태의 다수의 안경다리를 매우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고 안경점에서 직접 조립할 수도 있으며 특히, 매우 빠르고 간편한 이 조립방식은 안경사가 많은 종류의 완성된 안경테를 배열해 놓지 않은 채 손님들이 안경을 써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왜냐하면 모두가 동일한 경첩방식에 의해 안경테와 안경다리 사이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안경사용자 또한 나사의 분실이나 안경다리의 분실과 같은 위험성으로부터 자유롭게 해주며 조립이 매우 간단하고 이러한 조립이 여러 번 반복되어도 안경테를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 하나의 특별한 장점은, 안경테가 두 개의 이음부 사이의 장석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홈을 가진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된 버팀목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상기 버팀목이 제 위치에 있을 때, 버팀목의 내부면은 이음부 구멍의 축에 동축인 원통형 홈을 갖추고 있고, 경첩축이 구멍 안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버팀목은 슬리브가 굴곡 상태에 있어도 슬리브를 장석에 고정되도록 떠받치기 위해슬리브의 곡선반경보다 더 넓은 곡선반경을 갖는 홈의 부분을 가지고 있다.
버팀목과 축 사이의 협동작업, 그리고 버팀목과 장석의 내부면 사이의 협동은 경첩의 이음부 사이의 축을 지탱하게 해주며 이는 축이 변형되지 않게 하고 예외적인 압력으로 인해 구멍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버팀목은 또한 버팀목의 이동과 관련해서 축과 맞물려 있다.
경첩축과 버팀목 사이의 이러한 형태의 협력은 특히 축을 들어올림을 통해 그리고 버팀목을 그대로 둠을 통해 안경다리가 분해될 가능성을 줄인다는 측면에서 매우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안경점에서 안경테 표면에 여러 종류의 안경다리를 조립, 분리하는 반복되는 과정에서 다리를 장석에 연결시키는 축을 분실할 위험성 없이 안경테를 조작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성과 함께, 버팀목은 다양한 색깔과 다양한 외형의 변화가 가능하며 버팀목 자체가 변형되거나 총체적인 아름다움에 참여할 수도 있다.
또 하나의 특별한 점으로, 버팀목은 장석의 테두리를 덮으면서 테두리에 닿는 부분인 틈새를 가진다는 점이다.
이 틈새는 경첩부분의 축의 방향으로의 효과적인 위치고정을 가능케 하고 장석이 이 틈새에 박히게 되어, 탄력적인 재료의 버팀목은 변형이 가해져도 경첩부와 다리의 조립/분리를 방해하지 않고 그대로 이 틈새에 있게 된다.
또 다른 특징으로, 각 다리의 경첩장치 쪽의 말단부분은 장석의 외면에 탄력적으로 작용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고 있다.
이 지지대는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두 개의 경첩부분의 방향에 대하여 버팀목에 대해 탄력적인 지지를 함으로써 다리가 개방된 상태(펼쳐진 상태)나 폐쇄된 상태(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또 다른 장점은 버팀목이 횡단면인 연결면을 통해 결합된 내·외부면을 갖는다는 점으로, 외부면은 다리의 탄성 지지대를 위한 받침대이자 다리의 개방·폐쇄상태 사이에 있는 준안전상태의 이동각을 형성한다. 달리 말하면, 버팀목은 이음부들 사이에서 장석의 얇은 편(slice)과 관련된 U자형 구간에 들어가는 요소이다; 버팀목은 횡단면을 통해 통합된 내·외부 측면을 갖고, 외부면은 다리의 지지대의 버팀목이 되며, 다리의 개방·폐쇄상태 사이에서 나타나는 준안전상태 이동의 지점을 형성하며, 내부면은 경첩축을 수용한다.
또 다른 특징은 다리가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각각 있을 때, 버팀목의 외부면과 횡단면이 지지대를 위한 받침면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이는 다리가 지지대의 안정적인 받침에 의지하여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지지대의 탄성력에 의해 보장되는 다리의 원위치로의 이동 또한 가능케 한다.
