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253A - 고형 지방산을 함유하는 당의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형 지방산을 함유하는 당의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253A
KR20120063253A KR1020100124352A KR20100124352A KR20120063253A KR 20120063253 A KR20120063253 A KR 20120063253A KR 1020100124352 A KR1020100124352 A KR 1020100124352A KR 20100124352 A KR20100124352 A KR 20100124352A KR 20120063253 A KR20120063253 A KR 20120063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
fatty acid
sugar solution
solution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078B1 (ko
Inventor
유은정
장은성
이헌식
김대중
박형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00124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0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2Organic compounds, e.g.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93Tablet coating 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 지방산을 함유하는 당의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의제제(당의정)을 단시간에 제조할 수 있는 연속코팅법을 이용한 당의제제의제조에 적합하며, 충분한 경도와 붕해성을 가지며, 저흡습성 및 방취성이 우수한 당의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형 지방산을 함유하는 당의액 조성물 {A sugar-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solid fatty acids}
본 발명은 고형 지방산을 함유하는 당의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의제제(당의정)를 단시간에 제조할 수 있는 연속코팅법을 이용한 당의제제의제조에 적합하며, 충분한 경도와 붕해성을 가지며, 저흡습성 및 방취성이 우수한 당의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의제제(당의정)는 산소, 물, 냄새의 투과를 막는 기능이 우수하고, 맛이 쓰거나 자극성이 있는 중심정(中心錠)의 섭취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겉모습이 아름다워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며, 목구멍으로 잘 넘어가게 할 수 있는 제제이기도 하다. 이러한당의제제(당의정)는 시럽액을 중심정 전체에 도포하고 얇게 펼쳐서 건조시키는 조작을 수십 회에 걸쳐 반복함으로써 매끄러운 타원체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당의제제는중심정에 신속하게 둥그스름한 모양을 주기 위한 선피층(subcoating), 이의 표면을 매끄럽게 수정하기 위한 중피층(smoothing), 도색을 위한 착색층(coloring)을 만들고, 마지막에 왁스류로 광택(polishing)을 냄으로써 제조된다. 이들 각 단계의 기본조작은1) 코팅하려는 제제를 팬(pan)에 넣어 회전, 2) 당의액의 분무 3) 뜸들임 4) 다음에 온풍을 불어넣어 시료를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이하 2)-4)의 조작을 반복하여 당의층을 만들며, 뜸들임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탈크, 침강 탄산칼슘, 설탕 등을 산포하여 시료 상호간의 부착을 방지한다. 이 중 뜸들임은 당의제제의 측면부를 완전히 매립하고, 분무한 당의액을 정제 표면에 균일하게 퍼지게 하기 위한 공정으로, 통상 높은 점도를 갖는 당의액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불가결한 공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을 포함하는 당의제제의 제조에는 긴 작업시간이 소요되고, 수분함량이 높은 상태에서 시간을 정치함으로써 제제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정제끼리 서로 붙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 또한, 당의제제는 각 공정에 알맞은 당의액을 따로 제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시료 상호간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포를 하는 등 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필름 코팅과 비교하여 작업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며, 작업자의 경험적 기법에 크게 의존하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상기의 불리한 면을 극복하는 제조방법으로 필름코팅 공정처럼, 코팅액을 분무하면서동시에 건조를 행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이하, '연속코팅법'이라 한다)이 검토 된 바 있다. 연속코팅법에서는 당의액을 정제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펴지도록 하기 위하여 당의액을 희석하고 점도를 낮게 하고자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의 히드록시프로폭실기의함량을 조정하는 기술 등이 보고되었다(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87648호). 그리고, 실리콘을 특정한 비율로 배합한 당의액을 이용하여 연속코팅을 실시한 기술도 제시되었다(일본 특허공개번호 제2009-46407호).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들은 당의층의 치밀함이 충분하지 않아 당의제제의 특징인 산소, 물, 냄새를 차폐하는 기능이 뒤떨어지거나, 국내 식품산업에서 소포제의 용도로만 한정되며 그 첨가량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는 실리콘을 사용함으로써 산업화에 큰 장애를 안고 있었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연속코팅법을 이용한 당의제제의 제조에 적합하며, 충분한 경도와 붕해성을 가지며, 저흡습성 및 방취성이 우수한 당의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코팅법을 통하여 제조되는 당의제제에서 선피층과 중피층을 1개의 선피-중피 결합층으로 통합함으로써 당의액의 제조시간 및 제제의 생산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저흡습성, 방취성이 우수한 당의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하여 제조되는 당의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당의액 조성물에 있어서,
고형 지방산을 0.05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당의액 조성물은
a) 당류 5-45 중량%;
b) 충전재 5-50 중량%;
c) 결합제 0.05-5 중량%;
d) 고형 지방산 0.05-10 중량%; 및
