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549A -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549A
KR20160011549A KR1020140092863A KR20140092863A KR20160011549A KR 20160011549 A KR20160011549 A KR 20160011549A KR 1020140092863 A KR1020140092863 A KR 1020140092863A KR 20140092863 A KR20140092863 A KR 20140092863A KR 20160011549 A KR20160011549 A KR 20160011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lighting
illumination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350B1 (ko
Inventor
김진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글로벌
Priority to KR1020140092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3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안 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보안 지역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설정된 조명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 조명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카메라 모듈의 촬영 조건에 따라 조명 모듈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고, 조도 센서가 부착된 조명 모듈이 획득한 조도 정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 작동 조건을 설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촬영에 최적의 조명 환경을 유지하고, 효율적인 조명 구동이 가능하며, 최적 카메라 작동 조건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SECURITY SYSTEM CAPABLE OF CCTV CAMERA AND LIGHT}
본 발명은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강력 범죄를 포함하여 각종 사건, 사고가 급증함으로 인해 예지치 않은 범죄 상황에 노출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도심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범죄뿐만 아니라, 농가, 축산, 어업 양식장 등에서도 도난 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치안 및 보안을 위하여 다양한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감시 카메라 즉,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을 활용한 방법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감시 카메라는, 우범 지역 또는 보안 지역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벤트 발생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 및 녹화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후 범죄자를 색출에도 도움을 준다.
한편, 범죄는 주로 밤에 일어나므로, 보안 지역을 정확하게 촬영하기 위해서는 조명등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주위의 가로등, 보안등, 실내조명에 의존하고, 카메라 자체에는 별도의 조명 시스템이 부가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가로등과 같은 조명이 없는 곳이나 조명이 너무 어두워 카메라 모니터에서 물체를 정확히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최근에는, 카메라에 LED 조명을 부착하거나 조명 수단을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선명한 화질의 영상을 촬영하게 되었다(특허출원 제10-2008-0051802호 참조). 또한,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야간의 이벤트 발생 시에 조명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방식도 개발되었다(특허출원 제10-2005-0073225호 참조)
그러나 적외선 카메라는 촬영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에 한계가 있고, 조명 수단을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의 경우, 카메라가 근거리를 촬영할 때와 원거리를 촬영할 때, 주변이 밝은 낮에 촬영할 때와 어두운 밤에 촬영할 때에 따라 필요한 조명의 밝기, 종류 등이 다르므로, 조명 수단이 존재한다고 하여도, 촬영의 정확도는 크게 달라진다. 또한, 야간에 자동차의 번호판이 모니터링 되는 경우에는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이 너무 밝아 카메라에서 자동차의 번호판이 선명하게 인식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 조명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카메라 모듈의 촬영 조건에 따라 조명 모듈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고, 조도 센서가 부착된 조명 모듈이 획득한 조도 정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 작동 조건을 설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촬영에 최적의 조명 환경을 유지하고, 효율적인 조명 구동이 가능하며, 최적 카메라 작동 조건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적용될 수 있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은,
보안 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보안 지역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설정된 조명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조건은,
촬영 거리, 촬영 시각,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모듈의 조명 조건은,
조명 온오프, 조명 밝기, 조명 방향 및 조명 종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보안 지역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조도 센서가 감지한 조도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 작동 조건을 설정하고,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설정된 카메라 작동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도 정보에 따라 설정된 카메라 작동 조건은,
