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616A -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616A
KR20120067616A KR1020100129122A KR20100129122A KR20120067616A KR 20120067616 A KR20120067616 A KR 20120067616A KR 1020100129122 A KR1020100129122 A KR 1020100129122A KR 20100129122 A KR20100129122 A KR 20100129122A KR 20120067616 A KR20120067616 A KR 20120067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imming
unit
lamp
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8458B1 (ko
Inventor
조광종
안정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비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비젼
Priority to KR1020100129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4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21V23/047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by means of an image recording device, e.g. a came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영상 분석(Video Content Analytics, VCA)을 이용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통해 대상물의 움직임만을 선별하여 감지한 후 조명을 턴온시키고 상기 감지된 대상물이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 조명을 턴오프 제어함으로써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Lighting Device Using Video Content Analysis}
본 발명은 지능형 영상 분석(Video Content Analysis, VCA)을 이용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통해 대상물의 움직임만을 선별하여 감지한 후 조명을 턴온시키고 상기 감지된 대상물이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 조명을 턴오프 제어함으로써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 영상 분석(Video Content Analysis, VCA) 기술은 대상물에 대한 움직임 추적 엔진과 영상분석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획득되는 영상에 대하여 주변 배경을 무시하고 사람의 움직임만을 감지하여 추적하고, 배회감지, 셈합(Counting), 멈춤감지, 서성거림 감지, 움직임 감지 등의 조건을 설정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경보를 위한 이벤트를 발생함으로써 지능형으로 감시가 가능한 영상 분석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지능형 영상 분석 기술은 CCTV 카메라와 연동된 보안 감시 기능으로 활용되거나, 건물이나 매장 등에 대한 출입인원을 셈합하거나 고객 동선을 파악하거나, 외부 침입이나 특정지역의 접근을 감지하는 기능 등에 활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조명 장치의 경우 에너지 절약을 위해 물체를 감지한 경우에만 조명이 턴온되는 센서등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센서등의 경우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가 조명에 고정설치되어 센서 감지 영역이 매우 좁은 문제가 있으며, 센서 감지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조명이 턴오프되므로 조명을 턴온시키기 위해 센서 감지 영역 내로 다시 이동하여야 하므로 이용에 불편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센서등은 출입문이나 보안등과 같이 순간적인 조명이 필요한 장소에서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 적용에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하여 대상물이 설정된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어떠한 움직임에도 조명을 턴온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대상물이 설정된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 조명을 턴오프시킬 수 있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는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추적하는 영상 분석부와 상기 영상 분석부로부터 이벤트 신호을 전송받아 조명을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조명 제어부와 상기 조명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조명을 조절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분석부는 설정된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중 배경을 분리하고 대상물 만을 감지하고 추적하여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는 영상 추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는 설치 지역의 커버리지 확보를 위해 장치와 분리 구성되고,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장치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추적 모듈은 설정된 대상물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대상물을 감지하고 설정된 영역 내에서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대상물 추적 엔진과 상기 대상물의 추적에 따라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디밍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벤트 신호는 설정된 영역 내에서 대상물 감지시 발생하는 턴온 이벤트 신호와 상기 대상물이 설정된 영역에서 사라진 경우 발생하는 턴오프 이벤트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턴온 이벤트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턴온 제어 신호와 상기 턴오프 이벤트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턴오프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턴온 및 턴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등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디밍 제어가 설정된 경우 상기 이벤트 신호는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세부 구획된 디밍 영역에서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디밍 업/다운 이벤트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디밍 업/다운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생성하는 디밍 업/다운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디밍 업/다운 제어 신호에 따라 디밍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조명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밍 영역은 조명등의 위치에서 거리에 따라 다수 개의 디밍 레벨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디밍 레벨은 조명등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도가 높아지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일반모드와 지능모드를 절환하는 절환 스위치와 상기 일반모드에서 조명등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환 스위치가 일반모드로 절환된 경우 상기 조명 제어부가 상기 영상 분석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장치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조명이 필요한 기준 조도를 설정하고,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보다 높을 경우 영상분석부에 전원을 차단하는 슬립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보다 낮을 경우 영상 