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347A - The management system of measuring standard point - Google Patents

The management system of measuring standard p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347A
KR20120064347A KR1020100125535A KR20100125535A KR20120064347A KR 20120064347 A KR20120064347 A KR 20120064347A KR 1020100125535 A KR1020100125535 A KR 1020100125535A KR 20100125535 A KR20100125535 A KR 20100125535A KR 20120064347 A KR20120064347 A KR 20120064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y
information
reference point
reference mar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5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에스이십일
김동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에스이십일, 김동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에스이십일
Priority to KR102010012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347A/en
Publication of KR2012006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3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4Permanent marks; Boundary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PURPOSE: A survey reference mark managing system using a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s provided to the convenience of a field survey and the reliability of survey data by mounting a smart card having a function in which the survey data is electrically recorded/read or an RFID chip on a landmark to be integrated. CONSTITUTION: A survey reference mark managing system using an RFID comprises a survey reference mark cover outlet, a survey information reader,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 GPS receiver. The survey reference mark cover outlet comprises a survey reference mark cover outlet body(10) and survey information saving member(20). The survey reference mark cover outlet body marks a survey reference mark on the ground. The survey information saving member mounted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urvey reference mark cover outlet body comprises an IC(Integrated Circuit) chip. The IC chip records survey related information in which ident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survey reference mark and coordinates are included in a digital way.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reads the survey related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urvey reference mark cover outlet in a non-contact wa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eceives the survey related information read by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and comprises a computing device driving an application software and information saving device. The GPS receiver performs a data communication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receives location data from a GPS satellite and transmits the received location data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escription

RFID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관리시스템{THE MANAGEMENT SYSTEM OF MEASURING STANDARD POINT}Survey Management Point Management System using RIFID {THE MANAGEMENT SYSTEM OF MEASURING STANDARD POINT}

본 발명은 기준점 표지구를 구성함에 있어 식별 부호, 측량 성과정보 등을 전자적으로 기록/판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스마트 카드 또는 RFID를 표지물 상에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현장 측량 작업의 편리성 및 측량 성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RFID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card or RFID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electronically recording / reading identification codes, surve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like in constructing a reference point marker is integrally mounted on a cover, thereby making it easy to perform surveying and surveying perform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y control point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일반적으로 지적 측량 또는 토목 측량과 같은 측량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 정확한 측량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작업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기준점을 지표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통상 일정한 표지물을 지중에 매설하여 두고 이를 이용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In general, in performing survey work such as cadastral survey or civil survey, in order to obtain accurate survey results, a reference point that is the basis of the work is required. They are buried and surveyed using them.

이와 같은 기준점 표지물로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에는 주로 석재 기둥의 형태를 갖는 표석을 지중에 매립 설치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합성수지제로 된 표지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As the reference point markers, various forms have been conventionally used, and in the past, the surface stones having the form of stone pillars were buried in the ground, but recently, the markers made of synthetic resins are mainly used.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 관리에 있어서는 지상에 매립 설치된 도근점과 같은 측량 기준점에 대하여 토탈 스테이션(광파 데오도라이트)과 같은 측량 장비를 사용, 측정점의 좌표를 산출한 다음, 측정점을 관리하기 위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종이 도면 상에 수기로 표기하거나 혹은 스케치 방식에 의하여 측정점에 대한 개요도를 작성하고 위치점에 대한 안내 사항을 수기로 표시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자료를 별도의 종합적인 대장을 통하여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었다.In the survey marker management using the conventional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as described above, the coordinates of the measurement points are calculated using survey equipment such as a total station (lightwave deodorite) with respect to the survey reference point such as the approach point installed in the ground. Next, in order to manage the measuring points, the general paper drawings were written by hand or sketched, and an overview diagram of the measuring points was prepared by hand, and the guide points for the location points were written by hand. The situation was managed through a separate general ledg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량 표지 관리 방식의 경우, 본격적인 측량 작업에 앞서 표지점의 위치 확인을 하고자 함에 있어 주변 지역의 지형 지물이나 지명, 기타 제반 상황을 참조로 하여 표지점의 위치를 육안에 의해 개략적으로 추적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urvey marker management metho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marker point prior to a full-scale surveying operation, the position of the marker point is visually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topographic features, names, and other circumstances of the surrounding area. Outlined by

그 확인은 별도의 대장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는 바, 이러한 방식의 경우 주로 인력에 의해 표지점의 검색 및 확인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있어 신뢰도 면에서 문제가 있었으며, 그 과정이 번거로우므로 표지점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작업 효율성도 매우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었다The check was made by a separate account book. In this case, since the search and verification of the mark point is mainly performed by manpow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error may occur due to a worker's mistake. There was a problem in the process, and the process was cumbersome, and the working time was also deteriorated due to the time required for checking the cover point.