카메라의 줌인, 줌아웃 및 조리개 열림 정도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조건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조도 센서가 감지한 조도 정보를 처리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의 조명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안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이벤트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조명 모듈을 경고등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조명 모듈의 연동은,
TCP/IP, RS-485, RS-432, RS-232, RF, GPS, 및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킹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 조명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카메라 모듈의 촬영 조건에 따라 조명 모듈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고, 조도 센서가 부착된 조명 모듈이 획득한 조도 정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 작동 조건을 설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촬영에 최적의 조명 환경을 유지하고, 효율적인 조명 구동이 가능하며, 최적 카메라 작동 조건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은, 카메라 모듈(100), 조명 모듈(200) 및 제어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미리 설정된 보안 지역에 설치되어 보안 지역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회전형일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되거나 실시간으로 입력받은 촬영 조건에 따라 보안 지역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 조건이란 촬영 거리 즉, 근거리 촬영 또는 장거리 촬영과 같이 카메라로부터 촬영 대상의 거리나, 촬영 시각(낮, 밤),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줌인, 줌아웃 및 조리개 조절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모듈(200)은, 카메라 모듈(100)이 촬영하는 보안 지역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조명 모듈(200)은 카메라 모듈(100)과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조명 모듈(200)은, 제어 모듈(300)에 의하여 조명 온오프, 조명 밝기, 조명 방향 및 조명 종류 등의 조명 조건이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LED 조명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조명 모듈(200)은, 보안 지역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2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조도 센서(210)가 감지한 조도 정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의 카메라 작동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 모듈(300)은, 카메라 모듈(100) 및 조명 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카메라 모듈(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310), 카메라 모듈(100)의 촬영 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조명 모듈(200)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는 데이터 처리부(320) 및 데이터 처리부(320)에 의해 설정된 조명 조건을 이용하여 조명 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의 촬영 조건이란, 촬영 거리, 촬영 시각,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조명 모듈(200)의 조명 조건은, 조명 온오프, 조명 밝기, 조명 방향 및 조명 종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조명 종류란, 퍼짐 없는 직선광, 넓게 퍼지는 조명, 조명 색상 등의 다양한 조명의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과 제어 모듈(300)은, 디지털 신호 처리에 기반한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서로 유선 방식을 활용하여 상호 데이터의 이동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제어 모듈(300)은 카메라 모듈(100)의 동작 정보를 조명 모듈(200)의 제어 신호로 사용하며, 촬영 영상에서 사물의 선명도를 높여 보안 카메라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제어 모듈(300)이 카메라 모듈(100)에 제공하는 카메라 동작 정보를 조명 모듈(200)에도 전달함으로써, 카메라 모듈(100)과 조명 모듈(200) 간의 연동으로 카메라 영상 촬영에 필요한 최적의 조명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컨트롤러가 카메라만을 조작하고 조명은 별도로 설치하거나 조작하는 방식의 조건에 따른 촬영 영상 선명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 모듈(300) 내에 카메라 제어부(310)와 조명 제어부(330)를 구성하되, 카메라 모듈(100)의 촬영 조건과 조명 모듈이 획득한 정보(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조명 조건, 카메라 작동 조건을 설정하는 데이터 처리부(320)를 더 포함함으로써, 카메라 모듈(100)과 조명 모듈(300)이 서로 연동 작동함으로써, 많은 시너지 효과가 있게 된다. 