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171A -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초음파 시스템 - Google Patents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초음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171A
KR20120069171A KR1020100130595A KR20100130595A KR20120069171A KR 20120069171 A KR20120069171 A KR 20120069171A KR 1020100130595 A KR1020100130595 A KR 1020100130595A KR 20100130595 A KR20100130595 A KR 20100130595A KR 20120069171 A KR20120069171 A KR 20120069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ltrasound
power supply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8769B1 (ko
Inventor
김칠수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769B1/ko
Priority to EP11193907.0A priority patent/EP2465438B1/en
Priority to JP2011278368A priority patent/JP2012130699A/ja
Priority to US13/331,521 priority patent/US8784315B2/en
Publication of KR2012006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B06B1/0215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pulses, e.g. bursts of oscillations, envel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96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related to power management, e.g. saving power or prolonging life of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17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particularly adapted to short-range imaging
    • G01S7/52019Details of transmit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임의 파형(arbitrary waveform)에 기초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초음파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시스템은,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에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초음파 프로브; 초음파 프로브에 인가되는 송신 펄스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동작하는 전원 공급부; 및 초음파 프로브 및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고, 초음파 신호의 송신 구간에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일정하게 공급하고, 초음파 신호의 송신 휴지 구간에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동작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초음파 시스템{ULTRASOU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BASED ON ABITRARY WAVEFORM}
본 발명은 초음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 파형(arbitrary waveform)에 기초하여 초음파 출력 증폭기의 공급 전원을 제어하는 초음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시스템은 무침습 및 비파괴 특성을 가지고 있어, 대상체 내부의 정보를 얻기 위한 의료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대상체를 직접 절개하여 관찰하는 외과 수술의 필요 없이, 초음파 시스템은 대상체 내부의 고해상도 영상을 실시간으로 의사에게 제공할 수 있어 의료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초음파 시스템은 초음파 프로브를 통해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에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즉,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초음파 에코신호에 기초하여 초음파 영상을 형성한다.
한편, 초음파 시스템은 초음파 영상을 형성하는 진단모드에 따라 상이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 공급기를 포함한다. 종래에는 복수의 전원 공급기 각각에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한 송신 펄스를 형성하도록 동작하는 송신부가 구비되었다. 이로 인해, 초음파 시스템의 크기뿐만 아니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전원 공급기에 1개의 송신부를 연결하고, 송신부에서 초음파 신호의 송신 휴지 구간에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전원을 임의의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복수의 전원 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초음파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시스템은,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에 송신하고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초음파 프로브;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인가되는 송신 펄스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동작하는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초음파 프로브 및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고, 초음파 신호의 송신 구간에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일정하게 공급하고, 초음파 신호의 송신 휴지 구간에 임의 파형(arbitrary wavefomr)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넓은 구간에 걸쳐 서서히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동작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이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 공급기 각각에 송신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초음파 시스템의 크기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형 초음파 시스템(HCU)에서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 변환에 따른 노이즈(noise)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고성능의 초음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 파형의 일례를 보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 파형의 다른 예를 보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초음파 시스템(100)은 초음파 프로브(110), 전원 공급부(120), 송신부(130), 수신부(140), 프로세서(150) 및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초음파 프로브(110)는 전기적 신호와 초음파 신호를 상호 변환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변환소자(transducer element)(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초음파 프로브(110)는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에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즉,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신호를 형성한다. 수신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다. 초음파 프로브(110)는 컨벡스 프로브(convex probe), 리니어 프로브(linear probe) 등을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20)는 초음파 프로브(110)에 제공되는 송신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부(120)는 복수의 진단모드에 대응하는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동작하는 복수의 전원 공급기를 포함한다. 초음파 영상은 B 모드(brightness mode) 영상, CW(continuous wave) 도플러 영상, 스펙트럴 도플러(spectral Doppler) 영상, 컬러 도플러(color Doppler) 영상, 3차원 영상, 탄성 영상 등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전원 공급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초음파 영상(B 모드 영상, 3차원 영상 또는 탄성 영상)을 얻기 위한 제1 전원(예를 들어, 80V)을 공급하도록 동작하는 제1 전원 공급기(121) 및 제2 초음파 영상(컬러 도플러 영상 또는 펄스 도플러 영상)을 얻기 위한 제2 전원(예를 들어, 60V)을 공급하도록 동작하는 제2 전원 공급기(122)를 포함한다.
전술한 예에서는 전원 공급부(120)가 2개의 전원 공급기(121, 1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전원 공급기의 개수 및 전원을 조절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송신부(130)는 변환소자 및 집속점을 고려하여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한 송신 펄스를 형성하여 초음파 프로브(110)에 제공한다. 또한, 송신부(130)는 전원 공급부(12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칭부(210), 임의 파형 제어부(220) 및 송신 펄스 형성부(230)를 포함한다.