한편, 최근 들어서는 측량 분야에 있어서도 GPS나 토탈 스테이션과 같은 디지털화된 측량장비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지리적 정보를 수집, 분석, 처리함에 있어서도 컴퓨터 기반의 도구로서 GIS(지리정보 체계; Geographic InformationRecently, digital surveying devices such as GPS and total station are widely used in the surveying field, and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s a computer-based tool for collecting, analyzing, and proces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측량표지 관리 방식의 경우 기본적으로 종이 대장에 의한 수기식 관리방식을 따르고 있음으로 인하여 이러한 디지털화된 GPS나 GIS 및 기타 측량장비와 연결하여 실시간적으로 사용할 수는 없는 것인 바, 이러한 장비 및 도구들과 연동하여 자동화된 종합적인 측량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The utilization of the system is increasing.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urvey cover management method as described above, since it basically follows a handwritten management method by a paper book, it cannot be used in real time in connection with such a digital GPS or GIS and other surveying equipment.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construct an automated comprehensive survey management system in conjunction with such equipment and tools.

또한, 실제 측량 작업에 있어서는 측량 장비에 기준점 좌표를 입력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입력 작업에 있어서 기존에는 표지점 관리 대장에 기록된 좌표값을 작업자가 일일히 손으로 입력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측량 결과물의 처리 및 관리에 있어서도 자료의 갱신이나 보완이 상당히 불편하고 제한적이라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었다.
In addition, in actual survey work, reference point coordinates must be input to surveying equipment. In this input work, since the operator manually inputs the coordinate values recorded in the cover point management account, the work is cumbersome and reliable. In addition, there was a disadvantage of falling, an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updating and supplementation of data was quite inconvenient and limited in the processing and management of survey results.

등록특허공보 10-0564145Patent Publication 10-0564145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측량 기준점 표시를 위한 기준점 표지구를 구성함에 있어 고유 ID, 측량 성과정보등을 전자적으로 기록/판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스마트 카드 또는 RFID 칩과 같은 측량정보 저장수단을 표지물 상에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현장 측량 작업의 편리성 및 측량 성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GPS와 같은 디지털화된 측량장치 및 GIS와 같은 전산화된 도구와 실시간으로 연동 운영할 수 있음으로써 기록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 및 확인, 갱신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의 편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RFID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tructing a reference point marker for displaying a reference point of measurement, survey information such as a smart card or an RFID chip having a function of electronically recording / reading a unique ID, surve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like. By installing the storage means integrally on the label,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nvenience of field surveying work and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results, and operate in real time with the digitalized instruments such as GPS and the computerized tools such as GI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urvey control point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which not only makes it easy to manage, verify and update records, but also ensures convenience and reliabili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관리시스템는 Surveying reference point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측량 기준점 표지구;Survey control point markers;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기록된 측량 관련 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읽어 들일 수 있는 측량정보판독기;A survey information reader capable of non-contact reading of survey related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상기 측량정보판독기에 의해 읽혀진 측량 관련 정보를 데이터 통신에 의해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며, 내부에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연산장치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정보처리장치; 및,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receive measurement related information read by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by data communication, and having an arithmetic device capable of driving application software therein 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And,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전송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And a GPS receiver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and receiving position data from a GPS satellit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data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구는,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cover sphere,

지표상에 측량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일정한 표식이 되어 있는 기준점 표지구 본체; 및,A reference point marker body having a constant mark on the top thereof so as to display a measurement reference point on the surface; And,

상기 기준점 표지구 본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측량 기준점에 대한 고유 ID와 좌표값이 포함된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IC 칩을 포함하여 된 측량정보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측량 관련 정보는 별도의 판독기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읽혀질 수 있고,And surveying information storage mean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marker main body and including an IC chip for digitally recording survey-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 unique ID and a coordinate value of the surveying reference point. Survey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can be read in a non-contact by a separate reader,

