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440A -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440A
KR20120066440A KR1020100127789A KR20100127789A KR20120066440A KR 20120066440 A KR20120066440 A KR 20120066440A KR 1020100127789 A KR1020100127789 A KR 1020100127789A KR 20100127789 A KR20100127789 A KR 20100127789A KR 20120066440 A KR20120066440 A KR 20120066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roller
bolt
fixt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식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아이이노텍
주식회사 서한에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아이이노텍, 주식회사 서한에프티 filed Critical (주)에스아이이노텍
Priority to KR1020100127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6440A/ko
Publication of KR20120066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4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0Safety means for switches, e.g. switch point protectors, auxiliary or guiding rai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04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by bolting, nailing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4Nature of the support or bearing
    • E01B2202/044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8Locking devices or mechanisms for inhibit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롤러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를 타부재에 고정시키는 픽스처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픽스처를 연결하며 축이 편심되게 구비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동가능하고, 상기 축은 상기 픽스처에 설치되어, 장치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될 수 있고, 조절부재의 편심가공이 정밀하게 될 수 있으므로 표준화가 용이해지고,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최적의 상태로 세팅할 수 있고, 픽스처와 분리가 가능해서 침목 자체의 문제나 기타의 문제에 용이하게 대응가능한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none-inunction roller and base assembly for rail way switch}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롤러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를 타부재에 고정시키는 픽스처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픽스처를 연결하며 축이 편심되게 구비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동가능하고, 상기 축은 상기 픽스처에 설치되는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철도 분기기용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1)의 상면에 클립삽입구(2)와 걸림턱(3)이 형성된 슬라이드면(4)을 형성하고, 걸림턱과 장홈과 톱니(6)가 형성된 지지편(7)을 형성하는 한편, 지지편(7)에는 힌지축과 후미에 높이조절볼트(9)가 형성된 프레임(10)을 설치하되, 지지편(7)의 장홈에는 프레임(10)의 힌지축을 유설하고, 높이조절볼트(9)에는 톱니(11)와 장공(12)이 형성된 이동간(13)에 설치하여 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며, 이동간(13)의 톱니(11)는 지지편(7)의 톱니(6)와 결합하고 장공(12)은 본체(1)에 고정된 볼트(14)와 결합하여 프레임(10)를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프레임(10)에는 여러개의 축공을 점점 높게 형성하고 축공에는 롤러(16)의 축을 끼워설치하며, 롤러(16)와 축 사이에는 베어링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34는 덮개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철도 분기기의 보조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한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한쌍의 레일(하나의 철길)이 두쌍의 레일(두개의 철길)로 분리되는 분기지점(최초 한 쌍을 이루던 고정레일이 점차 벌어지는 지점)에 설치되는 여러개의 침목 위에 철도 분기기의 보조 베이스플레이트를 설치함에 있어, 본체(1)의 상면에 형성된 클립삽입구(2)와 슬라이드면(4)의 걸림턱(3)과 지지편(7)의 걸림턱을 이용하여 고정레일을 설치하고 슬라이드면(4)과 프레임(10) 위에 이동레일을 착지시키는데 이동레일의 길이에 따라 그 개수가 정해진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롤러(16)의 높이를 조절하고자할 때에는 높이조절나사(9)에 결합된 너트를 돌려 조이거나 풀어주면, 장홈에 유설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프레임(10)이 각운동 하면서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이동레일의 위치에 따라 고정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의 간격이 다르기 때문에 프레임(10)의 수평위치도 달라져야 하는데, 이때 본체(1)에 고정된 볼트(14)를 약간 풀어 이동간(13)의 톱니(11)와 지지편(7)에 형성된 톱니(6)를 이격시키고. 