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227A - 다단접힘식 포크 - Google Patents

다단접힘식 포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227A
KR20120065227A KR1020110120685A KR20110120685A KR20120065227A KR 20120065227 A KR20120065227 A KR 20120065227A KR 1020110120685 A KR1020110120685 A KR 1020110120685A KR 20110120685 A KR20110120685 A KR 20110120685A KR 20120065227 A KR20120065227 A KR 20120065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flanges
optical device
stage fold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826B1 (ko
Inventor
마우리지오 트라베르사
피에르 프란코 콤비나
바니 우그헤토
Original Assignee
유로포크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로포크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유로포크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2006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1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with shuttle-typ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포크는, 하측 기저부(10) 및 다단접힘식으로 연장될 수 있는 이동식 슬라이드(20,30)들을 포함하고, 각 세트의 롤러(13,14)들에 의해 각각의 슬라이드(20,30)가 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측 기저부(10)는 각각의 수직 평면(P11,P12)들내에서 기저플레이트(16)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한 수직 플랜지(11,12)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하측 기저부(10)에 대해 중간 슬라이드(20)를 미끄럼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11,12)들의 외측에서 횡방향으로 배열된 한 세트의 롤러(13)들을 고정한다. 상기 중간 슬라이드(20)는, 체인들의 안내부로서 작동하는 종방향 요홈(26a,26b)들을 가지고, 체인안내용 요홈(26a,26b)들은 상기 하측 기저부(10)의 플랜지(11,12)들이 연장되는 수직 평면(P11,P12)들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중간위치들에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1,12)들사이에서 중간위치에 적어도 제 1 광학장치(F)가 상기 하측 기저부(10)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슬라이드(30)의 하부표면에 제 2 광학장치(C)가 고정된다.
관통 개구부(23)는 상기 포크의 적어도 한 개의 작업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장치(F,C)들사이에 배열되도록 중간 슬라이드(20)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다단접힘식 포크{TELESCOPIC FORK}
본 발명은, 다단접힘식 포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단접힘식 포크는, 자동 조정(manipulation) 및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이용되고 전형적으로 파레트(pallet)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화된 리프트 트럭(lift truck)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자동화된 창고(warehouse)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공지된 것처럼, 다단접힘식 포크는 고정된 하측의 기저부 및 화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다단접힘식으로 운동하고 중첩되어 연장될 수 있는 한 개이상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처리되어야 하는 화물들의 크기와 원하는 총 이동거리에 맞춰지도록 이동식 다단접힘 요소들의 갯수(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가 선택된다.
종래기술 및 종래기술이 가진 문제점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들 중 도 2에 도시된 공지형태의 다단접힘식 포크가 우선 설명된다. 상기 포크는, 중앙에 위치한 두 개의 수직 플랜지(11,12)들을 가진 고정상태의 하측 기저부(10)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들은 수평축을 가진 제 1 세트의 롤러(13)들을 가진다. 상기 롤러(13)들은 중간 슬라이드(20) 또는 운동하는 요소를 다단접힘식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2 세트의 롤러(14)들에 의해, 상기 중간 슬라이드는 상부슬라이드(30) 또는 이동요소를 다단접힘식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고, 이용시 상기 상부 슬라이드는 전달되어야 하는 화물을 직접 지지한다.
