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262A -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262A
KR20120069262A KR1020100130740A KR20100130740A KR20120069262A KR 20120069262 A KR20120069262 A KR 20120069262A KR 1020100130740 A KR1020100130740 A KR 1020100130740A KR 20100130740 A KR20100130740 A KR 20100130740A KR 20120069262 A KR20120069262 A KR 2012006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mouse
keyboard
wireless
dong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호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9262A/ko
Priority to EP11194144.9A priority patent/EP2466480B1/en
Priority to US13/330,001 priority patent/US8725082B2/en
Publication of KR2012006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7Coupling between buses using bus bridges
    • G06F13/4045Coupling between buses using bus bridges where the bus bridge performs an extender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동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기기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수단이 접속되는 유선 인터페이스,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기기가 전달하는 유선 입력 신호를 무선 통신 모듈에 적용되는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무선 입력 신호를 무선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단말기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운용 방법{Dongle Device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Device And External Inpu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for External Input Device}
본 발명은 동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입력 수단을 다양한 단말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글(Dongle) 장치는 컴퓨터에 연결하는 작은 크기의 하드웨어로 USB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이 휴대할 수 있는 형태의 장치를 의미한다. 초기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인증을 목적으로 사용하였지만 현재에 이르러 동글이라는 낱말은 단말기에 부착되어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의 의미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동글 장치는 내부적으로 다양한 구성물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지원을 위한 통신 모뎀,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 내장된 통신 모뎀과 메모리 액세스 및 사용 제어를 위한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글 장치는 별도의 배터리를 내장하지 않고, 접속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상기 동글 장치는 상술한 호스트 장치와 접속되기 위한 인터페이스 즉 플러그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 플러그는 USB 표준 형태에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 동글 장치는 USB 표준 형태를 제공하는 단말기들에만 적용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동글 장치는 특정 통신 기능을 보조적으로 지원하는데 그치고 있어 사용자 편의를 위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로의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입력 장치들을 다양한 단말기에게 손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글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편의를 위해 구성된 시스템을 제안하며 해당 시스템 운용을 위한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기기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수단이 접속되는 유선 인터페이스,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기기가 전달하는 유선 입력 신호를 무선 통신 모듈에 적용되는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무선 입력 신호를 무선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단말기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 입력 시스템은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수단, 상기 외부 입력 수단이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USB 타입의 유선 입력 신호를 블루투스 타입의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한 후 블루투스 모듈을 기반으로 전송하는 동글 장치, 상기 동글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무선 입력 신호 수신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은 외부 입력 수단과 동글 장치를 유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동글 장치와 상기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과정, 상기 외부 입력 수단에서 생성된 유선 입력 신호를 상기 동글 장치에 전송하는 유선 전송 과정, 상기 동글 장치가 상기 유선 입력 신호를 무선 입력 신호로 변경하는 변경 과정, 상기 무선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무선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운용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들에게 보다 친숙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보다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가 적용되는 외부 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의 BT 모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신호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패킷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신호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패킷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외부 이력 시스템 및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동글 장치 설명에서 동글 장치와 외부 입력 수단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연결되며, 동글 장치와 단말기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USB 인터페이스로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술한 USB 인터페이스 및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가 포함되는 외부 입력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외부 입력 시스템(10)은 단말기(100), 동글 장치(200) 및 외부 입력 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동글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외부 입력 수단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USB 접속부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기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다른 유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마이크로 USB, UART 방식 등 다양한 유선 방식의 인터페이스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USB 접속부 역시 대체된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외부 입력 시스템(10)은 외부 입력 수단(300)을 동글 장치(200)에 삽입하고 외부 입력 수단(300)에서 일정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해당 입력 신호를 동글 장치(200)를 통하여 단말기(100)에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100)의 특성에 관계없이 