분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모드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는 대상물이 설정된 영역 내에서 감지된 경우 조명을 턴온 시키고, 상기 대상물의 움직음을 추적하여 상기 설정된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만 조명을 턴오프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대상물의 움직임에 따라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조명 관리가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밍 영역 설정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도 센서에 따른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가로등에 적용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은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추적하는 영상 분석부(10)와 상기 영상 분석부로부터 이벤트 신호을 전송받아 조명을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조명 제어부(20)와 상기 조명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조명을 조절하는 조명부(30)와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모드와 지능모드를 절환하는 스위칭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반모드는 수동적인 조작에 의해 조명등을 턴온/턴오프/디밍 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지능모드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등의 자동제어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스위칭부(50)는 일반모드와 지능모드를 절환하는 절환 스위치(510)와 일반모드인 경우 조명등의 턴온/턴오프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치(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가 일반모드로 설정될 경우 영상분석부(10)는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슬립상태로 전환되고, 지능모드로 절환된 경우에 상기 영상분석부(1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석부(10)는 설정된 영역의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110)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중 배경을 분리하고 대상물 만을 감지하여 추적하는 영상 추적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10)는 시스템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설치 지역의 커버리지 확보를 위해 시스템과 분리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카메라(11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추적 모듈(120)은 설정된 대상물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대상물을 감지하고 설정된 영역 내에서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움직임 감지 기능(Video Motion Detection)을 구비한 대상물 추적 엔진(121)과 상기 대상물의 추적에 따라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 모듈(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물은 사람, 자동차 등 시스템이 설치되는 지역에서 감지에 따라 조명이 제공되어야 하는 대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건물 내부나 인도의 조명 시스템인 경우 상기 대상물은 사람이 될 수 있으며, 건물 외부의 주차장이나 도로인 경우 상기 대상물은 자동차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 신호는 대상물을 최초 감지하였을 때 발생하는 턴온 이벤트 신호, 대상물이 설정된 영역에서 사라진 경우 발생하는 턴오프 이벤트 신호, 상기 설정된 영역(커버리지)내에 세부적으로 디밍 제어를 위한 구역이 설정된 경우 발생하는 디밍 업 또는 디밍 다운 이벤트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영역은 조명 시스템의 조명이 미치는 커버리지를 의미하며, 상기 커버리지는 임의적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과 같은 구획된 실내의 경우 방 전체가 커버리지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인도나 도로 등 구획 공간이 없는 경우 조명의 조도를 고려한 영역이 커버리지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 추적 엔진(121)은 미리 대상물의 특징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특징점 정보와 동일한 대상물이 설정된 영역에 등장한 경우 이를 감지로 인식하고, 상기 대상물의 동선에 따라 움직임을 추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대상물 추적 엔진(121)은 지능형 영상 분석(VCR) 기술 분야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명 제어부(20)는 상기 영상 추적 모듈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 제어신호는 영상분석부로부터 발생한 이벤트 신호에 따라 조명부의 조명을 턴온/턴오프하는 전원 제어신호와, 조명부의 조도를 조절하는 디밍 제어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30)는 조명등(310)과 상기 조명등의 디밍을 조절하는 디밍 제어모듈(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등(310)은 LED, 형광등, 백열등 등 발광 수단이면 무엇이나 가능하다.
상기 디밍 제어모듈(320)은 조명등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LED 등의 경우 PWM 디밍 제어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형광등의 경우 디밍 안정기를 통한 디밍 제어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등이 LED 등인 경우 하나의 조명등에는 다수 개의 LED가 배치되므로 발광되는 LED의 수를 제어하는 방식을 통해 디밍 제어가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디밍 제어 모듈(320)은 조도 레벨에 따라 설정된 LED가 발광하도록 LED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예를 들어, 조명등에 LED가 100개가 배치된 경우 정격조도에서 50% 조도를 발광하기 위해 50개의 LED만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디밍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스위칭부(50)의 절환스위치(510)가 지능모드로 설정되고, 설정된 영역 내에서 대상물의 감지가 없는 경우에는 조명부(30)는 턴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설정된 영역 내에서 영상 분석부(10)가 카메라(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대상물을 감지하면 턴온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여 조명 제어부(20)로 전송하고, 상기 대상물의 움직임을 추적한다.
상기 조명 제어부(20)는 턴온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부(30)에 턴온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조명부(30)는 상기 턴온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310)을 턴온시킨다.
상기 영상 분석부(10)는 대상물이 설정된 영역 내에서 움직임이 있는 한 턴오프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대상물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상기 대상물이 설정된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 턴오프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여 조명 제어부(20)로 전송한다. 따라서, 대상물이 설정된 영역 내에 있기만 하면 조명등(30)은 계속해서 턴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조명 제어부(20)는 턴오프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부에 턴오프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조명부(30)는 상기 턴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등을 턴오프시킨다.