상기 정보처리장치에는 광파 측량기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더 연결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s achieved by further configuring the conventional instrument to enable data transmiss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측량 기준점 표시를 위한 기준점 표지구를 구성함에 있어 고유 ID, 측량 성과정보 등을 전자적으로 기록/판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스마트 카드 또는 RFID 칩을 표지물 상에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현장 측량 작업의 편리성 및 측량 성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측량 기준점 표지구가 제공되는 효과와 함께, 상기와 같은 측량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으로서 GPS와 같은 디지털화된 측량장치 및 GIS와 같은 전산화된 도구와 실시간으로 연동 운영할 수 있음으로써 기록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 및 확인, 갱신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의 편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된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card or RFID chip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electronically recording / reading a unique ID, surve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like in constructing a reference point marker for displaying a reference point of measurement is integrated on the cover.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providing a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to ensure the convenience of on-site survey work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results, the survey marke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as described above, such as GPS Improved management of survey markers that can be operated in real-time with computerized tools such as digitized surveying devices and GIS, making it easier to manage, verify, and update records, and ensure convenience and reliability. The effect provided by the system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mark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urvey mark management system using a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a surveying mark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urveying reference point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구(1)는 전체적으로 지표상에 측량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일정한 표식이되어 있는 기준점 표지구 본체(10) 및 상기 기준점 표지구 본체(1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 역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에 따라 이루어진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mark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figure, the reference point mark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display a measurement reference point on the indicat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ference point cover the main body 10 is a predetermined mark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20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cover the main body 10, the embodiment shown It can be seen that also made according to such a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측량 기준점 Survey Reference Points 표지구Cover ]]

도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구(1)는 전체적으로 지표상에 측량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일정한 표식이되어 있는 기준점 표지구 본체(10) 및 상기 기준점 표지구 본체(1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 역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에 따라 이루어진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mark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figure,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mark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whole display a measurement reference point on the indicat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ference point cover the main body 10 is a predetermined mark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20 i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cover the main body 10, the embodiment shown It can be seen that also made according to such a bas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구(1)는 지적 측량이나 토목 측량과 같은 측량 작업에서 측량의 기준점을 지표상에 표시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통상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측량 기준점 표지구들 중에서 지적측량의 기준점인 도근점(圖根點)을 표시하기 위한 도근점 표지구를 예로 들어 나타내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urveying reference point mark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rgets a conventional surveying reference point marker provided for the purpose of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of the survey on an indicator in a survey operation such as cadastral surveying or civil surveying.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pproach point marker for displaying the approach point, which is a reference point of cadastral survey, is shown as an example.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자형으로 각인된 도근점 표식(11')이 상부면에 형성된 원반체 형상의 본체 머리부(11)를 가지면서 설치시에는 이 본체 머리부(11)만이 지표상에 노출되고 다른 부분들은 지중에 매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도근점 표지구와 근본적으로 동일한 것이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공지 형태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의 일반 구성에 부가하여 측량 기준점에 대한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저장할수 있는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을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일반적인 측량 기준점 표지구들과는 구별되는 구성상의 특징을 가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head portion 11 is installed at the time of installation while having a disk-shaped main body head 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1) is essentially the same as a general approach point marker in that only the surface is exposed to the surface and can be installed to be buried in the ground,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added to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known reference point marker of the known type. By further comprising a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20 that can digitally store the survey-related information on the survey reference point has a configuration featur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s.

여기서,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은 측량과 관련된 정보를 내부에 기록하고 있는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은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인 형식으로 저장하여 두고 별도의 판독기(혹은 리더기)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읽혀질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Here, the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20 corresponds to a device that record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rvey therein, and the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20 stores the survey related information in a digital format and separately. It must be one that can be read contactlessly by the reader (or reader).