그리고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보다 친숙한 외부 입력 수단(300)을 이용하여 단말기(100)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입력 신호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외부 입력 시스템(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동글 장치(2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동글 장치(200)가 변환 중계하는 외부 입력 수단(300)의 입력 신호에 따라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동글 장치(200)와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을 대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입력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 제어에 따라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해당 입력 신호를 단말기(100)에 적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하고, 변환된 명령어를 단말기(100)의 사용자 기능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단말기(100)는 예를 들면 외부 입력 수단(300)이 제공하는 입력 신호 처리가 가능한 모니터나 휴대 단말기 등의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대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동글 장치(200)는 상기 외부 입력 수단(300)이 삽입될 수 있는 유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USB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하나 마련하고, 상기 외부 입력 수단(300)의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글 장치(200)는 상기 외부 입력 수단(300)이 전달하는 유선 입력 신호 예를 들면 USB 타입의 신호를 상기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면 블루투스 모듈에 적용할 수 블루투스 타입의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동글 장치(200)의 세부 구성 및 각 구성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다양하고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외부 입력 수단(300)은 상기 동글 장치(200)에 유선으로 연결되고 사용자 동작에 따라 일정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동글 장치(200)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외부 입력 수단(300)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기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310)와 마우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기 키보드(310) 및 마우스(32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말기(100)에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형태의 입력기기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키보드(310) 및 마우스(320)는 동글 장치(200)에 각각 유선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마련하고, 상기 동글 장치(200)에 마련된 유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USB 인터페이스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키보드(310) 및 마우스(320)는 각각 고유 입력 신호 예를 들면 키보드의 키 입력 신호와 마우스(320)의 방향 신호 또는 클릭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 신호를 동글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수단을 동글 장치(200)를 통하여 지원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자신에게 보다 친숙한 외부 입력 수단(300) 예를 들면 키보드(310)나 마우스(320) 등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익숙하지 않은 입력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또는 입력부를 포함하지 않는 단말기 등에 자신이 원하는 입력 신호를 능숙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글 장치(200)와 단말기(100) 간에 무선 형태의 신호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외부 입력 시스템(10)은 단말기(100)와 외부 입력 수단(300) 간에 일정 거리가 이격되더라도 본 발명의 동글 장치(200)를 이용하여 적절한 입력 신호 생성 및 적용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면 BT 모듈(17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상기 BT 모듈(170)을 이용하여 동글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동글 장치(200)가 전송하는 입력 신호를 단말기(100)의 사용자 기능 운용에 맞도록 변환한 후, 해당 사용자 기능을 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는 자체 포함된 별도의 입력부로부터 발생하는 입력 신호에 관계없이 또는 통합적으로 외부 입력 수단(300)에서 전송한 입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 기능을 운용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에 포함된 무선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형성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통신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BT 모듈(170)이 수신한 입력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BT 모듈(170)이 메시지 작성을 위한 입력 신호 및 메시지 작성 완료 후 해당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작성이 완료된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BT 모듈(170)이 웹 서버 접속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입력 신호에 따라 기지국 또는 무선 접속 포인트 등을 통하여 특정 웹 서버 접속을 시도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고, 해당 웹 서버와 데이터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해당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입력 신호를 직접적으로 생성하는 것으로, 동글 장치(200)와 단말기(100)가 외부 입력 수단(300) 운용을 위해 통신 채널을 형성된 경우 입력 신호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외부 입력 수단(300)에서 전송된 입력 신호에 관계없이 사용자 제어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상기 동글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동글 장치(200)와의 근거리 통신 채널 해제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도 있다. 상기 입력부(120) 또한 무선통신부(110)와 유사하게 상기 단말기(100)가 별도의 입력부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모델인 경우 해당 입력부(120)의 구성을 단말기(100)에서 제거될 수 도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동글 장치(200)와의 연결을 알리는 오디오 데이터, 외부 입력 수단(300)에서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 외부 입력 수단(300)에서 전송한 입력 신호 수신에 따른 효과음 등을 사용자 설정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효과음 출력 및 오디오 데이터 출력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무음 처리될 수 도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게임 화면, 음악 재생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 또는 OLE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4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표시부(140)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를 마련하여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동글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이 형성된 상태에서 외부 입력 수단(300)으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 변화 또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140)는 키보드(310)에서 입력되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0)는 