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607A -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607A
KR20120062607A KR1020110079559A KR20110079559A KR20120062607A KR 20120062607 A KR20120062607 A KR 20120062607A KR 1020110079559 A KR1020110079559 A KR 1020110079559A KR 20110079559 A KR20110079559 A KR 20110079559A KR 20120062607 A KR20120062607 A KR 20120062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window frame
leak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140B1 (ko
Inventor
조병목
조민형
Original Assignee
조병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목 filed Critical 조병목
Priority to KR1020110079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1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6Frames uniquely adapted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에는 내측 둘레면을 따라 사각틀형상으로 프레임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 하부 전방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수구가 프레임설치홈과 연통되게 형성된 건물의 벽체와,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 수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외곽부분은 상기 벽체의 프레임설치홈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며 내곽부분은 창틀설치공간부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도록 되어 있어 벽체와 창틀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개구된 전방을 통해 내측의 수로로 모여 하방으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벽체의 배수구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누수방지프레임과, 상기 누수방지프레임의 내측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면서 누수방지프레임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외주면 후방과 벽체의 내주면 후방 사이의 이격부분에는 콘크리트몰타르가 충진되어 마감처리되도록 되어 있는 창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A caulking frame structure for a window frame and the buil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창틀 외측에 시공 설치되어 창틀과 벽체의 틈새사이로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누수되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측에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에는 내측 둘레면을 따라 사각틀형상으로 프레임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 하부 전방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수구가 프레임설치홈과 연통되게 형성된 건물의 벽체와,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 수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외곽부분은 상기 벽체의 프레임설치홈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며 내곽부분은 창틀설치공간부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도록 되어 있어 벽체와 창틀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개구된 전방을 통해 내측의 수로로 모여 하방으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벽체의 배수구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누수방지프레임과, 상기 누수방지프레임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끼움결합되면서 누수방지프레임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외주면 후방과 벽체의 내주면 후방 사이의 이격부분에는 콘크리트몰타르가 충진되어 마감처리되도록 되어 있는 창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에는 공기순환 및 환기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창호가 설치되며, 상기 창호는 건물의 벽체 내측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에 부합되게 고정 설치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의 내측에 설치되어 개폐작동되는 창문으로 이루어져 있되, 이러한 통상의 창틀은 벽체의 창틀설치공간부 내측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원활한 시공을 위하여 창틀의 외주면과 상기 창틀설치공간부의 내주면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시공되며 이격된 틈새 사이에는 발포재 등의 마감재를 채워넣고 상기 마감재의 전,후방을 실리콘으로 수밀처리하여 창틀과 벽체사이를 통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누수방지를 위해 벽체와 창틀 사이의 틈새에 마감재를 충진시키고 실리콘으로 수밀패킹처리하는 경우 먼지나 이물질이 묻어 있는 벽체부분에는 실리콘이 제대로 부착되지 않아 일정한 틈새가 발생되고 또한 시공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게 되면 외부의 기온변화나 태양열 등으로 인해 시공된 실리콘 부분이 벽체나 창틀로부터 자연적으로 들떠 우천시 벽체를 따라 흐르는 빗물 등이 실리콘의 틈새를 통해 건물 내부로 유입되면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719461호에서는 건물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꾸기 위해 옹벽의 면 또는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도록 일자 형태, ㄱ자 꺽임 형태, ㄴ자 꺽임 형태, ㄷ자 꺽임 형태, 사다리꼴 형태, 양다리 형태 또는 굽은 형태로 이루어져 옹벽에 부착되는 옹벽부착부; 창틀의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도록 ㄱ자 꺽임 형태, ㄴ자 꺽임 형태, ㄷ자 꺽임 형태, 사다리꼴 형태 또는 굽은 형태로 