이와 같은 형태의 측량정보 저장수단으로는 현재 통신, 금융 등 여러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카드나 신원확인, 상품 식별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RFID 칩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마트 카드나 RFID 칩의 경우 데이터의 읽기/쓰기 기능 및 연산 기능까지 지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와 같이 스마트 카드 등을 이용하게 되면 사후 측량 성과 및 각종 부수 정보들을 입력 또는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측량 표지의 관리에 있어 유연성 및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such a form of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means can be implemented using an RFID chip that is current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ommunication, finance, smart card, identity verification, product identif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mart card or RFID chip as described above, the data read / write function and arithmetic function of the data are mostly supported. When the smart card or the like is used, it is possible to input or modify post-measurement results and various accompany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lexibility and utility in the management of the survey markers.

한편,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20)에 저장되는 정보의 경우 측량에 관련된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당해 측량기준점의 고유 ID 및 좌표값(경,위도 값)이 기본적인 정보로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이 밖에 당해 기준점 표지물의 설치 시기라든지 관리 기관과 같은 부수적인 정보들이 함께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20 corresponds to information related to surveying, and the unique ID and coordinate values (longitude and latitude values) of the survey reference point must be included as basic information. In addition, the timing of the installation of the control point markers or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management agency may be included.

또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측량정보 저장수단(20)으로서 스마트 카드를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1)를 구성함에 있어 전체적으로 지표상에 노출되는 원반체 형상의 본체 머리부(11)와 지중에 매입되는 지중관(13)으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본체 머리부(11)의 하부측에는 본체 나사봉(12)이 일체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 나사봉(12)이 지중관(13)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t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mart card is applied a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means 20 as described above, for this purpose in the construction of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mark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exposed to the surface as a whole The main body head 11 of the disk body shape and the underground tube 13 to be embedded in the ground and separa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head 11 so that the main body screw rod 12 is integrally extended so that the main body b. The sand bar 12 is configured to be screwed with the underground tube (13).

또한, 상기 지중관(13)의 소정위치에는 수평으로 지중관 플랜지(14)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지중관 플랜지(14)는 전술한 바와 같은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을 구현하기 위하여 채택된 것으로, 상기 지중관 플랜지(14) 내에는 각종 측량 정보가 판독 가능한 상태로 저장되는 스마트 IC칩(22) 및 RF 안테나(24)가 심겨지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underground pipe flange 14 is integrally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nderground pipe 13, and the underground pipe flange 14 has the above-described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means 20 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adopted to implement, it can be seen that the smart IC chip 22 and the RF antenna 24, which is stored in the ground pipe flange 14 is stored in a state that can be read various measurement information is configured.

이 때, 상기와 같은 RF 안테나(24)의 경우 상기 IC 칩(22)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외부 판독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유도 기전력에 의해 공급받을 수 있도록 수회 감겨져 배선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스마트 카드가 아닌 RFID 칩에 의해 본In this case, the RF antenna 24 is wound and wired several times so that power for driving the IC chip 22 can be supplied by induced electromotive force from an external reader (not shown). Smart card seen by non RFID chip

발명의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을 구현하는 경우는 이와 같은 RF 안테나를 필요로 하지 않고 트랜스폰더(Transponder)의 역할을 하는 RFID 칩만으로 구성될 것이나 이 경우에는 정보의 기록 저장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전술과 같은 스마트 카드 및 RFID 기술에 대한 사항은 이미 널리 알려져 적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f the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mean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t will be composed of only an RFID chip that acts as a transponder without the need for such an RF antenna, but in this case, it supplies power for recording and storing information. You will need to have a separate battery to receive. On the other hand, the smart card and RFID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is already widely known and applie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Survey cover management system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a survey marker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by using the above-mentioned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도 2는 본 발명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상기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은 측량 기준점에 대한 고유 ID와 좌표값이 포함된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1);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기록된 측량 관련 정보를 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읽어 들일 수 있는 측량정보판독기(100);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에 의해 읽혀진 측량 관련 정보를 데이터 통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urvey marker management system using a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urvey mark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nique ID and a coordinate value for a survey reference point. A surveying reference point marker 1 which digitally records the included survey related information; A survey information reader (100) capable of rea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rvey recorded in the survey reference point cover device in a non-contact manner; Survey data related to the survey information read by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100

신에 의해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200) 및;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전송하는 GPS 수신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connected to be received by the scene; It can be seen that it comprises a; GPS receiver 300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data received from the GPS satellite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먼저,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구(1)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량에 관련된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측량정보 저장수단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First,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marker (1) corresponds to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ma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ich is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for digitally stor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urvey as described above It is included.