상기 외부 입력 수단(300) 중 마우스(320)의 입력 기능 지원을 위하여 마우스 포인트를 화면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으며, 마우스(320)에서 전송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마우스 포인트를 이동시키거나 마우스 동작에 따른 클릭 동작이나 드래그 동작 등에 따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40)는 동글 장치(200)와의 통신 채널 형성 과정에 대응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동글 장치(200) 간에 통신 채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40)는 동글 장치(200)가 현재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화면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표시부(140)에 출력된 동글 장치(200)와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로부터 동글 장치(200)와 단말기(100)와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일정 거리 이내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저장된 다양한 파일들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단말기(100)가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경우, 해당 터치스크린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및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 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고,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항목으로 가지는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음악 재생 응용 프로그램, 사진 등을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외부 입력 수단(300)으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신호를 단말기(100)에 적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 전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 전환 프로그램은 외부 입력 수단(300)에서 전송되는 명령어들을 단말기(1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코드들로 전환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력 신호 전환 프로그램은 외부 입력 수단(300)에서 전송되는 명령어를 해석하는 루틴, 외부 입력 수단(300)이 전송한 명령어와 단말기(100)에서 지원하는 명령어를 매핑하는 루틴, 매핑된 명령어를 단말기(100)의 동작 수행을 위하여 출력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단말기(100)가 외부 입력 수단(300)에서 전달한 명령어들과 호환이 가능한 하드웨어로 구성된 경우 상기 입력 신호 전환 프로그램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다양한 컨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데이터 영역은 외부 입력 수단(300)으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를 버퍼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당 입력 신호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가 문서 작성 기능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외부 입력 수단(300)을 이용하여 문서 작성에 필요한 정보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영역은 외부 입력 수단(300)으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신호를 버퍼링함과 아울러 임시 저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입력 신호 전환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단말기 적용 코드 매칭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매칭 테이블은 외부 입력 수단(300)이 전송한 입력 신호를 단말기(100)에 적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변환하기 위한 테이블 값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코드 매칭 테이블 또한 상기 단말기(100)의 설계가 외부 입력 수단(300)이 전송하는 입력 신호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상기 BT 모듈(170)은 근거리 통신 모듈로서, 동글 장치(20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과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BT 모듈(170)의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상기 무선통신부(110)가 이용하는 안테나를 이용하거나, 상기 BT 모듈(170) 운용을 위한 별도의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이러한 BT 모듈(170)은 근거리, 일대다, 음성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근거리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에 대한 표준이며, 금속이 아닌 고체를 통과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BT 모듈(170)은 약 10m에 이르는 거리 내의 단말 간 통신이 가능하고, 모델에 따라 100m까지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BT 모듈(170)은 동글 장치(200)와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하여 페어링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글 장치(200)의 지원 여부에 따라 싱글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여 페어링 과정에 필요한 패스워드 입력 과정을 생략하고 상기 동글 장치(200)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동글 장치(20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의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NFC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NFC 모듈을 리더 타입으로 운용하여 상기 동글 장치(200)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모듈 정보 예를 들면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별도의 페어링 과정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생략하고 직접적으로 동글 장치(200)를 인식 및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도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별도의 입력부(120) 구성이 제거된 형태인 경우 상기 단말기(100)는 NFC 모듈을 태그 타입으로 운용하고 동글 장치(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 형성 요청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각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외부 입력 수단(300)으로부터의 입력 신호 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신호 흐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BT 모듈(170)을 활성화하고, BT 모듈(170)을 운용하여 동글 장치(200)를 스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동글 장치(200)가 블루투스 모듈만을 포함한 경우 일반 블루투스 모듈의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동글 장치(200)가 NFC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기(100) 내에 포함된 NFC 모듈을 운용하여 동글 장치(200)의 NFC 모듈로부터 블루투스 모듈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동글 장치(200)와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단말기(100)와 동글 장치(200) 간에 통신 채널이 형성되고, 외부 입력 수단(300)에서 생성된 입력 신호가 무선 입력 신호 예를 들면 블루투스 신호 타입으로 전달되는 경우,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단말기(100)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외부 입력 수단(300)에서 전송한 입력 신호와 호환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입력 신호의 호환을 위하여 입력 신호 전환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단말기(100)의 사용자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동글 장치(200)와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외부 