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585A - 플레이 야드 - Google Patents

플레이 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585A
KR20120066585A KR1020110124745A KR20110124745A KR20120066585A KR 20120066585 A KR20120066585 A KR 20120066585A KR 1020110124745 A KR1020110124745 A KR 1020110124745A KR 20110124745 A KR20110124745 A KR 20110124745A KR 20120066585 A KR20120066585 A KR 20120066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lay yard
wall plate
wa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로 오니시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프리카 칠드런즈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6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6Children's play- p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oy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플레이 야드의 저판이 꺾임 변형하는 부적합함을 해소하여, 저판과 플레이 야드 설치 바닥면과의 간극 공간을 깔끔하게 한다.
[해결 수단]
플레이 야드(10)는, 영유아를 수용하는 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절첩 가능한 프레임 구조체(11)와, 복수의 판편과 이들 판편끼리를 접속하는 꺾임 변형 가능한 굴곡선(43)을 가지며, 영유아 수용 공간의 저면을 구성하는 깔판(41)과,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프레임 구조체에 부착되고, 중앙 영역이 굴곡선(43)과 교차하여 깔판(41)을 지지하는 봉부재(1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플레이 야드{PLAY YARD}
본 발명은, 플레이 야드(플레이 펜)의 깔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영유아가 노는 보호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플레이 야드(플레이 펜)가 알려져 있다. 플레이 야드는, 영유아가 노는 영역을 구획하는 구조이고, 일반적으로 골조(骨組) 구조체와, 이 골조 구조체를 포위하는 봉제 포(布)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8-154752(특허문헌 1)의 플레이 야드는, 4개의 세로 테두리(기둥)와, 이들 세로 테두리의 상부에 배치된 4개의 윗 가로 테두리와, 이들 세로 테두리의 하부에 배치된 4개의 아래 가로 테두리와, 이들 아래 가로 테두리의 위에 재치된 저판과, 4개의 세로 테두리의 사방으로 당겨 건네진 프레임 커버를 가지며, 사방의 측면 및 저면이 폐쇄된다. 이에 의해, 플레이 야드의 내부에 수용된 영유아가 부주의로 외부로 나오는 일이 없다는 것이다.
또한 플레이 야드는, 운반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경량화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컴팩트하게 절첩(折疊)되는 것이 상투(常套)이고, 특허문헌 1의 저판은, 2개소의 힌지(2개의 접는 금)를 가지며, 절첩할 때에는 ㄷ자형상으로 변형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평판형상의 베드 플레이트를 윗 가로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매달고, 베드 플레이트 위에 단척(短尺)의 중공 원주형상의 보호 커버를 재치하고, 보호 커버의 내부에 영유아를 누이는 것도 가능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의 플레이 야드에 의하면, 영유아를 재우는 베이비 베드를 겸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 2008-15475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플레이 야드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힌지(접는 금)를 갖은 저판이, 아래 가로 테두리에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 가로 테두리의 휘어짐에 따라 저판이 꺾임 변형한다. 이러한 꺾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서는 4개의 세로 테두리(기둥)와는 별도로, 플레이 야드 중앙부에 배설된 평판형상의 절첩부에 4개의 짧은 다리를 다시 마련하고, 이들 4개의 짧은 다리를 플레이 야드의 설치 바닥면에 접지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4개의 짧은 다리가 방해물로 되어 버려 플레이 야드의 저판과 설치 바닥면과의 간극 공간이 깔끔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플레이 야드에서는, 평판형상의 베드 플레이트가 프레임에 매달려 있을 뿐으로, 수평 방향의 힘에 대해 아무것도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영유아가 베드 플레이트 상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면 베드 플레이트가 전후 좌우로 흔들려 움직이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영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플레이 야드의 저판이 꺾임 변형하는 부적합함을 해소하여, 저판과 플레이 야드 설치 바닥면의 간극 공간을 깔끔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플레이 야드는, 영유아를 수용하는 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절첩 가능한 프레임 구조체와, 복수의 판편(板片)과 이들 판편끼리를 접속하는 꺾임 변형 가능한 굴곡선(屈曲線)을 가지며, 영유아 수용 공간의 저면을 구성하는 깔판과,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프레임 구조체에 부착되고, 중앙 영역이 굴곡선과 교차하여 깔판을 지지하는 봉부재(棒部材)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프레임 구조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중앙 영역이 깔판의 굴곡선과 교차하여 깔판을 지지하는 봉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영유아가 깔판의 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여도, 깔판이 꺾임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의하면, 봉부재가 깔판의 안정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영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플레이 야드 깔판과 플레이 야드 설치 바닥면의 간극 공간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는 절첩 가능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재료는 주로 봉(棒)부재이지만, 일부에 판재(板材)를 포함하여도 좋다. 봉부재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봉부재의 형상은 분기(分岐) 형상, 꺾임 형상, 곡선 형상, X자 형상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깔판의 굴곡선은 직선이라면 좋고 그 개수 및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프레임 구조체는, 영유아를 수용하는 공간의 주위에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재(柱材)와, 이웃하는 기둥재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가로재(橫材)를 포함하고, 가로재 중의 적어도 일부가,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고, 봉부재는 직선 봉형상체로 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한 가로재와 평행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봉부재를 직선형상의 환(丸) 파이프, 각(角) 파이프, 또는 앵글 부재라는 봉형상체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굽휨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꺾임 변형 가능한 플레이 야드에 있어서, 간이한 구성에 의해 프레임 구조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봉부재는 직선 봉형상체라면 좋고, 강성을 갖는 짧은 직선 봉형상체를 굴곡하지 않도록 덧붙인 것이라도 좋고, 강성을 갖는 충분한 길이의 직선 봉형상체라도 좋다.
기둥재는 적어도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 있으면 되고, 상하 방향과 교차하여 늘어나는 경사재(斜材)라도 좋다. 또한 기둥재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의 플레이 야드라면, 4구석에 각각 1개씩의 기둥재를 갖는다. 또는 육각형 등, 평면으로 보아 다각형의 플레이 야드라면, 각 구석에 각각 1개씩의 기둥재를 갖아도 좋다. 2개 이상의 기둥재를 서로 연결하는 가로재는,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 있으면 되고, 수평 방향과 교차하여 늘어나는 경사재라도 좋다. 또한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이란, 가로재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 양단부를 제외한 길이 방향 도중의 개소로서, 꺾임 변형 가능하다고 이해하기 바란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영유아 수용 공간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사각형이고, 기둥재는 사각형의 4구석에 배치되고, 가로재는 사각형의 4변을 구성하고, 이들 가로재 중 평행하게 늘어나는 2변 한 쌍의 가로재가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고, 봉부재는 2개 한 쌍이 되고, 그 양단부가,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한 가로재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기둥재에 각각 부착되고, 깔판은 영유아 수용 공간의 사각형의 4변에 대응하는 제 1 변 내지 제 4 변을 윤곽선으로 하여, 이 중 제 1 변 및 제 2 변은 서로 평행하게 늘어나고, 이 중 제 3 변 및 제 4 변은 제 1 변 및 제 2 변과 직교하여 늘어나 봉부재에 각각 지지되고, 굴곡선은 제 1 변 및 제 2 변과 평행하게 늘어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봉형상체로 깔판의 양측부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 및 평면으로 보아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플레이 야드에 있어서, 깔판을 알맞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각형의 플레이 야드에 있어서 영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변 및 제 4 변은 직사각형의 단변이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장변이다.
깔판의 지지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깔판은 그 하면에 고정되어서 봉부재가 삽통되는 포(布)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를 갖는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영유아가 깔판 위에서 활발하게 움직여도 깔판이 전후 좌우로 흔들려 움직이는 일이 없고, 영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깔판을 절첩할 때에 통형상 부재는 굴곡선에 추종하여 꺾임 변형하기 때문에, 깔판을 지장없이 절첩할 수 있다.