프레임(10)을 필요한 위치로 옮기면 힌지축은 장홈을 따라 이동하고 한편, 이동간(13)의 장공(12)이 볼트(14)에 안내되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적당한 위치를 선정할 수 있으며, 위치가 선정되면 볼트(14)를 조여줌으로써 이동간(13)의 톱니(11)와 지지편(7)의 톱니(6)가 서로 맞물리게 되고 따라서 고정레일과 프레임(10)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0)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전환장치를 작동하게 되면 전환장치에 의해 두개의 고정레일 사이에 설치된 두개의 이동레일이 동시에 움직이면서 한쪽 고정레일과는 접촉시키고 다른쪽 고정레일과는 이격시키는 작용을 하게되는데, 이때 이동레일은 롤러(16) 위에서 선접촉과 구름운동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철도 분기기의 보조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1)의 선부에 고정편(2)과 걸림턱(3)으로 구성된 협지구(4)를 형성하고 후미에 지지간(5)이 체착하며, 프레임(1)에 장공(6)을 형성하여 롤러하우스(7)의 선부를 힌지축(8)으로 유설하고 후미에 높이조절볼트(9)를 설치해 이동간(10)에 관삽하여 롤러하우스(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높이조절볼트(9)가 관삽된 이동간(10)에 톱니(12)를 형성하여 조절간(11)의 고정볼트(13)에 결합하고, 이동간(10)의 톱니(12)는 프레임(1)에 형성된 톱니(14)와 치합되도록 하였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35는 덮개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철도 분기기의 보조 베이스 플레이트에 관한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쌍의 레일(하나의 철길)이 두쌍의 레일(두개의 철길)로 분리되는 분기지점에 최초 한 쌍을 이루던 고정레일이 점차 벌어지면서 여러개의 침목과 기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그 사이에 두개의 이동레일이 설치된 것에 있어, 프레임(1)의 선부에 협지구(4)를 구성하는 걸림턱(3)과 고정구(2)는 상기의 고정레일에 고정하고 후미에 형성된 지지간(5)은 양측 침목 사이에 고정설치하는데, 분기지점을 구성하는 이동레일의 길이에 따라 그 개수가 정해진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롤러(19)의 높이를 조절하고자할 때에는 롤러하우스(7)에 씌워진 덮개(35)를 분리하고 고정나사를 풀어낸 다음, 롤러(19)를 들어내고 높이조절나사(17)를 돌려 위치를 조절한 후 다시 롤러(19)를 넣고 고정나사를 결합한다.
그리고 롤러하우스(7)의 높이를 조절하고자할 때는 높이조절볼트(9)를 조이거나 풀어주면 장공(6)에 유설된 힌지축(8)을 중심으로 하여 각운동 하면서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보조 베이스 플레이트는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 고정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의 간격이 다르기 때문에 롤러하우스(7)의 위치도 달라져야한다. 이때 고정볼트를 약간 풀어주면 이동간(10)과 함께 톱니(12)가 프레임(1)에 형성된 톱니(14)로부터 이격되므로 롤러하우스(7)를 필요한 위치로 옮기고, 다시 고정볼트(13)를 조여주면 이동간(10)의 톱니(12)와 프레임(1)의 톱니(14)가 서로 맞물려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레일과 롤러하우스(7)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롤러의 높이를 각운동하면서 조절하는 것은 나타나 있으나, 장치 전체의 높낮이를 수평상태에서 조절하는 것은 나타나 있지 않다.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197806호,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19293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치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될 수 있고, 조절부재의 편심가공이 정밀하게 될 수 있으므로 표준화가 용이해지고,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최적의 상태로 세팅할 수 있고, 픽스처와 분리가 가능해서 침목 자체의 문제나 기타의 문제에 용이하게 대응가능한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롤러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를 타부재에 고정시키는 픽스처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픽스처를 연결하며 축이 편심되게 구비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동가능하고, 상기 축은 상기 픽스처에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편심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이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포지셔너를 포함하며, 상기 축은 볼트로 구비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픽스처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레일클립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볼트에는 고정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를 지지하는 볼트포지셔너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조절부재를 로킹시키는 로킹돌기가 설치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롤러어셈블리와, 상기 베이스를 타부재에 고정시키는 픽스처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픽스처를 연결하며 축이 편심되게 구비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동가능하고, 상기 축은 상기 픽스처에 설치되어, 장치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될 수 있고, 조절부재의 편심가공이 정밀하게 될 수 있으므로 표준화가 용이해지고,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최적의 상태로 세팅할 수 있고, 픽스처와 분리가 가능해서 침목 자체의 문제나 기타의 문제에 용이하게 대응가능하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편심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이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포지셔너를 포함하며, 상기 축은 볼트로 구비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픽스처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픽스처를 