입력 수단(300)에서 전송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단말기 운용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에게 보다 친숙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20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200)는 키보드 유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210), 마우스 유선 인터페이스 예컨대 마우스 USB 인터페이스(220), 신호 변환부(230), 키보드용 무선 통신 모듈 예를 들면 키보드용 BT 모듈(241), 마우스용 무선 통신 모듈 예컨대 마우스용 BT 모듈(242), 안테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동글 장치(200)는 내부 구성들의 운용 및 접속되는 외부 입력 수단(300) 운용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전원부는 상기 동글 장치(200)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충전형 배터리로 구성되거나 영구전원과 연결되는 콘센트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동글 장치(200)는 구조적으로 외부 입력 수단(300)인 키보드(310) 및 마우스(320)의 연결을 위한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210) 및 마우스 USB 인터페이스(220)를 마련하고 해당 인터페이스에 외부 입력 수단(300)이 삽입되면, 외부 입력 수단(300)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외부 입력 수단(300)으로부터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동글 장치(200)는 신호 변환부(230)를 이용하여 USB 타입으로 전달된 신호를 BT 타입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BT 타입 신호를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지원한다. 이하 입력 신호 전달을 수행하는 동글 장치(200)의 각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210)는 키보드(310)에 연결된 USB 접속부가 삽입될 수 있는 표준 USB 인터페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310)가 마이크로 USB 접속부로 구성된 경우, 상기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210)는 해당 접속부 접속을 위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우스 USB 인터페이스(220)는 마우스(320)에 연결된 USB 접속부가 삽입되도록 마우스(320)의 USB 접속부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우스(320)가 표준 USB 접속부를 가지거나 또는 마이크로 USB 접속부를 가지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동글 장치(200)는 상기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210) 및 마우스 USB 인터페이스(22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USB 인터페이스를 더 마련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글 장치(200)는 그림 그리기 작업을 지원하는 그림판 장치의 접속을 위한 그림판 USB 인터페이스를 더 마련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동글 장치(200)는 상기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210) 및 마우스 USB 인터페이스(220)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동글 장치(200)는 설계자의 의도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210) 및 마우스 USB 인터페이스(220)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두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상기 키보드(310) 또는 마우스(320)로부터 전달되는 키보드 유선 입력 신호 또는 마우스 유선 입력 신호를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 또는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입력 버퍼와 버퍼 핸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퍼는 상기 키보드(310) 및 마우스(320)로부터 전달되는 유선 입력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저장된 유선 입력 신호를 버퍼 핸들러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버퍼 핸들러는 입력 버퍼에 저장된 유선 입력 신호를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버퍼 핸들러는 키보드로부터 특정 ASCII 코드 값에 대응하는 명령어가 전달되면 해당 명령어를 BT 모듈(240)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는 형태의 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버퍼 핸들러는 상기 마우스로부터 움직임 신호 또는 클릭 신호 또는 클릭과 움직임 복합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신호 값들을 BT 모듈(240)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는 패킷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변환된 신호의 특성 즉 키보드(310) 입력 신호인지 마우스(320) 입력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 해당 BT 모듈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BT 타입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된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키보드용 BT 모듈(241)에 전달하며, BT 타입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된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마우스용 BT 모듈(242)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용 BT 모듈(241) 및 마우스용 BT 모듈(242)은 각각 안테나부(25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키보드용 BT 모듈(241) 및 마우스용 BT 모듈(242)은 개별적으로 단말기(100)와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고, 페어링 과정 완료 후 각각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키보드용 BT 모듈(241) 및 마우스용 BT 모듈(242)은 신호 변환부(230)로부터 일정 패킷을 수신하면, 해당 패킷을 안테나부(250)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부(250)는 상기 키보드용 BT 모듈(241) 및 마우스용 BT 모듈(242)의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부(250)는 BT 모듈 지원을 위한 일정 패턴 타입으로 형성되어 동글 장치(200)의 일정 영역 예를 들면 케이스 내측면에 실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200)는 키보드(310) 및 마우스(320) 등의 외부 입력 수단(300)이 유선으로 접속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해당 외부 입력 수단(300)에서 생성된 유선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100)에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타입으로 변환한 뒤, 해당 입력 신호를 각각 구분하여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동글 장치(200)는 키보드(310) 및 마우스(320) 등에서 생성되는 유선 입력 신호에 따라 단말기(100)의 사용자 기능을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200)는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210), 마우스 USB 인터페이스(220), 신호 변환부(230), 키보드용 스택(231), 마우스용 스택(232), BT 모듈(240), 안테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200) 설명에 앞서 상기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210), 마우스 USB 인터페이스(220), 안테나부(250) 등은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2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 될 수 있으며 역할 또한 유사한 역할을 수행함으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변환부(230)와 유사하게 상기 키보드(310) 또는 마우스(320)로부터 전달되는 유선 입력 신호 예컨대 USB 타입 신호를 무선 입력 신호 예컨대 BT 타입 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입력 버퍼와 버퍼 핸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퍼는 상기 키보드(310) 및 마우스(320)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신호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저장된 입력 신호를 버퍼 핸들러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버퍼 핸들러는 입력 버퍼에 저장된 USB 타입 신호를 BT 타입 신호로 변환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신호 변환부(230)는 변환된 신호 즉 BT 타입으로 변환된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키보드용 스택(231)에 전달하며, BT 타입으로 변환된 마우스용 무선 입력 신호를 마우스용 스택(232)에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 및 마우스용 스택(232) 정보 기입을 위한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은 신호 변환부(230)와 연결되어 신호 변환부(230)가 변환한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 즉 BT 타입으로 변환된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키보드용 스택(231)에 저장된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는 BT 모듈(240)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다.