이러한 형태의 버팀목을 제조하는 것 또한 흥미로운 부분이다. 이것은 외형이 만들어져 있고 긴 형재(刑材)로부터 절단된, 예를 들어 사출을 통해 만들어진 제품이다.
버팀목이 장석의 편평한 부분과 겹쳐지기 때문에, 버팀목은 축의 방향 내에서 이동이 막히게 되며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장석은 빈 공간이나 홈을 포함하게 된다.
또 다른 특징은, 지지대가 접혀진 상태에서, 준안정 상태의 이동 모서리를 지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만큼 충분히 길다는 점이다. 탄성력이 뛰어난 지지대는 충분히 길어서 준안정 이동 지점을 덮으며 지지대의 탄력적 변형과 관계된 모든 저항력, 구부려진 상태나 안경다리가 개방상태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이르기까지 대항함으로써 쉽게 버팀목의 모서리 위에서 미끄러지듯 움직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특징으로 안경다리의 이음부는 조립과 사용 모두에 유리한 장석의 이음부의 내부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다리의 이음부와 장석의 이음부의 접촉 표면은 보이지 않은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데 반대의 배치일 경우는 이와 다르게 나타난다. 또한, 장석의 배치와 관련하여 다리의 이음부의 이러한 배치에 의해 장석의 내부에 연결되는 다리의 조립은 안경다리가 젖혀지고, 혹은 더 넓게 젖혀지는 움직임을 할 때 마지막 축받이의 위치를 만들어냅니다. 이는 부품의 탄력적 변형이나 다리가 열려져 있는 상태나 이러한 상태를 조금 넘어서는 상태에 대응하기 위해 장석와 다리의 부분들의 상호적인 작용에 의해 발생된다.
또 다른 특징으로서, 안경다리는 경첩부분에 대응하는 말단부분에 위치하며 다리에 걸려있는 지지대가 잘려져 있는 얇은 판 모양을 한 부품이다.
얇은 철판띠가 잘려진 채 틀이 잡혀있는 지지대는 다리가 넓게 벌어진 상태에서도 탄력적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지지대의 유연성과 조합된 탄력성은 아무 문제없이 개방상태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을 보장하는 구성부품이나 경첩에 대해서 안경다리가 넓게 벌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안경테는 나사를 갖지 않는 본 발명의 경첩부분을 통해, 나사의 손상이나 나사의 머리가 넓어지는 것, 나사나 안경다리의 분실과 같은 위험성을 피할 수 있으며 조립 또한 매우 간편하고 빠르며 안경테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아래에 첨부된 도면과 함께 도식적으로 표현된 안경테의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을 통해 더 상세하게 묘사될 것이다.
도 1은 외부의 등축(等軸)면으로 다리의 경첩부분과 관련된 안경테의 한 부분이다.
도 2는 표시된 안경테의 경첩부분에서부터 도 1의 내부측면의 해체된 등축면이다.
도 3은 장석와 부분적으로 결합된 상태에 있는 도 1의 안경다리의 해체면이다.
도 4a는 경첩축의 절단면이고, 도 4b는 분해된 경첩축의 절단면이며, 도 4d는 버팀목의 도면이고, 도 4c는 피스톤이 끝까지 밀려있을 때의 경첩축의 부분적인 절단면이다.
도 5a, 5b, 5c는 다양한 경첩의 상태를 보여주는데, 도 5a는 개방된 경첩상태의 안경을 보여주고, 도 5b는 다리가 접혀진 상태로 회전할 때 준안정상태의 경첩부분의 도식의 절단면을 보여주며, 도 5c는 접혀진 다리의 모습이다.
도 1과 2에 따라, 발명은 부분적으로 다리의 경첩차원에 국한해서 전면부에 장석을 갖춘 안경테에 대한 것이다.
하기 설명은 대칭에 의해 한쪽 다리와 장석에 대해서만 할 것이며 이 설명은 또 하나의 다른 다리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다리>, <장석>, <경첩>과 같은 용어들은 단수나 복수 구별 없이 사용될 것이다.