깔판 및 봉부재는 프레임 구조체의 하부에 부착되는데,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 내지 중앙부에 부착되는 것이라도 좋다. 여기에서 바람직하게는, 기둥재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 1의 위치에, 봉부재의 단부가 부착되어서 그 봉부재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수평으로 지지하는 제 1의 브래킷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높은 제 2의 위치에, 봉부재의 단부가 부착되어서 그 봉부재를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수평으로 지지하는 제 2의 브래킷을 갖는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깔판 및 봉부재를, 상대적으로 낮은 프레임 구조체의 제 1 위치에 부착함에 의해, 깔판의 높이를 플레이 야드의 하부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영유아가 프레임 구조체를 타고 넘어서 플레이 야드로부터 나오는 일이 없다. 따라서 플레이 야드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깔판 및 봉부재를, 상대적으로 높은 프레임 구조체의 제 2 위치에 부착함에 의해, 깔판의 높이를 플레이 야드의 중앙부 내지 상부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영유아가 자는 베이비 베드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는 영유아까지 용이하게 손을 펴서 돌볼 수 있다.
프레임 구조체에의 봉부재의 부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브래킷에 형성된 구멍에 봉부재의 단부를 삽입하는 삽입식이나, 프레임 구조체에 형성된 오목부에 봉부재의 단부를 싣고서 계합시키는 계합식이나, 그 밖의 착탈 가능한 방식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일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브래킷 및 봉부재의 단부의 어느 한쪽은, 계합부를 가지며, 브래킷 및 봉부재의 단부의 나머지 다른쪽은, 수평 방향 이동 불능이면서 상방 이동 가능하게 계합부와 계합하는 피계합부를 갖아도 좋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브래킷이 봉부재를 통하여 깔판 및 깔판상의 영유아를 지지하면서, 영유아의 체중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봉부재가 브래킷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벗김 방지도 되어, 영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플레이 야드는, 깔판의 윗면으로부터 15㎝이상 세워져서 사방을 포위하는 벽판을 또한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깔판의 사방에 벽판을 마련하기 때문에, 플레이 야드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깔판 위에 유아용 이부자리를 부설한 베이비 베드로서의 사용에 있어서 영유아의 머리부(頭部)가 플레이 야드의 외주(外周) 부재, 예를 들면 포형상 부재와 유아용 이부자리의 사이에 끼일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벽판은 일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벽판은 깔판으로부터 세워짐과 함께 내려가서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벽판은 깔판과는 다른 부재로서, 프레임 구조체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라도 좋고, 깔판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는 벽판은 깔판과 결합하는 부재라도 좋다. 깔판의 사방을 포위하는 벽판은, 깔판의 일방측연, 타방측연, 일단부, 및 타단부와 치수 적합하도록 4분할되어, 일부의 벽판이 깔판과 결합하고, 다른 일부의 벽판이 깔판과는 별개 부재라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벽판은, 깔판의 제 1 변에 부착되는 판편인 제 1 벽판과, 깔판의 제 2 변에 부착되는 판편인 제 2 벽판과, 깔판의 제 3 변에 부착되는 판편인 제 3 벽판과, 깔판의 제 4 변에 부착되는 판편인 제 4 벽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깔판 및 벽판을 하나의 상자형상체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깔판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깔판과 벽판과의 부착 구조는 버튼이나, 테이프나, 면 파스너나, 슬라이드 파스너나, 브래킷 등,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 실시 형태로서, 제 1 벽판은 깔판의 제 1 변을 접음 변형 가능한 경계선으로서 깔판과 접속하고, 제 2 벽판은 깔판의 제 2 변을 접음 변형 가능한 경계선으로서 깔판과 접속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깔판과 벽판이 연속하기 때문에, 플레이 야드의 절첩 작업 및 조립 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로서, 깔판은, 제 3 변에 고정되어 이 변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와, 제 4 변에 고정되어 이 변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를 가지며, 제 3 벽판은 제 3 변의 통형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삽통되고, 제 4 벽판은 제 4 변의 통형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삽통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통형상 부재는 벽판이 삽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굴곡선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절첩된다. 따라서 깔판을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 야드의 사용 상태에서, 벽판이 굴곡선과 직교하여 깔판과 연결되기 때문에, 깔판의 굽힘 변형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제 1 벽판은 깔판의 제 1 변을 접음 변형 가능한 경계선으로서 깔판과 접속하고, 제 2 벽판은 깔판의 제 2 변을 접음 변형 가능한 경계선으로서 깔판과 접속하고, 깔판은, 제 3 변에 고정되어 이 변과 평행하게 늘어남과 함께 양단이 제 1 벽판 및 제 2 벽판에 각각 고정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와, 제 4 변에 고정되어 이 변과 평행하게 늘어남과 함께 양단이 제 1 벽판 및 제 2 벽판에 각각 고정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를 가지며, 제 3 벽판은 제 3 변의 통형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삽통되고, 제 4 벽판은 제 4 변의 통형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삽통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통형상 부재의 양단이 제 1 벽판 및 제 2 벽판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깔판 및 벽판이, 윗면을 갖지 않는 5면의 상자형상체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영유아를 알맞게 지지하여 수용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프레임 구조체의 외주를 포위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외주 시트를 또한 구비하고, 벽판은, 깔판의 제 1 변에 따라서 배치되는 판편인 제 1 벽판과, 깔판의 제 2 변에 따라서 배치되는 판편인 제 2 벽판과, 깔판의 제 3 변에 따라서 배치되는 판편인 제 3 벽판과, 깔판의 제 4 변에 따라서 배치되는 판편인 제 4 벽판을 포함하고, 이들 제 1 내지 제 4 벽판은, 외주 시트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벽판이 영유아 수용 공간의 밖에 배치되기 때문에, 영유아가 벽판의 상연(上緣)에 닿는 일이 없다.
벽판의 부착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한 실시 형태로서 벽판의 길이 방향 일방단을 1개의 기둥재에 연결하고, 벽판의 길이 방향 타방단을 다른 1개의 기둥재에 연결하여도 좋다. 또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외주 시트의 외주면에는, 제 1 내지 제 4 벽판을 각각 수용하는 자루부(袋部)가 마련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자루부로 벽판을 지지하기 때문에, 벽판을 프레임 구조체에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깔판과 벽판은, 외주 시트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영유아를 수용하는 상자체를 구성한다. 깔판과 벽판을 프레임 구조체에 단단히 부착함에 의해, 깔판과 벽판의 간극을 없앨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외주 시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깔판과, 외주 시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벽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구조를 더 가지면 좋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벽판을 깔판에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연결 구조로서 구체적으로는, 외부 시트를 관통하여 깔판 및 벽판과 접착하는 포제 내지 시트형상의 면 파스너가 있다. 또는, 외부 시트에 슬릿을 형성하고, 깔판 및 벽판에 슬라이드 파스너의 이빨(齒)을 각각 마련하고, 슬릿에 따라서 슬라이드 파스너의 슬라이더를 활주시켜 깔판 및 벽판을 연결한다. 또는, 깔판의 제 1 변 내지 제 4 변에 돌조(突條)를 각설(刻設)하여 두고, 벽판의 하연(下緣)을 돌조의 내측에 따르도록 배치하여, 벽판의 하연이 깔판의 돌조를 넘어서 바깥쪽으로 벗겨지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프레임 구조체에 부착되고, 중앙 영역이 깔판의 굴곡선과 교차하여 깔판을 지지하는 봉부재를 구비하기 때문에, 영유아가 깔판 위에서 활동하여도, 깔판이 꺾임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의하면, 봉부재가 깔판의 안정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영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게다가, 플레이 야드 깔판과 플레이 야드 설치 바닥면과의 간극 공간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되는 플레이 야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플레이 야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플레이 야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플레이 야드를 도시하는 하면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플레이 야드를 전개하여 이동시키는 양상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동 실시예의 플레이 야드를 절첩하여 이동시키는 양상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1의 V-V에서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봉부재와 브래킷과의 연결 구조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동 실시예의 봉부재, 깔판 및 벽판을 취출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되는 플레이 야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동 실시예의 플레이 야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동 실시예의 플레이 야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동 실시예의 봉부재, 깔판 및 벽판을 취출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동 실시예의 깔판과 벽판과의 연결 개소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변형예의 봉부재, 깔판 및 벽판을 취출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동 실시예의 깔판과 벽판과의 연결 개소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되는 플레이 야드의 전체 개략을 도시한다. 이 중, 도 1 내지 도 5는 플레이 야드가 전개된 사용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플레이 야드의 절첩 상태를 나타낸다. 플레이 야드(10)는, 플레이 야드(10)의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 구조체(11)와, 프레임 구조체(11)에 부착되어 프레임 구조체(11)의 외주를 포위하는 포형상(布狀) 부재(12)와, 프레임 구조체(1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봉부재(13)와, 봉부재(13)에 지지된 깔판(41)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플레이 야드(10)는, 평면으로 보아 개략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편의상, 한 쌍의 장변 부분을 플레이 야드 일방측, 플레이 야드 타방측, 플레이 야드 좌측, 플레이 야드 우측, 플레이 야드 측부, 플레이 야드 양측부, 또는 플레이 야드 좌우측부라고 칭한다. 또 한 쌍의 단변 부분을 플레이 야드 일단부, 플레이 야드 타단부, 플레이 야드 전단부, 플레이 야드 후단부, 플레이 야드 단부, 플레이 야드 양단부, 또는 플레이 야드 전후단부라고 칭한다. 플레이 야드(10)는, 영유아를 놀게 하는 울타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영유아를 재우는 침대로서도 알맞게 사용 가능하다.