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은 FIFO(First In First Out) 형태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마우스용 스택(232)은 신호 변환부(230)와 연결되어 신호 변환부(230)가 변환한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 즉 BT 타입으로 변환한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마우스용 스택(232)에 저장된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는 BT 모듈(240)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다. 상기 마우스용 스택(232)은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과 유사하게 FIFO(First In First Out) 형태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BT 모듈(240)은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 및 상기 마우스용 스택(232)에 저장된 일정 신호 예를 들면 BT 타입으로 변환된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 또는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액세스하고, 해당 신호들을 안테나부(250)를 통하여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BT 모듈(240)은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 및 상기 마우스용 스택(23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기 위한 신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200)는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210), 마우스 USB 인터페이스(220), 신호 변환부(230), 키보드용 스택(231), 마우스용 스택(232), BT 모듈(240), NFC 모듈(243) 및 안테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200) 설명에 앞서 상기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210), 마우스 USB 인터페이스(220), 신호 변환부(230), 키보드용 스택(231), 마우스용 스택(232) 및 안테나부(250) 등은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2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 될 수 있으며, 역할 또한 동일한 역할을 수행함으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NFC 모듈(243)은 단말기(100)에 마련된 리더 기능의 NFC 모듈 동작에 대응하여 태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NFC 모듈(243)은 상기 안테나부(250)를 통하여 단말기(100)가 전송하는 태깅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태깅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BT 페어링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NFC 모듈(243)은 기 저장된 BT 모듈 페어링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의 NFC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FC 모듈(243)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의 BT 모듈(240)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BT 모듈 페어링을 위한 정보를 사전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C 모듈(243)은 동글 장치(200)가 도 3에서와 같이 키보드용 BT 모듈(241) 및 마우스용 BT 모듈(242)을 포함하는 경우 사전에 키보드용 BT 모듈(241) 및 마우스용 BT 모듈(242)의 페어링 정보 예를 들면 Mac Address와 Pin Number를 저장하고 있다가 단말기(100)의 BT 페어링 정보 요청에 대응하여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FC 모듈(243)은 동글 장치(200) 설계 방식에 따라 리더 모드로 동작할 수 도 있다. 즉 동글 장치(200) 제작 시 NFC 모듈(243)을 리더 모드 및 태그 모드 모두를 지원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상기 동글 장치(200) 운용을 위한 전원부를 NFC 모듈(243)에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글 장치(200)는 상기 NFC 모듈(243)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버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동글 장치(200)에 마련된 버튼 등을 이용하여 NFC 모듈(243)의 리더 모드에서 단말기(100)를 태깅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단말기(100)에 BT 페어링 정보를 요청하여 동글 장치(200)를 주체로 단말기(1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 형성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BT 모듈(240)은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 및 상기 마우스용 스택(232)에 저장된 일정 신호 예를 들면 BT 타입으로 변환된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 또는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액세스하고, 해당 신호들을 안테나부(250)를 통하여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BT 모듈(240)은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 및 상기 마우스용 스택(232)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이기 위한 신호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BT 모듈(240)은 단말기(100)로부터 NFC 모듈(243)에 사전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근거리 통신 채널 형성 요청이 오면 별도의 정보 입력 과정 수행 없이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T 모듈(240)은 상기 NFC 모듈(243)이 리더 모드로 동작하여 단말기(100)의 BT 페어링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해당 BT 페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1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 형성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 및 마우스용 스택(232)을 BT 모듈(240)에 인접된 영역에 배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 및 마우스용 스택(2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T 모듈(240) 내에 마련되는 BT 스택(245)에서 일정 영역들을 할당 받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 및 마우스용 스택(232)은 본 발명의 동글 장치(200) 제작 시 신호 변환부(230) 및 BT 모듈(240)과 일정 신호 라인으로 연결되며 BT 모듈(240) 및 신호 변환부(230)에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 및 마우스용 스택(232)에 데이터 쓰기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BT 모듈(240)은 상기 키보드용 스택(231) 및 마우스용 스택(232)으로부터 데이터 읽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택들은 상기 신호변환부에 인접되도록 배치되어 별도의 신호 라인 배치 없이 신호변환부가 직접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200)의 