이와 같은 측량 기준점 표지구(1)는 지상의 소정 위치마다 매립 설치되어 측량 기준점을 지표상에 표시하게 되는데,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에는 당해 기준점 표지구의 정확한 실제 위치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되어지며, 이와 함께 기준점 표지구의 식별을 위하여 각 기준점 표지구마다의 고유 ID가 함께 저장된다. 이 때,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에 기록, 저장되는 측량 관련 정보는 후술하는 외부의 측량정보판독기(100)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읽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공지의 스마트 카드 또는 RFID에 대한 기술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1 is embedded at every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ground to display a survey reference point on the surface. The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records data on the exact actual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marker. In addition, a unique ID for each reference point marker is stored together for identification of the reference point marker. At this time, the survey-related information recorded and stored in the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to be read in a non-contact by the external survey information reader 100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satisfy this technology of the known smart card or RFID This can be preferably applied is as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는 상기한 측량 기준점 표지구(1)에 기록 저장되어 있는 측량 관련 정보를 읽어 들이기 위한 스마트 카드 리더기나 RFID 트랜시버와 같은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고유 ID 및 좌표점을 포함한측량 데이터는 이 측량정보판독기(100)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추출되고 이 데이터는 후술하는 정보처리장치(200)로 전달되어 처리되게 된다.
Next,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100 corresponds to a device such as a smart card reader or an RFID transceiver for reading survey-related information recorded and stored in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1, and as described above, Survey data including ID and coordinate points are extracted in a non-contact manner by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100, and the data is transferr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described later for processing.

상기와 같은 측량정보판독기(100)에는 정보처리장치(200)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며,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에 의해 읽혀진 측량 관련 정보는 상기 정보처리장치(200)로 전송되어 필요한 목적에 따라 처리됨으로써 일정한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is connected to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100 such that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the survey related information read by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100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Treatment by the required purpose

측량 결과물을 생성해 내게 된다. Survey output is generated.

상기 정보처리장치(200)는 내부에 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220)와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일정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CPU와 같은 연산장치(210)를 갖춘, 즉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 시스템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정보처리장치(200)로는 휴대가 가능하여 측량 현장에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한 것(예컨대 노트북컴퓨터나 PDA)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is provided with a computing device 210 such as a CPU capable of processing a predetermined task by driving a storage device 220 such as a memory and application software therein, that is, in a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uch as a computer. As such,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is portable and easily movable to a surveying site (for example, a notebook computer or a PDA).

이와 같은 정보처리장치(200)에는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로부터 전송된 측량 관련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이 로딩되어 지적도의 작성이나 표지 현황 작성과 같은 일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내부 저장장치(220)에는 GIS 데이터를 저장하여 두고 이러한 GIS 데이터와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오버레이 연산 처리하면 측량 표지점에 관한 정보를 전산 도면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GIS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는 이를 위한 별도의 맵핑 소프트웨어(mapping S/W)를 탑재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GIS 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면 취득된 측량정보의 처리가 자동화된 프로세스에 의해 실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정보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is loaded wit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for processing the survey-relate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100 to perform a certain task, such as the creation of cadastral maps or the cover status In particular, when the GIS data is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device 220 and the GIS data and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100 are overlaid, the information about the survey mark point can be computerized. In such GIS data processing, a separate mapping software (mapping S / W) is to be installed for this purpose. When the GIS system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cessing of acquired survey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in real time by an automated process.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improving information compatibility.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처리장치(200)와 측량정보판독기(100) 사이의 데이터 전달 방식으로는 RS-232C(RecommendedStandard 232C),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포함하는 유선 케이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적외선(IR)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uletooth)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s a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00 and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o a wired cable method including RS-232C (Recommended Standard 232C), USB (Universal Serial Bus), etc.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infrared (IR) communication,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Bluetooth (Buletooth) and the like.

본 실시예에서는 측량정보판독기(100) 및 정보처리장치(200)에 각각 블루투스 모듈을 장착하여 블루투스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is embodiment, the measurement information reader 100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are each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by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Bluetooth method.