두 개의 체인(27)들(도 2에서 단지 한 개만 도시됨)의 단부들이, 측면의 외측위치들내에서 상기 플랜지(11,12)들에 고정되고, 랙과 피니온 구동기구에 의해 중간 슬라이드(20)에 전달되는 종방향 미끄럼 운동이 상기 체인들에 의해 상기 상부 슬라이드(30)로 제공된다. 상기 구동기구는, 하측 기저부(10)에 구성되는 회전식 기어휠(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플랜지(11,12)들 사이에서 상기 중간 슬라이드(20)의 하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중앙에서 이동하는 종방향 랙(25)을 포함한다. 상기 체인(27)들은, 중간슬라이드(20)내에 형성되고 평행하게 배열된 요홈(26a,26b)들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슬라이드들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을 따르는 다수의 포크들은, 포크 몸체외부에 장착된 행정 스위치(stroke switch)(D)의 기계적 위치 또는 유도(inductive) 위치를 가진 제어시스템을 가진다. 포크가 이용되는 동안, 상기 외측위치는 행정 스위치들의 상기 단부를 특히 취약하게 만들고 약 5내지 10cm 만큼 포크의 전체 횡방향 수평크기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접힘식 포크내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을 최적화하고, 특히 상부슬라이드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광학 제어유닛을 보호위치에 배열하는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이해되는 상기 및 다른 목적들과 장점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특징들을 가진 다단접힘식 포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다단접힘식 포크의 선호되지만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다단접힘식 포크(telescopic fork)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단접힘식 포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다단접힘식 포크의 선호되는 실시예가, 하측 기저부(10), 상기 하측기저부(10)에 대해 다단접힘식으로 이동하는 중간 슬라이드(20) 및 상기 중간 슬라이드(20)에 대해 순서에 따라 다단접힘식으로 이동하는 상부 슬라이드(30) 또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상기 하측 기저부(10)는, 수평의 기저플레이트(16)를 가지고, 측면으로 수직배열된 한 쌍의 플랜지(11,12)들이 상기 기저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들은 수직의 중앙 또는 중간 평면(P)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열된다. 단면으로 볼 때, 상기 하측 기저부(10)는 대략 역 π의 형상을 가진다. 하기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종방향", "횡방향", "외부", "내부"와 같이 상대적인 방향 및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와 표현은, 수직의 중간평면(P) 및 도 1의 평면과 수직인 포크의 다단접힘식 운동의 "종방향"과 관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플랜지(11,12)들은, 각각 마주보는 상기 기저플레이트(16)의 종방향 측부 또는 변부(16a,16b)와 중간평면(P)사이의 중간위치에서 상기 중간평면(P)에 대해 대칭을 이루며 상기 기저플레이트(16)로부터 연장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플랜지(11,12)들은, 상기 변부(16a,16b)들사이의 거리를 따라 대략 1/3 및 2/3 경로에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랜지(11,12)들은, 수평플레이트(17)에 의해 서로 강하게 연결된다. 상기 수평플레이트(17)는, 상기 플랜지(11,12)들과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11,12)들과 함께 H 형상의 단면을 가진 단일 성형부재를 형성하는 수평의 플레이트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측기저부(10)상에서 상기 중간슬라이드(20)가 다단접힘식으로 미끄럼운동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축을 가진 제 1 세트의 롤러(13)들이 상기 플랜지(11,12) 외측에서 횡방향으로 제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롤러(13)들은, 중간슬라이드(20)내에서 측면의 종방향(lateral longitudinal) 공동(21)으로 형성된 두 개의 안내부들내에서 구름운동상태로 연결된다. 상기 공동(21)들은 상기 중간 평면(P)을 향한다. 상기 중간 슬라이드는, 횡방향으로 마주보게 외측을 향하는 제 2 쌍의 측면 종방향 공동(22)들을 가진다. 상부 슬라이드(30)에 형성된 수직의 횡방향 외측플랜지(36,37)들로부터 돌출하는 제 2 세트의 롤러(14)들이, 공지된 형태의 일반적인 구조로 상기 공동(22)내에 구름운동상태로 연결된다.
중간슬라이드(20)는, 수평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 평평한 중앙부분(24)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부분은 상기 플랜지(11,12)위에서 다리(bridge)와 같이 연장된다. 종방향으로 기다란 슬롯(slot) 형상을 가진 수직의 관통 개구부(23)는, 중앙영역에서 중간슬라이드(20)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한 개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종방향 랙(rack)(25)은, 상기 중간 슬라이드(20)의 하부 전체 길이를 따라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슬라이드(20)의 중앙부분(24) 하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평행하게 배열된 종방향 요홈(26a,26b)들이, 중간 슬라이드(20)내에 형성되고 전달(transmission)기구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각 체인을 위한 안내부로서 작동한다. 상기 전달기구는 래크(rack) 기구에 의해 상기 중간 슬라이드(20)에 전달된 미끄럼운동을 상부 슬라이드(30)로 전달한다. 각각의 상기 체인들은, 상기 하측기저부(10)에 고정된 제 1 단부 및 상기 상부 슬라이드(30)에 고정된 제 2 단부를 가진다.