상기 베이스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포지셔너를 상기 베이스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레일클립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볼트에는 고정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를 지지하는 볼트포지셔너가 설치되어, 고정볼트가 지지되는 동시에 고정볼트가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조절부재를 로킹시키는 로킹돌기가 설치되어, 장치에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조절부재가 풀리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도 분기기용 베이스 플레이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철도 분기기의 보조 베이스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에서 제1수직판넬을 제외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도 3의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에서 레일클립을 제외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 6는 도 3의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에서 롤러어셈블리의 좌우방향 이동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3의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의 상하방향 이동시 포지셔너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에서 레일클립을 제외시킨 상태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에 설치되는 롤러어셈블리(200)와, 상기 베이스(100)를 타부재에 고정시키는 픽스처(500)와,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픽스처(500)를 연결하며 축이 편심되게 구비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대해 회동가능하고, 상기 축은 상기 픽스처(500)에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는 수직하게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수직판넬(120)과, 제1수직판넬(120) 후방에 배치되는 제2수직판넬(130)과, 제1수직판넬(120)과 제2수직판넬(130)의 좌측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레일지지판넬(170)과, 제1수직판넬(120)과 제2수직판넬(130)의 우측 하부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지지판(140)과, 제1수직판넬(120)과 제2수직판넬(130) 사이에 배치되며 레일지지판넬(170)과 수평지지판(14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미들서포트(180)를 포함한다.
제1수직판넬(120) 및 제2수직판넬(130)의 좌측 상부 및 우측 하부에 삽입구멍(122) 및 삽입홈(123,124,125)이 형성되어 있다.
제1수직판넬(120) 및 제2수직판넬(130)의 상부에는 단차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수직판넬(120) 및 제2수직판넬(130)의 좌측 상부에는 기본레일(400)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는 레일지지돌기(126, 127)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좌측에 있는 레일지지돌기(126)는 상부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기본레일(400)을 지지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굴곡면이 형성된다.
우측에 있는 레일지지돌기(127)는 단차부(128)의 상부에 형성되어, 기본레일(400)과 텅레일(300) 사이에 배치된다.
제1수직판넬(120)의 우측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수직판넬(120)과 제2수직판넬(130)의 좌측 하부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수직판넬(130)의 우측에는 연장부(131)가 우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수직판넬(130)의 연장부(131)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지지판넬(170), 수평지지판(140)은 수평하게 배치되며, 삽입홈(123,124) 및 삽입구멍(12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41, 171)가 전방과 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미들서포트(180)는 레일지지판넬(170)의 우측에 배치되어 레일지지판넬(170)을 지지한다.
베이스(100)는 수평지지판(14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되는 제1수직지지판(160)과, 전방과 후방이 제1수직판넬(120)과 제2수직판넬(130)의 삽입홈(125)에 각각 삽입되는 제2수직지지판(150)을 더 포함한다.
제1수직지지판(160)과 제2수직지지판(150)은 후술되는 볼트(230)를 지지하며 롤러브라켓(2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수직지지판(160)과 제2수직지지판(150)에는 볼트(230)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나아가, 베이스(100)의 레일지지판넬(170)에는 고정볼트(112)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고정볼트(112)는 레일클립(111)을 관통하며, 고정볼트(111)에는 고정너트(114)가 체결된다.
레일클립(111)은 기본레일(400)의 하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연통되도록 고정볼트(112)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레일클립(111)은 레일지지돌기(126)의 상부에 배치된다.
베이스(100)의 레일지지판넬(170)의 하면에는 고정볼트(112)의 머리를 지지하는 볼트포지셔너(113)가 설치된다. 고정볼트(112)의 머리는 다각형으로 구비된다.
고정볼트(112)를 머리가 아래로 향하도록 레일지지판넬(170)의 삽입공에 삽입한 후, 고정볼트(112)에 레일클립(111)을 끼워넣고, 고정볼트(112)에 고정너트(114)를 체결하여 레일클립(111)은 고정된다.