이루어져 창틀에 부착되는 창틀부착부; 및 상기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를 연결하도록 일직선 형태, 굽은 형태, 플랙시블(flexible) 형태, 내부가 빈 공간부를 형성하는 공간 형태 또는 신축이 되도록 접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부로 구성된 플레이트(plate) 형태의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를 사출하여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plate) 형태의 사출물을 창틀과 건물 옹벽 사이의 틈새를 메꿀 수 있는 크기로 절단하여 창틀누수차단 마감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창틀누수차단 마감재의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를 접착제로 바른 후 상기 마감재를 창틀과 옹벽 사이의 틈새에 끼워넣으면서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가 창틀과 옹벽의 면 또는 모서리에 단단하게 부착되도록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누수차단 마감재 및 이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도 창틀누수차단 마감재가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고 전방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후방 일부만 옹벽과 창틀의 틈새사이에 끼움결합되어 있어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외부충격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분리이탈되기 쉬우며 장기간 사용시 외부의 기온변화 및 태양열 등에 의해 변형되면서 수축되거나 틀어지고 상기 마감재의 옹벽부착부와 창틀부착부에 부착된 접착제가 창틀과 옹벽으로부터 쉽게 떨어져 그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빗물 등이 건물 내부로 유입,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벽체와 창틀 사이에 누수방지프레임이 개재(介在)되어 건물의 외부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 방지하도록 하되, 상기 누수방지프레임의 외곽부분이 벽체의 창틀설치공간부 내주면 전방에 형성된 사각틀형상의 프레임설치홈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장착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외력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외측으로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누수방지프레임의 개구된 전방을 통해 내측의 수로로 모여 하방으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벽체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외측으로 자연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누수방지프레임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창틀의 외주면 후방과 벽체의 내주면 후방 사이의 이격부분에는 콘크리트몰타르가 충진되어 마감처리되도록 하여 벽체와 창틀 사이의 전방 내측에 위치된 누수방지프레임에 의해 누수를 차단하면서 기온변화나 태양열 등에 영향을 적게 받아 변형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건물 외부 벽체로부터 물이 유입,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에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에는 내측 둘레면을 따라 사각틀형상으로 프레임설치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 하부 전방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수구가 프레임설치홈과 연통되게 형성된 건물의 벽체와,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 수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외곽부분은 벽체의 프레임설치홈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며 내곽부분은 창틀설치공간부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도록 되어 있어 벽체와 창틀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개구된 전방을 통해 내측의 수로로 모여 하방으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벽체의 배수구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누수방지프레임과, 상기 누수방지프레임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끼움결합되면서 누수방지프레임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외주면 후방과 벽체의 내주면 후방 사이의 이격부분에는 콘크리트몰타르가 충진되어 마감처리되도록 되어 있는 창틀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의 벽체와 창틀 사이에 누수방지프레임이 개재(介在)되어 건물의 외부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 방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누수방지프레임의 외곽부분이 벽체의 창틀설치공간부 내주면 전방에 형성된 사각틀형상의 프레임설치홈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 장착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외력이나 외부충격에 의해 외측으로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벽체를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누수방지프레임의 개구된 전방을 통해 내측의 수로로 모여 하방으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벽체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해 외측으로 자연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누수방지프레임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창틀의 외주면 후방과 벽체의 내주면 후방 사이의 이격부분에는 콘크리트몰타르가 충진되어 마감처리되도록 하여 벽체와 창틀 사이의 전방 내측에 위치된 누수방지프레임에 의해 누수를 차단하면서 기온변화나 태양열 등에 영향을 적게 받아 변형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건물 외부 벽체로부터 물이 틈새사이로 유입,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의 전체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에서 누수방지프레임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의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설치홈에 누수방지프레임이 삽입 장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의 전체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의 단계별 조립상태를 도시한 횡단면개략도