그리고 디밍 제어가 설정된 경우 도 2와 같이 상기 영상 분석부가 대상물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설정된 영역을 다시 소단위로 구분한 디밍 영역(도 2의 디밍 레벨 1 내지 4)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디밍 레벨 1은 조명등가 거리가 가장 가깝기 때문에 조도가 가장 낮은 상태이며, 디밍 레벨 4는 조명등과 거리가 가장 멀기 때문에 조도가 가낭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대상물이 디밍 레벨 1에서 디밍 레벨 2로 이동하게 되면, 조명등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 것이므로 조도를 디밍 레벨 2로 높이기 위한 디밍업 이벤트를 발생하고, 반대로 디밍 레벨 2에서 디밍 레벨 1로 이동하게 되면, 조명등에 가깝게 이동한 것이므로 조도를 디밍 레벨 1로 낮추기 위한 디밍다운 이벤트를 발생하는 방식으로 디밍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밍업/다운 이벤트가 발생하면 조명 제어부는 조명부에 디밍업/다운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조명부의 디밍 제어 모듈이 상기 디밍업/다운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등의 디밍을 조절한다.
만일, 대상자가 설정된 영역(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면서 조명을 끄고 싶은 경우에는 지능모드에서 일반모드로 전환하고, 전원스위치를 턴오프하여 조명을 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지능모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도 센서에 따른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조명 제어부(20)는 조명이 필요한 기준 조도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조도 센서(60)로부터 측정된 측정 조도와 상기 기준 조도를 비교하여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보다 높을 경우 조명이 필요없으므로 전원부(40)를 슬립모드 상태로 설정하여 영상 분석부(10)에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대상물을 감지할 경우 조명이 필요하므로 전원부를 동작모드 상태로 설정하여 영상 분석부(10)가 정상적인 지능모드로 동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에 적용된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이 적용된 가로등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도 4a와 같이 사람이 조명등의 커버리지를 벗어난 경우에는 조명등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제 1 조명등의 커버리지 내로 이동이 감지된 경우 도 4b와 같이 제 1 조명등을 턴온시키고, 계속해서 이동하여 제 1 조명등의 커버리지를 벗어나고 제 2 조명등의 커버리지 내로 이동이 감지되면 도 4c와 같이 제 1 조명등을 턴오프시키고, 제 2 조명등을 턴온시키는 방식으로 가로등이 운영되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등으로 구비된 가로등과 다른 점은 센서등의 경우 센서가 설치된 위치에 사람이 감지된 경우에만 등이 턴온되므로, 사람이 센서를 벗어난 위치에서 이동을 멈출 경우 등이 턴오프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데 반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설정된 영역(커버리지) 내의 사람을 추적하므로 설정된 영역에 사람이 위치하는 한 등이 턴오프되지 않고 조명을 유지하므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영상분석부 110 : 카메라
120 : 영상 추적 모듈 20 : 조명 제어부
30 : 조명부 40 : 전원부
50 : 스위칭부 60 : 조도 센서

Claims (11)

  1.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추적하는 영상 분석부와;
    상기 영상 분석부로부터 이벤트 신호을 전송받아 조명을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조명 제어부와;
    상기 조명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조명을 조절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설정된 영역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중 배경을 분리하고 대상물 만을 감지하고 추적하여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는 영상 추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설치 지역의 커버리지 확보를 위해 장치와 분리 구성되고;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장치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추적 모듈은
    설정된 대상물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대상물을 감지하고 설정된 영역 내에서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대상물 추적 엔진과;
    상기 대상물의 추적에 따라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는 이벤트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디밍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신호는
    설정된 영역 내에서 대상물 감지시 발생하는 턴온 이벤트 신호와 상기 대상물이 설정된 영역에서 사라진 경우 발생하는 턴오프 이벤트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턴온 이벤트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턴온 제어 신호와 상기 턴오프 이벤트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턴오프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턴온 및 턴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등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디밍 제어가 설정된 경우
    상기 이벤트 신호는
    상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세부 구획된 디밍 영역에서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디밍 업/다운 이벤트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디밍 업/다운 이벤트 신호에 따라 생성하는 디밍 업/다운 제어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디밍 업/다운 제어 신호에 따라 디밍 제어 모듈을 제어하여 조명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밍 영역은
    조명등의 위치에서 거리에 따라 다수 개의 디밍 레벨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디밍 레벨은 조명등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조도가 높아지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일반모드와 지능모드를 절환하는 절환 스위치와;
    상기 일반모드에서 조명등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전원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스위치가 일반모드로 절환된 경우
    상기 조명 제어부가 상기 영상 분석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장치 외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부는
