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674A -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674A
KR20120068674A KR1020110074106A KR20110074106A KR20120068674A KR 20120068674 A KR20120068674 A KR 20120068674A KR 1020110074106 A KR1020110074106 A KR 1020110074106A KR 20110074106 A KR20110074106 A KR 20110074106A KR 20120068674 A KR20120068674 A KR 20120068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g105
streptomyces
disease
streptomyces griseus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7141B1 (ko
Inventor
정종상
장희수
오세찬
배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아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아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아이지
Priority to KR102011007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8Streptomy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822Microorganisms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Y10S435/886Streptomyces
    • Y10S435/897Streptomyces griseus

Abstract

본 발명은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 피토프쏘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또는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BIG105 균주,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 및 이의 용도{Streptomyces griseus BIG105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 피토프쏘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또는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BIG105 균주,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제에 관한 것이다.
청고병은 세균성 토양 병원균인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에 의해 발병되며 우리나라 토마토 농가에 피해를 가장 많이 입히는 병원균이다. 병원균은 운동성이 있으며 토양 내에 3~5년 장기간 독자적으로 생존이 가능하고, 고온기에 병 확산 속도가 빠르며, 병원균에 감염되면 짧은 기간 내에 식물은 시들어 죽게 된다. 청고병은 토양에 의해 전염되는 병으로 뿌리를 통해 침입한 병원균은 도관부를 통해 전신으로 확산되어 증식하고 목질부를 손상시켜 식물을 고사시키며, 기주식물이 없는 농한기나 지온이 내려가는 겨울철에는 식물잔재물이나 잡초에서 효과적으로 살아남아 월동하여 병을 일으킨다. 병의 확산경로는 발병된 농가에서 사용한 농기계에 붙어있는 흙이나 먼지를 통해 병원균이 유입되거나, 오염된 하천, 강, 수로의 물을 통해 유입되어 피해면적이 매년 확산되고 있다. 감염된 밭에서는 관수나 비에 의한 지표수 흐름이나 시설 하우스내 관수자재와 토양 사이의 수막의 흐름에 따라 근접한 식물체에 빠르게 전염되어 다른 토양병보다 피해정도가 심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청고병이 발생한 농가에서는 방제방법이 없어 화공약품을 토양에 관주하고, 과수나 벼에 등록되어 있는 농약을 관주하여 약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지방부병으로 오인하여 농약살포횟수를 늘리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병이 발생한 토양에서는 일정기간 휴경하거나 청고병균에 감수성이 없는 타작목을 심는 작목전환을 할 필요가 있으나 우리나라 토마토는 모두 시설내에서 재배되어 하우스설치, 관수시설, 선별작업기, 가온시설 등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실천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 청고병 방제용으로 등록된 약제는 훈증처리제 1품목이 있으나 약제처리기간이 1개월이 소요되고, 통풍이 원활하지 못한 하우스에서 살포시 인체위해성에 대한 염려, 비닐피복, 지온확보를 위한 처리시기의 제한 등으로 농가에서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거의 모든 농가에서는 청고병에 대한 우려로 저항성대목에 실생묘를 접목한 접목묘를 정식하여 묘구입에 따른 생산비부담을 안고 있다.
청고병에 대한 방제연구는 화학농약, 항균물질 및 토양훈증제 등을 사용하여 방제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나 효과적인 방제법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화학농약을 이용한 방제가 효과를 보지 못하는 이유로 화학물질이 토양 내 유기물이나 점토에 흡착되어 병원균에 접촉하는 양이 제한되고, 처리한 화학물질을 영양원으로 사용하여 분해하는 미생물작용, 약제저항성 변종의 출현에 의한 약효의 반감 등이 주요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농약의 토양병 방제에 대한 한계를 대신할 수 있는 연구 분야로 길항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법이 연구되고 있다. 길항미생물은 토양에 서식하면서 병원균의 기능을 저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균종을 말하며 길항미생물이 다양하고 풍부하게 분포하고 있는 토양은 같은 작물을 연작하거나 병원균을 인위적으로 접종하여도 병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길항미생물을 대량 배양하여 토양에 뿌려줌으로써 토양병을 방제할수 있는데 농업선진국에서는 곰팡이성 토양병 방제를 위해 바실러스 속(Bacillus sp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p.), 트리코더마 속(Trichoderma spp.), 비병원성 균종 및 효모 등의 균체를 제형화하여 미생물농약제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토양병 방제용 미생물농약개발을 위해서는 방제대상 병원균에 대해 방제기능이 있고, 토양이나 근권에 처리하였을 때 방제효과가 확인되어야하며, 제형 과정에서 사멸하지 않고 생존할 수 있는 길항미생물 확보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34866호에는 식물 진균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울로크라디움 아트룸 CNU 9055 균주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가 여러 가지 식물병 원인균에 대해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 피토프쏘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또는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는 여러 가지 식물병 원인균에 대해 억제 활성을 가지므로 식물병 방제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제는 미생물 유래이므로 친환경적이며 안전성이 높다.
