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525A -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525A
KR20120062525A KR1020100123822A KR20100123822A KR20120062525A KR 20120062525 A KR20120062525 A KR 20120062525A KR 1020100123822 A KR1020100123822 A KR 1020100123822A KR 20100123822 A KR20100123822 A KR 20100123822A KR 20120062525 A KR20120062525 A KR 20120062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ight
module
vehicle
mirr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범
손삼익
노희진
이석희
박인백
김민섭
조광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2525A/ko
Publication of KR2012006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로부터 출사 및 반사된 영상을 결상 모듈에 결상 시키고 상기 결상 모듈에서 결상된 영상을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 방향으로 투영시켜 상기 윈도우 글라스 방향에서 상기 결상 모듈에서 결상된 영상에 대한 허상(虛像)이 생성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영상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영상을 상기 광을 통해 외부로 출사시키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에서 출사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 모듈; 상기 제1반사 모듈에서 반사된 영상이 결상되는 결상 모듈; 및 상기 결상 모듈에서 결상된 영상을 차량의 특정 윈도우 글라스 방향으로 투영시켜 상기 윈도우 글라스 방향에서 상기 결상 모듈에서 결상된 영상에 대한 허상(虛像)이 생성되게 하는 제2반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An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ing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for car}
본 발명은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에서 차량의 각종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해주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화상표시장치는 자동차의 앞 유리창에 영상을 표시해주는 장치로서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종래의 화상표시장치는 빔을 발광하는 광원(10)과, 상기 광원(10)에서 발생된 빔의 소정 파장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칼라필터(11)와, 상기 칼라필터(11)에 의해 선택된 소정 파장의 빔을 통과시키는 로드렌즈(Rod lens)(12)와, 상기 로드 렌즈(12)에서 통과된 빔을 반사시키는 미러(13)와, 상기 미러(13)에서 반사된 빔이 입사되는 제1프리즘(14)과, 상기 제1프리즘(14)에 입사된 빔을 통해 소정의 영상을 전반사시키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15)와,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15)에서 전반사된 빔을 출사시키는 제2프리즘(16)과, 상기 제2프리즘(16)에서 출사된 빔을 차량의 윈도우에 형성된 윈드 실드 글라스(미 도시)에 투사시켜 상기 윈드 실드 글라스에 상기 영상을 결상시키는 프로젝션 렌즈(17)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화상표시장치는 차량의 윈드 실드 글라스에 영상을 결상시켜 운전자가 편리하게 상기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광원(10)의 출력의 한계와 영상의 초점이 윈드 실드 글라스에 맞춰져 결상되기 때문에 윈드 실드 글라스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 및 크기를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로부터 출사된 영상을 결상 모듈에 결상 시키고 상기 결상 모듈에서 결상된 영상을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 방향으로 투영시켜 상기 윈도우 글라스 방향에서 상기 결상 모듈에서 결상된 영상에 대한 허상(虛像)이 생성되게 하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영상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영상을 상기 광을 통해 외부로 출사시키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에서 출사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 모듈; 상기 제1반사 모듈에서 반사된 영상이 결상되는 결상 모듈; 및 상기 결상 모듈에서 결상된 영상을 차량의 특정 윈도우 글라스 방향으로 투영시켜 상기 윈도우 글라스 방향에서 상기 결상 모듈에서 결상된 영상에 대한 허상(虛像)이 생성되게 하는 제2반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제2반사 모듈은 상기 허상에 대한 초점을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 방향에서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초과한 지점에 형성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광원은 광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레이저 모듈;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 모듈과 각각 대응하게 마련되며 상기 레이저 모듈에서 생성된 광을 수집하는 복수개의 제1렌즈; 상기 복수개의 제1렌즈에서 수집된 광을 전달받는 광섬유; 상기 광섬유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집중시키는 제2렌즈; 상기 제2렌즈에서 집중된 광을 분산시키는 분산 모듈; 및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분산 모듈에 의해 분산된 광을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모듈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렌즈로부터 수집된 광의 초점을 모아서 광섬유로 전달하는 제1소켓; 및 상기 광섬유로부터 수집한 광의 초점을 모아서 상기 제2렌즈로 전달하는 제2소켓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광과 함께 출사된 영상을 확대시켜 상기 제1반사 모듈 방향으로 출사시키는 대물렌즈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는 출사되고 제1반사 모듈을 통해 반사된 영상을 결상 모듈에 결상 시키고 상기 결상 모듈에서 결상된 영상을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 방향으로 투영시켜 상기 윈도우 글라스 방향에서 상기 결상 모듈에서 결상된 영상에 대한 허상(虛像)이 생성되게 한다. 이에 상기 결상 모듈을 통해 상기 허상의 크기를 제1반사 모듈/제2반사 모듈 및 결상 모듈 간의 이격 거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확대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마치 망원경이나 잠망경을 보는 것처럼 마치 공중에 떠있는 것과 같은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는 상기 제2반사 모듈은 상기 허상에 대한 초점을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 방향에서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초과한 지점에 형성시킨다. 이에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형성된 허상의 크기를 추가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는 복수개의 레이저 모듈에서 수집된 광의 초점을 모으고 집중시켜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에 입사시킨다. 이에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에서 출사되는 영상의 광 파워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상기 허상에 대한 초점을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 방향에서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더욱 깊게(멀리)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에 형성된 허상의 크기를 추가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영상의 광 파워를 증대에 따라 윈도우 글라스 방향에 형성되는 허상을 더욱 또렷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의 광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가 광원으로부터 광을 전달받는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100)는 광원(10),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 제1반사 모듈(30), 결상 모듈(40), 제2반사 모듈(50) 등을 포함한다.