    상기 조명이 필요한 기준 조도를 설정하고,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측정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보다 높을 경우 영상분석부에 전원을 차단하는 슬립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측정 조도가 상기 기준 조도보다 낮을 경우 영상 분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작모드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KR1020100129122A 2010-12-16 2010-12-16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KR101288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22A KR101288458B1 (ko) 2010-12-16 2010-12-16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122A KR101288458B1 (ko) 2010-12-16 2010-12-16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616A true KR20120067616A (ko) 2012-06-26
KR101288458B1 KR101288458B1 (ko) 2013-07-26

Family

ID=46686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122A KR101288458B1 (ko) 2010-12-16 2010-12-16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45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74B1 (ko) * 2012-12-11 2014-07-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53806B1 (ko) * 2014-04-14 2014-10-23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시스템
KR20160011549A (ko) *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이화글로벌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GB2546137A (en) * 2015-11-10 2017-07-12 Gen Electric Image sensor controlled lighting fixture
CN110185980A (zh) * 2019-05-20 2019-08-30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rfid身份识别的摄像头监控智能吸顶灯
KR20210048455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코더스 사용자 감성을 반영한 조명 제작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0449A (ja) * 1997-04-14 1998-10-27 Shimizu Corp 映像監視システム
JP2002141176A (ja) * 2000-11-02 2002-05-17 Hitachi Ltd 照明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及び家電装置
KR100958497B1 (ko) * 2009-09-07 2010-05-1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 영상 데이터의 움직임 검출을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조명 제어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74B1 (ko) * 2012-12-11 2014-07-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조명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53806B1 (ko) * 2014-04-14 2014-10-23 주식회사 금강에너텍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시스템
KR20160011549A (ko) * 2014-07-22 2016-02-01 주식회사 이화글로벌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GB2546137A (en) * 2015-11-10 2017-07-12 Gen Electric Image sensor controlled lighting fixture
US9930752B2 (en) 2015-11-10 2018-03-27 General Electric Company Image sensor controlled lighting fixture
GB2546137B (en) * 2015-11-10 2020-07-08 Gen Electric Image sensor controlled lighting fixture
CN110185980A (zh) * 2019-05-20 2019-08-30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rfid身份识别的摄像头监控智能吸顶灯
CN110185980B (zh) * 2019-05-20 2021-04-20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rfid身份识别的摄像头监控智能吸顶灯
KR20210048455A (ko) * 2019-10-23 2021-05-03 주식회사 코더스 사용자 감성을 반영한 조명 제작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458B1 (ko) 201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458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KR101001276B1 (ko)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A276038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zoned illumination
KR101190063B1 (ko) 저전력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U2016256752B2 (en) Image sensor controlled lighting fixture
US8294373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apparatus
KR101266279B1 (ko) 물체의 이동에 따라 밝기가 조절되는 절전형 지하주차장 조명시스템
KR20100136186A (ko) Led가로등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20036778A (ko) 형광등 조명 조절장치 및 그 감지 장치
JP2012174663A (ja) 調光照明装置および調光照明システム
KR101184624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
KR20200086784A (ko) 지능형 조명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00247B1 (ko) 복합센서를 구비한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
KR101765033B1 (ko) Rf감지신호의 수신감도에 의해 점등되는 주차장등
KR200405236Y1 (ko) 조도 제어식 조명등
KR101673799B1 (ko) 지하주차장 다중 조명 시스템
KR20150057072A (ko) 카메라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9915B1 (ko) 무선통신 센서모듈을 이용한 그룹 조명제어 시스템
KR20170010198A (ko) 가로등 제어시스템
KR101208901B1 (ko)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조명 제어시스템
KR20220033306A (ko) 주차장용 조명 관리시스템
CN111526648A (zh) 智能照明系统
KR101320450B1 (ko) 다수의 조명을 일괄 제어하는 조명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3801B1 (ko)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54906B1 (ko) 대기온도와 움직임 감지에 의한 조명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