우선, 프레임 구조체(11)에 관해 설명하면, 프레임 구조체(11)는 영유아를 수용하는 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절첩 가능하고, 영유아 수용 공간의 주위에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기둥재(14)와, 이웃하는 기둥재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가로재(15, 15, 1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4개의 기둥재(14)와, 플레이 야드 양측부에 마련된 한 쌍의 가로재(15L, 15R)와, 플레이 야드 양단부에 부착된 한 쌍의 가로재(16, 16)와,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각선이 되도록 배치된 크로스 파이프(17)를 포함한다. 평면으로 보았을 때, 복수의 기둥재(14)는 프레임 구조체(11)의 외주에 배치되고, 가로재(15L, 15R, 16)는 이웃하는 기둥재(14, 14)끼리를 서로 연결한다.
영유아 수용 공간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사각형이고, 기둥재(14)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해당 사각형의 네모퉁이의 모서리부에서 직립하도록 배치된다. 플레이 야드 일단부에 배치된 2개의 기둥재(14, 14) 사이에는, 사각형의 단변을 구성하는 가로재(16)가 가설된다. 마찬가지로, 플레이 야드 타단부에 배치된 2개의 기둥재(14, 14) 사이에도, 사각형의 단변을 구성하는 가로재(16)가 가설된다. 마찬가지로, 플레이 야드 일방측에 배치된 2개의 기둥재(14, 14) 사이에는, 사각형의 장변을 구성하는 가로재(15R)가 가설된다. 구체적으로는, 가로재(16, 15R)의 단부는 기둥재(14)의 상단부 블록(14B)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플레이 야드의 절첩시에는, 가로재(16, 15R)가 기둥재(14)에 근접하도록 회동 가능하다. 또한 가로재(16, 15R)는, 중앙부에 부착된 중앙 연결 부재(20)와,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길이 방향 일방으로 늘어나는 파이프와,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길이 방향 타방으로 늘어나는 파이프로 구성된다.
플레이 야드의 사용 상태에서, 중앙 연결 부재(20)는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길이 방향 일방으로 늘어나는 파이프(161) 및 길이 방향 타방으로 늘어나는 파이프(162)를 로크하고, 가로재(1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중앙 연결 부재(20)의 로크를 해제하면 가로재(16)가 중앙부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 야드(10)를 절첩하면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2개의 파이프(161, 162)가 상방으로 각각 늘어나, 가로재(16)가 V자형상이 된다. 가로재(15R)도 마찬가지로 중앙 연결 부재(20)가 마련되고, 플레이 야드의 사용 상태에서는 일직선이 되고, 플레이 야드의 절첩 상태에서는 중앙부에서 꺾임 변형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2개의 파이프가 상방으로 각각 늘어나, 가로재(15R)는 V자형상이 된다.
사각형의 장변을 구성하는 가로재(15L)도 마찬가지로 중앙 연결 부재(20)가 마련되고, 플레이 야드의 사용 상태에서 일직선으로 늘어나 있다. 그러나 플레이 야드의 절첩 상태에서는 중앙부에서 꺾임 변형한다. 따라서 플레이 야드(10)를 절첩하면 중앙 연결 부재(20)로부터 2개의 파이프가 상방으로 각각 늘어나고, 가로재(15L)는 V자형상이 된다.
또한, 복수 개의 가로재 중 가로재(15L)만, 플레이 야드 타방측 2개소의 슬라이드 부재(18)를 통하여, 기둥재(14)에 회동 가능하면서 활주 가능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부재(18)에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에 기둥재(14)가 관통하고,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18)는 기둥재(14)에 따라서 활주 가능하다. 통상, 슬라이드 부재(18)는 멈춤구(留具)(19)로 활주 불능으로 되어 있고, 슬라이드 부재(18)가 플레이 야드 타방측에 배치된 한 쌍의 기둥재(14)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18)는 가로재(15L)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플레이 야드의 절첩시에는 가로재(15L)가 기둥재(14)에 근접하도록 회동 가능하다.
멈춤구(19)를 인출하여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18)를 활주 가능하게 하면,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재(15L)는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18)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고, 도 2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레이 야드(10)에로의 영유아의 출입이 용이해지고, 보호자는 플레이 야드(10) 내의 영유아에게 간단하게 손을 뻗을 수 있다. 또한 보호자로부터 보아 가로재(15L)는 4개의 가로재 중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앞 테두리라고도 칭한다.
크로스 파이프(17)는, X자형상이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플레이 야드(10) 하면에서, 대각선 형상으로 배치된다. 크로스 파이프(17)는, 구체적으로, X자의 중앙에 배치된 중앙 연결 부재(23)와, 중앙 연결 부재(23) 및 각 기둥재(14)와 연결하는 4개의 파이프(171 내지 174)로 구성된다. 파이프(171 내지 174)의 일방단은 기둥재(14)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또한 파이프(171 내지 174)의 타방단은 중앙 연결 부재(23)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2, 도 3, 및 도 5에서는 중앙 연결 부재(23)의 일부를 단면(斷面)으로 하여 나타낸다. 중앙 연결 부재(23)는, 4개의 파이프(171 내지 174)가 중앙 연결 부재(23)의 하방을 향하도록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중앙 연결 부재(23)의 상방을 향하도록 회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 때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 야드의 사용 상태에서 크로스 파이프(17)는 X자로 전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 야드의 절첩 상태에서, 4개의 파이프(171 내지 174)는 중앙 연결 부재(23)의 하방에 집약되고, 크로스 파이프(17)는 작게 절첩된다.
플레이 야드 타단에 배치된 2개의 기둥재(14, 14)의 하단에는, 차륜(21)과, 차륜(21)의 외주를 포위하는 차륜 커버(22)가 마련된다. 차륜(21)은 차륜 커버(22)의 하단에서 돌출하여 플레이 야드 설치 바닥면(S)에 접지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차륜 커버(22) 중 플레이 야드 내측의 일부(22s)는, 차륜 커버(22)중 플레이 야드 외측의 일부보다도 더욱 하방으로 돌출하여 플레이 야드 설치 바닥면(S)에 접지한다. 이 때문에, 플레이 야드 설치 바닥면(S)에 모든 기둥재(14)를 접지시키는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는, 차륜(21)이 플레이 야드 설치 바닥면(S)에서 전동(轉動)하는 것이 저지된다.