광원(10)은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광원으로 마련되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광을 통해 제1반사 모듈(30) 방향으로 출사시킨다.
제1반사 모듈(30)은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에서 출사된 영상을 결상 모듈(40)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제2반사 모듈(50)은 상기 결상 모듈(40)에 결상된 영상을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200) 방향으로 투영시켜(그림자를 비춤) 상기 윈도우 글라스(200) 방향에서 상기 결상 모듈(40)에서 결상된 영상에 대한 허상(虛像, 가짜 상)이 생성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100)를 구성 요소별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광원(10)의 구성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의 광원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가 광원으로부터 광을 전달받는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광원(10)은 광을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광을 후술하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광원(10)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광원(10)이 레이저 광원(10)으로 마련되는 것은 후술하는 결상 모듈(40)에서 결상된 영상의 초점을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초과한 지점에 형성시킬 수 있는 충분한 광 파워를 갖기 위함이다.
이러한 광원(10)은 레이저 모듈(11), 제1렌즈(12), 제1소켓(13), 광섬유(14), 제2소켓(15), 제2렌즈(16), 분산 모듈(17), 반사 모듈(18) 등을 포함한다.
레이저 모듈(11)은 복수 개(예컨대 3개)로 마련되며 각각 레이저 광을 생성한다.
제1렌즈(12)는 바람직하게는 콜리메이팅 렌즈(collimating lenz)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 모듈(11)과 각각 대응하게 마련되며 상기 레이저 모듈(11)에서 생성된 광을 수집하고 집중화하여 제1소켓(13)으로 전달한다.
제1소켓(13)은 상기 제1렌즈(12)로부터 수집된 광의 초점을 모아서 광섬유(14)로 전달한다.
광섬유(14)는 상기 제1소켓(13)으로부터 초점이 모아진 광을 전달받아 제2소켓(15)으로 전달한다.
제2소켓(15)은 상기 광섬유(14)로부터 수집한 광의 초점을 모아서 제2렌즈(16)로 전달한다.
제2렌즈(16)는 바람직하게는 콜리메이팅 렌즈(collimating lenz)로 마련되며 상기 광섬유(14)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수집하고 집중화하여 분산 모듈(17)로 전달한다.
분산 모듈(17)은 프리즘으로 마련되어 상기 광원(10)의 제2렌즈(16)로부터 광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광을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의 영상 생성 부분(모든 마이크로 거울을 커버)의 전체에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광을 분산시켜 반사 모듈(18)로 전달한다.
반사 모듈(18)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분산 모듈(17)에 의해 분산된 광을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 및 대물렌즈(22)의 구성 -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는 외부 멀티미디어 단말기(미 도시)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출사용 영상으로 가공하여 생성한다. 이러한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는 약 130 만개의 마이크로 거울(미 도시)들로 구성되어 상기 외부 멀티미디어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따라 각 거울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고 별도의 디스플레이용 램프(미 도시)로부터 전달받은 빛을 각 거울에 선택적으로 반사(R, G, B 색상의 빛을 제어하며 반사)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는 각 거울에 선택적으로 반사시킨 상기 영상을 상기 반사 모듈(18)로부터 전달(반사)받은 광을 통해(매개로) 후술하는 대물렌즈(22) 방향으로 출사시킨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에 영상을 퍼뜨려주는 블로어(blur)가 포함될 경우 후술하는 윈드 실드 글라스(210)의 외측유리 및 내측유리에 이중으로 허상이 맺히는 이중 허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의 구조는 이미 공지되었으므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대물렌즈(22)는 상기 영상 생성 모듈에 의해 상기 광과 함께 출사된 영상을 전달받고 확대시켜 후술하는 제1반사 모듈(30) 방향으로 출사시킨다.
