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932A -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 Google Patents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932A
KR20120067932A KR1020110123516A KR20110123516A KR20120067932A KR 20120067932 A KR20120067932 A KR 20120067932A KR 1020110123516 A KR1020110123516 A KR 1020110123516A KR 20110123516 A KR20110123516 A KR 20110123516A KR 20120067932 A KR20120067932 A KR 20120067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alance
balance device
eccentric shaft
elastic
inpu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처우 원
Original Assignee
스-처우 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처우 원 filed Critical 스-처우 원
Publication of KR20120067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00Shafts; Axles; Cranks; Eccentrics
    • F16C3/04Crankshafts, eccentric-shafts; Cranks, eccentrics
    • F16C3/18Eccentric-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intermittently-driving members, e.g. with freewheel action
    • F16H29/2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intermittently-driving members, e.g. with freewheel action with automatic speed ch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344Unbalanced we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44Rotary to gyratory
    • Y10T74/18552Unbalanced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은, 입력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입력축에는 이동이 가능한 원심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심시트와 상기 입력축사이에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심시트의 일측에는 개폐하는 무게 균형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원심시트를 동작시켜 입력축과 함께 이동되게 하며, 상기 무게 균형 장치의 일측은 평형추와 연결되며, 또한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제한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한구조는 두 개의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한구조에 의해 무단변속의 정확성을 제어하고, 다변화적인 세그먼트의 수요를 만족시키며, 상기 무게 균형 장치를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는데 유리하며, 또한 비교적 큰 마력에도 적용된다.

Description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AN ECCENTRIC AXIS OF AUTOMATIC SPEED CHANGE FOR EASY CHANGING}
본 발명은 일종의 무단 변속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단변속의 정확성에 대해 제어가 가능하고, 다변화적인 세그먼트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또한 무게 균형 장치를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는데 유리하며, 비교적 큰 마력에 적용되는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에 관한 것이다.
교통기구에서 무단변속기 시스템은 새로운 세대의 변속기이며, 운전 중에 연속으로 무단의 속도변화를 제공할 수 있어서, 순조로운 운전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연료를 절감시키며, 구조가 간단하며, 유지보수도 용이하다. 또한 차량본체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동시에 차량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에너지 소모도 절감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무단변속기 시스템은 연속 무단변속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변속과정에서 종래의 차량처럼 흔들리는 현상이 없으며, 컨트롤도 양호하여 편안한 감이 있다. 그러므로 무단변속기 시스템은 차량의 변속기 시스템에서 아주 밝은 발전전망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무단변속의 정확성에 대해 제어가 가능하고, 다변화적인 세그먼트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또한 무게 균형 장치를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는데 유리하며, 비교적 큰 마력에 적용되는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은, 입력축, 원심시트, 무게 균형 장치, 평형추가 포함되되, 상기 입력축은 원동기의 동력을 입력하여 회전을 발생시키고, 또한 상기 입력축의 양측에는 두 개의 평면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심시트는 평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입력축과 함께 이동을 형성시키며, 상기 원심시트와 상기 입력축사이에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원심시트는 외부 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상기 원심시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개폐하는 핀 체결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원심시트를 동작시켜 입력축과 함께 이동되게 한다.
상기 평형추는 상기 무게 균형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평형추는 상기 무게 균형 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제한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한구조는 두 개의 고장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한구조에 의해 무단변속의 정확성을 제어하고, 다변화적인 세그먼트의 수요를 만족시키며, 상기 무게 균형 장치를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 원심시트의 타단은 다른 무게 균형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토션부는 상기 다른 무게 균형 장치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다른 탄성계수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돌출기둥이며, 상기 탄성부재는 두 개의 다른 탄성계수를 갖고 있는 탄성모듈이 포함되며, 그중에서 하나의 탄성모듈의 양단은 상기 돌출기둥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돌출기둥이며, 상기 탄성부재는 두 개의 다른 탄성계수를 갖고 있는 탄성모듈이 포함되며, 그중에서 하나의 탄성모듈의 양단은 상기 돌출기둥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탄성모듈은 하나의(돌출기중에 고정된) 탄성모듈의 외부에 매인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돌출기둥이며,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에서 중간으로 탄성계수가 다르며,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돌출기둥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사이의 탄성부재는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무게 균형 장치에는 상기 원심시트에 삽입되는 두 개의 토션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두 개의 무게 균형 본체가 포함되고, 상기 무게 균형 본체는 여러 개의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입력축을 끼워주며, 두 개의 샤프트는 상기 무게 균형 본체와 원심시트에 관통된다.