즉, 카메라 모듈(100)의 촬영 조건(조작 정보 등)을 조명 모듈(200)에도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인데, 예를 들면, 카메라가 근거리를 촬영(Zoom out)하느냐 원거리를 촬영(Zoom in)하느냐의 정보가 미리 설정되거나 입력되면, 이 정보를 반영하여 조명 모듈(20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근거리 영상 촬영 시에는 조명의 출력을 낮게 하고 원거리 영상 촬영 시에는 조명의 출력을 높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촬영 상태에서 최상의 조명이 제공되어 촬영 영상의 선명도를 높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낮에는 태양빛에 의하여 보안 지역이 충분히 밝을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주변의 밝기 정보를 반영하여 조명 모듈(200)의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주간에는 일반적으로 조명 모듈(200)을 ON 시킬 필요가 없으나, 눈, 비오는 날이나 안개 또는 구름으로 인하여 조도가 낮은 경우 조명 모듈(200)의 작동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조도 센서(210)가 획득한 조도 정보를 반영하여, 조명 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조도 센서(210)가 감지한 보안 지역 주변 조도 값이 데이터 처리부(320)에 전달되면 데이터 처리부(320)에서는 촬영 대상의 적당한 조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조명 모듈(200) 제어 값을 연산(데이터 처리)하고, 이에 따라 조명 모듈(200)을 제어하여 최상의 주변 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명 모듈(200)이 획득한 밝기 정보(조도 정보)를 반영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카메라 작동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어 모듈(300)은, 카메라 모듈(100)과 조명 모듈(200)을 상호 연동시켜 최상의 촬영 및 조명 조건 하에 보안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의 근거리, 원거리 그리고 날씨 변화 등 변화되는 환경에서도 카메라 영상 촬영에 필요한 최적의 조명 조건을 제공하며, 한편으로는,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전기를 절약하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전기 에너지의 소모가 줄면 조명 모듈(200)의 최대 약점인 발열판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조명 모듈(200)의 무게가 줄어들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0)이, 밤에 멀어져가는 사고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카메라 모듈(100)은, 장거리 촬영, 야간 촬영, 사고 차량의 방향에 적합한 촬영 위치에서 해당 방향으로 촬영하게 될 것이다. 이는 카메라 모듈(100) 자체의 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중앙관제센터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입력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300)의 데이터 처리부(320)는, 이러한 촬영 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에 가장 적합한 조명 조건(직선광, 높은 출력 값, 카메라 모듈(100)이 촬영하는 방향으로 조사 등)을 도출하여 작동 설정할 수 있고, 조명 제어부(330)는 이렇게 설정된 조명 조건에 따라 조명 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은, 조명 모듈(200)은 보안 지역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320)는 조도 센서(210)가 감지한 조도 정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의 카메라 작동 조건을 설정하고, 카메라 제어부(310)는 데이터 처리부(320)에 의해 설정된 카메라 작동 조건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조도 정보에 따라 설정된 카메라 작동 조건은, 카메라의 줌인, 줌아웃 및 조리개 열림 정도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간에 자동차의 전면 번호판이 모니터링 되는 경우에는 자동차의 전조등 불빛이 너무 밝아서 동일한 작동 조건에서는 자동차 번호판이 선명하게 인식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320)가 조도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줌인시킴과 동시에 조리개를 미리 정해진 크기만큼 닫아 촬영 시 빛이 적게 들어오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320)는 카메라 모듈(100)의 촬영 조건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조도 센서(210)가 감지한 조도 정보(도 4에서와 같이 낮의 경우 높은 조도가 감지됨)를 처리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조명 모듈(200)의 조명 조건을 설정(조명 모듈 작동 오프)할 수도 있다. 즉, 조명 모듈(200)은, 카메라 모듈(100)의 촬영 조건뿐만 아니라, 조도 정보를 함께 반영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조도 상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바, 조명 모듈(200)의 전력 사용량을 줄이고 방열의 문제를 해결하는 등 더욱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카메라 시스템은, CCIR651/656 컨버터와, LED 휴대용 단말기, 시스템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이벤트 신호가 감지되면, 조명 제어부(330)를 통하여 조명 모듈(200)을 경고등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이벤트 신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벨(400)에 의하여 입력된 구조 신호일 수도 있고, 카메라 모듈(100)이 획득한 영상에서 미리 정해진 표시가 감지된 경우일 수도 있는 등 경고등을 발하고자 하는 이벤트 신호라면 그 종류나 방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모듈과 조명 모듈의 연동은, TCP/IP, RS-485, RS-432, RS-232, RF, GPS, 및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킹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카메라 모듈 200: 조명 모듈
300: 제어 모듈 310: 카메라 제어부
320: 데이터 처리부 330: 조명 제어부
400: 비상 버튼

Claims (9)

  1. 보안 조명 시스템으로서,
    보안 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보안 지역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조건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설정된 조명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조건은,
    촬영 거리, 촬영 시각, 촬영 방향 및 촬영 위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의 조명 조건은,
    조명 온오프, 조명 밝기, 조명 방향 및 조명 종류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보안 지역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조도 센서가 감지한 조도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 작동 조건을 설정하고,