본 발명을 따르는 포크내에 형성된 체인 전달기구는, 도 2에 도시된 공지의 포크내에 배열된 것보다 중간 평면(P)과 더욱 근접하게 배열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달체인과 간섭하지 않도록 수직의 플랜지(11,12)들은 횡방향으로 서로 더욱 떨어져 배열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측기저부(10)로부터 상기 플랜지(11,12)들이 돌출하는 수직 평면(P11,P12)들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중간위치에서 체인 안내기능의 요홈(26a,26b)들이 포크의 중간평면(P)과 근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 슬라이드의 위치를 직접 제어하기 위한 광학 제어유니트가 포크의 중심과 근접한 보호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1,12)들사이의 횡방향 거리가 증가하면 상기 횡방향 플랜지(11,12)들 중 적어도 한 개와 상기 랙사이에서 측면공간이 증가된다. 상기 플랜지(11,12)들사이의 측면 보호위치에서 상기 하측기저부(10)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한 개에 장착된 포토셀(photocell)(F)과 같은 제 1 광학장치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11,12)들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충분한 공간이 존재한다. 상기 플랜지(11,12)들과 상기 랙(25)사이에 자유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부 슬라이드(30)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한 개에서 하부면에 고정된 리플렉터(reflector)(C)와 같은 반사요소인 제 2 광학장치 및 상기 포토셀(F)사이에 관통 개구부(23)가 정렬될 때, 상기 제 2 광학장치가 상기 제 1 광학장치에 의해 직접 판독될 수 있다. 상기 포토셀(F), 관통개구부(23)와 리플렉터(C)는, 수직 평면이 선호되는 동일한 평면내에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포크가 완전히 수축된 행정(stroke)위치의 단부와 같은 규정된 작업위치에 도달할 때, 두 개의 광학장치들과 관통 개구부(23)가 이상적인 동일 직선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광학 시스템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전체 치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것이 분명하다. 상기 랙(25)이 중간 슬라이드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지라도, 랙은 포토셀(F)에 의해 방출되고 리플렉터(C)에 의해 반사되는 광선(R)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17)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공되는 수평 플레이트가 포토셀(F)에 고정되고 관통 개구부(18) 또는 다른 개구부를 가져서 상기 광선(R)이 차단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구멍(18)은 상기 포토셀(F)과 수직으로 정렬된다. 상기 광선(R)의 수직방향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광선(R)을 수직에 대해 경사지게 향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리플렉터(C)를 일치되게 기울어지게 하여 동일하게 만족스럽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를 이용하면 리플렉터가 절대수직(absolute verticality) 조건 없이도 반사광선을 효과적으로 수신기를 향해 확산시키므로 유리하다. 상기 광선(R)이 상기 중간 평면(P)에 대해 기울어지면, 포크의 규정된 위치, 전형적으로 포크가 완전히 수축된 행정 위치의 단부에서 방출된 광선 및 반사된 광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간 슬라이드의 개구부(23)가 배열되거나 설계된다.