그러나 플레이 야드(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등,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 야드(10)의 일단부를 들어올리면, 차륜 커버 돌출부(22s)가 설치 바닥면(S)으로부터 떨어짐과 함께 차륜(21)이 설치 바닥면(S)에 접지한다. 이 때문에, 전개된 상태 및 절첩 상태의 플레이 야드(10)를 기울여서, 플레이 야드 일단부의 기둥재(14)를 바닥면(S)으로부터 떼어내, 플레이 야드 타단부의 기둥재(14) 하단의 차륜(21)만을 접지시킴에 의해 용이하게 플레이 야드(10)를 운반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재(15L, 15R, 16)는 중앙부에서 각각 꺾임 변형 가능하고, 크로스 파이프(17)는 중앙부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고, 가로재(15L, 15R, 16) 및 크로스 파이프(17)의 단부는 기둥재(14)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프레임 구조체(1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전개된 사용 상태와, 도 6에 도시하는 절첩 상태의 2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다음에 포형상 부재(12)에 관해 설명하면, 포형상 부재(12)는, 0.5 내지 5mm 정도의 크기의 메시(網目) 또는 더욱 결이 고운 네트나, 천 등의 소재로 형성되고, 4개의 기둥부재(14) 사이의 4면에 각각 장설(張設)된다. 또는 포형상 부재(12)는, 포 이외의 소재, 예를 들면 어느 정도 투과성을 갖는 비닐 시트 등이라도 좋다. 그리고 포형상 부재(12)의 상단은 가로재(15L, 15R, 16)에 매달려진다. 또한 포형상 부재(12)의 하단은 크로스 파이프(17)와 개략 같은 높이 위치에 있다. 이에 의해 포형상 부재(12)는, 크로스 파이프(17)보다도 상방에 부착된 깔판(41)을 확실하게 둘러싼다.
다음에 봉부재(13)에 관해 설명하면, 봉부재(13)는, 플레이 야드 양측부에서 직선형상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직선 봉형상체이고, 영유아의 체중으로 구부러지지 않도록 경질(硬質)의 재료로 형성되고, 수평한 자세가 되어, 양단이 기둥재(14)에 부착된다. 봉부재(13)는, 도 2에 실선 및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둥재(14)의 하단부 및 중앙부에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각 기둥재(14)에는 높이 위치가 다른 2개의 브래킷(31, 32)이 부착 고정된다. 브래킷(31)은 기둥재의 하단 영역으로서 크로스 파이프(17)보다도 약간 상방에 고정된다. 브래킷(32)은, 기둥재(14)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브래킷(31, 32)은 봉부재(13)의 단부를 지지한다. 경질의 봉부재(13)는 영유아의 체중에 더하여 영유아가 활발하게 움직일 때의 충격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굽휨 강도 및 전단 강도를 갖는 파이프이고, 양단부를 제외한 중앙 영역이 깔판(41) 하면에 따라서 늘어나고, 양단부가 브래킷(31, 32)에 부착된다. 이에 의해 봉부재(13)는, 깔판(41) 윗면에 실리는 영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한다. 또한 도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2 및 도 5에서는 봉형상체(13)의 외주를 포위하는 후술하는 통형상 부재(42)를 생략하여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Ⅶ -Ⅶ에서의 단면을 화살표 방향으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기둥재(14)와, 기둥재에 고정된 브래킷(32)과, 봉부재(13)와, 봉부재에 고정된 계합 부재(37)가 도시된다. 또한 평면으로 본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봉부재(13)에 지지된 깔판(41) 및 벽판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플레이 야드(10)의 네모퉁이에 부착 고정되는 브래킷(32)은, 봉부재(13)의 단부에 고정하여 설치된 계합 부재(37)와 계합한다. 브래킷(32)과 계합 부재(37)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도 8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브래킷(32)에는, 이 브래킷(32)이 고정된 기둥재에서 보아 하나의 이웃하는 기둥재를 0도 방향으로 하고, 다른 이웃하는 기둥재를 90도 방향으로 하여, 45도 방향으로 개구한 슬릿(33)과, 슬릿(33)보다도 속에 형성된 폭이 넓은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4)의 폭은 슬릿(33)의 개구폭보다도 넓다. 슬릿(33)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상단이 개구하고 하단이 닫혀 있다. 오목부(34)도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상단이 개구하고 하단이 닫혀 있다.
계합 부재(37)는, 봉부재(13)를 포함하는 수평면에서 봉부재(13)의 연재 방향에 대해 135도의 방향을 지향한 돌기부(38)를 갖는다. 돌기부(38)의 근원에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홈(39)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돌기부(38)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T자형상이 된다.
브래킷(32)의 슬릿(33) 및 오목부(34)를 피계합부로 하고, 계합 부재(37)의 돌기부(38)를 계합부로 하여, 돌기부(38)를 슬릿(33) 및 오목부(34)의 상단으로부터 삽입함에 의해, 양자는 서로 계합하고, 계합 부재(37)는 수평 방향 이동 불능하게 되다. 그리고 계합 부재(37)는 브래킷(31)에 지지된다. 또한 계합 부재(37)는 상방으로 끌어올려짐에 의해, 슬릿(33) 및 오목부(34)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렇게 하여 봉부재(13)는 프레임 구조체(1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브래킷(32)보다도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브래킷(31)도, 상술한 브래킷(32)과 공통되는 구성이다. 계합 부재(37)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브래킷(32)에도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브래킷(31)에도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렇게 하여 한 쌍의 봉부재(13)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와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다음에 깔판(41)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깔판(41)은,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의 영유아 수용 공간의 저면을 구성하는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깔판(41)의 윤곽선에 관해 편의상, 한 쌍의 장변 부분을 제 3 변, 제 4 변, 일방측연, 타방측연, 또는 양측연이라고 칭한다. 또 한 쌍의 단변 부분을 제 1 변, 제 2 변, 일단부, 타단부, 또는 양단부라고 칭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깔판(41)은 양단 개구가 가늘고 길다란 통형상 부재(42)를 갖는다. 통형상 부재(42)는 포제(布製)이고, 양측연에서 깔판(41)의 하면에 접착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통형상 부재(42)에는, 봉부재(13)가 각각 삽통되고, 봉부재(13)의 양단이 통형상 부재(42)로부터 돌출한다.
깔판(41)은, 영유아의 체중에 의해 변형하지 않도록, 충분한 굽휨 강도를 갖는 경질의 판편(板片)을 심재(芯材)로서 포함하고, 표면이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깔판(41)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 야드 단변 방향으로 늘어나는 굴곡선(43)이 3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깔판(41)은 이들 굴곡선(43)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고, 플레이 야드의 절첩시에는 사각통(四角筒)이 되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첩된 프레임 구조체(11)를 포위한다. 또한 사각통이 된 깔판(41)은, 절첩된 프레임 구조체(11)와 함께, 깔판(41)의 양측연에 연결된 벽판(53, 54)과 한 쌍의 봉부재(13)를 묶는다.
깔판(41)을 전개하여 평탄하게 늘리고 깔판(41)의 하면에 봉부재(13)를 부착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질의 봉부재(13)의 중앙 영역이 3개의 굴곡선(43)과 거의 직교로 교차하여 깔판(41)을 지지한다.