도 1은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입상수화제(청고탄)의 고추역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입상수화제(청고탄)의 마늘흑색썩음균핵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입상수화제(청고탄)의 잔디 라이족토니아 마름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입상수화제(청고탄)의 토마토시들음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입상수화제(청고탄)의 인삼균핵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 피토프쏘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또는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BIG105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BIG105 균주는 토양에서 분리한 세균 중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Ralstonia solanacearum), 피토프쏘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또는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 억제 활성이 있는 세균을 선발한 것이다.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BIG105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 2010년 5월 27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 11703BP).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병은 청고병, 고추 역병, 마늘 흑색썩음균핵병, 잔디 라이족토니아 마름병, 토마토 시들음병 또는 인삼 균핵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직접 분사가능한 용액, 분말 및 현탁액의 형태 또는 고농축 수성, 유성 또는 다른 현탁액, 분산액, 에멀젼, 유성 분산액, 페이스트, 분진, 흩뿌림 물질 또는 과립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예를 들어 용매 및/또는 담체를 첨가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종종, 비활성 첨가제 및 표면-활성 물질, 예를 들어 유화제 또는 분산제를 제제에 혼합한다. 적합한 표면-활성 물질은 방향족 술폰산(예를 들어 리그노술폰산, 페놀-술폰산, 나프탈렌- 및 디부틸나프탈렌술폰산), 지방산, 알킬- 및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 라우릴 에테르, 지방 알코올 술페이트의 알칼리 금속, 알카라인 토금속, 암모늄염, 술페이트화 헥사-, 헵타- 및 옥타데칸올, 지방 알코올 글리콜 에테르의 염, 술포네이트 나프탈렌 및 이의 유도체,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나프탈렌 또는 나프탈렌술폰산, 페놀 및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옥틸 페놀 에테르, 에톡실화 이소옥틸-, 옥틸- 또는 노닐페놀, 알킬페닐 또는 트리부틸페닐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아릴폴리에테르 알코올, 이소트리데실 알코올, 지방 알코올/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에톡실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아세테이트, 소르비톨 에스테르, 리그닌-술파이트 폐액 또는 메틸셀룰로오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적합한 고형 담체 물질은 원칙적으로, 모두 다공성이고,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를 들어 광물토류(예컨대 실리카, 실리카 겔, 실리케이트, 활석, 고령토, 석회암, 석회, 초크, 보울, 황토, 점토류, 백운석, 규조 토류, 황산칼슘, 황산 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분쇄 합성물질), 비료(예컨대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우레아), 식물성 제품(예컨대 곡물 가루, 나무 껍질 가루, 목분(wood meal) 및 견과 껍질 가루) 또는 셀룰로오스 분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고형 담체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관수용, 엽면 살포용, 종자 소독용 또는 농기구 소독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BIG105 균주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다른 항진균, 항균 또는 항바이러스성 물질 등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작물체 흡수 및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확산제 및 침투제, 또는 계면활성제와도 혼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병은 청고병, 고추 역병, 마늘 흑색썩음균핵병, 잔디 라이족토니아 마름병, 토마토 시들음병 또는 인삼 균핵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침지처리, 관주처리, 분사, 분무, 살포, 흩뿌림 또는 붓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을 식물체에 침지처리와 관주처리를 병행하여 처리할 수 있다. 