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743A - 편광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743A
KR20120066743A KR1020100127987A KR20100127987A KR20120066743A KR 20120066743 A KR20120066743 A KR 20120066743A KR 1020100127987 A KR1020100127987 A KR 1020100127987A KR 20100127987 A KR20100127987 A KR 20100127987A KR 20120066743 A KR20120066743 A KR 2012006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alcohol
film
water
polarizer
seco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제훈
최동덕
김성수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7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6743A/ko
Publication of KR2012006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팽윤 및 염색시킨 후 그에 붕산을 처리하여 제조된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8-12℃의 물에 2-5초 동안 침지시킨 후 바로, 즉 침지 후 물을 샤워식으로 분무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건조시킴으로써 편광자의 투과율 및 편광도 등의 광학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두 장의 편광자가 액정표시장치 등에서 크로스 니콜로 배치되었을 때 완벽에 가까운 뉴트럴한 블랙을 구현할 수 있는 편광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자의 제조방법 {PREPARING METHOD FOR POLARIZERS}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등에서 뉴트럴한 블랙을 구현할 수 있는 고투과 편광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자는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등의 고분자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시켜 제조된다.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2 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켜, 붕산 처리하는 과정을 거치는 필름, 즉 요오드를 2 색성 색소로 하는 요오드계 편광 필름, 2 색성 염료를 2 색성 색소로 하는 염료계 편광 필름 등이 알려져 있다.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는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붕산 처리를 한 후, 요오드화물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 제2001-290027호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2 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붕산 처리한 후, 농도가 0.2-15 중량%인 요오드화물 수용액에 소정의 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건조시켜 편광자를 제조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화물 수용액에 침지시킴으로써 필름에서 붕산이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얼룩 및 이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었으나 완성된 편광자가 뉴트럴한 흑색 표시를 나타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2001-296428호에는 소정의 연신 배율로 필름을 연신하면서, 붕산 처리 공정 후에 요오드화물을 4?20 중량% 함유하는 욕조에 침지시켜 편광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위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편광자는 높은 투과율과 높은 편광율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취지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 기술의 편광자 역시 흑색을 정확히 표시하지 못하고 약간 푸른 빛을 띠는 흑색을 표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등에서 크로스 니콜로 배치되었을 때 뉴트럴한 블랙을 구현할 수 있는 고투과 편광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수세 및 건조시켜 편광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교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8-12℃의 물에 2-5초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만으로 이루어진 수세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방법.
2. 위 1에 있어서, 침지 시간이 3-4초인 제조방법.
3. 위 1에 있어서, 물의 온도가 9-11℃인 제조방법.
4. 위 1에 있어서, 수세 공정은 물을 샤위식으로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제조방법.
5. 위 1에 있어서, 편광자는 투과율 42.5% 이상 및 편광도 99.99% 이상의 고투과 편광자인 제조방법.
6. 위 1에 있어서, 팽윤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0-70℃의 팽윤용 수용액에 30-300초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7. 위 1에 있어서, 염색 공정은 팽윤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0-45℃의 요오드/KI/물 (0.003-0.2중량부/0.1-10중량부/100중량부)의 수용액에서 30-600 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8. 위 1에 있어서, 가교 공정은 염색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0-85 ℃인 요오드화물 수용액(물 100 중량부/요오드화물 1-30 중량부/붕산 1-15 중량부)에 3-1200초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본 발명에 의해 액정표시장치 등에서 크로스 니콜로 배치되었을 때 보다 뉴트럴한 블랙을 구현할 수 있는, 투과율이 42.5% 이상이고 편광도가 99.99 % 이상인 고투과 편광자의 제조가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자 제조 방법은 기존의 팽윤 공정, 염색 공정, 붕산 처리(가교) 공정 및 건조 공정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자 제조 방법을 사용하면 수세 공정을 보다 단순화시킬 수 있어 공정 경제성의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수세 공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수세 공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팽윤 및 염색시킨 후 그에 붕산을 처리하여 제조된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8-12℃의 물에 2-5초 동안 침지시킨 후 바로, 즉 침지 후 물을 샤워식으로 분무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건조시킴으로써 편광자의 투과율 및 편광도 등의 광학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두 장의 편광자가 액정표시장치 등에서 크로스 니콜로 배치되었을 때 완벽에 가까운 뉴트럴한 블랙을 구현할 수 있는 편광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편광자 제조방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수세 및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히 그 수세 공정이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8-12℃의 물에 2-5초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만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수세 공정은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순수에 침지시키는 단계만으로 이루어질 뿐, 이 침지 단계 후에 순수에 수세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물을 샤위식으로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비누화시켜 얻어진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85-100몰%, 바람직하게는 90-10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98-100 몰%이다.