- 제1반사 모듈(30), 결상 모듈(40) 및 제2반사 모듈(50)의 구성 -
제1반사 모듈(30)은 바람직하게는 반사 거울로 마련되며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와 일정 간격 및 일정 각도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제1반사 모듈(30)은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에서 출사된 영상을 결상 모듈(40)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결상 모듈(40)은 포커스 필름(focus film)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반사 모듈(30)과 일정 간격 및 일정 각도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결상 모듈(40)은 상기 제1반사 모듈(30)에서 반사된 영상이 결상된다. 여기서 상기 결상 모듈(40)은 상기 제1반사 모듈(30)과의 이격 거리 조절에 의해 결상되는 상기 영상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상 모듈(40)과 제2반사 모듈(50)과의 이격 거리 조절에 의해 후술하는 윈도우 글라스(200) 방향에서 형성되는 허상의 크기 또한 조절될 수 있다.
제2반사 모듈(50)은 상기 결상 모듈(40)에서 결상된 영상을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200) 방향으로 투영시켜 상기 윈도우 글라스(200) 방향에서 상기 결상 모듈(40)에서 결상된 영상에 대한 허상(虛像)이 생성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반사 모듈(50)은 상기 허상에 대한 초점을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200) 방향에서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초과한 지점 예컨대 차량의 보닛(bonnet) 지점에 형성시킨다. 이에 상기 제2반사 모듈(50) 및 보닛의 사이에 위치한 리어 윈도우 글라스(200)에 형성된 윈드 실드 글라스(210)(wind shield glass)에는 상기 영상에 대한 허상이 생성된다. 여기서 '허상'은 상기 결상 모듈(40)에 결상된 영상이 제2반사 모듈(50)에 의해 투영된 일종의 그림자 즉 가짜 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허상이 리어 윈도우 글라스(200)에 형성된 윈드 실드 글라스(210)에 투영되면 운전자는 마치 공중에 떠있는 듯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의 윈드 실드 글라스(210)에 영상을 결상시키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는 영상을 윈드 실드 글라스(210)에 출사시키고 반사시켜 상기 윈드 실드 글라스(210)에 결상된(초점이 윈드 실드 글라스(210)에 있음) 영상을 운전자가 확인하는 구조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윈드 실드 글라스(210) 및 제2반사 모듈(50)을 통해 결상 모듈(40)에 결상된 영상을 바라보는(비춰보는) 구조가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영상의 초점이 차량의 보닛 지점에 형성되고 광원(10)으로서 광 파워가 높은 구조의 레이저 광원(10)을 사용하므로 상기 윈드 실드 글라스(210)에 형성되는 영상의 크기를 용이하게 확대시킬 수 있으며 선명도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제2반사 모듈(50) 및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200)의 사이에는 투명 커버(dust cover)(6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반사 모듈(30), 결상 모듈(40) 및 제2반사 모듈(50),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는 소정의 형상의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된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우선 광원(10)의 복수개의 레이저 모듈(11)은 각각 광을 생성하여 제1렌즈(12)로 전달한다(S100).
이어서 상기 광원(10)의 제1렌즈(12)는 상기 레이저 모듈(11)에서 생성된 광을 수집하고 제1소켓(13)으로 전달한다(S102).
이어서 상기 광원(10)의 제1소켓(13)은 상기 제1렌즈(12)로부터 수집된 광의 초점을 모아서 광섬유(14)로 전달한다(S104).
이어서 상기 광원(10)의 광섬유(14)는 상기 제1소켓(13)에 의해 초점이 모아진 광을 제2소켓(15)으로 전달한다(S106).
이어서 상기 광원(10)의 제2소켓(15)은 상기 광섬유(14)로부터 수집한 광의 초점을 모아서 제2렌즈(16)로 전달한다(S108).
이어서 상기 광원(10)의 제2렌즈(16)는 상기 광섬유(14)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집중시켜 분산 모듈(17)로 전달한다(S110).