스위칭부(210)는 진단모드에 따라 전원 공급부(120)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임의 파형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즉, 스위칭부(210)는 진단모드에 따라 복수의 전원 공급기 중 어느 하나의 전원 공급기에 연결하고, 연결된 전원 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임의 파형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부(210)는 진단모드에 따라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스위칭 제어부(도시하지 않음) 및 스위칭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전원 공급기에 연결하도록 동작하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임의 파형 제어부(220)는 초음파 신호의 송신 구간에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일정하게 공급하고, 초음파 신호의 송신 휴지 구간에 임의 파형(arbitrary waveform)에 기초하여 전원 공급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일정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전원 연결을 한다.
송신 펄스 형성부(230)는 임의 파형 제어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한 송신 펄스를 형성한다. 송신 펄스 형성부(230)는 복수의 송신 펄서(도시하지 않음) 및 송신 펄서 드라이브(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송신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일례로서, 진단모드가 B 모드 영상과 컬러 도플러 영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BC 듀얼 모드인 경우, 임의 파형 제어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신호의 송신 구간(1 내지 10)에 스위칭부(210)에 의해 제1 전원 공급부(121)로부터 제1 전원(예를 들어 80V)이 제공되면, 제1 전원을 일정하게 송신 펄스 형성부(230)에 공급한다. 따라서, 송신 펄스 형성부(230)는 임의 파형 제어부(220)로부터 일정하게 제공되는 제1 전원을 이용하여 B 모드 영상을 얻기 위한 제1 송신 펄스를 형성한다.
이어서, 임의 파형 제어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신호의 송신 휴지 구간(10 내지 100)에 전원을 사전 설정된 기울기에 따라 감소시키는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제1 전원 공급기(121)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원을 특정 비율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급격하게 변환되는 전원에 의해 노이즈(nois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임의 파형 제어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신호의 송신 구간(100 내지 110)에 스위칭부(210)에 의해 제2 전원 공급부(122)로부터 제2 전원(예를 들어, 60V)이 제공되면, 제2 전원을 일정하게 송신 펄스 형성부(230)에 공급한다. 따라서, 송신 펄스 형성부(230)는 임의 파형 제어부(220)로부터 일정하게 제공되는 제2 전원을 이용하여 컬러 도플러 영상을 얻기 위한 제2 송신 펄스를 형성한다.
이어서, 임의 파형 제어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신호의 송신 휴지 구간(110 내지 200)에 전원을 사전 설정된 기울기에 따라 증가시키는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제2 전원 공급기(122)로부터 제공되는 제2 전원을 특정 비율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급격하게 변환되는 전원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진단모드가 B 모드 영상과 컬러 도플러 영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BC 듀얼 모드인 경우, 임의 파형 제어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신호의 송신 구간(1 내지 10)에 스위칭부(210)에 의해 제1 전원 공급부(121)로부터 제1 전원(예를 들어 80V)이 제공되면, 제1 전원을 일정하게 송신 펄스 형성부(230)에 공급한다. 따라서, 송신 펄스 형성부(230)는 임의 파형 제어부(220)로부터 일정하게 제공되는 제1 전원을 이용하여 B 모드 영상을 얻기 위한 제1 송신 펄스를 형성한다.
이어서, 임의 파형 제어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신호의 송신 휴지 구간(10 내지 100)에 전원을 유사 코사인 형태로 감소시키는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제1 전원 공급기(121)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전원을 유사 코사인 형태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급격하게 변환되는 전원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임의 파형 제어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신호의 송신 구간(100 내지 110)에 스위칭부(210)에 의해 제2 전원 공급부(122)로부터 제2 전원(예를 들어, 60V)이 제공되면, 제2 전원을 일정하게 송신 펄스 형성부(230)에 공급한다. 따라서, 송신 펄스 형성부(230)는 임의 파형 제어부(220)로부터 일정하게 제공되는 제2 전원을 이용하여 컬러 도플러 영상을 얻기 위한 제2 송신 펄스를 형성한다.
이어서, 임의 파형 제어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신호의 송신 휴지 구간(110 내지 200)에 전원을 유사 코사인 형태로 증가시키는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제2 전원 공급기(122)로부터 제공되는 제2 전원을 특정 비율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급격하게 변환되는 전원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예들에서는 진단모드가 BC 듀얼 모드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진단모드가 변경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수신부(140)는 초음파 프로브(110)로부터 제공되는 수신신호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를 형성한다. 또한, 수신부(140)는 변환소자 및 집속점을 고려하여 디지털 신호를 수신집속시켜 수신집속신호를 형성한다.