도 6은 도 4의 A-A'선의 단면개략도
도 7은 도 4의 B-B'선의 단면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1)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건물의 창틀(15) 외측에 시공 설치되어 창틀(15)과 벽체(2)의 틈새 사이로 외부로부터의 빗물 등이 누수되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에는 내측 둘레면을 따라 사각틀형상으로 프레임설치홈(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하부 전방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수구(5)가 프레임설치홈(4)과 연통되게 형성된 건물의 벽체(2)와,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 수로(7)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외곽부분은 상기 벽체(2)의 프레임설치홈(4)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며 내곽부분은 창틀설치공간부(3)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도록 되어 있어 벽체(2)와 창틀(15)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벽체(2)를 따라 흐르는 물이 개구된 전방을 통해 내측의 수로(7)로 모여 하방으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벽체(2)의 배수구(5)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누수방지프레임(6)과,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끼움결합되면서 누수방지프레임(6)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외주면 후방과 벽체(2)의 내주면 후방 사이의 이격부분에는 콘크리트몰타르(17)가 충진되어 마감처리되도록 되어 있는 창틀(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벽체(2)는 도 1,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내부의 공기순환 및 환기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창호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내측에 창틀(15)이 부합되게 삽입 설치되는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건물 벽체(2)이 외벽쪽)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둘레면을 따라 사각틀형상으로 프레임설치홈(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설치홈(4)에 누수방지프레임(6)의 외곽부분이 부합되게 삽입된 상태로 고정설치되어 벽체(2)의 외벽을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프레임설치홈(4)에 삽입장착된 누수방지프레임(6)의 개방된 전방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벽체(2)의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하부 전방에는 건물의 외벽쪽을 향해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수구(5)가 프레임설치홈(4) 하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에 모여 하방으로 흘러내린 물이 벽체(2)의 배수구(5)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되면서 벽체(2)와 창틀(15) 사이의 틈새를 통해 건물 내부로 유입,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벽체(2)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설치홈(4)의 내측면에 통상의 실리콘접착제(14a)가 도포된 상태로 프레임설치홈(4)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는 누수방지프레임(6)의 외곽부분이 일체로 고정부착되면서 상기 실리콘접착제(14a)에 의해 누수방지프레임(6)의 외곽부분 외주면과 벽체(2)의 프레임설치홈(4)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와 창틀(15) 사이에 설치되어 벽체(2)의 외벽을 따라 흐르는 물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스테인레스 재질의 금속재질 또는 PVC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되어 있으며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 수로(7)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외곽부분은 상기 벽체(2)의 프레임설치홈(4)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직선형의 상부프레임(8)과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과 하부프레임(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8)은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벽체(2)의 창틀설치공간부(3)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 프레임설치홈(4)에 상부가 부합되게 삽입설치되며 상기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은 상하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상부프레임(8)의 좌우양측끝단부분에 상단부가 부합되게 맞닿은 상태로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 내주면 좌우양측에 형성된 프레임설치홈(4)에 좌측 또는 우측이 부합되게 삽입설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의 하단부에 양측끝단이 부합되게 맞닿은 상태로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 내주면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설치홈(4)에 하부가 부합되게 삽입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상부프레임(8)과 하부프레임(10)과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의 내측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내부에 