사용 형태는 의도한 목적에 의존하는데, 모든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분포가 가능한 한 미세하고 균일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병은 청고병, 고추 역병, 마늘 흑색썩음균핵병, 잔디 라이족토니아 마름병, 토마토 시들음병 또는 인삼 균핵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길항 균주 분리 및 동정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는 락쿠드 키틴 한천(Lockood's chitin agar) 배지에서 공중균사를 형성하고 키틴 분해능이 있는 균주들을 순수분리하여 보존하였다. 청고병균에 대해 길항력이 확인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 griseus) BIG105 균주는 고체배지상에서 공중균사를 형성하고 연쇄상의 포자를 형성하는 방선균으로, 기존에 보고된 균주와의 유전적 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16S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위하여 DNA를 추출하고, 16S DNA PCR 증폭을 실시하였으며, 증폭된 PCR 산물을 정제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염기서열(1,213 bp)은 DDBJ/NCBI/Genebank와 Ribosomal Database Project Ⅱ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동성 검색을 수행한 결과, 스트렙토마이세스 속의 종을 포함하는 계통학적 그룹에 속하는 균주로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ATCC 25497T (D63872)와 99.83%의 유연관계를 나타내어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의 항균물질 생산능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는 PD 브로스(PD broth)나 영양 브로스(Nutrient broth)와 같은 영양배지에서 항균물질 생산력이 낮았으나 무기영양원을 첨가한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청고병균에 대해 항균력이 있는 물질을 생산하였다.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가 생산한 항균물질은 유기용매로 정제되지 않고 Amberite IRC-50에 흡착시킨 후 황산용액으로 추출하여 분리되었다. 정제된 항균물질은 옥솔린산(oxolinic acid)과 비슷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실시예 3: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처리에 의한 청고병균 밀도 변화
채취한 토양은 5월 중순에 정식하여 6월 말에 병이 발생되어 토마토를 뽑아낸 토양을 채취한 것으로 토양 1g당 병원균 밀도는 100 cfu로 높았다. 포트 실험을 수행하면서 병원균 밀도를 기간별로 흙을 채취하여 조사한 결과, 시간이 지날수록 밀도가 높아져 26일 후에는 1,000,000 ~ 1,500,000 cfu/g.토양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처리군에서 초기에는 병원균 밀도가 증가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밀도가 감소하여 12일 후부터 밀도가 감소하였고 26일 후에는 실험 초기밀도보다 낮아졌다(표 1).
길항균 처리에 의한 발병지 토양내 청고병균 밀도변화 (log cfu/g.토양)
처리내용 길항균 접종 전 처리 5일 후 처리 12일 후 처리 19일 후 처리 26일 후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1.63 3.75 3.13 3.00 1.25
무처리 2.00 2.88 4.38 4.63 6.41
실시예 4: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체 처리에 의한 방제효과조사
시험농가 포장선정 및 포장관리
청고병 방제시험 농가포장은 2005년에 병 발생이 심하여 농사를 포기한 2개 농가에서 각각 하우스 1동(150평)씩 선정하여 길항균(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을 이용한 병 방제 효과 시험을 추진하였다. 시비관리는 300평당 시판퇴비는 800 ㎏, 비료는 성분량(N-20.4 ㎏, P-10.3 ㎏, K-12.2 ㎏), 붕소 2 ㎏, 소석회 120 ㎏을 살포한 후 경운하였다.
정식 및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체 처리
길항균 처리는 육묘장에서 구입한 실생묘와 접목묘를 정식 2일 전에 관수량을 최소한 줄여 육묘판 침지시 길항균 현탁액이 충분히 스며들 수 있도록 관리하였다. 육묘판을 담글 수 있는 용기에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체를 1,000배로 희석하여 준비한 후 침지처리하였다. 관주처리는 정식 10일 후부터 7일 간격으로 1,000배로 희석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체 희석액과 키틴을 포기 당 150 ㎖씩 5일 간격으로 3회 관주하였다.
청고병 방제 효과
청고병 피해를 입은 농가에서 실생묘를 대상으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체 처리 효과를 시험하였다. 무처리군은 정식 후 20일 이내에 고사하여 수확을 전혀 할 수 없었으나,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체 처리군에서는 처리횟수와 제형 방법에 따라 방제효과가 차이가 있었다. 정식기에 1회 침지처리한 시험군은 4단 수확기에 병 발생이 12.5%로 나타나 적심하였다. 정식시 침지처리하고 5일 간격으로 관주처리한 시험군에서는 5단 수확기에 7.5% 발병하여 적심하였다. 원제 관수시 키틴을 함께 관주한 시험군은 수확 후기까지 2.3% 발병하여 끝까지 토마토 수확이 가능하였다(표 2). 저항성대목에 접을 한 접목묘는 3단 수확기에 병 발생율이 25.7%로 적심하였고, 침지처리와 관주처리를 병행한 시험군은 발병율이 0.2% 이하로 정상 수확이 가능하였다(표 3).