본 발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의 효과는, 특히 무단변속의 정확성에 대해 제어가 가능하고, 다변화적인 세그먼트의 수요를 만족시키며, 또한 무게 균형 장치를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는데 유리하며, 비교적 큰 마력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입체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한구조의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 단면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한구조의 제 2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한구조의 제 3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한구조의 제 4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한구조의 제 5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한구조의 제 5 구조의 예에 대한 동작 단면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무게 균형 장치의 제 2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입체분해도,
도 12는 도 11을 조합한 후의 단면도,
도 13은 도 11을 조합한 후의 동작 단면의 설명도.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축(10), 원심시트(20), 두 개의 무게 균형 장치(30, 40), 여러 개의 평형추(50)가 포함되고, 그중에서 무게 균형 장치(30, 40)는 두 개의 제한구조(60, 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한구조(60, 70)에 의해 무단변속의 정확성을 제어하고, 세그먼트를 증가시키며, 또한 무게 균형 장치를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는데 유리할뿐만아니라, 비교적 큰 마력에도 적용된다.
원동기에 의해 상기 입력축(10)을 동작시켜 회전되게 하며, 또한 상기 입력축(10)은 슬리브(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리브(11)의 양측은 평면부(12)를 갖고 있다.
상기 원심시트(20)의 노치(21)는 평면부(12)에 설치되어, 입력축(10)과 함께 이동을 형성시키며, 원심시트(20)와 입력축(10)사이에는 탄성체(13)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원심시트(20)에는 외부 링(2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무게 균형 장치(30, 40)는 각각 원심시트(20)의 양측에 설치되고, 또한 무게 균형 장치(30, 40)는 각각 개폐되는 핀 체결부(31, 41)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중에서 하나의 무게 균형 장치(30)에는 원심시트(20)에 삽입되는 두 개의 토션부(32)가 설치되어 있으며, 동시에 토션부(32)는 다른 하나의 무게 균형 장치(40)에도 삽입된다.
상기 평형추(50)는 두 개를 한 세트로 각각 무게 균형 장치(30, 40)의 일측에 설치되고, 평형추(50)에는 평형추 유닛(51)과 견인부(52)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평형추(50)의 평형추 유닛(51)과 견인부(52)는 교체 형상을 나타내며, 또한 견인부(52)는 플러그(53) 및 핀 체결부(31, 41)와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한구조(60, 70)는 무게 균형 장치(30, 40)로부터 연장된 고정장치(61, 71) 및 고정장치(61, 71)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62, 72)로 구성된다. 탄성부재(62, 72)는 통 형상이며, 또한 다른 탄성계수를 갖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0)은 원동기에 의해 동작되어 회전할 때, 평형추(50)를 통하여 평행하게 된다. 또한 무게 균형 장치(30, 40)를 원심력의 작용을 발생케 하고, 동시에 무게 균형 장치의 상단을 밖으로 펼쳐지게 하여, 토션부(32)는 슬리브(11)를 누르게 된다. 이는 원심시트(20)와 외부 링(22)을 동작시켜 슬리브(11)의 평면부(12)에서 상하 이동을 발생케 한다. 원심시트(20)를 아래로 이동할 때, 탄성체(13)는 압축되어 슬리브(11)를 받치게 되고, 외부 링(22)에 설치된 구동 패널(미도시)과 입력축(10)의 축심은 편심 크기의 변화를 자동적으로 조절한다. 그러므로 입력축(10)이 회전 할 때 발생시킨 원심력에 의해, 무게 균형 장치(30, 40)는 원심 이동이 발생된다.