이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통상 편광자의 제조시 재료로는 약 20-100 ㎛, 바람직하게는 약 30-80 ㎛ 인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미연신 필름을 사용한다. 공업적으로는, 필름의 폭은 약 1,500-4,000 ㎜가 실용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 정도일 수 있으며, 중합도가 1,000 내지 5,000 정도인 서로 다른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팽윤 공정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탈이온수 (팽윤용 수용액)에 침지시켜 불순물을 제거하고 팽윤시키는 단계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외의 첨가제, 예컨대 글리세린 등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첨가제는 편광자의 후속 제조 공정 상에서 불량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제조 후 편광자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미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따뜻한 탈이온수가 담겨 있는 팽윤조를 통과시켜 팽윤시킴으로써 첨가제를 녹여서 제거한다.
팽윤 공정은 필름 표면의 이물 제거, 필름 중의 가소제 제거 등의 목적 이외에 다음 공정에서의 염색 용이성의 부여, 필름의 가소화 등을 감안하여 수행된다. 팽윤 공정에서 팽윤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하기의 염색, 가교 및 연신 단계에서 만족할 만큼의 편광도를 얻기 어려우며, 특히 연신단계에서 PVA계 필름이 절단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므로, 팽윤이 충분히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처리 조건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또한 기재 필름의 극단적인 용해, 실투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팽윤 공정은 미리 기체 중에서 연신된 필름에 대해서 수행될 수도 있고 미연신의 원반 필름에 대해 수행될 수도 있다.
미리 기체 중에서 연신된 필름을 팽윤시키는 경우에는 예컨대 약 10-70 ℃, 바람직하게는 약 30-60 ℃의 수용액에 필름을 침지시켜 수행될 수 있다. 필름의 침지 시간은 약 30-300 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240 초이다.
또한, 처음부터 미연신의 원반 필름을 팽윤시키는 경우에는 예컨대 약 10-50 ℃, 바람직하게는 약 20-40 ℃의 수용액에 필름을 침지시켜 수행된다. 필름의 침지 시간은 약 30-300 초, 바람직하게는 약 60-240 초이다.
팽윤 처리 공정에서는 필름이 폭 방향으로 팽윤되어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익스팬더 롤(expander roll), 스파이럴 롤(spiral roll), 크라운 롤(crown roll), 크로스 가이더(cross guider), 벤드 바(bend bar), 텐터 크립(tenter crip) 등의 폭 확대 장치로 필름의 주름을 없애면서 필름을 반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욕 중의 필름 반송을 안정화시킬 목적으로 팽윤 욕 중에서의 수류를 수중 샤워로 제어하거나, EPC 장치(Edge Position Control 장치: 필름의 단부를 검출하여 필름의 사행을 방지하는 장치) 등을 병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본 공정에서는 필름의 주행 방향으로도 필름이 팽윤 확대되기 때문에 반송 방향의 필름이 느슨해지는 것을 없애기 위해, 예컨대 처리조 전후의 반송 롤의 속도를 컨트롤하는 등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사용되는 팽윤 처리 욕은 순수 이외에, 붕산, 염화물, 무기산, 무기염, 수용성 유기 용매, 알콜류 등을 약 0.01-10 중량%의 범위로 첨가한 수용액(탈이온수)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색 공정은 팽윤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를 염착시키기 위해, 보다 상세하게는 팽윤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요오드 및 요오드화 칼륨을 함유하는 염색용 수용액이 담겨 있는 염색조에 함침시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 분자를 염착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요오드 분자는 염색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연신하거나 또는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염색하는 경우,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연신 방향과 나란히 배열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열된 요오드 분자는 높은 2색성을 갖기 때문에 연신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되고, 연신 방향에 수직으로 진동하는 빛은 투과된다. 그 결과, 편광판에 투과된 자연광으로부터 특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처리 조건은 이들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또한 기재 필름의 극단적인 용해, 실투 등의 문제점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염색용 수용액에서의 요오드의 농도는 0.001-0.1mol/L일 수 있다. 또한 요오드화 칼륨은 용해 보조제로서 염색용 수용액에서의 농도는 0.01 내지 10중량%일 수 있고 0.1 내지 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색용 수용액의 온도는 예컨대 10-50℃이고, 25-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색용 수용액에서의 함침 시간은 10 내지 600초일 있다.