건물 벽체(2)의 외벽부분을 따라 흐르는 물이 누수방지프레임(6)의 내측을 따라 흐르는 수로(7)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로(7)에 모인 물이 하방으로 흘러내리면서 벽체(2)의 배수구(5)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은 내곽부분이 창틀설치공간부(3)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내측에 부합되게 설치되는 창틀(15)과 벽체(2)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건물의 벽체(2) 외벽을 따라 흐르는 물이 창틀(15)을 거쳐 창문(16)쪽으로 흘러내리면서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8)은 도 2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전방 상단부에 수직하방으로 지지절곡편(11a)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설치홈(4)의 내측면 상부에 상부프레임(8)의 상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절곡편(11a)에 의해 안정적으로 삽입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기온변화나 외력 등에 의해 상부프레임(8)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프레임(8)의 개구된 전방 하단부에는 도 2, 4,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상방으로 물막이절곡편(12a)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어 벽체(2)의 외벽부분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상부프레임(8)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물막이절곡편(12a)에 의해 누수방지프레임(6)의 전방외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쪽으로 안정되게 흘러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측 측면프레임(9a)은 도 2,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전방 좌측끝단에 우측수평방향으로 지지절곡편(11b)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설치홈(4)의 내측면 좌측에 좌측 측면프레임(9a)의 좌측끝부분이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절곡편(11b)에 의해 안정적으로 삽입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기온변화나 외력 등에 의해 좌측 측면프레임(9a)이 유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좌측 측면프레임(9a)의 개구된 전방 우측끝단에는 좌측수평방향으로 물막이절곡편(12b)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어 벽체(2)의 외벽부분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좌측 측면프레임(9a)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물막이절곡편(12b)에 의해 누수방지프레임(6)의 전방외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하부프레임(10)쪽으로 안정되게 흘러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우측 측면프레임(9b)은 도 2,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전방 우측끝단에 좌측수평방향으로 지지절곡편(11c)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설치홈(4)의 내측면 우측에 우측 측면프레임(9b)의 우측끝부분이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절곡편(11c)에 의해 안정적으로 삽입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기온변화나 외력 등에 의해 우측 측면프레임(9b)이 유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우측 측면프레임(9b)의 개구된 전방 좌측끝단에는 우측수평방향으로 물막이절곡편(12c)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어 벽체(2)의 외벽부분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우측 측면프레임(9b)의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물막이절곡편(12c)에 의해 누수방지프레임(6)의 전방외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하부프레임(10)쪽으로 안정되게 흘러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은 도 2, 4,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전방 하단부에 수직상방으로 지지절곡편(11d)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설치홈(4)의 내측면 하부에 하부프레임(10)의 하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절곡편(11d)에 의해 안정적으로 삽입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기온변화나 외력 등에 의해 하부프레임(10)이 유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지지절곡편(11d)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의 배수구(5)가 형성된 부분과 부합되는 위치에 각각 물배출홈(1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프레임(10)에 모인 물이 지지절곡편(11d)의 물배출홈(13)을 거쳐 벽체(2)의 배수구(5)를 통해 벽체(2)의 전방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10)의 개구된 전방 상단부에는 수직하방으로 물막이절곡편(12d)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8)과 하부프레임(10)과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은 지지절곡편(11a)(11b)(11c)(11d)의 끝단부분이 서로 부합되게 맞닿도록 되어 있고, 상기 물막이절곡편(12a)(12b)(12c)(12d)의 끝단부분도 서로 부합되게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은 벽체(2)의 프레임설치홈(4)에 삽입되는 외곽부분 외주면에 통상의 실리콘접착제(14a)가 도포된 상태로 프레임설치홈(4) 내측면에 일체로 삽입설치되어 고정부착되면서 상기 실리콘접착제(14a)에 의해 누수방지프레임(6)의 외곽부분 외주면과 벽체(2)의 프레임설치홈(4)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창틀(15)은 도 1,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2)의 창틀설치공간부(3)에 