무게 균형 장치(30, 40)는 원심 이동될 때, 제한구조(60, 70)의 고정장치(61, 71) 및 탄성부재(62, 72)는 견인하는 효과를 발생한다. 이는 고정장치(61, 71)가 안으로 압축하면, 탄성부재(62, 72)의 탄력 제한을 받게 되어, 무게 균형 장치(30, 40)의 밖으로 이동되는 범위가 너무 큰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무단변속의 정확성에 대해 제어가 가능하고, 세그먼트를 증가시키며, 또한 무게 균형 장치(30, 40)를 원심 이동의 작용이 사라진 후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는데 유리할뿐만아니라, 비교적 큰 마력에도 적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제한구조의 제 2 구조에 대한 실시예이다. 여기서 무게 균형 장치(40)에 설치된 제한구조(70a)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한구조(70a)에서 고정장치(71a)는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돌출기둥(711a)이다. 또한 탄성부재(72a)는 고정장치(71a)사이에 설치된 두 개의 다른 탄성계수를 갖고 있는 탄성모듈(721a, 722a)이 포함된다. 그중에서 탄성모듈(722a)의 양단은 각각 돌출기둥(711a)에 고정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제한구조의 제 3 구조에 대한 실시예이다. 제한구조(70b)에서 고정장치(71b)에는 돌출기둥(711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72b)는 두 개의 다른 탄성계수를 갖고 있는 탄성모듈(721b, 722b)이 포함된다. 그중에서 하나의 탄성모듈(722b)의 양단은 각각 돌출기둥(711b)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탄성모듈(721b)은 하나의 탄성모듈(722b)의 외부에 매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제한구조의 제 4 구조에 대한 실시예이다. 제한구조(70c)에서 고정장치(71c)에는 돌출기둥(711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72c)는 양단에서 중간으로 탄성계수가 다르며, 탄성부재(72c)의 양단은 각각 돌출기둥(711c)에 고정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제한구조의 제 5 구조에 대한 실시예이다. 제한구조(70d)에서 고정장치(71d)사이의 탄성부재(72d)는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도 마찬가지로 무단변속의 정확성에 대해 제어가 가능하고, 세그먼트를 증가시키며, 또한 무게 균형 장치를 원심 이동의 작용이 사라진 후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는데 유리할뿐만아니라, 비교적 큰 마력에도 적용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무게 균형 장치의 제 2 구조에 대한 실시예이다. 여기서 무게 균형 장치(30a, 40a)는 토션부를 설치하지 않았으며, 무게 균형 장치(30a, 40a)는 두 개의 무게 균형 본체(31a, 41a)가 포함되며, 무게 균형 본체(31a, 41a)에는 핀 체결부(32a, 42a)가 설치되어 있으며, 핀 체결부(32a)는 플러그(53)에 의해 평형추(50)의 견인부(52)와 연결되며, 무게 균형 본체(31a, 41a)에는 여러 개의 걸림부(33a, 43a)가 설치되어 있으며, 걸림부(33a, 43a)는 입력축(10)의 상 하측을 끼워주며, 두 개의 샤프트(34a)는 무게 균형 본체(31a)와 원심시트(20a) 및 무게 균형 본체(41a)에 관통되어, 무게 균형 본체(31a, 41a)는 원심시트(20a)와 연동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무게 균형 장치의 제 2 구조에 대한 응용 실시예이다. 입력축(10)이 회전 될 때, 무게 균형 장치(30a, 40a)를 원심력의 작용을 발생케 하고, 동시에 무게 균형 본체(31a, 41a)를 밖으로 펼쳐지게 한다. 무게 균형 본체(31a, 41a)에서 걸림부(33a, 43a)는 입력축(10)의 상 하측을 끼워주어, 원심시트(20a), 외부 링(22)을 동작시켜 슬리브(11)의 평면부(12)에서 상하로 이동되게 한다. 원심시트(20)는 아래로 이동될 때, 탄성체(13)는 압축되어 슬리브(11)를 받치게 되고, 외부 링(22)과 입력축(10)의 축심은 편심 크기의 변화를 자동적으로 조절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범위에서 이탈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관련된 여러 변형 및 개량형태는 모두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10: 입력축, 11: 슬리브, 12: 평면부, 13:탄성체, 20: 원심시트, 21: 노치, 22: 외부 링, 30: 무게 균형 장치, 31: 핀 체결부, 32: 토션부, 40: 무게 균형 장치, 41: 핀 체결부, 50: 평형추, 51: 평형추 유닛, 52: 견인부, 53: 플러그, 60, 70: 제한구조, 61, 71: 고정장치, 62, 72: 탄성부재, 20a: 원심시트, 30a: 무게 균형 장치, 31a: 무게 균형 본체, 32a: 핀 체결부, 33a: 걸림부, 34a: 샤프트, 40a: 무게 균형 장치, 41a: 무게 균형 본체, 42a: 핀 체결부, 43a: 걸림부, 70a: 제한구조, 71a: 고정장치, 711a: 돌출기둥, 72a: 탄성 부재, 721a, 722a: 탄성모듈, 70b: 제한구조, 71b: 고정장치, 711b: 돌출기둥, 72b: 탄성부재, 721b, 722b: 탄성모듈, 70c: 제한구조, 71c: 고정장치, 711c: 돌출기둥, 72c: 탄성부재, 70d: 제한구조, 71d: 고정장치, 72d: 탄성 부재

Claims (10)

  1.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에 있어서,