예컨대, 팽윤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약 10-45 ℃, 바람직하게는 약 20-35 ℃의 온도인 요오드/KI/물 (약0.003-0.2중량부/약0.1-10중량부/ 100중량부)의 수용액에서 약 30-600 초, 바람직하게는 약 60-300 초간 침지시킬 수 있다.
요오드화칼륨(KI) 대신에 다른 요오드화물, 예컨대 요오드화아연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다른 요오드화물을 요오드화칼륨과 병용해도 된다. 그리고,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붕산,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등을 함께 사용해도 된다. 본 공정에서 붕산을 첨가하게 되더라도 이는 요오드와 함께 사용된다는 점에서 하기의 가교(붕산 처리) 공정과 구별된다.
본 발명의 가교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염착된 요오드 분자를 흡착 및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 염착된 PVA계 필름을 가교제인 붕산을 포함하는 가교용 수용액이 담겨 있는 가교조를 통과시켜 PVA과 요오드 분자 간의 결합을 도와 요오드 이온을 PVA계 필름에 흡착 및 고정시킨다. 요오드 분자가 PVA계 필름에 충분히 흡착,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편광도가 저하되게 되어 편광판에 적용시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요오드 분자의 가교제로는 붕산과 붕산염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다른 종류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교방법으로는 가교용 수용액에 침적시키는 침적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도포법이나 분무법도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약 1-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10 중량부 함유하는 수용액에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수용액의 온도는 약 10-85 ℃이고 침지 시간은 약3-1200초, 바람직하게는 약3-600 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500초 동안 침지하여 실시된다. 붕산 함유 수용액에는 요오드화물을 약 1-30 중량부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염화지르코늄, 티오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황산나트륨 등을 함께 사용해도 된다. 이 붕산 처리는 가교에 의한 내수화나 색상 조정(푸른 빛이 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등)을 위해 실시된다. 가교에 의한 내수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붕산 이외에, 또는 붕산과 함께 글리옥잘, 글루탈알데히드 등의 가교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붕산 처리는 그 목적에 따라 붕산 및 요오드화물의 농도, 처리 욕의 온도를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되는데, 내수화를 위한 붕산 처리와 색상 조정을 위한 붕산 처리는 특별히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붕산 처리 후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소정 농도의 요오드화물 수용액에 침지시킬 수 있다. 요오드화물에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아연 등이 포함되며, 수용액은 예컨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위 요오드화물을 약 28-50 중량부의 비율로 용해시킨 것일 수 있다.