고정너트(114)는 두개가 구비되어 고정볼트(112)에 체결될 수 있으며, 고정볼트(112)에서 고정너트(114)와 레일클립(111) 사이에는 라운드와셔와 코니컬시트가 차례로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볼트포지셔너(113)로 인해 고정볼트(112)가 지지되는 동시에 고정볼트(112)의 머리부분이 볼트포지셔너(113)에 걸려서 고정볼트(112)가 회전되지 않게 되어 고정볼트(112)가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롤러어셈블리(200)는 롤러(220)와, 롤러(220)를 지지하는 롤러브라켓(210)과, 롤러브라켓(210)에 설치되는 너트(240)와, 너트(240)에 체결되며 베이스(1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볼트(230)를 포함하여, 베이스(100)에 설치된다.
롤러(220)는 직경이 큰 롤러와 직경이 작은 롤러가 구비된다.
직경이 큰 롤러는 직경이 작은 롤러보다 기본레일(400)에 가깝게 배치된다.
롤러(220)는 중심에 샤프트가 끼워지고, 상기 샤프트와 롤러(220)의 내벽 사이에는 슬리브 브라켓이 구비된다.
롤러브라켓(210)은 전판과, 상기 전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판과,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판을 포함하며, 제1수직지지판(160)과 제2수직지지판(150) 사이에 배치되도록 수평지지판(1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평지지판(14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 사이에는 롤러(220)가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에 설치되며, 롤러(220)와 상기 전판 및 상기 후판 사이에는 스러스트 와셔가 배치된다.
상기 후판에는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구멍에 연통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스프링핀(211)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핀(211)을 통해 상기 샤프트와 롤러브라켓(210)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바닥판에는 좌우방향(베이스(100)의 폭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에는 너트(240)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상기 바닥판의 관통공에 연통되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너트(240)는 상기 바닥판의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의 중심부에 설치된다.
볼트(230)는 제1,2수직지지판(160,150)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베이스(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볼트(230)에는 제2수직지지판(150)과 롤러브라켓(210)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1너트(151)가 체결되고, 볼트(230)의 머리와 제2수직지지판(150) 사이에 배치되도록 제2너트(152)가 체결된다.
나아가, 롤러어셈블리(200)에는 너트(240)에 일체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장공(121)에 삽입된다.
제2너트(152)와 제2수직지지판(150) 사이에는 와셔가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베이스(100)를 침목과 같은 타부재에 고정시키는 픽스처(500)와, 베이스(100)와 픽스처(500)를 연결하며 축이 편심되게 구비되는 조절부재가 구비된다.
픽스처(500)는 연장부(131)의 후방에 배치된다.
픽스처(500)는 전후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판넬(510)과 수평판넬(510)과 연장부(131)를 연결하는 연결판넬(520)을 포함한다.
연결판넬(520)에는 수평판넬(510)의 전단이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형성된다. 수평판넬(510)은 상기 끼움구멍에 끼워진 후 용접되어 연결판넬(5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연결판넬(520)에는 후술되는 볼트(600)가 나사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판넬(510)은 고정을 위한 볼트 등이 체결되는 체결공(511)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부재는 연장부(131)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베이스(100)에 대해 회동가능하고, 상기 축은 픽스처(500)에 설치된다.
상기 조절부재는 연장부(131)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편심돌출부(710)가 형성되고 상기 축이 관통되는 제2관통공(703)이 형성되는 포지셔너(700)를 포함하며, 상기 축은 볼트(600)로 구비된다.
편심돌출부(710)는 표시부(701)가 형성된 부분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된다.
포지셔너(700)는 전면에 표시부(701)가 형성되어 있어서 포지셔너(700)의 회동각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포지셔너(700)의 양측에는 평편부(702)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포지셔너(7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포지셔너(700)와 볼트(600)의 머리 사이에는 와셔가 배치된다.
볼트(600)는 픽스처(500)의 연결판넬(520)에 나사결합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롤러어셈블리(200)의 좌우방향 이동시에는 이하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된다.
롤러(220) 및 너트(240)가 설치된 롤러브라켓(210)을 수평지지판(140) 상부에 배치시킨 후에, 볼트(230)에 제2너트(152)를 끼워서 제2수직지지판(150)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시키고 제1너트(151)를 체결하고 롤러브라켓(210) 및 너트(240)를 관통시키고, 제1수직지지판(160)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시킨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과정을 통해 롤러어셈블리(200)는 베이스(100)에 설치된다.
