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184Y1 -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의 유 에스 비 마우스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의 유 에스 비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184Y1
KR200306184Y1 KR20-2002-0037629U KR20020037629U KR200306184Y1 KR 200306184 Y1 KR200306184 Y1 KR 200306184Y1 KR 20020037629 U KR20020037629 U KR 20020037629U KR 200306184 Y1 KR200306184 Y1 KR 200306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bluetooth
mouse
module pair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세르예
오떼르판
Original Assignee
글로벌 썬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 썬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글로벌 썬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20-2002-00376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1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1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3Remote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a pointing device are transmitted to a PC at a remote location, e.g. to a PC in a L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종의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의 USB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주로 인터페이스 모듈쌍, 블루투스 모듈쌍 및 마우스 모듈쌍으로 이루어지며, 그중 인터페이스 모듈쌍은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고, 동시에 블루투스 모듈쌍, 마우스 모듈쌍과 서로 연결된다. 사용자가 마우스를 조작할 때 이 마우스 모듈쌍으로써 마우스의 동작을 통제하며, 좌표이동이나 키를 누르는 신호를 컴퓨터 본체에 보내어, 사용자가 순조롭게 마우스 조작이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가 마우스를 조작하는 동시에 블루투스 모듈쌍을 이용해 블루투스 신호를 범위 내에 있는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설비(예를들어, 필기형 컴퓨터, PDA, 블루투스 소리 전화 등)로 수신 또는 전송하며, 패키지 단위의 자료전송을 진행한다. 이렇게 하여 블루투스 전송, 수신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마우스 조작과 동시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고품질과 편리성, 원가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의 유 에스 비 마우스{An USB mouse of blue tooth transfer interface}
날로 발전하는 컴퓨터 관련산업에 힘입어 컴퓨터 외부접속설비 역시 현저한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들어, 마우스는 현대인의 컴퓨터 조작에 없어서는 안될 수단으로 만약 컴퓨터를 마우스 없이 키보드로만 조작한다고 할 때 사용자는 반드시 많은 불편을 느낄 것이다. 또한 무선 전송의 발전으로 블루투스 전송 역시 점점 전통적인 무선 전송기술을 대체하고 광범하게 각종 상황과 관련설비에 응용되고 있다. 전술한 두 종류의 설비는 현대인의 컴퓨터 사용에 있어 상당히 중요한 외부접속 설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현재 시장에 나와있는 마우스 및 블루투스 수신기는 두 종류의 독립된 제품인데, 만약 컴퓨터 사용자(A)가 USB 마우스(A1)를 이용해 컴퓨터를 조작하려고 할 때 반드시 블루투스 수신기(A2)를 통해야만 기타 컴퓨터 사용자(B)가 접속 설치한 블루투스 수신기(B1) 또는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설비(C)에 자료 전송이 가능하다. 이렇게 종래의 방식은 반드시 마우스와 블루투스 수신기 두 종류 제품을 갖추고 있어야만 가능한데, 이럴 경우 원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외출시 휴대에도 상당한 부담과 불편을 초래하며, 또한 사용에 있어서도 삽입, 제거는 물론 설치상의 불편을 초래한다.