    입력축, 원심시트, 무게 균형 장치, 평형추가 포함되되, 상기 입력축은 원동기의 동력을 입력하여 회전을 발생시키고, 또한 상기 입력축의 양측에는 두 개의 평면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심시트는 평면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입력축과 함께 이동을 형성시키며, 상기 원심시트와 상기 입력축사이에는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상기 원심시트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개폐하는 핀 체결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원심시트를 동작시켜 입력축과 함께 이동되게 하며;
    상기 평형추는 상기 무게 균형 장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평형추와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핀 체결부에서 연결되며;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제한구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한구조는 두 개의 고장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한구조에 의해 무단변속의 정확성을 제어하고, 다변화적인 세그먼트의 수요를 만족시키며, 상기 무게 균형 장치를 원래 상태로 회복시키는데 유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시트의 타단은 다른 무게 균형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토션부는 상기 다른 무게 균형 장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다른 탄성계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장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돌출기둥이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두 개의 다른 탄성계수를 갖고 있는 탄성모듈이 포함되며, 그중에서 하나의 탄성모듈의 양단은 상기 돌출기둥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돌출기둥이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두 개의 다른 탄성계수를 갖고 있는 탄성모듈이 포함되며, 그중에서 하나의 탄성모듈의 양단은 상기 돌출기둥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탄성모듈은 하나의(돌출기둥에 고정된) 탄성모듈의 외부에 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돌출기둥이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에서 중간으로 탄성계수가 다르며,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은 각각 상기 돌출기둥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사이의 탄성부재는 경사진 형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균형 장치에는 상기 원심시트에 삽입되는 두 개의 토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균형 장치는 두 개의 무게 균형 본체가 포함되고, 상기 무게 균형 본체는 여러 개의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입력축을 끼워주며, 두 개의 샤프트는 상기 무게 균형 본체와 원심시트에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KR1020110123516A 2010-12-16 2011-11-24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KR201200679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69,603 2010-12-16
US12/969,603 US8656795B2 (en) 2010-12-16 2010-12-16 Easily switchable automatic transmission eccentric shaf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932A true KR20120067932A (ko) 2012-06-26

Family

ID=4509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516A KR20120067932A (ko) 2010-12-16 2011-11-24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56795B2 (ko)
EP (1) EP2466170B1 (ko)
JP (1) JP5421343B2 (ko)
KR (1) KR20120067932A (ko)
BR (1) BRPI1106148A2 (ko)
CA (1) CA2759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58596S1 (en) * 2017-10-24 2019-09-03 Tivoly Sa Tool shank
USD926546S1 (en) 2017-10-24 2021-08-03 Lee Valley Tools Ltd. Workpiece support
USD861049S1 (en) * 2017-10-24 2019-09-24 Lee Valley Tools Ltd. Workpiece support
USD861050S1 (en) * 2017-10-25 2019-09-24 Jung-ping Li Eccentric shaft for a grind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7537A (en) * 1963-07-16 Vibration-inducing apparatus