볼트(230)를 제2수직지지판(150)에 끼워넣고 제2수직지지판(150)의 양측에 제1너트(151)와 제2너트(152)를 체결하여, 롤러어셈블리(20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에 볼트(230)가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롤러어셈블리(20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너트(151)와 제2너트(152)를 풀어서 볼트(230)가 베이스(100)의 제2수직지지판(150)에 대해 회전자유롭도록 한다.
이어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30)를 회전시키게 되면 롤러(22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볼트(230)를 회전시켜서 롤러어셈블리(200)의 좌우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롤러어셈블리(200)의 좌우방향이동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될 수 있으며, 좌우방향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좌우위치조절을 위한 별도의 툴(tool)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제작이 쉬운 규격 볼트(230)를 사용해서 좌우위치를 조절하여 제작단가가 낮아지고, 규격 볼트(230)를 사용하므로 원자재의 안정된 공급 및 제작이 가능해지고 페인팅 마크 등으로 육안 점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롤러어셈블리(200)를 장착한 후에도 조절이 가능하여 향후 유지보수가 쉽고, 설치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롤러어셈블리(20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돌출부가 장공(121)에 삽입된 채로 이동되어, 롤러어셈블리(200)의 좌우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으며, 롤러어셈블리(2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제1너트(151)와 제2너트(152)를 조여서 볼트(230)가 베이스(100)의 제2수직지지판(150)에 대해 고정되도록 한다.
본발명의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조절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조절된다.
연장부(131)에 형성된 관통공에 포지셔너(700)의 편심돌출부(710)를 삽입한다.
포지셔너(7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수평판넬(510) 및 포지셔너(700)의 제2관통공(703)의 상하방향 위치는 변경되게 된다. 즉, 도 7의 (a), (b), (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수평판넬(510)의 높이가 d, d', d''로 변경된다. 이로인해 픽스처(500)에 대한 베이스(100)의 상대적인 상하위치는 변경되게 된다.
볼트(600)를 포지셔너(700)에 형성된 상기 제2관통공(703)에 삽입한 후 픽스처(500)의 연결판넬(520)에 형성된 구멍에 나사결합시키면 픽스처(500)가 베이스(100)에 설치된다.
한편, 볼트(600)를 체결한 후에 상하방향 위치를 다시 조절하기 위해서는, 볼트(600)를 풀어서 포지셔너(700)가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에 포지셔너(700)를 회전시켜서 상하방향 위치를 다시 조절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장치의 상하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될 수 있고, 상기 조절부재의 편심가공이 정밀하게 될 수 있으므로 표준화가 용이해지고, 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하여 최적의 상태로 세팅할 수 있다.
또한, 볼트(600)를 통해 베이스(100)와 픽스처(500)가 연결되어, 픽스처(500)와 베이스(100)가 용이하게 탈착가능해서 침목 자체의 문제나 기타의 문제에 용이하게 대응가능하고, 포지셔너(700)를 베이스(10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연장부(131) 전면에는 상기 조절부재의 포지셔너(700)를 로킹시키는 로킹돌기(800)가 설치될 수 있다.