설치되어 내측에 외부환기 등을 위한 창문(16)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의 프레임설치홈(4)에 삽입 장착된 사각틀형상의 누수방지프레임(6) 내측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는 사각틀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창틀(15)의 전방은 누수방지프레임(6)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맞닿은 상태로 끼움결합되어 있고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창틀(15)의 외주면 후방과 벽체(2)의 내주면 후방 사이의 이격부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콘크리트몰타르(17)가 충진되어 마감처리되면서 벽체(2)와 창틀(15) 사이의 틈새로 빗물 등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창틀(15)의 내측에는 통상의 창문(16)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건물 내부의 공기순환 및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내주면에는 실리콘접착제(14a)가 도포된 상태로 그 내측에 창틀(15)이 끼움 설치되어 누수방지프레임(6)과 창틀(15) 사이가 일체로 부착되면서 그 틈새로 빗물 등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내곽부분에 형성된 각 물막이절곡편(12a)(12b)(12c)(12d)의 외주면과 창틀(15)의 외주면 사이에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접착제(14b)를 도포하여 누수방지프레임(6)과 창틀(15) 사이의 틈새로 빗물 등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치시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창틀(15)이 설치될 건물의 벽체(2)에 창틀설치공간부(3)를 형성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의 내주면 전방(건물 벽체(2)의 외벽쪽)에는 도 1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둘레면을 따라 사각틀형상으로 프레임설치홈(4)을 일정두께 및 깊이로 형성하고, 상기 벽체(2)의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하부 전방에는 건물의 외벽쪽을 향해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수구(5)를 형성하여 프레임설치홈(4) 하부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설치홈(4)의 내측면에는 실리콘접착제(14a)를 일정두께로 도포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의 상부에 위치된 프레임설치홈(4)에는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선형의 상부프레임(8)을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를 끼움결합하며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의 좌,우측에 위치된 프레임설치홈(4)에는 각각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선형의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끼움결합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의 하부에 위치된 프레임설치홈(4)에는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선형의 하부프레임(10)을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를 끼움결합하여 사각틀형상으로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서로 연통되어 내측에 수로(7)가 형성된 누수방지프레임(6)을 형성하면서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외곽부분이 프레임설치홈(4)에 삽입되어 실리콘접착제(14a)에 의해 일체로 고정부착되고 내곽부분은 창틀설치공간부(3)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도록 시공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내주면에는 사각틀형상의 창틀(15)을 밀착되게 끼움결합하고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창틀(15)의 외주면 후방과 벽체(2)의 내주면 후방 사이의 이격부분에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몰타르(17)를 충진하여 마감처리하며,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내곽부분에 형성된 각 물막이절곡편(12a)(12b)(12c)(12d)의 외주면과 창틀(15)의 외주면 사이에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접착제(14b)를 도포하여 누수방지프레임(6)과 창틀(15) 사이의 틈새로 빗물 등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창틀(15)의 내측에는 통상의 창문(16)이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여 건물 내부의 공기순환 및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 설치된 본 발명의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1)에 의해 우천시 빗물이 건물의 벽체(2)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경우에는 벽체(2)와 창틀(15) 사이의 전방 이격부분을 거쳐 누수방지프레임(6)의 개방된 전방쪽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상부프레임(8)과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의 내측에 모인 물은 하방으로 흘러내리면서 하부프레임(10)으로 보내지며 하부프레임(10)으로 보내진 물은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지지절곡편(11d)에 형성된 물배출홈(13)과 벽체(2)의 배수구(5)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되면서 벽체(2)와 창틀(15) 사이의 틈새를 통해 건물 내부로 빗물이 유입, 누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1.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2. 벽체
3. 창틀설치공간부 4. 프레임설치홈
5. 배수구 6. 누수방지프레임
7. 수로 8. 상부프레임
9a, 9b. 측면프레임 10. 하부프레임
11a, 11b, 11c, 11d. 지지절곡편 12a, 12b, 12c, 12d. 물막이절곡편
13. 물배출홈 14a, 14b. 실리콘접착제
15. 창틀 16. 창문
17. 콘크리트몰타르

Claims (6)