구성에서는 키보드용 BT 모듈(241) 및 마우스용 BT 모듈(242)을 별도로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키보드용 BT 모듈(241) 및 마우스용 BT 모듈(242)은 하나의 BT 모듈로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BT 타입으로 변환되는 무선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패킷의 형태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지시하는 마우스 지시 영역(41),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42),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지시하는 키보드 지시 영역(43),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44)을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40)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글 장치(200)가 상술한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BT 모듈이 각각 키보드용 BT 모듈(241) 및 마우스용 BT 모듈(242)로 구분되거나, 키보드용 스택(231) 및 마우스용 스택(232)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도 8에서와 같이 각각의 무선 입력 신호를 구분하는 패킷을 별도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210)를 통하여 USB 타입의 키보드 유선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유선 입력 신호를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함과 아울러 도 8의 801 구조에서와 같이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키보드 지시 영역(41) 및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42)을 포함하는 키보드용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키보드용 패킷을 키보드용 스택(231) 또는 키보드용 BT 모듈(24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변환부(230)는 마우스 USB 인터페이스(220)를 통하여 USB 타입의 마우스 유선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입력 신호를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함과 아울러 도 8의 803 구조에서와 같이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마우스 지시 영역(43) 및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44)을 포함하는 마우스용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마우스용 패킷을 마우스용 스택(232) 또는 마우스용 BT 모듈(242)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상기 동글 장치(200)로부터 상술한 패킷 구조를 가지는 패킷을 수신하면,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마우스 지시 영역(41) 및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키보드 지시 영역(43)을 확인하여 전달된 패킷이 어떠한 입력 신호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입력 신호 확인이 완료되면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 및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가 기재된 영역을 확인하여 해당 영역에 기재된 입력 신호를 사용자 기능에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패킷에 마우스 및 키보드 관련 데이터들이 모두 포함된 경우 패킷의 전체 영역들을 모두 읽을 수 있다. 상술한 패킷 구조에서 각 패킷의 후미에는 해당 패킷의 완료를 지시하는 플래그 값이 기재되는 영역이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시스템(10)과 외부 입력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단말기(100) 및 동글 장치(200)의 다양한 구조와 기능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글 장치 기반의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외부 입력 시스템의 각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은 먼저 901 단계에서 외부 입력 수단(300)을 동글 장치(200)에 마련된 USB 인터페이스에 연결함으로써 USB 연결 상태를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 입력 수단(300)에 포함되는 기기들 예를 들면 키보드(310) 및 마우스(320)는 USB 접속부를 마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USB 접속부를 상기 동글 장치(200)에 마련된 USB 인터페이스에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동글 장치(200)는 901 단계에서 사용자 제어에 따라 단말기(100)와 근거리 통신 채널 예를 들면 BT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100)는 동글 장치(200) 스캔 과정, 동글 장치(200)와의 BT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여 BT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동글 장치(200)에 NFC 모듈(243)이 포함된 경우 NFC 모듈(243)에 저장된 BT 모듈 페어링 정보 예를 들면 Mac Address와 Pin Number를 수집하고, 수집된 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동글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USB 연결 및 BT 연결은 순서에 관계없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상기 외부 입력 수단(300)을 이용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상기 외부 입력 수단(300)은 903 단계에서 USB 접속부 및 US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USB 타입의 입력 신호를 동글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입력 수단(300)으로부터 USB 타입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동글 장치(200)는 905 단계에서 USB 입력 신호를 BT 타입의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글 장치(200)는 상기 외부 입력 수단(300)에 포함된 키보드(310) 및 마우스(320)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임을 각각 지시하는 데이터 및 해당 입력 신호 데이터를 무선 통신 모듈에 적용되는 무선 입력 신호 예를 들면 BT 입력 신호로 변환된 패킷에 기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글 장치(200)는 키보드(310)로부터 전달된 USB 입력 신호를 BT 입력 신호 즉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하면서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데이터 및 키보드의 특정 키에 대응하는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할 수 있고, 마우스(320)로부터 전달된 USB 입력 신호를 BT 입력 신호 즉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하면서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데이터 및 마우스의 방향 또는 클릭에 대응하는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글 장치(200)는 BT 입력 신호로 변환된 패킷을 907 단계에서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기(100)는 수신된 BT 입력 신호를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사용자 기능에 적용하여 BT 입력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은 사용자가 운용하기에 보다 친숙한 외부 입력 수단(300)을 동글 장치(200)에 연결하여 단말기(100) 운용을 수행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단말기(100)의 입력부 환경에 관계없이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다양한 작업 예를 들면 이메일 작성, 메시지 작성, 그림 그리기, 사진 편집 등을 능숙하고 손쉽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단말기(100)는 간단한 사용자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술한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제공 형태에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았거나 간략히 언급한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 외부 입력 시스템 40 : 패킷
100 : 단말기 110 : 무선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단말기 BT 모듈