e)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점을 당의액 조성물로 연속코팅법을 적용하여 당의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당의액 조성물은 고형 지방산을 함유하는 당의액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제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당의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당의액 조성물은 연속코팅법을 이용한 당의제제의 제조에 적합하며, 충분한 경도와 붕해성을 가지며, 저흡습성 및 방취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코팅법을 통하여 제조되는 당의제제에서 선피층과 중피층을 1개의 선피-중피 결합층으로통합함으로써 당의액의 제조시간 및 제제의 생산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저흡습성, 방취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의제제의 표면을 영상분석기로 표면을 100배 확대한 사진이고,
도 2는 종래방법에 따라 제조한 당의제제의 표면을 영상분석기로 표면을 100배 확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적인 당의코팅은당의액을 분무 한 후, 뜸들임 과정을 통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건조장치 없이 팬을 돌려 시료끼리 당의액을 고루 묻히게 함으로써 표면을 평활하게 다듬고, 엣지 부분을 둥글게 한다. 그러나, 연속코팅법에서는 당의액 분사와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일반적인 당의액을 투입할 경우 코팅면이 고르지 못하고 스프레딩성(spredability)이 나빠 엣지부분의모양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고형지방산을 당의액에 첨가하면 당의액의 전연성이 증가하여 연속코팅법으로 정제를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고, 매끄러운 표면의 당의제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당의액 조성물은 고형 지방산을 0.05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당의액 조성물은 a) 당류, b) 충전재, c) 결합제, d) 고형 지방산 및 상기 성분을 제외한 잔량의 e) 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a) 당류는 통상 당의제제의 당의층 형성에 사용되는 당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당, 포도당, 유당, 트레할로스 등과 소르비톨, 만니톨, 말티톨, 자일리톨 등의 당알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자당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당의액에 있어서, 당류의 배합량은 임의로 조절가능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당의액 조성물 총 종량의 5-45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로 하는 것이 좋다. 당류가 상기의 범위보다 적은 경우 당의층의 성장이 느려져, 코팅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고, 범위를 초과하면 결합제의 용해가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b) 충전재에는 통상적으로당의제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충전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 침강성 탄산칼슘, 탈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프레딩성(spreadability)을 방해하지 않은 범위에서 그 밖의 충전재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당의액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5-5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a) 당류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1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충전재는 함량이 증가할수록 코팅시 정제의 질량이 빠르게 증가하므로, 충전재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코팅할 때 정제의 질량 증가가 느리기 때문에 코팅 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충전재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코팅 후 정제의 표면이 거칠어지는 결과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c) 결합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젤라틴과 아라비아검을 비롯하여,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또는 풀루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그 특성에 따라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당의액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0.05-5 중량%로 배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결합제는 층의 강도와 엣지(edge) 부분에의부착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결합제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취성강도와 내압강도가 약해 온ㆍ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당의층이 파열되기 쉬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결합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당의액의 점도가 과도하게 상승하여 액을 여과하고 제조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붕해가 지연되어 중심정의 성분이 용출되는 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d) 고형 지방산은 연속코팅 공정에서 당의액의 전연성을 증가시키는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고형지방산은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고형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고형지방산은 당의액 조성물 총 중량의 0.05-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한 고형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당의액의 전연성이 좋아져 정제에 신속하고 균일하게 도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형지방산의 함량비가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연속코팅법에서 균일하고 매끈한 표면의 당의제제를 얻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수불용성인 고형지방산을 당의액에 균일하게 하기 어려우며, 당의층의 색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당의액 조성물은 e)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바, 상기 물은 정제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당의액 조성물은 유화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당의액 조성물에 함유되는 고형지방산을 물에 충분히 분산시켜 당의제제의 제조에 도움을 준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유화제는 HLB가 8-19인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11-18이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 상기 유화제로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glycerin fatty acid ester),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의액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의 함량은 상기 a) 고형 지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00 중량부가 좋다.