본 발명은 반드시, 송신기와 수신기로서 작동하는 단일 포토셀을 포함한 광학장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덜 선호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랜지들(11 또는 12) 중 한 개가 배열되는 수직 평면(P11 또는 P12)들 중 한 개 및 해당 플랜지를 향하는 랙의 측부사이에서, 측면으로 한정된 평면에 입사광선과 반사광선사이에 예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송신 광학장치와 별도의 수신 광학장치가 제공된다. 모든 경우에서 상기 개구부(23)는, 행정 위치의 단부에서 반사광선과 입사광선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선택적으로, 중간슬라이드내에, 입사광선을 위한 개구부와 반사광선을 위한 개구부가 존재할 수 있다. 추가로, 도 1에 도시되고 단일 송신 및 수신 광학장치(F)를 가지는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들 사이에 종방향으로 기계적 유극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23)는 슬롯형태를 가지고 다시 말해 종방향으로 약간 기다란 형상을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 고려되어야 하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사실상, 본 발명은 부품들의 형상, 치수 및, 배열 및 구성, 작동의 상세부분들과 관련하여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사용조건에서는, 단지 두 개의 이동 슬라이드들이 포크에 제공되는 사양이 선호되지만,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세 개이상의 이동 슬라이드들을 포함한 포크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변형예들에서, 방출광선과 반사광선이 포크의 규정위치, 전형적으로 포크가 완전히 수축될 때 행정위치의 단부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상부 슬라이드와 기저부사이의 중간슬라이드들이 개구부들을 가져야 한다.
11, 12....플랜지,
13, 14....롤러,
23.....관통 개구부,
24.....중간 평면,
25.....랙.

Claims (13)

  1. 하측 기저부(10) 및 이동하는 복수 개의 슬라이드들(20,30) 또는 다단접힘식으로 연장될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하는 다단접힘식 포크(fork)로서, 수직의 대칭 평면(P)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된 각 세트의 롤러(13,14)들에 의해 각각의 슬라이드(20,30)가 미끄럼운동하고,
    상기 하측 기저부(10)는 각각의 수직 평면(P11,P12)들내에서 기저플레이트(16)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한 수직 플랜지(11,12)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하측 기저부(10)에 대해 중간 슬라이드(20)를 미끄럼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11,12)들의 외측에서 횡방향으로 배열된 한 세트의 롤러(13)들을 고정하고,
    상기 중간 슬라이드(20)는, 종방향 미끄럼운동을 상부 슬라이드(30)로 전달하기 위한 체인들의 안내부로서 작동하는 종방향 요홈(26a,26b)들을 가지는 다단접힘식 포크에 있어서,
    체인안내용 요홈(26a,26b)들은, 상기 하측 기저부(10)의 플랜지(11,12)들이 연장되는 수직 평면(P11,P12)들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중간위치들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12)들사이에 위치하고 횡방향으로 중간위치에서 상기 하측 기저부(10)에 적어도 제 1 광학장치(F)가 고정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드(30)의 하부표면에 제 2 광학장치(C)가 고정되고,
    상기 상부 슬라이드(30)와 하측 기저부(10)사이에서 중간 슬라이드(20)내에 적어도 한 개의 관통 개구부(23)가 형성되며, 상기 포크의 적어도 한 개의 작업위치에서 상기 관통 개구부(23)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장치(F,C)들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슬라이드(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랙(25)이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플랜지(11,12)들 중 한 개의 플랜지(12)가 연장되는 이상적인 수직 평면(P11) 및 상기 플랜지(12)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플랜지(12)를 향하는 상기 랙(25)의 측부가 연장되는 또 다른 이상적인 수직평면사이에서 상기 광학장치(F,C)들과 개구부(23)가 횡방향 또는 측면으로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부(23)는 종방향으로 기다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부(23)는 상기 플랜지(11,12)위에서 다리(bridge)와 같이 연장되는 중앙부분(24)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의 작업위치에서 관통 개구부(23), 제 1 광학장치(F)와 제 2 광학장치(C)가 수직평면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의 작업위치에서 관통 개구부(23), 제 1 광학장치(F)와 제 2 광학장치(C)가 수직 직선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12)들은, 기저플레이트(16)의 마주보는 종방향 변부(16a,16b)들과 중간평면(P)사이에서 횡방향의 중간위치들에서 상기 중간평면(P)에 대해 대칭구조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12)들은 수평 플레이트(17)에 의해 서로 강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평 