200 : 동글 장치 210 : 키보드 USB 인터페이스
220 : 마우스 USB 인터페이스 230 : 신호 변환부
231 : 키보드용 스택 232 : 마우스용 스택
240 : 동글 장치 BT 모듈 241 : 키보드용 BT 모듈
242 : 마우스용 BT 모듈 250 : 안테나부
300 : 외부 입력 수단 310 : 키보드
320 : 마우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기기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수단이 접속되는 유선 인터페이스;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기기가 전달하는 유선 입력 신호를 무선 통신 모듈에 적용되는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상기 무선 입력 신호를 무선 통신 채널을 기반으로 단말기에 전송하는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은 USB 타입이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저장하는 NFC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는
    키보드 접속을 위한 키보드 유선 인터페이스;
    마우스 접속을 위한 마우스 유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유선 입력 신호를 변환한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가 저장되는 키보드용 스택;
    상기 마우스로부터 입력된 유선 입력 신호를 변환한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저장하는 마우스용 스택;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용 스택 및 상기 마우스용 스택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신호 변환부와 연결되는 신호 라인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연결되는 신호 라인을 더 포함하여 상기 신호 변환부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과 독립적으로 마련되거나, 상기 무선 통신 모듈 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영역, 상기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 상기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영역, 상기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패킷;
    상기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영역 및 상기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키보드용 패킷;
    상기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영역 및 상기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마우스용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유선 입력 신호를 변환한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키보드용 무선 통신 모듈;
    상기 마우스로부터 입력된 유선 입력 신호를 변환한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마우스용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
  9.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수단;
    상기 외부 입력 수단이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입력 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USB 타입의 유선 입력 신호를 블루투스 타입의 무선 입력 신호로 변환한 후 블루투스 모듈을 기반으로 전송하는 동글 장치;
    상기 동글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무선 입력 신호 수신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글 장치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페어링 정보를 저장하는 NFC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동글 장치의 NFC 모듈에 저장된 페어링 정보를 읽어오기 위한 리더 기능의 NFC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글 장치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 내에 마련되는 상기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USB 타입의 키보드 유선 입력 신호를 변환한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가 저장되는 키보드용 스택;
    상기 마우스로부터 입력된 USB 타입의 마우스 유선 입력 신호를 변환한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가 저장되는 마우스용 스택;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영역, 상기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 상기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영역, 상기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패킷;
    상기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영역 및 상기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키보드용 패킷;
    상기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임을 지시하는 영역 및 상기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마우스용 패킷;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14. 외부 입력 수단과 동글 장치를 유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동글 장치와 상기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과정;
    상기 외부 입력 수단에서 생성된 유선 입력 신호를 상기 동글 장치에 전송하는 유선 전송 과정;
    상기 동글 장치가 상기 유선 입력 신호를 무선 입력 신호로 변경하는 변경 과정;
    상기 무선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무선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으로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외부 입력 수단과 상기 동글 장치 간에 USB 접속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으로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와 상기 동글 장치 간에 블루투스 페어링 과정을 통한 블루투스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으로 연결하는 과정은
    상기 동글 장치에 마련된 NFC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상기 단말기가 수집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가 상기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동글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전송 과정은
    키보드로부터 생성된 키보드 유선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마우스로부터 생성된 마우스 유선 입력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과정은
    상기 키보드 유선 입력 신호를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로 변경하고, 상기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임일 지시하는 영역, 상기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키보드용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마우스 유선 입력 신호를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로 변경하고, 상기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임일 지시하는 영역, 상기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마우스용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키보드 유선 입력 신호를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로 변경하고, 상기 마우스 유선 입력 신호를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로 변경한 후 상기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임일 지시하는 영역, 상기 키보드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 상기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임일 지시하는 영역, 상기 마우스 무선 입력 신호를 기재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패킷을 생성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용 패킷을 키보드용 스택에 저장하는 과정;
    상기 마우스용 패킷을 마우스용 스택에 저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수단 운용 방법.