상기 GPS 수신기(300)는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위성신호에 포함된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통상적인 GPS 수신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GPS 수신기(300)에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는 데이터 통신에 의해 상기 정보처리장치(20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GPS 수신기(300)를 주요 구성으로서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측량 기준점을 탐색함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기(300)에서 전달된 현재위치에 관한 데이터에 의해 개략적인 위치를 알아낸 다음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에 의해 쉽게 기준점 표식을 찾아 낼수 있어 측량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별도의 기준점 표식에 대한 위치 설명도 및 세부 상세 정보가 기록된 대장을 갖추고 이를 통하여 기준점 표식을 육안에 의해 탐색하여야 했으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게 되면, GPS 수신기(300) 및 이와 연동된 GIS 전자 지도를 통해 찾고자하는 기준점에 대한 개략적인 위치를 추적한 후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를 주변에 위치시키면 스마트 카드(또는 RFID)에 감응하여 사용자가 바로 기준점을 발견할 수 있게 되므로 측량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GPS receiver 300 corresponds to a conventional GPS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satellite signals from GPS satellites and extracting position data included in the received satellite signals to acquire data on the current position. The position data acquired by the receiver 300 is transferr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by data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PS receiver 300 is included as a main configuration, and thus, when searching for a survey reference point, a rough position is determined by data relating to a current position transmitted from the GPS receiver 300, and then the survey information is obtained. Since the reference point markers can be easily found by the reader 100,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surveying operation can be obtained. 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position explanatory diagram and detaile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parate reference point markers were recorded and the reference point markers should be visually searched through this,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GPS receiver 300 After tracking the approximate location of the reference point to be searched through the GIS electronic map linked with it and placing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100 around, the user can find the reference point immediately in response to a smart card (or RFID). This will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urvey work.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처리장치(200)에 광파 측량기(400)를 추가로 연결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역시 바람직한구성으로서 본 발명이 가지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즉, 기존에는 실제 측량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기준점에 대한 좌표를 작업자가 일일히 입력하여야 하였으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입력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부정확한 측량 성과를 얻을 우려가 있었으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게 되면 측량정보판독기(100)에 의해 읽어들인 기준점 좌표 데이터가 데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configure the conventional optical instrument 400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which is also one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referred configuration. In other words, in the past, the operator had to input the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point in the actual survey work, which was cumbersome and an error occurred in the input process, resulting in inaccurate survey results, but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point coordinate data read by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100 is

이터 통신을 통해 자동적으로 광파 측량기(400)에 입력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입력 작업에 드는 노력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측량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Since the data is automatically input to the conventional instrument 400 through data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duce the effort required for the above input work but also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result.

이와 같은 광파 측량기(400)와 정보처리장치(200) 간의 연결은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것을 요하며, 이와 같은 연결 방식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RS-232C 통신을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Such a connection between the conventional instrument 400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200 needs to be connected to enable data transmission. Such a connection method is applicable to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including RS-232C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Could be.

10 : 기준점 표지구 본체 20 : 측량정보 저장수단
100 : 측량정보판독기 200 : 정보처리장치
300 : GPS 수신기
10: reference point cover sphere body 20: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100: survey information reader 200: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300: GPS Receiver

Claims (3)

측량 기준점 표지구;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기록된 측량 관련 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읽어 들일 수 있는 측량정보판독기;
상기 측량정보판독기에 의해 읽혀진 측량 관련 정보를 데이터 통신에 의해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며, 내부에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연산장치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전송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구는,
지표상에 측량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일정한 표식이 되어 있는 기준점 표지구 본체; 및,
상기 기준점 표지구 본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측량 기준점에 대한 고유 ID와 좌표값이 포함된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IC 칩을 포함하여 된 측량정보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측량 관련 정보는 별도의 판독기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읽혀질 수 있고,
상기 정보처리장치에는 광파 측량기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관리시스템.
Survey control point markers;
A survey information reader capable of non-contact reading of survey related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urvey reference point marker;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nected to receive measurement related information read by the survey information reader by data communication, and having an arithmetic device capable of driving application software therein and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information; And,
And a GPS receiver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and receiving position data from a GPS satellit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location data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he measurement reference point cover sphere,
A reference point marker body having a constant mark on the top thereof so as to display a measurement reference point on the surface; And,
And surveying information storage means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marker main body and including an IC chip for digitally recording survey-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a unique ID and a coordinate value of the surveying reference point. Survey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can be read in a non-contact by a separate reader,
Surveying reference poin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RFI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ntional instrument is further connected to enable the data transmission.
제1항에서,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은,
스마트 카드 또는 RFID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관리시스템.
In claim 1,
The survey information storage means,
Surveying reference point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rt card or RFID chip.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정보처리장치에는, GIS 데이터 및 이의 운용을 위한 맵핑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GIS data and the mapping software for its operation is equipped with a surveying reference point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KR1020100125535A 2010-12-09 2010-12-09 The management system of measuring standard point KR201200643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535A KR20120064347A (en) 2010-12-09 2010-12-09 The management system of measuring standard p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535A KR20120064347A (en) 2010-12-09 2010-12-09 The management system of measuring standard poi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347A true KR20120064347A (en) 2012-06-19