간단히 개괄적으로 그려진 안경의 전면부 10은 하나의 장석을 포함하고 있는데, 도면에는 단 한 개의 좌측 장석 20이 표시되어 있다; 이 장석은 경첩부 40을 매개로 하여 다리 30 한 개와 연결된다. 다리 30은 경첩부분과 관련해서만 간단히 그려져 있다.
경첩 근처에 도시된 장석 20은 장석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구부러진 경첩의 두 이음부 22와, 판부속품 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각 두 개의 이음부는 규격대로 가공된 구멍 23에 의해 관통된다. 이 두 개의 구멍 뚫린 이음부 22는 경첩축 41을 넣기 위해 일직선상(축 XX)에 위치한다.
다리 30 역시 말단이 두 이음부(32)로 마무리되는 평면 부분 31로 형성된다. 두 개의 이음부(32)는 각각 구멍 33으로 구성되는데 그 직경은 장석 20의 두 이음부 22의 것과 같으며 이는 장석의 구멍(축 XX)들과 일직선상에 놓고 경첩축 41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a, 4b에 따르면, 경첩축 41은 둥근 원통 모형의 한 말단 411을 갖춘 원통의 슬리브 410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말단부분은 구멍 23,33의 직경과 꼭 맞아야 한다.
다른 한쪽 말단부분은 용수철 413의 작용에 반하여 슬리브 410 속으로 미끄러지는 피스톤 412에 의해서 구성된다. 피스톤 412는 말단 411과 같은 직경을 가진 축의 한 부품 412a에 의해 슬리브 410의 바깥으로 끝이 나오며 이는 구멍 23,33 안에 장착하기 위해서이다. 피스톤 412는 슬리브 410 안에 위치된 후 축의 부품 412a의 위로 접힌 410a의 가장자리에 의해 슬리브 410 안에 고정된다.
도시되지 않은 (같은 종류의) 다른 형태의 경우에, 축 41은 피스톤 412와 축 의 부품 412a과 같이, 움직이는 두 개의 좌우 말단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시된 또는 도시되지 않은 두 개의 실시형태에서, 축의 말단 411과 축의 부품 412a는 축 41의 말단을 구성하며 이 축 41은 구멍 23,33 안에 두 짝의 이음부 22,32를 관절로 잇는 방법으로 연결시킨다.
축 41의 조립상태의 절단면(도 4a)과 분해된 상태의 절단면(도 4b)은 축 41의 구조를 더욱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슬리브 410은 다리 30의 두 이음부 32 사이에 존재하는 간격과 거의 같은 길이(L)를 갖는다. 그리고 축 부속품 411과 412a를 형성하는 두 말단들은 두 개의 이음부 22, 32의 두께와 거의 같은 길이(LE)를 갖는다. 이는 이음부 22의 구멍 23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막고 옷이나 머리카락에 걸릴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축 41의 조립은 슬리브 410 안에 용수철 413을 위치시킨 후 축 부품 412a를 슬리브 가장 자리 410a에 끼워 넣는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피스톤 412는 속이 비어 있으며 용수철 413의 말단부분을 수용한다. 그 결과, 용수철은 피스톤 412가 끝까지 꽉 차 있는 경우에 슬리브의 길이(L)가 되기 위해, 보다 더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마찬가지로 피스톤을 더 연장될 수 있게 하므로, 이의 유도장치뿐만 아니라 구멍 23,33을 통과하는 부품 412a의 성능을 개선시키게 한다.
도 4c는 피스톤 412가 끝까지 밀려있을 때의 축 41의 부분적 단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4a, 4b의 실시 형태를 위해 사용된 기준들이 여기서도 유지되고 있다.