병 피해 농가 현지 포장시험 (실생묘-7월 중순 정식)
처리내용 발병시기(수확단수)a 발병율(%)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침지 4단 12.5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3회 관주 5단 7.6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 키틴(3회 관주) 6단 2.3
무처리 0단 100
a조사시점 : 상위단 수확개시 시기
병 피해 농가 현지 포장시험 (접목묘-7월 중순 정식)
처리내용 발병시기(수확단수)a 발병율(%)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침지 7단 3.5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3회 관주 7단 0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키틴(3회관주) 7단 0.2
무처리 3단 25.7
a조사시점 : 상위단 수확개시 시기
본 농가는 3중 보온하우스, 수막 및 온풍기시설이 갖추어져 동계재배하는 농가로, 2004년 청고병 피해가 커 2005년에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체처리로 병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여 2006년에는 청고병 발생율이 0.2%였다.
실시예 5: 토양처리용 입제 , 관수처리용 입상수화제 체계 처리 효과
본 발명에서 개발한 청고병 방제용 미생물제는 청고병균에 대해 길항력이 뛰어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를 원제로 하여 2종류로 제품화하였다. 입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가 토양내에서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영양성분을 첨가해 제형화한 것으로 토양전면살포시 토양내에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의 길항작용으로 토양내 청고병균의 밀도를 낮춰준다. 입상수화제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가 필터나 점적테이프가 막히지 않도록 입상수화제로 제형화한 것으로 토마토 재배기간 중 관수처리하면 근권에 정착하여 청고병의 침입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청고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경운시에 입제를 전면에 살포하고 재배기간 중에는 입상수화제를 주기적으로 관주하는 체계처리가 필요하다. 체계처리 방법은 퇴비살포시 입제를 10a당 30㎏을 밭 전체에 살포한 후 로타리 작업을 하고, 만약 밭이 너무 건조하면 입제를 뿌린 후 분수호수 등으로 관수하여 수분을 공급한 후 로타리 작업을 한다. 정식 후 재배기간에는 입상수화제를 10a당 300g 씩 물에 현탁하여 점적테이프로 관수해준다. 관수 횟수는 표층부위에서 새뿌리가 나올때 형성된 연약한 부위로 병원균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0일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다.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입제를 처리한 처리군은 청고병이 87%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입상수화제는 약 78%의 청고병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표 4 및 5).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입제 처리에 의한 청고병 방제 효과(정식 112일 후)
처리내용 이병주율(%) 방제가
(%)
반복 반복 반복 평균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입제 16.0 4.0 12.0 10.7 87.7
무처리 100 74.0 88.0 87.3 -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입상수화제 처리에 의한 청고병 방제 효과(정식 146일 후)
처리내용 이병주율(%) 방제가
(%)
반복 반복 반복 평균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입상수화제
15.0 12.0 13.0 13.3 77.9
무처리 76.0 57.0 48.0 60.3 -
실시예 6: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입상수화제의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균활성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를 원제로 한 입상수화제 제형의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식물병원성 곰팡이를 제형이 포함된 PDA(patato dextrose agar) 배지에 접종하여 균사생장 유무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검정균은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에서 분양받았으며, 표 6에 기술하였다. 기존의 화학농약과의 항균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표 6에 기술한 대조약제를 혼합한 혼합배지와 검정균을 제형이 혼합된 혼합배지에서 균사 생장 길이를 측정하여 식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
식물병원성 곰팡이 검정균과 대조약제
식물병 검정균 대조약제
고추역병 피토프쏘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KACC 40157 다이센엠 45
마늘흑색썩음균핵병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 KACC40582 호리쿠어
잔디 라이족토니아 마름병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AG2-2(Ⅳ) KACC 40132 몬세렌
토마토시들음병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KACC41088 다이센엠45
인삼균핵병균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 BIG30917 폴리옥신
고추역병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본 발명에서 개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를 원제로 한 입상수화제(청고탄)를 혼합한 혼합배지에서 고추역병균의 균사생장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청고탄을 혼합한 배지에서는 고추역병균의 균사생장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청고탄을 1,000배 농도로 희석한 혼합배지에서 고추역병균의 균사생장이 100% 억제 되었으며, 고추역병균의 전문 농약인 대조약제 다이센엠45 보다 고추역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고, 그 차이도 현저하였다(도 1 및 표 7).