전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종의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USB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주요 목적은 일종의 인터페이스 모듈쌍을 이용해 컴퓨터 본체에 연결하여 블루투스 모듈쌍과 마우스 모듈쌍의 조합운행을 통해 동시에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 내지 조작하는 USB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종의 블루투스 모듈쌍과 마우스 모듈쌍의 결합을 이용하여, 원가절감과 USB 연결포트의 점용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종의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에 편리하며 지나치게 많은 외부접속 설비를 피할 수 있는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USB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루투스 전송방식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블루투스 전송방식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마우스 통제과정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블루투스 신호 전송과정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A:컴퓨터 사용자 A1:USB 마우스
A2, B1:블루투스 수신기 B:기타 컴퓨터 사용자
C: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설비
1:인터페이스 모듈쌍 11:인터페이스 전환기
12:USB 콘센트 2:블루투스 모듈쌍
21:USB 인터페이스 22, 32:전원공급회로
23:블루투스 통제칩 24:전환회로
25:안테나 3:마우스 모듈쌍
31:USB 인터페이스 33:통제회로
331:누름키 통제기 34:전송회로
35:감지기 회로 4, 5:컴퓨터 사용자
41: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USB 마우스
51:블루투스 수신기 6: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설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은 일종의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USB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주로 인터페이스 모듈쌍(1), 블루투스 모듈쌍(2) 및 마우스 모듈쌍(3)으로 이루어지며,
그중 인터페이스 모듈쌍(1)은 각각 블루투스 모듈쌍(2), 마우스 모듈쌍(3)과 서로 연결되며, 동시에 하나의 인터페이스 전환기(11)와 하나의 USB 콘센트(12)가설치되어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전환기(11)는 각각 블루투스 모듈쌍(2), 마우스 모듈쌍(3)과 서로 연결되며, 다른 한쪽은 USB 콘센트(12)에 연결되어 있고, 이 인터페이스 전환기(11)는 블루투스 모듈쌍(2), 마우스 모듈쌍(3)이 전송하는 신호에 대해 신호전환의 동작과 루트를 제공하며, 또한 USB 콘센트(12)를 통해 컴퓨터 사용자(4)에게 전송한다.
상기 USB 콘센트(12)와 인터페이스 전환기(11)는 서로 연결되며, 인터페이스 전환기(11)와 컴퓨터 사용자(4) 사이에 신호전송의 인터페이스와 루트의 작용을 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쌍(2)의 한쪽 끝은 인터페이스 전환기(11)와 서로 연결되어, 순서대로 USB 인터페이스(21), 전원공급회로(22), 블루투스 통제칩(23), 전환회로(24) 및 안테나(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USB인터페이스(21)는 블루투스 모듈쌍(2)과 인터페이스 모듈쌍(1)의 전송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공급회로(22)는 USB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해 컴퓨터 사용자(4)로부터 전원을 가져오고, 동시에 블루투스 모듈쌍(2)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블루투스 통제칩(23)은 컴퓨터 사용자(4) 또는 전환회로(24)의 패키지 단위 자료를 처리하는데 쓰인다.
상기 전환회로(24)는 안테나(25)가 전해온 블루투스 신호를 블루투스 통제칩(23)에 전송하거나 또는 블루투스 통제칩(23)이 전해온 블루투스 신호를 안테나(25)에 전환, 전송한다.
상기 안테나(25)는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 수신하는 매체이다.
상기 마우스 모듈쌍(3)의 한쪽 끝은 인터페이스 전환기(11)와 서로 연결되며, 순서대로 USB인터페이스(31), 전원공급회로(32), 통제회로(33), 전송회로(34) 및 감지기 회로(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USB인터페이스(31)는 마우스 모듈쌍(3)과 인터페이스 모듈쌍(1)의 전송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공급회로(32)는 USB인터페이스(31)를 이용해 컴퓨터 사용자(4)로부터 전원을 가져오고, 동시에 마우스 모듈쌍(3)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통제회로(33)에는 누름키 통제기(331)가 설치되어, 전송회로(34)가 전해온 좌표신호와 누름키 통제기(331)가 전해온 누름키 통제신호를 컴퓨터 사용자(4)에게 전송하여 마우스의 좌표이동 동작을 구동시킨다.
상기 누름키 통제기(331)는 수요에 의해 여러 개의 키(예를들어, 왼쪽 키, 오른쪽 키, 중간 키, 롤러 등)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동시에 누름키 구동신호를 통제회로(33)에 전송한다.
상기 전송회로(34)는 감지기 회로(35)가 측정한 좌표신호를 통제회로(33)에 전송한다.
상기 감지기 회로(35)는 마우스 이동의 좌표위치를 측정, 감응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2와 도 3에 도 4를 배합해 보면, 컴퓨터 사용자(4)가 블루투스 전송인터페이스를 갖춘 USB 마우스(41)를 조작할 때, 감지기 회로(35)가 마우스 이동의 좌표위치를 측정, 감응하여, 측정한 좌표신호를 전송회로(34)를 통해 통제회로(33)에 전송하고, 다시 통제회로(33)를 통해 누름키 구동의 신호와 좌표신호를 USB 인터페이스(31)에 전송하며, 다시 인터페이스 전환기(11)와 USB 콘센트(12)를 경유하여 신호전환의 동작과 루트를 제공하며, 누름키 구동과 좌표신호를 컴퓨터 사용자(4)에게 전송하여, 이로써 컴퓨터 사용자(4)에게 좌표이동의 동작을 제공한다. 이 마우스 모듈쌍(3)은 전원공급회로(32)를 이용해 컴퓨터 사용자(4)에게 필요한 전력을 끌어다 준다.