도 2,3에 따르면 경첩부분 40은 안경다리 30와 축 41을 지탱하기 위해 두 이음부 32 사이에 설치된 버팀목 42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버팀목은 다리 30에 작용되는 항력 효과에 의해 축 41이 변형되거나 장석 20에 대해 다리 30의 회전의 용이함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도 4d는 안경테로부터 분리된 버팀목 42에 대한 도면이다. 버팀목 42는 플라스틱 재질의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블록의 3개의 면-내부면 421과 422의 외부면 422 및 그 둘을 이어주는 한쪽 면 423-과 이들에 대해 열려있는 틈새 420을 갖추고 있다. 내부면 421은 외부면 422보다 더 두꺼우며 원통형의 홈이 구비되어 있다. 이 홈은 축 41의 슬리브 410과 거의 같은(약간 큰) 반경을 가진 아치형의 절단면으로 형성되며 슬리브 410을 장착할 수 있고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평면 부분 21의 앞부분 테두리 211가 버팀목 42의 틈새 420에 박히게 된다. 세부묘사는 되어 있지 않지만, 이 버팀목은 홈 212 안에 있는 돌기 또는 손상된 것 같은 돌출부 형태로 된 한 부분과의 결합으로 인해 축 XX의 방향에 대해 가로지르며 고정되어 있다.
내부면 421은 장석의 내부면과 마주하고, 외부면 422의 외부면은 장석의 외부면과 접해 있다. 원통형 홈 424는 일직선상에 있는 두 그룹의 구멍 23, 33의 축인 XX와 동축을 이룬다.
이 상황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경첩축 41을 설치함에 있어서, 축의 말단 411을 축 XX에 대하여 가볍게 비스듬히 구멍 23, 33의 마주보는 두 짝 중 한쪽에 끼워 넣으면서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축 부품인 412a를 감추는 방식으로 피스톤 412를 압축하면서 축 41을 기하학적 축 XX에 정렬시킨다. 그런 다음 축 부품 412a가 구멍 23,33의 다른 한쪽 부분과 잘 끼워지도록 피스톤을 놓아준다. 이에 따라 슬리브 410은 축 41의 모든 구부러짐을 방지하는 홈 424 안에 박힌 상태가 된다.
축 41의 분리 역시 매우 간단히 이루어진다. 이음부 22의 바깥부분에서 축 부품 412a를 눌러주기만 하면 된다. 이로써 피스톤이 안쪽으로 다시 들어가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음부 22, 32 에 구속되어 있는 축 41을 약간 회전시켜서 잡아당긴다. 그리고 구멍 23, 33의 다른 한쪽으로부터 슬리브의 다른 한쪽 말단 411을 빼낸다. 이어서 다리 30을 제거하고, 그 다리 대신에 축 41을 다시 간단히 위치시키면서, 다른 다리로 대체할 수 있다.
버팀목 42가 안경의 미학적 부분에 관여함을 고려한다면, 안경의 재질, 색깔, 그리고 외형이 그러한 미학적 기준의 요소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하나의 버팀목 42는, 축 41의 위치와 이 축의 슬리브 410에 의한 버팀목 42의 연결, 그리고 축 41의 연결과 지지를 실현시키는 기능적인 특징들을 준수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요소가 선택되어 질 수 있고 맞추어 질 수 있다. 또한 버팀목 42는 어떤 미학적 형태이든 간에 다리 30을 받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다리가 펼쳐지고-90도 이상으로 더 벌려지는 가능성을 가지면서- 다시 접힌 상태가 되도록 지탱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강조할 수 있는 점은, 우선적으로, 구멍 23, 33 두 그룹 사이에 장착되어 있는 축 41의 부품들이 이음부 22의 바깥 표면으로 튀어나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는, 적어도 그것은 옷이나 머리카락이 걸리도록 우툴두툴하게 제작되지 않아야 하고 충분히 둥근 형태가 되어야 하다는 점이다.
버팀목 42는 특히 윤곽이 뚜렷한, 빳빳하지 않은, 플라스틱 제품이다.
이어서 또 하나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버팀목 42는 주조된 부품이고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장석 20의 테두리 211을 완전히 포갤 수 있도록 내부로 들어간 표면을 포함하고 있다. 버팀목 42의 외부 표면은 장식된 또는 참신하고 기발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안경다리와 같이 호환이 가능하다.
더 자세하게 보면, 도 2와 3에 따르면 장석 20은 경첩부분 40과 관련해서 직각으로 접혀진 두 개의 이음부 22가 가장자리에 위치한 평면 부분 2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음부 사이의 중앙에 홈 212이 가장자리 211 쪽으로 나 있다.