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균일한 코팅액 조성물을 얻기가 어려우며,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당의액 제조시 거품 발생이 많아지며, 유화제 특유의 맛 등이 남아 바람직하지않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a) 고형 지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150 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당의액 조성물은 상기 각 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로서 허용되면서 섭취가 가능한 각종 임의 성분을 목적에 따라서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와 같은 첨가제로서, 예를 들면 착색제 및 광택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각종 식용색소 및 코치닐, 치자추출물등의 천연색소 등이 있고, 그의 배합량은 당의액 조성물에 대하여 0.1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택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카나우바왁스나 밀납 등이 있고, 그의 배합량은 당의액 조성물에 대하여 0.1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점을 당의액 조성물로 연속코팅법을 적용하여 당의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재한 당의액 조성물로 연속코팅하는 당의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당의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재한 당의액 조성물을 제외한 공지의 연속코팅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의제제 제조방법에서 당의액을 도포하는 중심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예로 소정(plain tablet)이나, 소정에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쉘락 등을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하여 언더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일반적인 당의정의 제조 공정은 선피층, 중피층, 착색층, 광택층의 4공정으로 구별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당의제제 제조방법은 연속코팅법으로 적용함으로써 선피층와 중피층 공정을 선피와 중피층이 경합된 선피-중피 결합층 1단계로 압축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당의액이 충분한 전연성을 지님으로서 빠른 건조시간에도 균일한 코팅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당의제제의 제조방법은연속코팅법을 적용하여 충분한 경도와 붕해성을 가지며, 저흡습성, 방취성 및 외관이 우수한 당의제제를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단시간에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뜸들임 공정 없이 연속코팅법을 사용한 경우에도 당의층을 균일하고 평활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흡습성 및 이취가 강한 중심정을 대상으로 코팅을 실시하였을 때에도 크랙 및 이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당 27 중량%, 침강 탄산칼슘 26 중량%, 아라비아검 1.5 중량%,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AN6 2910type, 삼성정밀화학) 1.5 중량%, 스테아린산 (Emersol 7036 NF powder, 이머리 올레오 케미칼) 2 중량%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당의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아라비아검, 스테아린산를 먼저 교반하여 용해한 후, 자당과 침강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교반 및 용해는 40?로 유지한 상태에서 실시하였으며, 용해물은 메쉬 250㎛의 망에 걸러 미용해물을 제거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동코팅기(SFC-30FS, 세종파마텍)에 유당과 옥수수전분을 주체로 하는 정제 (정당 300mg, 직경 10mm)를 투입하고, 여기에 코팅액을 이용하여 당의 코팅을 실시하여 정당 250mg의 당의층을 형성한 정제를 얻었다.
실시예 2
자당 27 중량%, 침강 탄산칼슘 26 중량%, 아라비아검 1.5 중량%,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AN6 2910type, 삼성정밀화학) 1.5 중량%, 스테아린산 (Emersol 7036 NF powder, 이머리 올레오 케미칼) 2 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로토에스텔S-1670, Mitsubishi-kagaku Foods Corp.) 2 중량%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당의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아라비아검, 스테아린산, 자당지방산에스테르를 먼저 교반하여 용해한 후, 자당과 침강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교반 및 용해는 40?로 유지한 상태에서 실시하였으며, 용해물은 메쉬 250㎛의 망에 걸러 미용해물을제거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동코팅기(SFC-30FS, 세종파마텍)에 유당과 옥수수전분을 주체로 하는 정제 (정당 300mg, 직경 10mm)를 투입하고, 여기에 코팅액을 이용하여 당의 코팅을 실시하여 정당 250mg의 당의층을 형성한 정제를 얻었다.
비교예 1
자당 27 중량%, 침강 탄산칼슘 26 중량%, 아라비아검 1.5 중량%, HPMC 1.5 중량%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당의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당의 코팅을 실시하여 정당 250mg의 당의층을 형성한 정제를 얻었다.
비교예 2
자당 42 중량%, 침강 탄산칼슘 21 중량%, 아라비아검 2.48 중량%, 젤라틴 0.46 중량%, 탈크 10.06 중량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당의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라비아검, 젤라틴을 물에 중탕으로 먼저 완전히 용해한 후 자당, 침강 탄산칼슘 및 탈크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체거르기하여 선피용 당의액으로 하였다.
이것과는 별도로 자당을 물에 용해하여 66 중량% 시럽을 제조하여 중피용 코팅액으로 하였다.