    카메라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에 의해 설정된 카메라 작동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정보에 따라 설정된 카메라 작동 조건은,
    카메라의 줌인, 줌아웃 및 조리개 열림 정도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조건에 대한 데이터와, 상기 조도 센서가 감지한 조도 정보를 처리하여 그에 대응되도록 상기 조명 모듈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이벤트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조명 모듈을 경고등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조명 모듈의 연동은,
    TCP/IP, RS-485, RS-432, RS-232, RF, GPS, 및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킹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KR1020140092863A 2014-07-22 2014-07-22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KR10166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863A KR101667350B1 (ko) 2014-07-22 2014-07-22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863A KR101667350B1 (ko) 2014-07-22 2014-07-22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549A true KR20160011549A (ko) 2016-02-01
KR101667350B1 KR101667350B1 (ko) 2016-10-18

Family

ID=5535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863A KR101667350B1 (ko) 2014-07-22 2014-07-22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3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222A (ko) * 2016-07-08 2018-01-17 김영삼 조도 센서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556447B1 (ko) * 2023-02-16 2023-07-18 주식회사 슈퍼스타트 패턴 분석을 통한 상황 판단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616A (ko) * 2010-12-16 2012-06-26 주식회사 에버비젼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KR101232248B1 (ko) * 2012-07-31 2013-02-12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범죄예방설계 기법을 기반으로 한 보안 기능이 부가된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616A (ko) * 2010-12-16 2012-06-26 주식회사 에버비젼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KR101232248B1 (ko) * 2012-07-31 2013-02-12 주식회사 베스트디지탈 범죄예방설계 기법을 기반으로 한 보안 기능이 부가된 조명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222A (ko) * 2016-07-08 2018-01-17 김영삼 조도 센서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556447B1 (ko) * 2023-02-16 2023-07-18 주식회사 슈퍼스타트 패턴 분석을 통한 상황 판단 시스템
KR102585665B1 (ko) * 2023-02-16 2023-10-10 주식회사 슈퍼스타트 위험 상황 분석 및 위험 객체 수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350B1 (ko)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5042B (zh) 图像传感器监控系统及监控方法
EP3111134B1 (en) Light reflectance based detection
EP3527045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urveillance system
US20140253733A1 (en) Networked modular security and lighting device grids an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thereof
CN102466945B (zh) 标准人像采集装置中的led补光及人像剪裁评价系统
US201401125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monitoring of thoroughfares using thermal imaging
KR100962434B1 (ko) 감시 카메라
KR101625538B1 (ko) 도시방범이 가능한 다차선 자동차 번호판 인식시스템
KR101272164B1 (ko) 적외선 카메라와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한 가로등 밝기 조절장치
WO2013073783A1 (ko) 가변식 보조광원이 설치된 cctv 카메라
KR20120114510A (ko) 지능형 보안등 시스템
KR101297759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적외선 led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1974617U (zh) 公安标准化人像采集系统中的led光源设备
KR101479178B1 (ko) 가로등을 대체할 수 있는 cctv용 지능형 카메라장치
KR20140095407A (ko) 감시카메라, 감시카메라를 이용하는 감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67350B1 (ko)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KR102101619B1 (ko) 모션 디텍팅 기술을 이용하여 가로등의 전원제어가 가능한 영상감시시스템
KR100878491B1 (ko) 방범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5764217A (zh) 基于红外热成像的智能道路照明系统及其实现方法
KR101964744B1 (ko) 가시광선 조명과 적외선 조명 일체형 cctv 카메라 시스템
KR20200126690A (ko) 차량번호판 인식 카메라시스템
KR102329137B1 (ko) 주차장 통합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3230B1 (ko) 카메라 모듈이 채용된 led 보안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4180169A (ja) 照明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DE102014007667B4 (de) Beleuchtungsvorrichtung umfassend Bilderfassungsmitt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