다시 도 2와 도 3, 도 5를 참고하면, 이 컴퓨터 사용자(4)는 또한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USB 마우스(41)를 조작하는 동시에 안테나(25)를 통해 기타 컴퓨터 사용자(5)의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가 내보내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고, 동시에 전환회로(24)를 통해 블루투스 신호를 블루투스 통제칩(23)에 전환, 전송하며, 이 블루투스 통제칩(23)은 블루투스 신호의 패키지 단위 자료를 처리하고, 다시 블루투스 통제칩(23)을 경과해 처리가 완료된 패키지 단위 자료를 인터페이스 전환기(11)와 USB 콘센트(12)를 이용해 신호 전환과 루트를 제공하게 되며, 이로써 패키지 단위 자료는 컴퓨터 사용자(4)에게 전송된다. 또는 원래의 전송루트를 통해 패키지 단위 자료를 블루투스 신호로 전환하여 다시 안테나(25)를 경과해 기타 컴퓨터 사용자(5) 또는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설비(6)에 전송하여, 이로써 컴퓨터 사용자(4)와 기타 컴퓨터 사용자(5) 또는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설비(6)에 삼방향의 패키지 단위 자료의 전송을 진행한다. 이 블루투스 모듈쌍(2)은 전원공급회로(22)를 이용해 컴퓨터 사용자(4)로부터 필요한 전력을 끌어온다.
전술한 모듈쌍의 조합운용을 통해 사용자는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USB 마우스(41)를 조작할 때, 마우스 모듈쌍(3)으로써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USB 마우스(41)의 동작을 통제하며, 동시에 이동좌표 또는 누름키의 신호를 컴퓨터 사용자(4)에게 전송하여, 사용자의 좌표이동 동작을 순조롭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USB 마우스(41)를 조작하는 동시에 블루투스 모듈쌍(2)을 이용해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고, 범위내의 컴퓨터 사용자(5)의 블루투스 수신기(51) 또는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설비(6)(예를 들어 필기형 컴퓨터, PDA, 블루투스 소리 전화 등)에 패키지 단위 자료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블루투스 전송, 수신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동시에 마우스 조작과 블루투스 신호를 전송하여 고품질과 편리성, 원가절감 및 USB 연결포트의 단일점용 방지목적을 이룰수 있다.

Claims (1)

  1. 인터페이스 모듈쌍(1), 블루투스 모듈쌍(2) 및 마우스 모듈쌍(3)으로 이루어지는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USB 마우스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쌍(1)은 각각 블루투스 모듈쌍(2), 마우스 모듈쌍(3)과 서로 연결되며, 동시에 하나의 인터페이스 전환기(11)와 하나의 USB 콘센트(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인터페이스 전환기(11)는 각각 블루투스 모듈쌍(2), 마우스 모듈쌍(3)과 서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USB 콘센트(12)에 연결되어, 상기 블루투스 모듈쌍(2), 마우스 모듈쌍(3)이 전송하는 신호에 대해 신호전환의 동작과 루트를 제공하고, 상기 USB 콘센트(12)를 통해 컴퓨터 사용자(4)에게 전송하며;
    상기 USB 콘센트(12)와 인터페이스 전환기(11)는 서로 연결되어, 인터페이스 전환기(11)와 컴퓨터 사용자(4) 사이에 신호전송의 인터페이스와 루트의 작용을 하며;
    상기 블루투스 모듈쌍(2)의 한쪽 끝은 인터페이스 전환기(11)와 서로 연결되고, 순서대로 USB 인터페이스(21), 전원공급회로(22), 블루투스 통제칩(23), 전환회로(24) 및 안테나(25)가 설치되며;
    상기 USB인터페이스(21)는 블루투스 모듈쌍(2)과 인터페이스 모듈쌍(1)의 전송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상기 전원공급회로(22)는 USB 인터페이스(21)를 이용해 컴퓨터 사용자(4)로부터 전원을 가져오고, 동시에 블루투스 모듈쌍(2)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블루투스 통제칩(23)은 컴퓨터 사용자(4) 또는 전환회로(24)의 패키지 단위 자료를 처리하는데 쓰이며;
    상기 전환회로(24)는 안테나(25)가 전해온 블루투스 신호를 블루투스 통제칩(23)에 전송하거나 또는 블루투스 통제칩(23)이 전해온 블루투스 신호를 안테나(25)에 전환, 전송하며;
    상기 마우스 모듈쌍(3)의 한쪽 끝은 인터페이스 전환기(11)와 서로 연결되고, 순서대로 USB인터페이스(31), 전원공급회로(32), 통제회로(33), 전송회로(34) 및 감지기 회로(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USB인터페이스(31)는 마우스 모듈쌍(3)과 인터페이스 모듈쌍(1)의 전송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상기 전원공급회로(32)는 USB인터페이스(31)를 이용해 컴퓨터 사용자(4)로부터 전원을 가져오고, 동시에 마우스 모듈쌍(3)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며;