유당과 옥수수전분을 주체로 하는 정제 (정당 300mg, 직경 10mm)를 양파형 수동 코팅기에 투입하고, 여기에 선피용 코팅액을 이용하여 222mg의 1차 코팅을 실시하고, 중피용 코팅액을 이용하여 78mg의 층을 형성하여 1정당 총 600mg의 당의제제를 얻었다. 이때, 코팅방법은 연속코팅을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당의방법인1)당의액 분사 2)뜸들임 3) 건조를 반복하여 당의층을 형성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정제 상호간의 부착을 방지하고자 침강 탄산칼슘을 산포하였다.
<실험 1>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얻어진 당의제제를 대상으로 20명의 패널에게 외관을 평가하게 한 조사 결과와 코팅 작업시간 및 코팅층 중량을 하기의 표1에 기록하였다. 또한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당의정을 대상으로 영상분석기로 표면을 100배 확대하여 관찰하였으며, 이를 도 1과 도 2에 나타내었다.
외관상태* 작업시간 코팅층 중량(mg)
실시예1 3.6 3시간 250
실시예2 4.6 3시간 250
비교예1 2.8 3시간 250
비교예2 4.4 11시간 300
외관평가: 5점 척도법 사용 (1: 매우 거침, 2: 약간 거침, 3: 보통, 4: 매끄러움, 5: 매우 매끄러움)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2의 당의제제는 비교예 1의 당의제제에 비하여 외관상태가 매우 우수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2의 경우 더욱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는 통상의 수동 방법으로 제조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면서도 연속코팅법을 사용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당의제제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교적 흡습성이 있고 냄새가 강한 원료를 선정하여 중심정으로 만든 뒤 당의층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중심으로 효모추출물분말(HITHION YH-8, Kohjin Co., Ltd.)을 주원료(45%)로 하여 정제를 제조(1정당 300mg, 직경10mm)하였다.
또한 자당 27 중량%, 침강 탄산칼슘 26 중량%, 아라비아검 2 중량%, 스테아린산 (Emersol 7036 NF powder, 이머리 올레오 케미칼) 2.5 중량%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당의액 조성물로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당의 코팅을 실시하여 1정당 250 mg의 당의층을 형성한 당의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서 사용된 정심정과 동일한 중심정에 대하여 자당 27 중량%, 침강 탄산칼슘 26 중량%, 아라비아검 2 중량%, 스테아린산 (Emersol 7036 NF powder, 이머리 올레오 케미칼) 2.5 중량%, 자당지방산에스테르(로토에스텔S-1670, Mitsubishi-kagaku Foods Corp.) 2.5 중량% 및 잔량의 물로 구성된 당의액 조성물로 상기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당의제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1에서 사용한 당의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각각 실시예 3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당의제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2에서 사용한 중심정을 대신하여 실시예 3에서 사용한 중심정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당의제제를 제조하였다(총당의층 300mg).
<실험 2>
실시예 3-4 및 비교예 4에서 얻어진 당의제제를 대상으로 경도와 붕해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40?, 75%RH 조건에서1개월간 저장한 보관품에 대하여 당의층의 크랙(crack) 발생률을 관찰하였으며, 2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이취발생 정도를 평가하였다.
경도(Kp) 붕해도(분) 크랙 발생률(%)* 이취 강도*
실시예 3 11.79 31 60% 4.5
실시예 4 12.34 37 20% 3.2
비교예 4 12.01 34 80% 5
- 크랙 발생률(%): 각 샘플을 PE소재 지퍼백에 넣어 항온항습기에 1개월간 보관 후 총 정제수 대비 크랙 발생 정제수 비율을 기록함
- 이취 강도: 5점 척도법 사용 (1: 매우 약함, 2: 약한, 3: 보통, 4: 강함, 5: 매우 강함)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의액 조성물을 이용한 실시예 3-4는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한 비교예 4보다 코팅층의 중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동등한 수준의 경도를 보였으며, 붕해성도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코팅과정 중 당의액 조성물 중의 수분이 중심정에 약간 침입하는 과정은 피할 수 없어, 당의층이 공기 중의 수분을 차단한다 하더라도 중심정이 수분에 불안정한 경우 이것이 당의정에 크랙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당의액 조성물은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당의제제와 비교할 때 크랙 발생률이 적으며, 방취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당의액을 연속코팅법으로 적용하였을 때, 종래의 산포 등의 과정을 거친 당의제제에 비하여 균일한 코팅층을 가짐으로써 뛰어난 방취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며, 고형 지방산의 첨가로 코팅층의 취성강도가 증가하여 크랙 발생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실시예 4의 경우 크랙 발생률 및 이취강도의 저하가 더욱 현저하였다.