  1. 내측에 장방형의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전방에는 내측 둘레면을 따라 사각틀형상으로 프레임설치홈(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하부 전방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수구(5)가 프레임설치홈(4)과 연통되게 형성된 건물의 벽체(2)와,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선형의 프레임이 상하좌우에 서로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사각틀형상을 이루면서 내부에 수로(7)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외곽부분은 상기 벽체(2)의 프레임설치홈(4)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며 내곽부분은 창틀설치공간부(3)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도록 되어 있어 벽체(2)와 창틀(15)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벽체(2)를 따라 흐르는 물이 개구된 전방을 통해 내측의 수로(7)로 모여 하방으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벽체(2)의 배수구(5)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누수방지프레임(6)과,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끼움결합되면서 누수방지프레임(6)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외주면 후방과 벽체(2)의 내주면 후방 사이의 이격부분에는 콘크리트몰타르(17)가 충진되어 마감처리되도록 되어 있는 창틀(1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은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직선형의 상부프레임(8)과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과 하부프레임(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8)은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벽체(2)의 창틀설치공간부(3)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 프레임설치홈(4)에 상부가 삽입설치되며 상기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은 상하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상부프레임(8)의 좌우양측끝단부분에 상단부가 맞닿은 상태로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 내주면 좌우양측에 형성된 프레임설치홈(4)에 좌측 또는 우측이 삽입설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의 하단부에 양측끝단이 맞닿은 상태로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 내주면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설치홈(4)에 하부가 삽입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8)은 개구된 전방 상단부에 수직하방으로 지지절곡편(11a)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프레임(8)의 개구된 전방 하단부에는 수직상방으로 물막이절곡편(12a)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측 측면프레임(9a)은 개구된 전방 좌측끝단에 우측수평방향으로 지지절곡편(11b)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 측면프레임(9a)의 개구된 전방 우측끝단에는 좌측수평방향으로 물막이절곡편(12b)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 측면프레임(9b)은 개구된 전방 우측끝단에 좌측수평방향으로 지지절곡편(11c)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측면프레임(9b)의 개구된 전방 좌측끝단에는 우측수평방향으로 물막이절곡편(12c)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10)은 개구된 전방 하단부에 수직상방으로 지지절곡편(11d)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되, 상기 지지절곡편(11d)은 벽체(2)의 배수구(5)가 형성된 부분과 부합되는 위치에 각각 물배출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10)의 개구된 전방 상단부에는 수직하방으로 물막이절곡편(12d)이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2)는 프레임설치홈(4)의 내측면에 통상의 실리콘접착제(14a)가 도포된 상태로 프레임설치홈(4)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는 누수방지프레임(6)의 외곽부분이 일체로 고정부착되면서 상기 실리콘접착제(14a)에 의해 누수방지프레임(6)의 외곽부분 외주면과 벽체(2)의 프레임설치홈(4)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건물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5. 창틀(15)이 설치될 건물의 벽체(2)에 창틀설치공간부(3)를 형성하며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의 내주면 전방에는 내측 둘레면을 따라 사각틀형상으로 프레임설치홈(4)을 형성하고 상기 벽체(2)의 창틀설치공간부(3)가 형성된 부분의 내주면 하부 전방에는 건물의 외벽쪽을 향해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배수구(5)를 형성하여 프레임설치홈(4) 하부와 연통되도록 하며, 상기 프레임설치홈(4)의 내측면에는 실리콘접착제(14a)를 도포한 상태에서 창틀설치공간부(3)의 상부에 위치된 프레임설치홈(4)에는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선형의 상부프레임(8)을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를 끼움결합며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의 좌,우측에 위치된 프레임설치홈(4)에는 각각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선형의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끼움결합하고 상기 창틀설치공간부(3)의 하부에 위치된 프레임설치홈(4)에는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직선형의 하부프레임(10)을 좌우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를 끼움결합하여 사각틀형상으로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가 서로 연통되어 내측에 수로(7)가 형성된 누수방지프레임(6)을 형성하면서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외곽부분이 프레임설치홈(4)에 삽입되어 실리콘접착제(14a)에 의해 일체로 고정부착되고 