요오드화물 수용액에는 요오드화물 이외에 필요에 따라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염화지르코늄, 티오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황산나트륨 등의 다른 성분을 첨가해도 되나 붕산은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음 물세척 공정에서 폐액 중에 붕산이 함유되지 않아 폐액 처리가 쉽기 때문이다. 또한, 침지 처리 공정에서 닙 롤의 표면에 붕산이 석출되지 않기 때문에 필름에 이물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진다는 이점도 있다
침지 처리하기 위한 상기 요오드화물 수용액의 온도는 약 10-60 ℃, 바람직하게는 약 20-45 ℃ 인 것이 좋다. 그리고 이 요오드화물 수용액에 필름을 약 2-120 초, 바람직하게는 약 3-90 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60 초간 침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세 공정은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8-12℃, 바람직하게는 9-11℃의 의 물(순수)에 2-5초, 바람직하게는 3-4초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만으로 이루어다. 본 발명의 수세 공정은 침지 단계만으로 이루어지고 물을 샤위식으로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수세 공정의 물의 온도가 8-12℃의 범위를 벗어나거나 침지 시간이 2-5초를 벗어나면 두 장의 편광자가 액정표시장치 등에서 크로스 니콜로 배치되었을 때 약간 푸른 빛을 띄는 블랙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8-12℃의 의 물(순수)에 2-5초 동안 침지시킨 후에 물을 샤위식으로 분무하면 위 물의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경우나 침지 시간이 위 범위를 벗어난 경우와 마찬가지로 두 장의 편광자가 액정표시장치 등에서 크로스 니콜로 배치되었을 때 약간 푸른 빛을 띄는 블랙을 나타내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건조 공정은 특정의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수세 공정과 연속적으로 이어진 건조로 속에서 약 40-100 ℃의 온도에서 약 60-600 초 동안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편광자(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약 5-50 ㎛이다.
본 발명의 편광자 제조방법은 특정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편광자의 제조방법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투과율이 42.5% 이상, 예컨대 42.5% 이상 44.0% 이하, 바람직하게는 42.8% 이상 43.5% 이하이고 편광도가 99.99% 이상인 고투과 편광자의 제조방법에 가장 적합하다.
투과율 및 편광도는 JASCO社 V-7100 UV-VIS 스펙트로포토미터 장비를 이용해서 측정한다.
본 발명의 편광자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편광자는 요오드를 흡착 배향시킨 폴리비닐알코올계 1축 연신 필름인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 중에서 1 축 연신한 후 그 필름을 팽윤, 염색, 붕산 처리, 수세 및 건조시켜 제조할 수도 있고, 미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처리 공정 및/또는 그 전 공정에서 습식으로 1 축 연신하고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1축 연신은 하나의 공정에서 실시해도 되고, 2개 이상의 공정에서 실시해도 되지만, 2개 이상의 공정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염색조에서 필름을 연신시켜도 된다. 연신은 염색조 전후의 닙 롤의 주속 차이를 두는 등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팽윤 공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익스팬더 롤, 스파이럴 롤, 크라운 롤, 크로스 가이더, 벤드 바 등을 염색욕 중 및/또는 욕 출입구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팽윤 처리후 염색 처리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습식 연신 처리해도 된다. 또한 붕산 처리 공정에서도 염색 공정에서와 마찬가지로 필름을 연신시킬 수 있다. 최종적인 연신 배율은 약 4.5?7.0 배, 바람직하게는 약 5.0?6.5 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비교예
두께 75 ㎛ 의 폴리비닐알콜 필름 (구라레 비닐론 VF-PS #7500,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9 몰% 이상)을 30 ℃ 의 순수에, 필름이 늘어지지 않게 긴장 상태를 유지시킨 상태로 약 130 초간 침지하여 필름을 충분히 팽윤시켰다.
다음에, 팽윤된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이 중량비로 0.02/1.5/100인 수용액에 침지하면서 1 축 연신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이 중량비로 10/5/100으로 함유되고 온도가 60 ℃인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하여 가교 처리(내수화 처리) 하면서 원반으로부터의 총 연신 배율이 5.9 배가 되도록 1 축 연신하였다.
위와 같이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다음 표 1과 같은 조건에서 각각 물에 침지시켜 수세하였다(실시예 1-5). 침지 후 샤워식의 분무 수세는 실시하지 않고 바로 70℃의 건조로에서 100초간 건조시켜 투과율 42.8%, 편광도 99.9950%의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구분 물의 온도(℃) 침지 시간(초)
실시예 1 10 3.5
실시예 2 9 4
실시예 3 11 3
실시예 4 10 2.5
실시예 5 10 4.5
또한, 위 실시예 1-5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수세 공정만을 다음 표 2와 같이 실시하여 비교예 1-5의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각 비교예에 대한 분무 수세 여부는 ○, X로 표시하였다.