특히 장석 20은 경첩부분 40과 가까이에 평평한 부분 21을 갖는데, 예를 들면, 우리는 축 41과 수평하게 형성하는 구멍 23을 실현하기 위해서 편평한 금속 조각을 오려낸 다음, 구멍 23을 축 40의 기하학적 축 XX에 정렬시키기 위해 이음부 22를 직각으로 접어서 형성할 수 있다.
경첩부 40 쪽에 있는 다리 30의 말단부분은 장석 20의 구멍 23과 유사하게 직각으로 접혀진 두 개의 이음부 32가 가장자리에 위치한 평면 부분을 갖는다. 이 이음부 32는 가장자리 311가 이음부 32의 말단부분 앞에서 멈추는 다리 30의 평면 부분 31을 연장시킨다. 이음부 32 사이에서 평면 부분 31 내에 절단되어 있는 탄성 지지대 34를 발견하게 된다. 특히 다리 30은 금속 재질로 절단되어 틀이 잡혀 있다. 지지대 34는 다리의 평면 부분 31의 가장자리 311 보다 더 뻗어가고 특히, 두 개의 구멍 33의 축 XX를 지나간다.
다리 30의 두 개의 이음부 33 사이의 간격은 장석 20의 이음부 23 사이의 간격보다 더 줄어드는데, 이는 도 3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다리 30의 이음부 33이 장석 20의 이음부 23의 내부 표면에 들어맞도록 하기 위함이다.
조립에 있어서, 장석 20과 다리 30의 이음부 22, 32 기하학적 축 XX을 따라 그들이 가진 구멍을 맞추어 정렬하고, 그리고 버팀목 42를 설치한 후, 경첩축 41을 구멍 23, 33 안에 집어넣을 수 있다. 이 첫 번째 조립의 시작은 도 3에 나타나 있다.
구멍 23, 33 안에 축의 부품인 411, 412a가 설치된 후, 버팀목 42는 장석 20의 두 개의 이음부 22 사이에서(더 자세히는 다리 30의 두 개의 이음부 32 사이에서) 축 41이 굴곡 상태에 처해 있어도 바로 기하학적 축 XX를 따라 유지되도록 돕는다.
버팀목 42와 축 41의 설치도는 도 2에 나타나 있다. 버팀목 42의 조립 후 마지막 상태는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버팀목 42는 다리 30이 준안정상태로 들어가게 하는데, 다시 말해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 사이에서 주어지는 강제적인 이동 상태로 들어가게 해준다.
도 5a-5c는 경첩부분 40의 다양한 모습들을 보여준다. 상기 도면에서 보면, 안경테의 전면부 10은 장석 20과 수직으로 나타나 있다.
도 5a는 다리 30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접혀진 상태로 가기 위해, 다리30은 버팀목 42의 모서리 425에 의해 준안정상태로 이동해야만 하고 이 모서리는 펼쳐진 상태(도 5a)와 접혀진 상태(도 5c)사이에서 나타나는 준안정 구간을 발생시킨다.
이 상태가 준안정적인 이유는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변화하기 위해 탄력적으로 지지대 34를 밀어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버팀목 42의 모서리 425로 이동하게 된다. 준안정상태, 더 자세하게는 준안정상태 주위부분들은 도 5a의 개방상태부터 도 5b의 상태에 이르는 개방각 또는 폐쇄각 F01의 회전각도에 의해 정의된다. 준안정상태 이후, 다리 30은 개방 또는 폐쇄 상태 내에서 각도 F02를 나타낸다.
그런 다음. 도 5c의 상태가 되면서, 지지대 34는 다리 30의 한 부분인 31과 가까운 위치로 탄력적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그리고 버팀목 42의 면 423과 닿게 된다.
따라서, 버팀목 42의 외부면 422의 표면과 연결면인 423의 표면은 경첩부분 40 주위에 있는 다리 30의 안정적인 두 개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받침표면을 이루게 된다.