Family

ID=46684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535A KR20120064347A (en) 2010-12-09 2010-12-09 The management system of measuring standard p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347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939B1 (en) * 2012-11-30 2013-03-06 (주) 한양지에스티 Geological spatial information survey system
KR101532582B1 (en) * 2013-12-23 2015-06-30 한국국토정보공사 Processing Method of Cadastral Survey Data
KR20160038381A (en) 2014-09-30 2016-04-07 한국국토정보공사 Guiding Device for Location of Indication Reference Point and Method Therewith
KR20170102765A (en) * 2016-03-02 2017-09-12 한국국토정보공사 Method and apparstus of monitoring survey marker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KR20180123771A (en) 2017-05-10 2018-11-20 한국국토정보공사 Method for managing survey marker be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apparatus the same
KR20220112642A (en) * 2021-02-04 2022-08-11 이재영 Aerial target having reference point funct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939B1 (en) * 2012-11-30 2013-03-06 (주) 한양지에스티 Geological spatial information survey system
KR101532582B1 (en) * 2013-12-23 2015-06-30 한국국토정보공사 Processing Method of Cadastral Survey Data
KR20160038381A (en) 2014-09-30 2016-04-07 한국국토정보공사 Guiding Device for Location of Indication Reference Point and Method Therewith
KR20170102765A (en) * 2016-03-02 2017-09-12 한국국토정보공사 Method and apparstus of monitoring survey marker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KR20180123771A (en) 2017-05-10 2018-11-20 한국국토정보공사 Method for managing survey marker be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apparatus the same
KR20220112642A (en) * 2021-02-04 2022-08-11 이재영 Aerial target having reference point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145B1 (en) Survey Indicator Management System using Survey Control Point Indicator Device
EP2035775B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land survey mark based on the use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er tag
US20060220955A1 (en) Geographic marking device with RFID transponder
CA2832188C (en) Underground asset management system
KR20120064347A (en) The management system of measuring standard point
KR100875690B1 (en) RDF tag embedded underground indicator and its operating system
US20150076221A1 (en) System, method and monument for land surveying
CA2777553A1 (en) Locator assembly for detecting, locating and identifying buried objects and method of use
KR101486652B1 (en) A multipurpose function electronic measurement reference station system
KR100723600B1 (en) Method for analyzing national level control point survey result using a observation drawing self construction in geodetic surveying
JP4262218B2 (en) Surveying system
KR20160015341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arker information of cadastral survey
CN103487045A (en) Indoor positioning navigation system
KR20130010067A (en) Underground management system
CN106383358A (en) Beidou satellite positioning-based concealed work digital marking and detection device
CN105425260A (en) High-positioning-precision middle-long-distance intelligent read-write well lid device and identification method thereof
US20030234293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urvey monument system
KR200359649Y1 (en) Survey Control Point Indicator Device and Survey Indicato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100847566B1 (en)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tag
KR102222687B1 (en) Control point system based on mobile app
JP2006292464A (en) Positional information recording management method
KR101442016B1 (en) Installing method of steel cover for maintaining manhole or chamber electronically by using near field wireless tag connector and mobile application, and method of maintaining and managing manhole or chamber using the same
JP5615587B2 (en) Mobile terminal for maintenance of marking information, maintenance program, and maintenance method
KR20110005744U (en) facilities baseline measurements
KR101654421B1 (en) Guiding Device for Location of Indication Reference Point and Method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