Claims (9)

  1. 당의액 조성물에 있어서,
    고형 지방산을 0.05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액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의액 조성물은
    a) 당류 5-45 중량%;
    b) 충전재 5-50 중량%;
    c) 결합제 0.05-5 중량%;
    d) 고형 지방산 0.05-10 중량%; 및
    e) 잔량의 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액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지방산은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액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유화제를 상기 고형 지방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300 중량부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액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HLB가 8-1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액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glycerin fatty acid ester),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액 조성물.
  7. 중심점을 당의액 조성물로 연속코팅법을 적용하여 당의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당의액 조성물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당의액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제제 제조방법.
  8. 제7항 기재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당의제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당의제제는중심정, 선피-중피 결합층, 책색층 및 광택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의제제.
KR1020100124352A 2010-12-07 2010-12-07 고형 지방산을 함유하는 당의액 조성물 KR101632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352A KR101632078B1 (ko) 2010-12-07 2010-12-07 고형 지방산을 함유하는 당의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352A KR101632078B1 (ko) 2010-12-07 2010-12-07 고형 지방산을 함유하는 당의액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253A true KR20120063253A (ko) 2012-06-15
KR101632078B1 KR101632078B1 (ko) 2016-06-21

Family

ID=4668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352A KR101632078B1 (ko) 2010-12-07 2010-12-07 고형 지방산을 함유하는 당의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0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418A (ja) * 2000-12-28 2002-07-19 Nonogawa Shoji Kk コーティング剤及びこれを用いたコーティング錠
KR20040080326A (ko) * 2002-01-31 2004-09-18 도와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경질 당의제제, 당의액 및 경질 당의제제의 제조방법
KR20100015845A (ko) * 2007-04-26 2010-02-12 에자이 알앤드디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정제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418A (ja) * 2000-12-28 2002-07-19 Nonogawa Shoji Kk コーティング剤及びこれを用いたコーティング錠
KR20040080326A (ko) * 2002-01-31 2004-09-18 도와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경질 당의제제, 당의액 및 경질 당의제제의 제조방법
KR20100015845A (ko) * 2007-04-26 2010-02-12 에자이 알앤드디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정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078B1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25592T2 (de) Filmbeschichtungen und film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auf der basis von dextrin
RU2428178C2 (ru) Сахарные покрытия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EP2772250B1 (en) Enteric composition for the manufacture of soft capsule wall
JP4890260B2 (ja) 皮膜形成性デンプン組成物
JP6911900B2 (ja) コーティング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EP1712583A1 (en) Porous cellulose aggregate and formed product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H07103047B2 (ja) 薬剤、食料品及び菓子類の製品の水性のフイルムコーテイングのためのポリデキストローズを基剤としたコーテイング
US20130095141A1 (en) Food grade dry film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2371358A1 (en) Film-form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03070224A1 (de) Schnelllöslicher filmüberzug basierend auf polyvinylalkohol-polyether-pfropfcopolymeren in kombination mit hydroxy-, amid-, oder esterfunktionen enthaltenden komponenten
KR101138851B1 (ko) 금연 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금연 껌 제조방법
Guo et al. A novel zein-based dry coating tablet design for zero-order release
JP2008513584A (ja) 被覆組成物
CN105916598A (zh) 含有中链甘油酯的即释型膜包衣及用其包被的基质
EP3240842B1 (en) Novel film coating composition
KR20120063253A (ko) 고형 지방산을 함유하는 당의액 조성물
JP2010509350A (ja) 糖コーティングおよびその方法
KR102047427B1 (ko) 당의액 조성물
JP5442267B2 (ja) 糖衣液及び糖衣液を用いた糖衣錠のコーティング方法
CN113456639A (zh) 一种抗心律失常的药物组合物及制备方法
JP5159091B2 (ja) 活性成分の溶出を徐放性に制御する固形製剤
RU2609198C1 (ru) Твердая лекарственная форма имипрамина немедленного высвобождения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WO2019161408A1 (en) Compositions for coating edible substra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7159486B (zh) 一种口崩片包衣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70022712A (ko) 당 코팅 및 이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