구분 물의 온도(℃) 침지 시간(초) 침지 후 분무 수세
(6℃ 물로 1초간 2회)
비교예 1 13 4.5
비교예 2 10 6 X
비교예 3 10 3
비교예 4 8 2.5 X
비교예 5 7 4.5
실험예
위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의 편광자의 광학 특성을 JASCO社 V-7100 UV-VIS Spectrophotometer 에 옵션 액세서리인 '편광자 부착 필름 홀더'를 세트하여 투과 방향과 흡수 방향의 편광판의 자외 가시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편광판 2 장을 크로스니콜로 배치하였을 때의 직교 색상인 a 및 b를 JIS-Z8729 에 준하여 계산해 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교예들에 비해 훨씬 우수한 뉴트럴한 블랙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참고로, a 및 b가 0에 가까울수록 뉴트럴한 블랙임).
구분 a b
실시예 1 0.07 -0.04
실시예 2 0.08 -0.06
실시예 3 0.07 -0.05
실시예 4 0.06 +0.06
실시예 5 0.11 -0.10
비교예 1 0.20 -0.39
비교예 2 0.14 -0.28
비교예 3 0.13 -0.15
비교예 4 0.07 +0.06
비교예 5 0.19 -0.39

Claims (8)

  1.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수세 및 건조시켜 편광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교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8-12℃의 물에 2-5초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만으로 이루어진 수세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침지 시간이 3-4초인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물의 온도가 9-11℃인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세 공정은 물을 샤위식으로 분무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편광자는 투과율 42.5% 이상 및 편광도 99.99% 이상의 고투과 편광자인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팽윤 공정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0-70℃의 팽윤용 수용액에 30-300초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염색 공정은 팽윤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0-45℃의 요오드/KI/물 (0.003-0.2중량부/0.1-10중량부/100중량부)의 수용액에서 30-600 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가교 공정은 염색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0-85 ℃인 요오드화물 수용액(물 100 중량부/요오드화물 1-30 중량부/붕산 1-15 중량부)에 3-1200초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KR1020100127987A 2010-12-15 2010-12-15 편광자의 제조방법 KR20120066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987A KR20120066743A (ko) 2010-12-15 2010-12-15 편광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987A KR20120066743A (ko) 2010-12-15 2010-12-15 편광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743A true KR20120066743A (ko) 2012-06-25

Family

ID=4668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987A KR20120066743A (ko) 2010-12-15 2010-12-15 편광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67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727A (ko) * 2011-12-06 2014-09-0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479216B1 (ko) * 2013-04-01 2015-01-0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 부재, 복합 필름,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KR20150111946A (ko) * 2013-01-28 2015-10-0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5727A (ko) * 2011-12-06 2014-09-0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50111946A (ko) * 2013-01-28 2015-10-06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479216B1 (ko) * 2013-04-01 2015-01-0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광학 부재, 복합 필름,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9925B2 (ja) ヨウ素系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TWI536052B (zh) Production method of polarizing film
TWI617415B (zh) 偏光薄膜的製造方法
TW200906599A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er
JP2009063829A (ja) 偏光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9230131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光学積層体
KR20110139115A (ko) 편광 필름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JP2011164553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70026066A (ko) 편광막의 제조 방법
CN105745562B (zh) 偏光膜的制造方法
JP4323269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0938786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790404B1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TWI362509B (en)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er,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JP2005084506A (ja) 偏光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光学積層体
KR20120066743A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CN107340558B (zh) 偏振板及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JP4421886B2 (ja) ヨウ素系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KR20230094995A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TWI628471B (zh) 偏光薄膜及其製造方法
JP2006189559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光学積層体
JP2005227649A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光学積層体
KR101609312B1 (ko) 편광자의 제조방법, 편광자 및 이것이 구비된 편광판
KR20210102853A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00129509A (ko) 편광자의 광학 내구성 개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