내곽부분은 창틀설치공간부(3)쪽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내주면에는 사각틀형상의 창틀(15)을 밀착되게 끼움결합하고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창틀(15)의 외주면 후방과 벽체(2)의 내주면 후방 사이의 이격부분에는 콘크리트몰타르(17)를 충진하여 마감처리하면서 벽체(2)와 창틀(15) 사이의 틈새로 누수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의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8)은 개구된 전방 상단부에 수직하방으로 지지절곡편(11a)을 절곡형성하고 상부프레임(8)의 개구된 전방 하단부에는 수직상방으로 물막이절곡편(12a)을 절곡형성하며, 상기 좌측 측면프레임(9a)은 개구된 전방 좌측끝단에 우측수평방향으로 지지절곡편(11b)을 절곡형성하고 좌측 측면프레임(9a)의 개구된 전방 우측끝단에는 좌측수평방향으로 물막이절곡편(12b)을 절곡형성하며, 상기 우측 측면프레임(9b)은 개구된 전방 우측끝단에 좌측수평방향으로 지지절곡편(11c)을 절곡형성하고 우측 측면프레임(9b)의 개구된 전방 좌측끝단에는 우측수평방향으로 물막이절곡편(12c)을 절곡형성하며, 상기 하부프레임(10)은 개구된 전방 하단부에 수직상방으로 지지절곡편(11d)을 절곡형성하되, 상기 지지절곡편(11d)은 벽체(2)의 배수구(5)가 형성된 부분과 부합되는 위치에 각각 물배출홈(13)을 형성하여 건물의 벽체(2)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벽체(2)와 창틀(15) 사이의 전방 이격부분을 거쳐 누수방지프레임(6)의 개방된 전방쪽을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상부프레임(8)과 좌우측 측면프레임(9a)(9b)의 내측에 모인 물이 하방으로 흘러내리면서 하부프레임(10)으로 보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10)으로 보내진 물은 물배출홈(13)과 벽체(2)의 배수구(5)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누수방지프레임(6)의 내곽부분에 형성된 각 물막이절곡편(12a)(12b)(12c)(12d)의 외주면과 창틀(15)의 외주면 사이에는 실리콘접착제(14b)를 도포하여 누수방지프레임(6)과 창틀(15) 사이의 틈새로 누수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0110079559A 2011-08-10 2011-08-10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79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559A KR101279140B1 (ko) 2011-08-10 2011-08-10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559A KR101279140B1 (ko) 2011-08-10 2011-08-10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607A true KR20120062607A (ko) 2012-06-14
KR101279140B1 KR101279140B1 (ko) 2013-06-26

Family

ID=4668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559A KR101279140B1 (ko) 2011-08-10 2011-08-10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636B1 (ko) * 2022-02-17 2023-06-21 김승현 창호용 공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646B1 (ko) * 2014-12-02 2015-12-28 조병목 창틀용 누수차단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29587B1 (ko) * 2021-02-17 2021-03-18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베란다의 누수 방지 창틀
KR102324519B1 (ko) * 2021-05-20 2021-11-11 (주)한림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복도 및 계단 공간부에 설치되는 우수 유입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162A (ja) * 1994-07-07 1996-01-23 Asahi Chem Ind Co Ltd 壁体内浸入水のサッシ部に設ける排水工法及びその排水構造
KR100864513B1 (ko) 2007-01-16 2008-10-20 (주) 대동종합건설 누수방지를 위한 창호설치구조
JP4928371B2 (ja) 2007-07-10 2012-05-09 日鉄住金鋼板株式会社 建具周囲の排水構造
KR200456904Y1 (ko) 2011-09-14 2011-11-28 주식회사 한동창호 방수 기능이 향상된 창호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636B1 (ko) * 2022-02-17 2023-06-21 김승현 창호용 공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140B1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2908B2 (ja) レール詰込み形スライディング窓戸装置
KR101575007B1 (ko)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CA2880531C (en) Window/door system with flat track having "c"-shaped roller supports
KR102012008B1 (ko) 건축용 누수방지창틀
KR101279140B1 (ko) 창틀용 누수방지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26732A (ko) 커튼월 이중 외피 시스템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578646B1 (ko) 창틀용 누수차단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EP2362057A2 (en) Drainage system for a sliding window or sliding door
KR101421247B1 (ko) 고기밀성 단열 수밀성 창틀
KR101242606B1 (ko) 물막이를 구비한 미서기창의 창틀프레임
KR100900479B1 (ko) 물받이가 구비된 조립식 창틀용 프레임구조
KR101203941B1 (ko) 창틀의 단열 및 마감구조
KR200411850Y1 (ko) 결로수 배수 구조를 구비한 창호
KR101960117B1 (ko) 비철거식 개보수 창호용 실내측 마감재
KR20160040485A (ko) 창틀용 누수방지를 위한 프레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33431A (ko) 창틀프레임의 배수를 원활하게 시키면서 외풍도 차단할 수 있는 방풍 및 배수구조
JP4928371B2 (ja) 建具周囲の排水構造
KR102075380B1 (ko) 창호 시스템
JP5283953B2 (ja) サッシの設置構造
KR20130001606U (ko) 수해 방지용 차수 장치
CN211115646U (zh) 一种门窗防排水构件
JPS609622B2 (ja) 建築物の壁面構造
KR101948734B1 (ko) 창호용 누수방지 부재
KR101392469B1 (ko) 누수 방지용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