프로세서(150)는 수신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수신집속신호를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에 대응하는 초음파 데이터를 형성한다. 초음파 데이터는 RF(radio frequency) 데이터 또는 IQ(in-phase/quadrature)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초음파 데이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을 형성한다. 초음파 영상은 스캔 변환(scan conversion) 또는 렌더링(rendering)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프로세서(150)에서 형성된 초음파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고 예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항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초음파 시스템 110: 초음파 프로브
120: 전원 공급부 130: 송신부
140: 수신부 150: 프로세서
160: 디스플레이부 210: 스위칭부
220: 임의 파형 제어부 230: 송신 펄스 형성부

Claims (4)

  1. 초음파 시스템으로서,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에 송신하고 상기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에코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초음파 프로브;
    상기 초음파 프로브에 인가되는 송신 펄스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동작하는 전원 공급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초음파 프로브 및 상기 전원 공급부에 연결되고, 초음파 신호의 송신 구간에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일정하게 공급하고, 초음파 신호의 송신 휴지 구간에 임의 파형(arbitrary waveform)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일정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동작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초음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 파형은, 상기 송신 휴지 구간에 상기 전원을 사전 설정된 기울기에 따른 파형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초음파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 파형은, 상기 송신 휴지 구간에 상기 전원을 유사 코사인 형태의 파형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초음파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복수의 전원 공급기 중 어느 하나의 전원 공급기에 연결되도록 동작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송신 구간에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된 전원 공급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일정하게 공급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송신 휴지 구간에 상기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동작하는 임의 파형 제어부
    를 포함하는 초음파 시스템.
KR1020100130595A 2010-12-20 2010-12-20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초음파 시스템 KR101348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595A KR101348769B1 (ko) 2010-12-20 2010-12-20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초음파 시스템
EP11193907.0A EP2465438B1 (en) 2010-12-20 2011-12-16 Ultrasou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from multiple power supplies
JP2011278368A JP2012130699A (ja) 2010-12-20 2011-12-20 複数の送信電源供給器から提供される電源を制御する超音波システム
US13/331,521 US8784315B2 (en) 2010-12-20 2011-12-20 Ultrasound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from multiple power suppl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595A KR101348769B1 (ko) 2010-12-20 2010-12-20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초음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171A true KR20120069171A (ko) 2012-06-28
KR101348769B1 KR101348769B1 (ko) 2014-01-07

Family

ID=4555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595A KR101348769B1 (ko) 2010-12-20 2010-12-20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초음파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84315B2 (ko)
EP (1) EP2465438B1 (ko)
JP (1) JP2012130699A (ko)
KR (1) KR1013487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4026A1 (ko) * 2013-06-18 2014-12-24 Kim Eungkook 초음파를 이용한 외과수술 기기용 전원 인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7699B2 (en) 2012-03-26 2018-01-30 Teratech Corporation Tablet ultrasound system
US10667790B2 (en) 2012-03-26 2020-06-02 Teratech Corporation Tablet ultrasound system
JP6415920B2 (ja) * 2014-10-06 2018-10-31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超音波診断装置
KR102457219B1 (ko) * 2015-01-13 2022-10-21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07199B2 (en) 2018-11-20 2023-03-21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Switched capacitor for elasticity mode imaging with ultrasoun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0509A (en) * 1994-11-21 1997-03-1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optimizing power supply voltage to high voltage transmitters
CN100512761C (zh) * 2004-08-24 2009-07-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超声波诊断装置
JP4791820B2 (ja) * 2005-12-27 2011-10-12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5138249B2 (ja) 2007-03-26 2013-02-06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超音波診断装置
KR20100084203A (ko) * 2009-01-16 2010-07-26 주식회사 메디슨 다중 펄서를 이용하여 송신펄스신호의 파워를 조절하는 초음파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4026A1 (ko) * 2013-06-18 2014-12-24 Kim Eungkook 초음파를 이용한 외과수술 기기용 전원 인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30699A (ja) 2012-07-12
EP2465438B1 (en) 2015-07-22
KR101348769B1 (ko) 2014-01-07
US20120157836A1 (en) 2012-06-21
US8784315B2 (en) 2014-07-22
EP2465438A1 (en)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4074B1 (en) Ultrasonic probe,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KR101348769B1 (ko) 임의 파형에 기초하여 전원을 제어하는 초음파 시스템
US10564273B2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JP5592119B2 (ja) 送受信スイッチング装置を備える超音波システム
US20130245451A1 (en) Ultrasonic probe and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US20120277591A1 (e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JP2008018087A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プローブを用いた超音波診断装置並びに超音波診断システム
JPWO2009148068A1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14083155A (ja) 超音波診断装置
US20160374645A1 (en) Method for performing low power mode in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and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for applying same
KR20100084203A (ko) 다중 펄서를 이용하여 송신펄스신호의 파워를 조절하는 초음파 시스템
KR20170033222A (ko) 초음파 프로브,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712227B2 (en) Ultrasound probe, control method of ultrasound probe, and ultrasound probe inspection system
US20230108655A1 (e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processor for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US10702241B2 (en)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and power efficiency improvement method therein
JP2010194045A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用送信ユニット
EP3456263B1 (en)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574841B1 (ko) 송수신 회로,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화상 표시 장치
US20230371926A1 (e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JP6584906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装置
JP7171933B2 (ja) 音響波プローブおよび音響波プローブの制御方法
JP2017077450A (ja) 超音波診断装置
US20240000431A1 (en) Ultrasound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ultrasound system
JP7118280B2 (ja) 超音波診断装置および超音波診断装置の制御方法
US20220096057A1 (e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