도 9는, 깔판(41) 및 벽판을 취출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깔판(41)은, 단변 방향으로 늘어나는 4장의 판편을, 장변 방향으로 연결한 것이다. 판편은 예를 들면 경질 플라스틱이나 강성을 갖는 경금속 판으로서, 양면이 포형상 부재나 필름 시트로 덮혀진다. 그리고 이웃하는 판편은 굴곡선(43)을 통하여 접속된다. 굴곡선(43)을 포형상 부재나 필름 시트로 형성하고, 깔판(41)의 표면에 통형상 부재(42) 및 후술하는 통형상 부재(56, 57)를 접착, 봉착(縫着), 내지 열용착(熱溶着)에 의해 부착 고정한다. 깔판(41)에는, 플레이 야드 일단부에서 제 1의 벽판(51)이 연설(延設)되고, 플레이 야드 타단부에서 제 2의 벽판(52)이 연설(延設)된다. 제 1 벽판(51) 및 제 2 벽판(52)도, 깔판(41)과 같은 강도를 갖는 경질의 판편을 심재로서 포함하고, 표면이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다. 즉 제 1 벽판(51), 깔판(41), 및 제 2 벽판(52)은 한 부재이다.
깔판(41)과 제 1 벽판(51)과의 경계선(55)은 굴곡선이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벽판(51)은 경계선(55)에서 90도 꺾임 변형하여 수평한 깔판(41)으로부터 세워진다. 깔판(41)과 제 2 벽판(52)과의 경계선(55)도 굴곡선으로서, 제 2 벽판(52)도 깔판(41)으로부터 세워진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깔판(41)의 양측연에는 양단 개구의 통형상 부재(56, 57)가 부착 고정된다. 통형상 부재(56, 57)의 일단 개구부(58)은 제 1 벽판(51)에 부착 고정되고, 통형상 부재(56, 57)의 타단 개구부(59)는 제 2 벽판(52)에 부착 고정된다. 또한 통형상 부재(56)는 깔판(41)의 일방측연에 따라서 부착 고정되고, 통형상 부재(57)는 깔판(41)의 타방측연에 따라서 부착 고정된다.
통형상 부재(56, 57)는 포제이고, 제 1 벽판(51)을 깔판(41) 상에 쓰러뜨림과 함께 제 2 벽판(52)을 깔판(41) 상에 쓰러뜨림에 의해, 깔판(41)의 윗면에 따라 절첩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벽판(51)을 깔판(41)에 대해 90도의 각도로 세움과 함께 제 2 벽판(52)을 깔판(41)에 대해 0도의 각도로 세움에 의해, 포제의 통형상 부재(56, 57)도 세워지고, 깔판(41)의 사방이 벽판(51, 52) 및 통형상 부재(56, 57)로 포위된다.
도 9에 화살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단 개구부(59)로부터 통형상 부재(56)에 제 3의 벽판(53)을 삽입 가능하고, 타단 개구부(59)로부터 통형상 부재(57)에 제 4의 벽판(54)을 삽입 가능하다. 통형상 부재(56)에는 제 3 벽판(53)이 삽입되고, 통형상 부재(57)에는 제 4 벽판(54)이 삽입됨에 의해, 4장의 벽판(51 내지 54)이 깔판(41)으로부터 세워져서 사방을 포위한다. 4장의 벽판(51 내지 54)의 세운 높이는, 깔판(41)의 윗면부터 15㎝이상이다. 이에 의해, 깔판(41)에 유아용 이부자리를 깔고, 유아용 이부자리의 위에 영유아를 누여도, 영유아의 두부가 벽판(51 내지 54)과 유아용 이부자리의 사이의 간극에 끼여질 우려가 해소된다.
깔판(41) 및 벽판(51 내지 54)은 상자형상체(61)를 구성한다. 제 1 벽판(51)은 깔판(41)의 일방측연부터 타방측연까지 넓어지고, 제 2 벽판(52)도 깔판(41)의 일방측연부터 타방측연까지 넓어진다. 또한 제 3 벽판(53)은 깔판(41)의 일단부부터 타단부까지 넓어지고, 제 4 벽판(54)도 깔판(41)의 일단부부터 타단부까지 넓어진다. 따라서 조립된 상자형상체(61)에서, 각 벽판은 이웃하는 벽판과 거의 간극 없이 세워진다.
플레이 야드(10)를 조립할 때에는, 깔판(41)을 전개하고, 한 쌍의 봉부재(13)를 깔판 하면의 통형상 부재(42)에 각각 통과시키고, 일단 개구부(58) 또는 타단 개구부(59)로부터 벽판(53, 54)을 삽입하여 상자형상체(61)를 형성한다. 또한 프레임 구조체(11)를 전개하고, 전개된 프레임 구조체(11)의 상방부터 상자형상체(61)를 넣어서, 봉부재(13)의 단부를 프레임 구조체(11)의 브래킷(31) 또는 브래킷(32)에 부착한다. 이에 의해 플레이 야드(10)는 사용 상태가 된다.
깔판(41)의 윗면은 영유아가 놀거나 자거나 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보호자가 브래킷(31) 또는 브래킷(32)을 선택하여 봉부재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깔판(41)의 높이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킴에 의해, 플레이 야드 및 베이비 베드로서 사용 가능하다.
도 2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부재(13)의 단부를 상대적으로 낮은 브래킷(31)에 계합시켜서 깔판(41)을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위치에 세트한다. 이와 같이 깔판(41)을 프레임 구조체(11)의 하부에 부착함으로써, 포형상 부재(12)가 프레임 구조체(11)의 상부까지 직립하고, 영유아를 놀게 하는 울타리(플레이 야드)로서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부재(13)의 단부를 상대적으로 높은 브래킷(32)에 계합시켜서 깔판(41)을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위치에 세트한다. 이와 같이 깔판(41)을 프레임 구조체(11)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부착함으로써, 깔판(41)이 상술한 플레이 야드의 경우보다도 프레임 구조체(11)의 상부에 가까워지고, 영유아를 재우는 침대(베이비 베드)로서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플레이 야드(10)를 절첩할 때에는, 상술과는 반대의 순서로 프레임 구조체(11)로부터 상자형상체(61)를 취출하여 분해하고, 프레임 구조체(11)를 절첩한다. 또한 타단 개구부(59)로부터 벽판(53, 54)을 출입하는 외에,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일단 개구부(58)로부터 벽판(53, 54)을 출입하는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되는 플레이 야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동 실시예의 플레이 야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동 실시예의 플레이 야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관해, 상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4 벽판(51 내지 54)이 포형상 부재(12)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에 대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4 벽판(51 내지 54)이 포형상 부재(12)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포형상 부재(12)의 외주면에는, 상단의 4개소에 제 1 내지 제 4 벽판(51 내지 54)보다도 약간 큰 사각형의 포재가 봉착되고 포켓(71 내지 74)이 마련되고, 하단의 4개소에 제 1 내지 제 4 벽판(51 내지 54)보다도 약간 큰 사각형의 포재가 봉착되어 포켓(81 내지 84)이 마련된다. 포켓(71 내지 74) 및 포켓(81 내지 84)은, 상연이 개구하고, 깔판(41)으로부터 분리된 판편인 제 1 내지 제 4 벽판(51 내지 54)을 각각 수용하는 자루부이다. 상단의 포켓(71 내지 74)의 하연은, 상단의 브래킷(32)과 개략 같은 높이가 된다. 하단의 포켓(81 내지 84)의 하연은, 하단의 브래킷(31)과 개략 같은 높이가 된다.
또한 포켓(71 내지 74, 81 내지 84)은 벽판(51 내지 54)을 각각 수용하는 자루부라면 좋고, 도시하지 않은 변형예로서, 상연에 대신하여 길이 방향 일방연에 개구를 부착하여도 좋다. 또한, 포켓의 개구를 막기 위해, 버튼, 면 파스너, 슬라이드 파스너 등을 더 부착하여도 좋다.