마늘흑색썩음균핵병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본 발명에서 개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를 원제로 한 입상수화제(청고탄)를 혼합한 혼합배지에서 마늘흑색썩음균핵병균의 균사생장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청고탄을 혼합한 배지에서는 마늘흑색썩음균핵병균의 균사생장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청고탄을 4,000배 농도로 희석한 혼합배지에서 마늘흑색썩음균핵병균의 균사생장이 100% 억제되었으며, 마늘흑색썩음균핵병균의 전문 농약인 대조약제 호리쿠어 보다 마늘흑색썩음균핵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고, 그 차이도 현저하였다(도 2 및 표 7).
잔디 라이족토니아 마름병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본 발명에서 개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를 원제로 한 입상수화제(청고탄)를 혼합한 혼합배지에서 벼문고병균과 같은 종류의 잔디 라이족토니아 마름병균의 균사생장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청고탄을 혼합한 배지에서는 잔디 라이족토니아 마름병균의 균사생장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청고탄을 2,000배 농도로 희석한 혼합배지에서 잔디 라이족토니아마름병균의 균사생장이 89% 억제되었으며, 라이족토니아병균의 전문 농약인 대조약제 몬세렌 보다 잔디 라이족토니아 마름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그 차이도 현저하였다(도 3 및 표 7).
토마토시들음병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본 발명에서 개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를 원제로 한 입상수화제(청고탄)를 혼합한 혼합배지에서 토마토시들음병균의 균사생장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청고탄을 혼합한 배지에서는 토마토시들음병균의 균사생장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청고탄을 1,000배 농도로 희석한 혼합배지에서 토마토시들음병균의 균사생장이 100% 억제되었으며, 토마토시들음병균의 전문 농약인 대조약제 다이센엠45 보다 토마토시들음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그 차이도 현저하였다(도 4 및 표 7).
인삼균핵병균에 대한 항균활성 검정
본 발명에서 개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를 원제로 한 입상수화제(청고탄)를 혼합한 혼합배지에서 인삼균핵병균의 균사생장 억제율을 조사한 결과, 청고탄을 혼합한 배지에서는 인삼균핵병균의 균사생장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청고탄을 1,000배 농도로 희석한 혼합배지에서 인삼균핵병균의 균사생장이 83.1% 억제되었으며, 인삼균핵병균의 전문 농약인 대조약제 폴리옥신(Polyoxin) 보다 인삼균핵병균에 대한 균사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그 차이도 현저하였다(도 5 및 표 7).
입상수화제(청고탄) 혼합배지에서 식물병원성 곰팡이 검정균의 균사생장 비교
검정균 청고탄 혼합배지 대조약제 혼합배지
균사생장길이(mm) 억제율(%) 균사생장길이(mm) 억제율(%)
피토프쏘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KACC 40157 0.0 100 40.0 0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 KACC40582 0.0 100 37.0 9.3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AG2-2(Ⅳ) KACC 40132 6.8 89.0 37.0 9.3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KACC41088 0.0 100 35.40 8.3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 BIG30917 6.75 83.1 38.25 4.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703 20100527

Claims (2)

  1. 피토프쏘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스클레로티움 세피보룸(Sclerotium cepivorum),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또는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룸(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Streptomyces griseus) BIG105 균주 (기탁번호: KCTC 11703BP).
  2. 제1항의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추 역병, 마늘 흑색썩음균핵병, 토마토 시들음병 또는 인삼 균핵병 방제용 조성물.