    상기 통제회로(33)에는 누름키 통제기(331)가 설치되어, 전송회로(34)가 전해온 좌표신호와 누름키 통제기(331)가 전해온 누름키 통제신호를 컴퓨터 사용자(4)에게 전송하여 마우스의 좌표이동 동작을 구동시키며;
    상기 누름키 통제기(331)는 수요에 의해 여러 개의 키(예를 들어 왼쪽 키, 오른쪽 키, 중간 키, 롤러 등)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동시에 누름키 구동신호를 통제회로(33)에 전송하며;
    상기 전송회로(34)는 감지기 회로(35)가 측정한 좌표신호를 통제회로(33)에전송하며;
    상기 감지기 회로(35)는 마우스 이동의 좌표위치를 측정, 감응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를 갖춘 USB 마우스.
KR20-2002-0037629U 2002-12-17 2002-12-17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의 유 에스 비 마우스 KR200306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629U KR200306184Y1 (ko) 2002-12-17 2002-12-17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의 유 에스 비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629U KR200306184Y1 (ko) 2002-12-17 2002-12-17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의 유 에스 비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184Y1 true KR200306184Y1 (ko) 2003-03-04

Family

ID=4940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629U KR200306184Y1 (ko) 2002-12-17 2002-12-17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의 유 에스 비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1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5082B2 (en) 2010-12-20 2014-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5082B2 (en) 2010-12-20 2014-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ngle and method for operating external input means, and external input system with the dong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9975B2 (ja) 移動通信端末機のデータ受信方法及びその装置
CN102117539A (zh) 一种遥控器及遥控实现方法
TW200609820A (en)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mputers
KR200306184Y1 (ko) 블루투스 전송 인터페이스의 유 에스 비 마우스
US8307221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0407830C (zh) 一种可作为电脑鼠标的移动通信终端及其实现方法
CN201926989U (zh) 集合鼠标功能的快捷输入的键盘
US20060227112A1 (en) Combined keyboard and wireless transceiver
CN201229555Y (zh) 蓝牙双轴电机鼠标
US6659665B1 (en) USB keyboard having blue tooth device
CN101825957A (zh) 一种手势控制鼠标
CN205091718U (zh) 一种智能蓝牙体感鼠标
CN207148575U (zh) 一种远程监控dtu数传设备
CN2544684Y (zh) 一种可双向启动的医用监护系统
CN218037820U (zh) 通用序列汇流排集线装置及系统
US6615283B1 (en) Keyboard system
JP2000187537A (ja) Usbポートハブ
KR100471078B1 (ko)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JPH11272409A (ja) 複数端末を操作可能な入力装置
JPH10174177A (ja) 赤外線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赤外線通信制御方法
US20040021642A1 (en) Wireless digital tablet with multiple transmission modes
JP3094602U (ja) ブルートゥース伝送インターフェイスを具えるusbマウス
CN103995605A (zh) 一种具备随身wifi功能的鼠标及其使用方法
US20040156344A1 (en) Blue tooth internet communicating system having vocal communicating device
KR960008903Y1 (ko)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통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