안경테 조립의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는 도 1-4를 통해 위에서 이미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조립이 특히 간단한 이유는 버팀목 42와 연결된 후, 장석 20의 이음부 22, 32에 있는 구멍 23, 33이 정렬된 곳에 있는 축 41, 그리고 다리 30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버팀목 42는 틈새 420 안에 장석 20과 결합을 매개하는 중간 수단, 빈 공간, 또는 구멍, 또는 또다른 중간 연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버팀목 42와 축 41이 경첩부 40에 의해 보호되는 구간에 있기 때문에 이들은 외부로부터의 우연한 접근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며 이들의 설치와 해체가 매우 간단한 작동임에도 불구하고 버팀목 42과 축 41이 안경테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될 위험성이 없다.
이러한 조립의 편의성과 보편성은 안경테와 다리 30의 한 형태와 안경테 전면부의 형태 그리고 버팀목 42의 형태와 장식 사이의 다양한 조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안경점에서 고객이 직접 그들이 안경 전면부 10과 결합하기 원하는 안경다리 30을 고를 수 있고 이 때, 조립은 즉각적이고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큰 다양성의 가능성은 안경점들이 과도하게 많은 안경들을 보유하고 있을 필요가 없게 해준다. 왜냐하면 안경 전면부 10, 다리 30이 각각 비축되어 있으면 되고, 필요한 경우 다양한 버팀목 42의 종류만 준비되어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각각의 조립은 일반적으로 안경점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고객들이 안경테를 써 볼 때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매우 간단한 조립법은 안경테에 나사가 없고 나사가 풀릴 위험성도 없고 경첩부분이 느슨해 질 위험성도 없기 때문에 유용하다.
10 안경테의 전면부
20 장석
21 평면 부분
211 평면 부분의 가장자리 212 홈
22 경첩부분의 이음부
23 수평부를 형성하는 구멍
30 다리
31 평면 부분
311 부품 31의 가장자리
32 이음부
33 수평부를 형성하는 구멍
34 탄성 지지대
40 경첩부분
41 경첩축
410 슬리브 411 축의 말단
412 피스톤 412 a 축의 부품
413 용수철
42 버팀목
420 틈새 421 내부면
422 외부면 423 연결면
424 원통형 홈 425 모서리/능
XX 기하학적 축

Claims (10)

  1. 경첩부(40)에 의해 다리(30)와 연결시키는 장석(20)이 구비된 전면부(10)로 이루어진 안경테에 있어서,
    각각의 장석(20)은 경첩축(41)에 대해 수평으로 정렬된 축(XX) 상에 형성된 구멍을 가지며 구부러진 두 개의 이음부(22)를 말단부분에 가지며,
    각각의 다리(30)는 경첩부(40)를 향하는 말단 부분이 장석(20)의 이음부(22)와 맞대어 있을 수 있도록 구부러진 두 개의 이음부(32)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이음부(32)는 경첩축(41)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33)을 가지고,
    경첩축(41)의 말단부분은 각각의 다리(30)와 장석(20)의 각각의 이음부(22)를 연결시키며,
    장석(20)과 다리(30)의 이음부(22,32)의 구멍(23,33)은 경첩축(41)의 말단부분(411)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며,
    경첩축(41)은 이음부의 구멍(23,33)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말단부분과 슬리브(410)으로 구성되며, 축의 양 말단의 길이(LE)가 장석(20)과 다리(30)의 두 개의 조합된 이음부(22,32)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고,
    경첩축(41)의 말단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축의 부품(412a)을 가지는 피스톤(412)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은 축(41)의 슬리브(410) 내에 있는 용수철(413)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혀지며, 상기 축의 부품(412a)이 슬리브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두 이음부(22,32)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부품의 지름은 이음부(22,32) 내의 구멍(23,33)의 지름과 동일하며,
    슬리브(410)의 길이(L)는 결합된 이음부들(22,23)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길이이며,