이어서 상기 광원(10)의 분산 모듈(17)은 상기 제2렌즈(16)에 의해 집중된 광을 분산시켜 반사 모듈(18)로 전달한다(S112).
이어서 상기 광원(10)의 반사 모듈(18)은 상기 제2렌즈(16)에 의해 집중된 광을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 방향으로 반사시킨다(S114).
이어서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20)는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영상을 상기 반사 모듈(18)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통해 제1반사 모듈(30)로 출사시킨다(S116).
이어서 상기 제1반사 모듈(30)은 상기 영상 생성 모듈에서 출사된 영상을 결상 모듈(40)로 반사시킨다(S118).
이어서 상기 결상 모듈(40)에는 상기 제1반사 모듈(30)에서 반사된 영상이 결상되고, 제2반사 모듈(50)은 상기 결상 모듈(40)에서 결상된 영상을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200) 방향으로 투영시켜(S120)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200)에서 상기 결상 모듈(40)에서 결상된 영상에 대한 허상을 형성시킨다(S122).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10: 광원
20: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
30: 제1반사 모듈
40: 결상 모듈
50: 제2반사 모듈
200:차량의 윈도우 글라스

Claims (5)

  1.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로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영상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영상을 상기 광을 통해 외부로 출사시키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에서 출사된 영상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 모듈;
    상기 제1반사 모듈에서 반사된 영상이 결상되는 결상 모듈; 및
    상기 결상 모듈에서 결상된 영상을 차량의 특정 윈도우 글라스 방향으로 투영시켜 상기 윈도우 글라스 방향에서 상기 결상 모듈에서 결상된 영상에 대한 허상(虛像)이 생성되게 하는 제2반사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 모듈은 상기 허상에 대한 초점을 상기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 방향에서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초과한 지점에 형성시키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광을 생성하는 복수개의 레이저 모듈;
    상기 복수개의 레이저 모듈과 각각 대응하게 마련되며 상기 레이저 모듈에서 생성된 광을 수집하는 복수개의 제1렌즈;
    상기 복수개의 제1렌즈에서 수집된 광을 전달받는 광섬유;
    상기 광섬유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집중시키는 제2렌즈;
    상기 제2렌즈에서 집중된 광을 분산시키는 분산 모듈; 및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분산 모듈에 의해 분산된 광을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로부터 수집된 광의 초점을 모아서 광섬유로 전달하는 제1소켓; 및
    상기 광섬유로부터 수집한 광의 초점을 모아서 상기 제2렌즈로 전달하는 제2소켓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광과 함께 출사된 영상을 확대시켜 상기 제1반사 모듈 방향으로 출사시키는 대물렌즈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KR1020100123822A 2010-12-06 2010-12-06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KR20120062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822A KR20120062525A (ko) 2010-12-06 2010-12-06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822A KR20120062525A (ko) 2010-12-06 2010-12-06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525A true KR20120062525A (ko) 2012-06-14

Family

ID=4668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822A KR20120062525A (ko) 2010-12-06 2010-12-06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25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3485B2 (en) 2014-05-13 2016-08-02 Hyundai Motor Company Inside mirror assembly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3485B2 (en) 2014-05-13 2016-08-02 Hyundai Motor Company Inside mirror assembly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631B1 (ko) 집광 광학계 및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
US20060061892A1 (en) Integrated TIR prism and lens element
JP201306155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を搭載した車両
JP2017090561A (ja) 虚像表示措置
JP2013041182A (ja) 光走査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を搭載した車両
CN110741305B (zh) 扫描型显示装置及扫描型显示系统
US6784946B1 (en) Assembly, in which light from a light source is directed onto a surface
TW201802539A (zh) 分裂出射光瞳抬頭顯示系統及方法
WO2017138430A1 (ja) 表示装置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2006065202A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6797049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を搭載した車両
JP2004177654A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EP1052856A3 (en) Reflection type color projector
JP6611310B2 (ja) 車両用投影表示装置
KR20120062525A (ko)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용 화상표시장치
JP6107996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を搭載した車両
CN211086897U (zh) 投影系统
JP3301321B2 (ja) 照明光学系装置及び投写型表示装置
JP5097042B2 (ja) 照明光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US7545555B2 (en) Projection device
KR20160050791A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JP6668711B2 (ja) 光源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物体装置
CN114200758B (zh) 光源装置、投影装置以及光源控制方法
CN210294793U (zh) 投影光学系统及投影设备
JP2019045605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