KR1020100130740A 2010-12-20 2010-12-20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20120069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740A KR20120069262A (ko) 2010-12-20 2010-12-20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운용 방법
EP11194144.9A EP2466480B1 (en) 2010-12-20 2011-12-16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US13/330,001 US8725082B2 (en) 2010-12-20 2011-12-19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740A KR20120069262A (ko) 2010-12-20 2010-12-20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262A true KR20120069262A (ko) 2012-06-28

Family

ID=4556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740A KR20120069262A (ko) 2010-12-20 2010-12-20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25082B2 (ko)
EP (1) EP2466480B1 (ko)
KR (1) KR201200692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864A (ko) * 2013-01-07 2014-07-16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와 컴퓨터의 연동 시스템
KR20160089588A (ko) * 2015-01-19 2016-07-28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hmd의 외부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9578668B2 (en) 2014-08-25 2017-02-21 Hyundai Motor Company Bluetooth pairing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6666B2 (ja) * 2012-11-14 2016-02-17 サイレック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デバイスサーバシステム
JP6366270B2 (ja) * 2012-12-26 2018-08-01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サービス提供端末に連結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068746B1 (ko) * 2012-12-26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제공 단말에 연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TWI492097B (zh) * 2013-03-01 2015-07-11 Dexin Corp 可感應設定之無線輸入裝置及其方法
US9852086B2 (en) * 2014-12-22 2017-12-26 Mcafee, Llc Pairing of external device with random user action
WO2017142339A1 (en) * 2016-02-19 2017-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ng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43301B1 (ko) * 2017-04-28 2021-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연결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445105B2 (en) * 2018-01-29 2019-10-15 Pixart Imaging Inc. Schem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dongle device and/or electronic device to enter waiting state of device pairing in which the dongle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exchange/share pairing information
CA3093299A1 (en) * 2018-03-09 2019-09-12 Stryker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a surgical instrument of console-based surgical systems
WO2020022950A1 (en) 2018-07-23 2020-01-30 Razer (Asia-Pacific) Pte. Ltd. A wireless lighting effect configuration data transmis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1114B1 (en) * 2000-03-28 2005-09-06 Behavior Tech Computer Corporation USB-based wireless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US20040198429A1 (en) 2002-08-27 2004-10-07 An-Yu Yen Hub provided with fun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KR200306184Y1 (ko) 2002-12-17 2003-03-04 글로벌 썬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의 유 에스 비 마우스
US7136904B2 (en) * 2002-12-23 2006-11-14 Microtine (San Diego), Inc. Wireless cable replacement for computer peripherals using a master adapter
US7660611B1 (en) * 2004-03-25 2010-02-09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Wireless human interface device packet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TWM260958U (en) * 2004-07-23 2005-04-01 Blueexpert Technology Corp USB wireless transmitter with USB expansion slot
JP2008046970A (ja) * 2006-08-18 2008-02-28 Ricoh Co Ltd ワイヤレスusbアダプタ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864A (ko) * 2013-01-07 2014-07-16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와 컴퓨터의 연동 시스템
US9578668B2 (en) 2014-08-25 2017-02-21 Hyundai Motor Company Bluetooth pairing system and method
KR20160089588A (ko) * 2015-01-19 2016-07-28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hmd의 외부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6480B1 (en) 2015-04-15
US8725082B2 (en) 2014-05-13
US20120156993A1 (en) 2012-06-21
EP2466480A1 (en)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9262A (ko) 외부 입력 수단 운용을 위한 동글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시스템 및 운용 방법
US11329938B2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AU20142580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memory of user device
CN111083684B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US1135041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operating channel of the same
KR20140112900A (ko) 블루루스 디바이스에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US9078111B2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using text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9561014A (zh) 一种web即时通讯方法及系统
KR20120059168A (ko) 테더링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지원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5335434B (zh) 日志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8700100B2 (en) Headset, operat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10944318B (zh) 一种锁卡设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EP2793122A2 (en)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6454299A (zh) 一种终端之间的屏幕投影方法及装置、终端
JP7319431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機能の実施方法及び電子装置
CN113194454A (zh) 数据分享的方法、电子设备
CN111726848B (zh) 设备绑定方法、目标启动装置、固定终端及存储介质
KR20080071379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근거리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그 단말기기
CN105677292A (zh) 一种wifi无损音乐播放器控制方法及系统
CN112416582B (zh) 一种bsp系统自适应方法、客户端、服务器及存储介质
US2023022439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during call
US2024011885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onstructing screen using external device
JP3193817U (ja) 入力システム
KR20230039996A (ko) 복수의 사물 인터넷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CN117768926A (zh) 多设备组网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6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14

Effective date: 2019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