US2185602A (en) * 1935-11-13 1940-01-02 Metzler Heinrich Automatic change-speed gear
GB598092A (en) * 1945-08-30 1948-02-10 Guy Motors Ltd Improvements in change speed mechanism
US2615346A (en) * 1945-10-29 1952-10-28 Borg Warner Transmission
US2902868A (en) * 1956-06-04 1959-09-08 Productive Equipment Company Vibrating equipment
JPS5841408Y2 (ja) * 1980-04-02 1983-09-19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 変速プ−リ−装置
DE3033476C2 (de) * 1980-09-05 1985-03-21 Delmag-Maschinenfabrik Reinhold Dornfeld Gmbh + Co, 7300 Esslingen Vibrationsgerät zur Materialverdichtung
JPS62168891U (ko) * 1986-04-16 1987-10-26
JPH06264775A (ja) * 1993-03-10 1994-09-20 Zexel Corp 内燃機関用機械式ガバナ
US6224293B1 (en) * 1999-04-19 2001-05-01 Compaction America, Inc. Variable amplitude vibration generator for compaction machine
JP2005106143A (ja) * 2003-09-30 2005-04-21 Exedy Corp スプリング組立体
JP4673320B2 (ja) * 2004-01-29 2011-04-20 マグナ ドライブトレイン アクツ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移動自在なシフトフォーク部及びアクチュエータからなる変速装置
US7903997B2 (en) * 2006-12-06 2011-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up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7699739B2 (en) * 2007-02-15 2010-04-20 Shih-Tzou Wen Sliding block type stepless autoshift speed changer
US7913075B2 (en) * 2007-07-03 2011-03-22 Pmc-Sierr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provisioning of storage and operating system installation from pre-existing iSCSI target
WO2009015596A1 (fr) * 2007-07-29 2009-02-05 Minglong Tang Système pour engendrer la commande directe d'une vibration forcée avec un ressort d'accélération
EP2298504B1 (en) * 2008-06-10 2013-03-20 Makita Corporation Power tool
DE102009027533A1 (de) * 2009-07-08 2011-01-20 Zf Friedrichshafen Ag Schalt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chaltgetriebes
KR101039921B1 (ko) * 2009-07-28 2011-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클러치변속기의 변속장치
DE102009046345A1 (de) * 2009-11-03 2011-05-05 Zf Friedrichshafen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Mehrgruppengetrie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6170A1 (en) 2012-06-20
JP2012127496A (ja) 2012-07-05
US20120152043A1 (en) 2012-06-21
US8656795B2 (en) 2014-02-25
JP5421343B2 (ja) 2014-02-19
CA2759603A1 (en) 2012-06-16
BRPI1106148A2 (pt) 2013-04-09
EP2466170B1 (en)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7932A (ko) 전환이 용이한 자동변속 편심축
CN102384234B (zh) 无级变速器结构
CN101961710A (zh) 用于产生圆形振动或定向振动的设备
KR20170069601A (ko) 가변 압축비 장치
CN109070724B (zh) 换挡变速器及用于控制换挡变速器的方法
CN104048024A (zh) 减振器装置
CN102094378A (zh) 调幅激振机构和调幅组件
CN106122462A (zh) 一种汽车及其变速箱操纵装置
CN110030083B (zh) 一种半对冲发动机以及动力总成
CN104838180B (zh) 用于至少两个空转齿轮在车辆的变速器的两个配属的轴上进行切换的系统
KR20120011527A (ko) 차량용 더블클러치의 클러치 액추에이터 구조
CN102758877B (zh) 振动补偿设备以及包括该设备和内燃机的系统
CN104685251B (zh) 通气构造
KR101828249B1 (ko) 링크기구를 이용한 무단변속기
CN202834029U (zh) 一种多功能变速换档控制器
CN209265572U (zh) 一种售货机货仓用电机单元传动结构
CN108368922B (zh) 无级变速器
CN208935339U (zh) 一种轧机齿轮传动装置
CN106321816A (zh) 一种汽车及其变速箱操纵装置
TWM573730U (zh) 跨坐式無段變速車輛
KR20130059610A (ko) 전동기 장착형 무단 변속기
CN102562991B (zh) 易换式自排变速偏心轴
CN202138230U (zh) 分动器操纵机构和具有它的汽车
WO2014174566A1 (ja) エンジンバランサ
IT201600122091A1 (it) Trasmissione sincrona a elevato rendimen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