플레이트(17)는 제 1 광학장치(F)위에 배열되며 상기 광학장치(F)위에서 수직으로 배열된 관통 구멍(1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장치(F)는 포토셀과 같은 광학적 송신기/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장치(F)는 하측 기저부(10)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한 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학장치(C)는 리플렉터와 같은 반사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학장치(C)는 상부 슬라이드(30)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한 개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의 작업위치는, 포크가 다단접힘식으로 수축될 때 행정 위치의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KR1020110120685A 2010-12-10 2011-11-18 다단접힘식 포크 KR101780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O2010A000985A IT1403012B1 (it) 2010-12-10 2010-12-10 Forcola telescopica
ITTO2010A000985 2010-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227A true KR20120065227A (ko) 2012-06-20
KR101780826B1 KR101780826B1 (ko) 2017-09-21

Family

ID=4373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685A KR101780826B1 (ko) 2010-12-10 2011-11-18 다단접힘식 포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63226B1 (ko)
KR (1) KR101780826B1 (ko)
CN (1) CN102556902B (ko)
IT (1) IT14030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1822B (zh) * 2014-06-10 2016-04-06 山西东杰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可精确定位的伸缩式轻型货叉
CN104310281B (zh) * 2014-08-28 2016-09-14 缪慰时 内燃驱动大吨位静液压四向叉车
ITUA20163972A1 (it) 2016-05-31 2017-12-01 Eurofork S R L Forcola telescopica.
IT202200010787A1 (it) 2022-05-24 2023-11-24 Eurofork S P A Forcola telescopica
IT202200010799A1 (it) 2022-05-24 2023-11-24 Eurofork S P A Coppia di forcole telescopich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27570A (fr) * 1967-06-16 1968-05-31 Demag Zug Gmbh Appareil de gerbage à plateforme télescopique développable des deux côtés ou d'un seul côté
SE366009B (ko) * 1972-07-11 1974-04-08 Bygg Och Transportekonomie Ab
DD102367A1 (ko) * 1973-03-12 1973-12-12
JP4674080B2 (ja) 2004-12-14 2011-04-20 株式会社ダイフク スライド式のフォーク装置
CN101885456B (zh) 2010-06-24 2013-05-22 西安航天动力机械厂 一种能够伸缩的货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O20100985A1 (it) 2012-06-11
IT1403012B1 (it) 2013-09-27
KR101780826B1 (ko) 2017-09-21
EP2463226A1 (en) 2012-06-13
CN102556902A (zh) 2012-07-11
EP2463226B1 (en) 2014-03-19
CN102556902B (zh)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5227A (ko) 다단접힘식 포크
EP2112095B1 (en) Article conveyance device
CN102336381B (zh) 堆装起重机
EP2261168B1 (en) A telescopic fork
US20160244260A1 (en) Automated warehouse
US4630855A (en) Lifting yoke for containers
CN102699900B (zh) 含双平台的过约束五自由度混联机器人
CN105050930A (zh) 用于带传送系统的转向系统
KR20010007319A (ko) 스태커 크레인
US7959396B2 (en) Automated warehou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cker crane in automated warehouse
TW200827265A (en) Stacker crane
CA2404171A1 (en) Conveyor system
CN111170217A (zh) 无人叉车
WO2014092284A1 (ko) 측면 이중 포크 캐리지형 무인운반차
CA2553605A1 (en) Conveying device
CN208361103U (zh) 一种具有纵横传输功能的智能输送车
KR910020286A (ko) 입체 주차장치
US9994427B2 (en) Safety chain for pallets for conveyors used to transport people and goods
ES2577538T3 (es) Carretilla pórtico para la utilización en terminales de contenedores y para tareas de transporte generales
EP1151959B1 (en) Lift truck with extensible mast
KR20050072148A (ko) 금속 코일용 이송 카트
CN214880012U (zh) 一种房屋建筑建设用升降平台装置
JP5429204B2 (ja) 搬送車
JP5532342B2 (ja) 物品保管設備
CN219429469U (zh) 起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