포켓(73)에 관해 설명하면, 플레이 야드(70)의 외측에서 시인(視認) 가능하고, 포형상 부재(12)의 외주면에 봉착된 사각형의 포재(73s)는, 포켓(73)의 외측 천을 구성한다. 또한 포형상 부재(12)는, 포켓(73)의 내측 천을 구성한다. 다른 포켓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1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벽판(53)은, 깔판(41)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포켓(73)에 삽입되어, 깔판(41)의 제 3 변에 따라서 배치된다. 또는 깔판(41)이 하단에 있는 경우, 다른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벽판(53)은 포켓(83)에 삽입되어, 깔판(41)의 제 3 변에 따라서 배치된다. 제 4 벽판(54)도 포켓(74) 또는 포켓(84)에 마찬가지로 삽입되어, 깔판(41)의 제 4 변에 따라서 배치된다.
도 12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벽판(52)은, 깔판(41)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포켓(72)에 삽입되어, 깔판(41)의 제 2 변에 따라서 배치된다. 또는 깔판(41)이 하단에 있는 경우, 다른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벽판(52)은 포켓(82)에 삽입되어, 깔판(41)의 제 2 변에 따라서 배치된다. 제 1 벽판(51)도 포켓(71) 또는 포켓(81)에 마찬가지로 삽입되어, 깔판(41)의 제 1 변에 따라서 배치된다.
깔판(41) 상의 영유아 수용 공간에서 벽판(51 내지 54)에 힘을 주면, 포켓(71 내지 74) 또는 포켓(81 내지 84) 중에서 벽판(51 내지 54)이 약간 이동한다. 그러나, 벽판(51 내지 54)이 깔판(41)의 제 1 내지 제 4 변에서 10mm이상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판(51 내지 54)이 깔판(41)의 제 1 내지 제 4 변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를 또한 가져도 좋다.
도 13은 봉부재, 깔판 및 벽판을 취출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조립 순서를 화살표로 나타낸다. 도 14는 동 실시예의 깔판과 벽판과의 연결 개소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4장의 벽판(51 내지 54)에는, 복수의 면 파스너(75)가 봉착되어 있다. 단변인 제 1 벽재(51) 및 제 2 벽재(52)에는, 길이 방향 2개소에 간격을 두고 면 파스너(75)가 봉착된다. 장변인 제 3 벽재(53) 및 제 4 벽재(54)에는, 길이 방향 3개소에 간격을 두고 면 파스너(75)가 봉착된다. 면 파스너(75)는 벽판(51 내지 54)의 하연보다도 하방으로 드리워져서 늘어난다. 또한, 깔판(41)의 하면에는, 면 파스너(75)에 강력하게 접착한 면 파스너 소재(79)가 봉착되어 있다.
각 포켓(71 내지 74, 81 내지 84)의 저부에는, 포형상 부재(12)를 관통하는 슬릿(85)이 형성된다. 슬릿(85)은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고, 면 파스너(75)와 각각 대응한다. 그리고 벽판(51)을 포켓(71)에 삽입하면, 도 14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면 파스너(75)가 슬릿(85)을 관통하여 깔판(41)의 하면으로 돌아 들어가, 면 파스너(75)가 깔판(41)의 하면에 접착한다. 이에 의해, 벽판(51)의 하연과 깔판(41)의 제 1 변이 연결된다. 다른 벽판(52 내지 54)의 하연도 마찬가지로, 깔판(41)의 제 2 변 내지 제 4 변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면 파스너(75)에 대신하여, L자형상의 금구(金具)를 이용하여 4장의 벽판(51 내지 54)을 깔판(41)의 제 1 변 내지 제 4 변에 각각 연결하여도 좋다.
또는 면 파스너(75)에 대신하여, 슬라이드 파스너를 이용하여도 좋다. 도 15는 이러한 변형예의 봉부재, 깔판 및 벽판을 취출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조립 순서를 화살표로 나타낸다. 도 16은 동 실시예의 깔판과 벽판의 연결 개소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슬라이드 파스너(76)는, 한 쌍의 지퍼 치열(齒列)(77a, 77b)과, 한 쌍의 지퍼 치열을 개폐하는 슬라이더(78)를 갖는다.
제 1 벽판(51)의 내측면의 하연에는, 한쪽의 지퍼 치열(77a)이 마련된다. 지퍼 치열(77a)은 제 1 벽판(51)의 길이 방향 일단부터 타단까지 늘어난다. 또한 깔판(41)의 윗면의 각 변에는, 다른쪽의 지퍼 치열(77b)이 마련된다. 지퍼 치열(77b)은 각 변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늘어나고, 지퍼 치열(77a)과 같은 길이이다. 그리고 한쪽의 지퍼 치열(77a)에는 슬라이드 파스너(76)의 슬라이더(78)가 부착된다.
각 포켓(71 내지 74, 81 내지 84)의 저부에는, 포형상 부재(12)를 관통하는 슬릿(86)이 형성된다. 슬릿(86)은 수평 방향으로 늘어나고, 그 길이는 대응하는 지퍼 치열(77a, 77b)의 길이와 동등하다. 또한 벽판(51)을 포켓(71)에 삽입하면, 슬릿(86)보다도 하방의 포켓 저부(87)가, 벽판(51)의 하연을 받아 낸다. 따라서 벽판(51)이 슬릿(86)으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벽판(51)을 포켓(71)에 삽입하면, 도 16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퍼 치열(77a, 77b)이 슬릿(86)을 통하여 마주 본다. 슬라이더(78)를 지퍼 치열(77b)의 일단에 계합시키고, 한 쌍의 지퍼 치열(77a, 77b)에 따라서 움직임에 의해, 벽판(51)의 하연과 깔판(41)의 제 1 변이 연결된다. 다른 벽판(52 내지 54)의 하연도 마찬가지로, 깔판(41)의 제 2 변 내지 제 4 변에 각각 연결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플레이 야드(10)는,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프레임 구조체(11)에 부착되고, 중앙 영역이 굴곡선(43)과 교차하여 깔판(41)을 지지하는 봉부재(13)를 구비하기 때문에, 영유아의 체중에 의해 굴곡선(43)에서 깔판(41)이 꺾임 변형하는 일이 없고, 또한 영유아가 깔판(41) 상에서 활발하게 활동하여도 깔판(41)이 꺾임 변형하는 일이 없고, 영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기둥재(14)만이 깔판(41)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종래의 플레이 야드와 같이 깔판으로부터 하방에 늘려서 설치 바닥면에 접지하는 다리을 다시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깔판(41)과 설치 바닥면(S)과의 사이의 간극 공간을 깔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 구조체(11)는, 영유아 수용 공간의 주위에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기둥재(14)와, 이웃하는 기둥재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가로재(15L, 15R, 16)를 포함하고, 적어도 가로재(15L, 15R)가,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고, 봉부재(13)는 직선 봉형상체가 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한 가로재(15L, 15R)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봉부재를 직선형상의 환파이프, 각파이프, 또는 앵글 부재라는 봉형상체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굽휨 강도를 크게할 수 있다. 따라서 꺾임 변형 가능한 플레이 야드에 있어서, 간이한 구성에 의해 프레임 구조체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영유아 수용 공간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사각형이고, 기둥재(14)는 사각형의 4구석에 배치되고, 가로재(15L, 15R, 16)는 사각형의 4변을 구성하고, 이들 가로재 중 평행하게 늘어나는 2변 한 쌍의 가로재(15L, 15R)가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고, 봉부재(13)는 2개 한 쌍이 되고, 그 양단부가,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한 가로재(15L, 15R)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기둥재(14)에 각각 부착되고, 깔판(41)은 영유아 수용 공간의 사각형의 4변에 대응하는 제 1 변 내지 제 4 변을 윤곽선으로 하고, 이들 중 제 1 변 및 제 2 변은 서로 평행하게 늘어나고, 이들 중 제 3 변 및 제 4 변은 제 1 변 및 제 2 변과 직교하여 늘어나 봉부재(13)에 각각 지지되고, 굴곡선(43)은 제 1 변 및 제 2 변과 평행하게 늘어난다. 