로킹돌기(800)는 포지셔너(700)의 평편부(702)가 있는 부분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로킹돌기(800)는 포지셔너(7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에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조절부재가 풀리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로킹돌기(800)는 편심돌출부(710)를 연장부(131)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시키기 전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편심돌출부(710)의 편심정도를 다르게 한 여러가지 포지셔너(700)를 구비하여 경우에 따라 적절한 포지셔너(700)를 선택하여 포지셔너(700)를 연장부(131)에 삽입시켜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연장부(131)에 포지셔너(700)를 삽입하고 회전시켜서 높이를 조절한 후에 로킹돌기(8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이스 111 : 레일클립
112 : 고정볼트 113 : 볼트포지셔너
114 : 고정너트 120 : 제1수직판넬
121 : 장공 122 : 삽입구멍
123,124,125 : 삽입홈 126, 127 : 레일지지돌기
128 : 단차부 130 : 제2수직판넬
140 : 수평지지판 141, 171 : 삽입돌기
150 : 제2수직지지판 151 : 제1너트
152 : 제2너트 160 :제1수직지지판
170 : 레일지지판넬 180 : 미들서포트
200 : 롤러어셈블리 210 : 롤러브라켓
211 : 스프링핀 220 : 롤러
230 : 볼트 240 : 너트
300 : 텅레일 400 : 기본레일
500 : 픽스처 510 : 수평판넬
511 : 체결공 520 : 연결판넬
600 : 볼트 700 : 포지셔너
701 : 표시부 702 : 평편부
710 : 편심돌출부 800 : 로킹돌기

Claims (4)

  1.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롤러어셈블리;
    상기 베이스를 타부재에 고정시키는 픽스처;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픽스처를 연결하며 축이 편심되게 구비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동가능하고, 상기 축은 상기 픽스처에 설치되는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편심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축이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포지셔너를 포함하며,
    상기 축은 볼트로 구비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픽스처에 나사결합되는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레일클립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볼트에는 고정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를 지지하는 볼트포지셔너가 설치되는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조절부재를 로킹시키는 로킹돌기가 설치되는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KR1020100127789A 2010-12-14 2010-12-14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KR20120066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89A KR20120066440A (ko) 2010-12-14 2010-12-14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789A KR20120066440A (ko) 2010-12-14 2010-12-14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440A true KR20120066440A (ko) 2012-06-22

Family

ID=4668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789A KR20120066440A (ko) 2010-12-14 2010-12-14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64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9128B1 (de) * 2016-12-29 2018-04-15 Amstetten Buntmetall Vorrichtung zum bewegen einer zungenschiene einer weiche
AU2017261622B2 (en) * 2016-11-21 2023-01-05 Bharat Forge CDP GmbH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 switching of a railway switch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261622B2 (en) * 2016-11-21 2023-01-05 Bharat Forge CDP GmbH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a switching of a railway switch
AT519128B1 (de) * 2016-12-29 2018-04-15 Amstetten Buntmetall Vorrichtung zum bewegen einer zungenschiene einer weiche
AT519128A4 (de) * 2016-12-29 2018-04-15 Amstetten Buntmetall Vorrichtung zum bewegen einer zungenschiene einer weiche
WO2018119483A1 (de) * 2016-12-29 2018-07-05 Buntmetall Amstetten Ges.M.B.H. Vorrichtung zum bewegen einer zungenschiene einer weiche
US11447917B2 (en) 2016-12-29 2022-09-20 Wieland Austria Ges.M.B.H. Device for moving a tongue rail of a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60864B (zh) 钢轨安装系统
KR20120066440A (ko)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US5482231A (en) Rail switch point assist apparatus
KR20120066439A (ko) 철도 분기기용 무도유 롤러 베이스 어셈블리
KR20100038837A (ko) 아크길이의 제어가 가능한 용접장치
JP4486034B2 (ja) 短ノーズ可動クロッシング構造
US8684317B2 (en) Railroad switch point roller mechanism
JP3928169B2 (ja) 転てつ機接続装置
KR20110080822A (ko) 철도분기기용 철관연동장치 및 연동방법
CN211017610U (zh) 一种数据线与分配器的连接装置
JP3798274B2 (ja) 軌道用レールの仮置台
CN111029975A (zh) 一种侧支撑可微调电缆安装座
KR101832215B1 (ko) 집전장치 및 이를 갖춘 크레인
KR200319313Y1 (ko) 차륜 탈선방지용 안전가드 고정장치
JP2018053480A (ja) タイバ用接続構造
JPH04319193A (ja) 戸車及び該戸車を利用したスライド門扉
CN116556121B (zh) 高速铁路无砟轨道板纵向加固车
CN217094588U (zh) 一种托轮用的清洁装置及托轮
CN100488859C (zh) 一种可调节自动门锁装置
CN116201447A (zh) 无轨道下承重推拉门
JP4137808B2 (ja) 可動式横取装置
KR200333752Y1 (ko) 철도 분기기용 롤러 베이스 플레이트
CN2502886Y (zh) 塑料门窗焊接机
JP4912050B2 (ja) 転てつ減摩器
US20070176055A1 (en) Sliding device for railway swi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