    버팀목(42)은 경첩축(41)과 함께 이음부들(22,32) 사이를 지탱하기 위해 경첩축(41)의 본체(412)가 장석(20)의 내부 측면 사이로 들어가도록 장석(20) 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목(42)은 두 이음부(22) 사이에서 장석(20)에 버팀목(42)을 연결시키기 위한 틈새(420), 버팀목(42)이 연결된 경우 구멍(23,33)의 축 XX와 동축인 원통형 홈(424)을 지닌 버팀목(42)의 내부면(421), 그리고 경첩축(41)이 구멍(23,33) 안에 장착되었을 때 장석(20) 위의 슬리브(410)가 굴곡상태에 놓이더라도 슬리브를 장석에 고정되도록 떠받치기 위해 슬리브의 반경보다 더 넓은 만곡부분을 갖는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3. 제 1항에 있어서,
    버팀목(42)을 수용하는 장석(20)의 테두리(211)는 버팀목(42)에 의해 덮여지는 홈(21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4.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다리(30)의 말단부분은 장석(20)의 외부면에 탄력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 지지대(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목(42)은 연결면(423)의 횡단 측면에 결합된 내부면(421)과 외부면(422)을 갖고, 상기 외부면(422)은 다리(30)의 탄성 지지대(34)를 위한 받침대를 형성하고 다리(30)가 펼쳐지거나 접히는 과정 중에 있는 준안정상태(metastable)의 위치에서 다리와 접하는 모서리(425)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목(42)은 다리가 펼쳐지거나 닫히는 위치에 각각 있을 때, 탄성 지지대(34)를 위한 받침면을 구성하는 외부면(422)과 횡단 측면의 연결면(42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대(34)는 준안정상태에서 접힌 위치에 이를 때까지 모서리를 덮을 만큼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30)의 이음부(32)는 장석(20)의 이음부(22)의 내부 측면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30)는 말단부분이 다리(30)에 붙어있는 탄성 지지대가 부분적으로 잘려져 있는 얇은 판의 모양을 갖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10. 경첩부(40)에 의해 각각의 다리(30)와 연결시키는 장석(20)이 구비된 전면부로 이루어진 안경테에 있어서,
    각각의 장석(20)은 경첩축(41)에 대하여 수평으로 정렬된 축(XX) 상에 형성된 구멍(23)을 가지고 구부러진 두 개의 이음부(22)를 말단부분에 가지며,
    각각의 다리(30)는 경첩부(40)를 향하는 말단 부분이 장석(20)의 이음부(22)와 맞대어 있을 수 있도록 구부러진 두 개의 이음부(32)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이음부는 경첩축(41)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있고,
    경첩축(41)은 말단부분(411)이 각각의 다리(30)의 이음부(32)와 각각의 장석(20)의 이음부(22)를 결합시키는 것인 원형의 슬리브(410)로 형성되며,
    장석(20)과 다리(30)의 이음부(22,32)에 있는 구멍(23,33)은 경첩축(41)의 말단부분과 같은 길이의 지름을 가지며 경첩축의 말단부분은 정렬된 위치(XX)에 있는 이음부(22,32)의 구멍(23,33) 내로 삽입되며,
    장석(20)의 내부면과 축(41)의 슬리브(410) 사이에 있는 버팀목(42)은 축(41)과 협력하여 이음부(22,32) 사이에 있는 슬리브(410)를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KR1020110139273A 2010-12-21 2011-12-21 안경테 KR101315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60962 2010-12-21
FR1060962A FR2969320B1 (fr) 2010-12-21 2010-12-21 Monture de lunet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532A true KR20120070532A (ko) 2012-06-29
KR101315849B1 KR101315849B1 (ko) 2013-10-14

Family

ID=4431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273A KR101315849B1 (ko) 2010-12-21 2011-12-21 안경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315849B1 (ko)
CN (1) CN102621706B (ko)
DE (1) DE102011086653B4 (ko)
FR (1) FR2969320B1 (ko)
IT (1) ITTO20111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0251A1 (de) * 2014-01-09 2015-07-09 Mast Optikvertrieb Brille
US10108026B2 (en) * 2014-05-21 2018-10-23 Luxottica S.R.L. Hinge device for eyeglasses
FR3022041B1 (fr) * 2014-06-06 2016-06-24 Jrl Monture de lunettes a branches amovibles
IT201700103499A1 (it) * 2017-09-15 2019-03-15 Moody Easyview Srl Cerniera per occhiali
CN108490640B (zh) * 2018-03-22 2019-08-02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保护功能的眼镜框