이에 의해 사각형의 플레이 야드(10)에서 영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깔판(41)은 그 하면에 고정되어 봉부재(13)가 삽통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42)를 갖는다. 이에 의해 영유아가 깔판(41) 상에서 활발하게 움직여도 깔판(41)이 전후 좌우로 흔들려 움직이는 일이 없고, 영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둥재(14)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 1의 위치에, 봉부재(13)의 단부가 부착되어서 그 봉부재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수평으로 지지하는 제 1의 브래킷(31)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높은 제 2의 위치에, 봉부재(13)의 단부가 부착되어서 그 봉부재를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수평으로 지지하는 제 2의 브래킷(32)을 갖기 때문에, 봉부재(13) 및 깔판(41)은 상대적으로 낮은 제 1 위치 및 상대적으로 높은 제 2 위치에 선택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프레임 구조체의 제 1 위치에 부착함에 의해, 깔판의 높이를 플레이 야드의 하부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영유아가 프레임 구조체를 타고 넘어서 플레이 야드로부터 나오는 일이 없다. 따라서 플레이 야드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깔판 및 봉부재를, 상대적으로 높은 프레임 구조체의 제 2 위치에 부착함에 의해, 깔판의 높이를 플레이 야드의 중앙부 내지 상부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영유아가 자는 베이비 베드로서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는 영유아까지 용이하게 손을 펴서 돌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보호자는, 본 실시예의 플레이 야드(10)를, 영유아가 노는 플레이 야드로서, 또는 영유아가 자는 베이비 베드로서, 알맞게 겸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브래킷(31, 32) 및 봉부재(13)의 단부의 어느 한쪽은, 계합부로서의 돌기부(38)를 가지며, 브래킷(31, 32) 및 봉부재(13)의 단부의 나머지 다른쪽은, 수평 방향 이동 불능이면서 상방 이동 가능하게 돌기부(38)와 계합하는 피계합부로서의 슬릿(33) 및 오목부(34)를 갖는다. 따라서 브래킷(31, 32)이 봉부재(13)를 통하여 깔판(41) 및 깔판 상의 영유아를 지지하면서, 영유아의 체중을 이용하여 봉부재(13)가 브래킷(31, 32)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벗김 방지도 되고, 영유아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깔판(41)의 윗면부터 15㎝ 이상 세워져서 사방을 포위하는 벽판(51 내지 54)을 또한 구비한다. 이에 의해, 깔판(41)은, 부드럽게 변형 가능한 포형상 부재(12)가 아니라, 경질의 벽판(51 내지 54)에 위요된다. 따라서 깔판(41) 위에 유아용 이부자리를 깔고 유아용 이부자리 위에서 영유아가 수면중에, 영유아의 두부가 포형상 부재(12)와 유아용 이부자리 사이에 끼일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벽판은, 깔판(41)의 제 1 변에 부착되는 판편인 제 1 벽판(51)과, 깔판(41)의 제 2 변에 부착되는 판편인 제 2 벽판(52)과, 깔판(41)의 제 3 변에 부착되는 판편인 제 3 벽판(53)과, 깔판(41)의 제 4 변에 부착되는 판편인 제 4 벽판(54)을 포함한다. 이들 깔판(41) 및 벽판(51 내지 54)에 의해 구성되는 상자형상체(61)는 입체 구조이고, 깔판만의 평판 구조와 비교하여 강도가 크기 때문에, 깔판(41)의 강도를 종래의 플레이 야드의 깔판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벽판(51)은 깔판(41)의 제 1 변을 접음 변형 가능한 경계선(55)으로서 깔판(41)과 접속하고, 제 2 벽판(52)은 깔판(41)의 제 2 변을 접음 변형 가능한 경계선(55)으로서 깔판(41)과 접속한다. 이와 같이 깔판과 벽판이 연속하기 때문에, 플레이 야드(10)의 절첩 작업 및 조립 작업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깔판(41)은, 제 3 변에 고정되어 이 변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56)와, 제 4 변에 고정되어 이 변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57)를 가지며, 제 3 벽판(53)은 제 3 변의 통형상 부재(56)에 착탈 가능하게 삽통되고, 제 4 벽판(54)은 제 4 변의 통형상 부재(57)에 착탈 가능하게 삽통된다. 이에 의해, 통형상 부재(56, 57)는 벽판(53, 54)이 삽통되지 않은 상태에서 굴곡선(43)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절첩된다. 따라서 깔판(41)을 용이하게 절첩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 야드(10)의 사용 상태에서, 벽판(53, 54)이 굴곡선(42)과 직교하여 깔판(41)과 연결되기 때문에, 깔판(41)의 굽힘 변형을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깔판(41)은, 제 3 변에 고정되어 이 변과 평행하게 늘어남과 함께 양단이 제 1 벽판(51) 및 제 2 벽판(52)에 각각 고정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56)와, 제 4 변에 고정되어 이 변과 평행하게 늘어남과 함께 양단이 제 1 벽판(51) 및 제 2 벽판(52)에 각각 고정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57)를 갖는다. 따라서 깔판(41) 및 벽판(51 내지 54)이, 윗면을 갖지 않는 5면의 상자형상체(61)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영유아를 알맞게 지지하여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 구조체(11)의 외주를 포위하는 포형상 부재(12)를 또한 구비하고, 벽판은, 깔판(41)의 제 1 변에 따라서 배치되는 판편인 제 1 벽판(51)과, 깔판(41)의 제 2 변에 따라서 배치되는 판편인 제 2 벽판(52)과, 깔판(41)의 제 3 변에 따라서 배치되는 판편인 제 3 벽판(53)과, 깔판(41)의 제 4 변에 따라서 배치되는 판편인 제 4 벽판(54)을 포함하고, 이들 제 1 내지 제 4 벽판(51 내지 54)은, 포형상 부재(12)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벽판(51 내지 54)이 영유아 수용 공간의 밖에 배치되어, 영유아가 제 1 내지 제 4 벽판(51 내지 54)의 상연에 닿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포형상 부재(12)의 외주면에는, 제 1 내지 제 4 벽판(51 내지 54)을 각각 수용하는 포켓(71 내지 74) 및 포켓(81 내지 84)이 마련되고, 따라서 포켓(71 내지 74) 및 포켓(81 내지 84)으로 벽판(51 내지 54)을 지지할 수 있고, 벽판(51 내지 54)을 프레임 구조체(11)에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포형상 부재(12)의 내측에 위치하는 깔판(41)과, 포형상 부재(12)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4 벽판(51 내지 54)을 서로 연결하는 면 파스너(75) 또는 슬라이드 파스너(76)를 또한 갖는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4 벽판(51 내지 54)을 깔판(41)에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고, 깔판(41) 위의 영유아가 제 1 내지 제 4 벽판(51 내지 54)을 눌러도, 벽판과 깔판과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는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의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되는 플레이 야드는, 육아용 가구 내지 육아 용기구에서 유리하게 이용된다.