KR1020110074106A 2011-07-26 2011-07-26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28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106A KR101287141B1 (ko) 2011-07-26 2011-07-26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106A KR101287141B1 (ko) 2011-07-26 2011-07-26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 및 이의 용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971 Division 2010-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674A true KR20120068674A (ko) 2012-06-27
KR101287141B1 KR101287141B1 (ko) 2013-07-17

Family

ID=4668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106A KR101287141B1 (ko) 2011-07-26 2011-07-26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1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651B1 (ko) * 2013-07-31 2015-06-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시우스 s4-7''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CN110885769A (zh) * 2019-10-16 2020-03-17 西北农林科技大学 一株链霉菌、抑菌药物及其应用
KR20200084725A (ko) 2019-01-03 2020-07-13 베트올 (주) 반정량 수평류 면역진단 기술을 이용한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과 푸사리움 옥시스포룸의 동시 진단 방법
CN116240115A (zh) * 2023-03-12 2023-06-09 西南大学 一种可防治辣椒疫病的灰色链霉菌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225B1 (ko) * 2009-02-17 2009-08-26 주식회사 세실 신규한 스트렙토마이세스 sm008s 균주 및 이를 이용하는 식물병원균 방제
KR101148789B1 (ko) * 2009-09-11 2012-05-24 주식회사 비아이지 균핵병 방제용 미생물 및 이의 용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651B1 (ko) * 2013-07-31 2015-06-03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시우스 s4-7''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20200084725A (ko) 2019-01-03 2020-07-13 베트올 (주) 반정량 수평류 면역진단 기술을 이용한 랄스토니아 솔라나세아룸과 푸사리움 옥시스포룸의 동시 진단 방법
CN110885769A (zh) * 2019-10-16 2020-03-17 西北农林科技大学 一株链霉菌、抑菌药物及其应用
CN110885769B (zh) * 2019-10-16 2022-09-02 西北农林科技大学 一株链霉菌、抑菌药物及其应用
CN116240115A (zh) * 2023-03-12 2023-06-09 西南大学 一种可防治辣椒疫病的灰色链霉菌及其应用
CN116240115B (zh) * 2023-03-12 2024-05-03 西南大学 一种可防治辣椒疫病的灰色链霉菌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141B1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8966B (zh) 一种作物病害防治复合生物制剂及其应用
Kumar et al. Efficacy of Bacillus subtilis MBI 600 against sheath blight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nd on growth and yield of rice
KR100954297B1 (ko) 표면 미생물의 밀도증진 조성물과 그 용도
MX2015001976A (es) Cepa de bacillus sp. con actividad antifungica, antibacteriana y de promocion del crecimiento.
Punja et al. Efficacy of Bacillus subtilis strain QST 713 (Rhapsody) against four major diseases of greenhouse cucumbers
CN101690490B (zh) 一种溴菌腈与甲氧基丙烯酸酯类复配的杀菌组合物
KR101695918B1 (ko) 딸기 화분으로부터 분리한 곤충병원균 또는 딸기 진균병 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 sp6c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287141B1 (ko)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big10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95916B1 (ko) 딸기 꽃으로부터 분리한 식물 진균병 병원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지는 스트렙토마이세스 바디우스 sf7b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72079B1 (ko) 식물 생육 증진 및 식물병 억제 효과를 갖는 신규 슈도모나스 사포니필라 ghr1-1 균주와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
KR20190136009A (ko) 미츠아리아속에 속하는 균주 및 그 균주를 사용한 미생물 농약
WO2018012815A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를 이용한 식물의 생육촉진용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1143033B1 (ko)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WO2020262612A1 (ja) 植物病害防除剤及び植物病害防除法
CN110558332A (zh) 一种含解淀粉芽孢杆菌b1126的协同增效杀菌组合物及其用途
Abada et al. Bacterial bioagents and compost as two tools for management of eggplant Fusarium wilt
KR101064829B1 (ko) 표면 미생물의 밀도증진 조성물
CA3161378A1 (en) Microbe-based products for enhancing growth and phytocannabinoid content of cannabis
JP4969961B2 (ja) 新規糸状菌を利用した植物の土壌伝染性病害防除資材
CN111316995B (zh) 农药组合物、农药制剂及二者的应用
KR102533212B1 (ko) 인삼의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제제
KR102241641B1 (ko) 프리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유용 균주의 생장 증진 및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48071B1 (ko) 벼 병충해 방지용 발포성 방제제
JP2005289944A (ja) シュードモナス・フロレッセンスによるうどんこ病防除剤およびその防除方法
JP2005289943A (ja) シュードモナス・フロレッセンスによる疫病べと病防除剤およびその防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