FR3084611B1 (fr) * 2018-08-03 2021-12-10 Magic Design Project Monture de lunettes comportant une charniere particulie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70560A (en) * 1926-10-07 1927-05-12 James Nelson Arnold Improvements relating to spectacles
DE2450476B2 (de) * 1974-10-24 1976-11-11 Erwa-Optik A. Roos KG, 7 530 Pforzheim Brillengestell mit mindestens einer loesbaren verbindung, insbesondere gelenkverbindung, zwischen je zwei teilen des brillengestells
DE3414641A1 (de) * 1984-04-18 1985-10-24 Artur 7250 Leonberg Weiss Brillengestell mit am brillenrahmen schwenkbar angeordneten brillenbuegeln
JP2002072146A (ja) 2000-08-23 2002-03-12 Wakayoshi Optical Industry Co Ltd メガネフレームにおけるテンプルの付勢機構
DE102004023840B3 (de) * 2004-05-13 2005-11-03 Bradtke, Ulla Brille
DE102004023806B4 (de) * 2004-05-13 2006-10-05 Ic! Berlin Brillenproduktions Gmbh Brillengestell
FR2892162A1 (fr) * 2005-10-13 2007-04-20 Nouvelle Idc Internat Design C Systeme d'articulation a charniere favorisant des positions predeterminees et montures de lunettes integrant ce systeme
DE102007034624B4 (de) * 2007-07-23 2010-07-29 Leonid Achkinadze Scharniersystem für eine Brille
KR20100012770U (ko) * 2009-06-16 2010-12-24 이경록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101114547B1 (ko) * 2009-10-19 2012-02-27 유근우 안경 구조체
CN201622399U (zh) * 2010-01-20 2010-11-03 梁悦灿 具钢片铰链的眼镜架
KR20110117849A (ko) * 2010-04-22 2011-10-28 김성기 금속안경의 힌지 제조방법 및 그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21706B (zh) 2015-01-21
DE102011086653A1 (de) 2012-06-21
CN102621706A (zh) 2012-08-01
DE102011086653B4 (de) 2015-11-05
ITTO20111172A1 (it) 2012-06-22
FR2969320A1 (fr) 2012-06-22
KR101315849B1 (ko) 2013-10-14
FR2969320B1 (fr) 201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849B1 (ko) 안경테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US9535265B2 (en) Eyeglass frame with decorative piece
KR20160029008A (ko) 안경테, 안경테에 사용되는 렌즈테와 안경테의 조립방법
KR102282966B1 (ko) 무나사 안경힌지를 가지는 조립식 안경
JP2017107199A (ja) 眼鏡レンズへの構造部の固定
EP1646906B1 (en) Recessed hinge to make the temples of spectacles elastic
KR102604772B1 (ko) 안경용 프레임
KR100794872B1 (ko) 향상된 안경-부착식 선글라스
KR20160108990A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20140015233A (ko)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KR101113422B1 (ko) 안경용 힌지
GB2412181A (en) Auxiliary eyeglasses with spring biased lens units
WO2009079943A1 (fr) Monture de lunettes à double couche pouvant être étirée
GB2491210A (en) Spectacle Frames with snap-fit arms and upper and lower frame members
KR20210021722A (ko) 안경용 힌지
KR20000068576A (ko) 신축성을 갖는 안경테 측면부의 경첩
JP4863198B2 (ja) 部材取付構造及びテーブル
KR101403987B1 (ko) 안경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안경프레임
KR200483685Y1 (ko) 안경다리
TWM501571U (zh) 方便更換裝飾件和鏡腿之眼鏡架結構
US20130300998A1 (en) Glasses
KR200490801Y1 (ko) 안경다리와 장석의 결합구조체
KR20110134052A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200468580Y1 (ko) 끼움식 체결구조를 갖는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