10 : 플레이 야드 11 : 프레임 구조체
12 : 포형상 부재 13 : 봉부재
14 : 기둥재 15L : 가로재(앞테두리)
15R, 16 : 가로재 17 : 크로스 파이프
18 : 슬라이드 부재 19 : 멈춤구
20 : 중앙 연결 부재 21 : 차륜
22 : 차륜 커버 23 : 중앙 연결 부재
31, 32 : 브래킷 33 : 슬릿
34 : 오목부 37 : 계합 부재
38 : 돌기부 39 : 홈
41 : 깔판 42 : 통형상 부재
43 : 굴곡선 51 : 제 1 벽판
52 : 제 2 벽판 53 : 제 3 벽판
54 : 제 4 벽판 55 : 경계선
56, 57 : 통형상 부재 58 : 일단 개구부
59 : 타단 개구부 61 : 상자형상체
70 : 플레이 야드 71 내지 74 : 포켓
75 : 면 파스너 76 : 슬라이드 파스너
81 내지 84 : 포켓 85, 86 : 슬릿
S : 플레이 야드 설치 바닥면

Claims (14)

  1. 영유아를 수용하는 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절첩 가능한 프레임 구조체와,
    복수의 판편과 이들 판편끼리를 접속하는 꺾임 변형 가능한 굴곡선을 가지며, 상기 영유아 수용 공간의 저면을 구성하는 깔판과,
    일단측 및 타단측이 각각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부착되고, 중앙 영역이 상기 굴곡선과 교차하여 상기 깔판을 지지하는 봉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는, 상기 영유아 수용 공간의 주위에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재와, 이웃하는 상기 기둥재끼리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가로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재 중의 적어도 일부가,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고,
    상기 봉부재는 직선 봉형상체가 되고, 평면으로 보았을 때, 상기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한 가로재와 평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 수용 공간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사각형이고, 상기 기둥재는 상기 사각형의 4구석에 배치되고, 상기 가로재는 상기 사각형의 4변을 구성하고, 이들 가로재 중 평행하게 늘어나는 2변 한 쌍의 가로재가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하고,
    상기 봉부재는 2개 한 쌍이 되고, 그 양단부가, 상기 중간 정도에서 꺾임 변형 가능한 가로재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기둥재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깔판은 상기 영유아 수용 공간의 사각형의 4변에 대응하는 제 1 변 내지 제 4 변을 윤곽선으로 하고, 이 중 제 1 변 및 제 2 변은 서로 평행하게 늘어나고, 이 중 제 3 변 및 제 4 변은 상기 제 1 변 및 제 2 변과 직교하여 늘어나고 상기 봉부재에 각각 지지되고,
    상기 굴곡선은 상기 제 1 변 및 제 2 변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깔판은 그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봉부재가 삽통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재는, 상대적으로 낮은 제 1의 위치에, 상기 봉부재의 단부가 부착되어서 그 봉부재를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수평으로 지지하는 제 1의 브래킷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높은 제 2의 위치에, 상기 봉부재의 단부가 부착되어서 그 봉부재를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수평으로 지지하는 제 2의 브래킷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및 상기 봉부재의 단부의 어느 한쪽은,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브래킷 및 상기 봉부재의 단부의 나머지 다른쪽은, 수평 방향 이동 불능이면서 상방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는 피계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깔판의 윗면부터 15㎝이상 세워져서 사방을 포위하는 벽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은, 상기 깔판의 제 1 변에 부착되는 판편인 제 1 벽판과, 상기 깔판의 제 2 변에 부착되는 판편인 제 2 벽판과, 상기 깔판의 제 3 변에 부착되는 판편인 제 3 벽판과, 상기 깔판의 제 4 변에 부착되는 판편인 제 4 벽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판은 상기 깔판의 제 1 변을 접음 변형 가능한 경계선으로서 상기 깔판과 접속하고,
    상기 제 2 벽판은 상기 깔판의 제 2 변을 접음 변형 가능한 경계선으로서 상기 깔판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깔판은, 제 3 변에 고정되어 이 변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와, 제 4 변에 고정되어 이 변과 평행하게 늘어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3 벽판은 상기 제 3 변의 통형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삽통되고,
    상기 제 4 벽판은 상기 제 4 변의 통형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삽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판은 상기 깔판의 제 1 변을 접음 변형 가능한 경계선으로서 상기 깔판과 접속하고,
    상기 제 2 벽판은 상기 깔판의 제 2 변을 접음 변형 가능한 경계선으로서 상기 깔판과 접속하고,
    상기 깔판은, 제 3 변에 고정되어 이 변과 평행하게 늘어남과 함께 양단이 상기 제 1 벽판 및 상기 제 2 벽판에 각각 고정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와, 제 4 변에 고정되어 이 변과 평행하게 늘어남과 함께 양단이 상기 제 1 벽판 및 상기 제 2 벽판에 각각 고정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통형상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3 벽판은 상기 제 3 변의 통형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삽통되고,
    상기 제 4 벽판은 상기 제 4 변의 통형상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삽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외주를 포위하는 포 또는 부드러운 시트제의 외주 시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벽판은, 상기 깔판의 제 1 변에 따라서 배치되는 판편인 제 1 벽판과, 상기 깔판의 제 2 변에 따라서 배치되는 판편인 제 2 벽판과, 상기 깔판의 제 3 변에 따라서 배치되는 판편인 제 3 벽판과, 상기 깔판의 제 4 변에 따라서 배치되는 판편인 제 4 벽판을 포함하고, 이들 제 1 내지 제 4 벽판은, 상기 외주 시트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시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벽판을 각각 수용하는 자루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시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깔판과, 상기 외주 시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벽판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구조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 야드.
KR1020110124745A 2010-12-14 2011-11-28 플레이 야드 KR201200665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8038 2010-12-14
JP2010278038 2010-12-14
JP2011228004A JP2012139483A (ja) 2010-12-14 2011-10-17 プレイヤード
JPJP-P-2011-228004 2011-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585A true KR20120066585A (ko) 2012-06-22

Family

ID=4667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745A KR20120066585A (ko) 2010-12-14 2011-11-28 플레이 야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2012139483A (ko)
KR (1) KR20120066585A (ko)
TW (1) TW2012234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9876B (zh) * 2012-12-17 2016-12-28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睡具及其吊床装置
CN104257165B (zh) * 2014-09-24 2017-05-1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适用于旅行床的撑杆连动机构及旅行床
JP3199840U (ja) * 2015-07-01 2015-09-10 株式会社大和屋 簡易ベビーベッド
JP6176808B1 (ja) * 2016-10-07 2017-08-09 合同会社ディベックス 幼児用ベッ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5791A (en) * 1928-10-10 1932-02-16 Everett J Gray Knockdown crib
JPH0427662A (ja) * 1990-05-21 1992-01-30 Aprica Kassai Inc 乳幼児用マットに保護壁を形成するための芯材および乳幼児用マット
JP3104103U (ja) * 2004-03-18 2004-09-02 松村 呉 着脱可能二層ベビーベッ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23483A (en) 2012-06-16
JP5886735B2 (ja) 2016-03-16
JP2012139483A (ja) 2012-07-26
JP2013063317A (ja)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0915B2 (en) Depth-adjustable bassinet
AU2011279242B2 (en) Play yard with removable enclosure
DE102009040777B4 (de) System zum Verstauen eines Zubehörteils in einem Laufstall
US8955175B2 (en) Corner assembly for a foldable child enclosure
US20060218725A1 (en) Playard having a bassinet assembly to accommodate two children
US9155402B1 (en) Folding playpen and dual sleeper
KR20120066585A (ko) 플레이 야드
KR200485388Y1 (ko) 가변형 매트 세트
US10080444B2 (en) Folding playpen and dual sleeper
JP3181795U (ja) ベビーベッド
JP6273136B2 (ja) つり床装置及び該装置を有するベビーベッド
KR200484934Y1 (ko) 가변형 매트 세트
CN206381003U (zh) 婴儿床
TWI524867B (zh) 多階段組合式嬰兒床
JP2881375B2 (ja) ベビーベッド
US20170258037A1 (en) Collapsible Pet Bed with Removably Attachable Cover
US11497323B1 (en) Co-sleeper bassinet with collapsible wall panels
GB2522280A (en) A safety surround for a cot
AU2018100870A4 (en) Convertible furniture kit
US20210030167A1 (en) Collapsible and portable infant sleeping area
JP5657367B2 (ja) プレイヤード
JPH0866276A (ja) 他用途組み換え可能なベビーベッド
WO2005087054A2 (en) Space-saving cot
JP3074697U (ja) 陳列棚
ITUA20163682A1 (it) Sistema di mobile trasforma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