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233A -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 Google Patents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233A
KR20120062233A KR1020100123415A KR20100123415A KR20120062233A KR 20120062233 A KR20120062233 A KR 20120062233A KR 1020100123415 A KR1020100123415 A KR 1020100123415A KR 20100123415 A KR20100123415 A KR 20100123415A KR 20120062233 A KR20120062233 A KR 20120062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tower
support piece
main
cable
t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5842B1 (ko
Inventor
황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비이에스티교육
Priority to KR102010012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842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측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주탑지지편 설치공(111)과, 주탑지지편 설치공(111) 사이에 직교되게 형성되는 주탑설치공(112)과, 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걸림홈(113)을 갖추고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설치대(110)와; 설치대(110)의 저면 길이방향으로 양면테이프(121)를 매개로 한 쌍의 주탑지지편 설치공(111) 사이에 부착되는 스티커부착대(120)로 구성된 바닥판(100): 양단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10)과, 넓은 면에 하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주탑고정부(220)와, 끝상판고정부(230), 및 상단보고정부(240)를 갖추고서, 주탑지지편 설치공(111)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주탑지지편(200): 하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310)와, 양단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320)를 갖추고서, 주탑지지편(20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돌기(310)와 결합돌기(320)를 매개로 설치대(110)의 주탑설치공(112)과 주탑지지편(200)의 주탑고정부(220)에 고정되는 주탑(300): 선단부에 반복형성되는 요부(411) 및 철부(412)와, 타단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413)와, 양 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걸림홈(414)을 갖추고서, 주탑지지편(20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돌기(413)를 매개로 끝상판고정부(230)에 설치되는 끝상판(410)과; 선단부와 후단에 반복형성되는 요부(421) 및 철부(422)와, 양 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걸림홈(423)을 갖추고서, 요부(421) 및 철부(422)를 매개로 끝상판(410)의 요부(411) 및 철부(412)에 결합고정되는 중간상판(420)으로 구성된 상판구조물(400): 양단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510)와, 외면에 단변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부(520)를 갖추고서, 주탑지지편(20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돌기(510)를 매개로 주탑지지편(200)의 상단보고정부(240)에 배치되는 상단보(500): 상단보(500)의 홈부(520)에 삽입되며,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설치대(110)의 걸림홈(113)에 고정되는 주케이블(610)과; 일단부가 주케이블(6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판구조물(400)의 걸림홈(414,423)에 삽입고정되어 상판구조물(400)의 처짐을 방지토록 하는 보조케이블(620)로 구성된 케이블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미취학아동이나 저학년생들이 별물로 제작된 각 부재를 이용하여 현수교를 직접 만들어 봄으로서, 다리의 구조를 쉽게 이해토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작된 현수교의 상판구조물로 무게추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건을 직접 얹어 실험해 봄으로서, 상판구조물과 케이블부재 간에 작용하는 역학적인 특징(힘의 분산·평형 등)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게 전달 및 교육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Teaching Device For Bridge Education}
본 발명은 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된 현수교 블록을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이 직접 제작해 봄으로서, 현수교의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시킬 수 있는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교(懸垂橋)라 함은 도로를 지지하는 케이블이 설치된 다리로 가장 오래된 시동형태 중 하나로서, 다른 말로는 조교(弔僑)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수교는 통상 상판의 양쪽 끝에 탑을 올리고 탑과 탑 사이에 적당하게 케이블을 늘어뜨린 것으로서, 양쪽 탑 사이에 교각을 놓지 못할 만큼 강이나 바다가 깊을 때 이용하며, 이러한 현수교로는 국내의 남해대교, 광안대교 등이 대표적이다. 상기 현수교를 이루는 주요한 구성요소는, 주요 인장재인 주케이블, 주케이블의 장력을 장력을 대지로 이끄는 앵커 부분, 주케이블의 최고점을 지지하는 강제 또는 철근 콘크리트구조 등의 탑, 상판구조물(플레이트거더 또는 트러스), 상판구조물을 주케이블에 매다는 현수재가 있다. 현재 현수교에 관한 이론에는 현수교의 처짐을 고려하지 않는 이론과 처짐을 고려한 이론, 두 가지로 나뉘며, 전자를 현수교의 탄성이론이라 하고, 후자를 처짐이론이라 지칭한다. 통상 중·소 지간의 현수교 설계에는 탄성이론이 적용되지만, 대지 간의 현수교에는 처짐이론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리 하나를 만들어 연결하는데에도 상당한 과학의 기술이 적용되고 있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에게 이론교육을 한다 하더라도 아이들이 이해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더군다나 눈으로 직접 보여주지 않는 이상 이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은 문제가 있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에게 현수교에 대한 원리 및 기본 개념을 쉽게 설명할 수 있는 학습교재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품으로 구성된 현수교 블록을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이 직접 제작해 봄으로서 만드는 재미와 함께 현수교의 원리를 아이들에게 쉽게 이해 및 전달할 수 있는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우측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주탑지지편 설치공과, 주탑지지편 설치공 사이에 직교되게 형성되는 주탑설치공과, 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걸림홈을 갖추고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설치대와;
설치대의 저면 길이방향으로 양면테이프를 매개로 한 쌍의 주탑지지편 설치공 사이에 부착되는 스티커부착대로 구성된 바닥판:
양단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과, 넓은 면에 하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주탑고정부와, 끝상판고정부, 및 상단보고정부를 갖추고서, 주탑지지편 설치공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주탑지지편:
하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와, 양단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갖추고서, 주탑지지편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돌기와 결합돌기를 매개로 설치대의 주탑설치공과 주탑지지편의 주탑고정부에 고정되는 주탑:
선단부에 반복형성되는 요부 및 철부와, 타단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양 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걸림홈을 갖추고서, 주탑지지편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돌기를 매개로 끝상판고정부에 설치되는 끝상판과;
선단부와 후단에 반복형성되는 요부 및 철부와, 양 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걸림홈을 갖추고서, 요부 및 철부를 매개로 끝상판의 요부 및 철부에 결합고정되는 중간상판으로 구성된 상판구조물:
양단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와, 외면에 단변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부를 갖추고서, 주탑지지편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돌기를 매개로 주탑지지편의 상단보고정부에 배치되는 상단보:
상단보의 홈부에 삽입되며,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설치대의 걸림홈에 고정되는 주케이블과;
일단부가 주케이블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판구조물의 걸림홈에 삽입고정되어 상판구조물의 처짐을 방지토록 하는 보조케이블로 구성된 케이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티커부착대의 상면 중앙에는 바다배경이 그려진 바다스티커가 부착되며, 설치대의 중앙에는 바다스티커의 바다배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바다스티커 노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탑에는 반원형의 자동차모형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판구조물을 구성하는 끝상판과 중간상판의 상면에는 도로임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로스티커가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이 별물로 제작된 각 부재를 이용하여 현수교를 직접 만들어 봄으로서, 다리의 구조를 쉽게 이해토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작된 현수교의 상판구조물로 무게추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건을 직접 얹어 실험해 봄으로서, 상판구조물과 케이블부재 간에 작용하는 역학적인 특징(힘의 분산·평형·합성 등)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게 전달 및 교육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현수교를 구성하는 구성물품이 비교적 단순하게 제작되어 있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이 매우 쉽게 제작할 수 있어 유익함을 추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를 이용하여 현수교를 제작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를 이용하여 현수교의 각 조립단계를 도시한 순서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는, 바닥판(100), 주탑지지편(200), 주탑(300), 상판구조물(400), 상단보(500), 케이블부재(60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판(100)은 설치대(110)와 스티커부착대(120)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대(110)는 소정의 두께는 갖는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상면 좌측과 우측에는 한 쌍의 주탑지지편 설치공(111)과 주탑설치공(112)이 설치된다. 상기 주탑지지편 설치공(111)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며, 주탑지지편 설치공(111)으로 이후에 설명될 주탑지지편(20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주탑설치공(112)은 주탑지지편 설치공(111) 사이에 형성되며, 주탑지지편 설치공(111)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었다면, 주탑설치공(112)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주탑설치공(112)에는 이후에 설명될 주탑(300)이 고정돌기(310)를 매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대(110)의 단변(두께면)에는 걸림홈(113)이 형성되며, 걸림홈(113)으로 이후에 설명될 주케이블(610)의 양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티커부착대(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설치대(110)의 저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스티커부착대(120)의 상면 양측에는 소정의 폭만큼 양면테이프(121)가 부착되며, 이를 매개로 설치대(110)의 저면에 부착된다. 상기 스티커부착대(120)를 설치대(110)의 저면에 부착하여 고정할 경우 주탑지지편 설치공(111) 사이에 배치되도록 부착하여 주탑지지편 설치공(111)이 스티커부착대(120)에 의해 폐구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티커부착대(120)의 상면 중앙에는 바다배경이 그려진 바다스티커(122)가 부착되며, 설치대(110)의 중앙에는 바다스티커(122)의 바다배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바다스티커 노출부(11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바다배경을 통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의 아이들은 마치 실제 현수교가 바다 위에 시공된 것 같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다스티커 노출부(114)를 통해서만 바다배경을 시각적으로 표현된 것처럼 서술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바다스티커 노출부(114)를 홈으로 형성하고, 형성된 홈에 바다스티커(122)를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양면테이프(121)를 매개로 스티커부착대(120)를 설치대(110)에 고정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이 역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공지의 부착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주탑지지편(2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다리꼴형상으로서, 하단부 양 측면(두께에 해당)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10)이 형성되고, 넓은 면에는 하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주탑고정부(220)와 끝상판고정부(230) 및 상단보고정부(240)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주탑지지편(200)은 가장 좁은 면적을 갖는 선단부가 설치대(120)의 주탑지지편 설치공(111)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며, 타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10)이 설치대(120)의 저면과 밀착되므로서, 그 이동을 제한한다. 특히, 상기 걸림턱(210)이 형성된 면에는 주탑지지편 설치공(111)에 정확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동일한 폭과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주탑(3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하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310)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320)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주탑(300)은 주탑지지편(20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돌기(310)와 결합돌기(320)를 매개로 설치대(110)의 주탑설치공(112)과 주탑지지편(200)의 주탑고정부(220)에 고정되므로서, 주탑지지편(200)이 하부로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주탑(30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자동차모형(33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이후에 설명될 상판구조물(400) 상에 배치하였을 때에는 실제 자동차를 연상케 할 수 있어 교육과 더불어 유익함을 추구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구조물(400)은 끝상판(410)과 중간상판(4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구조물(400)은 주탑(300)의 상단에 얹혀져 주탑지지편(200)에 고정된다.
상기 끝상판(4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선단부에는 요부(411)와 철부(412)가 반복형성되고, 타단부의 양 측면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413)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양 측면에는 이후에 설명될 보조케이블(62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홈(4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끝상판(410)은 주탑지지편(20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돌기(413)를 매개로 주탑지지편(200)의 끝상판고정부(230)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끝상판(410)의 저면과 주탑(300)의 상면은 상호 연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상판(420)은 고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선단부와 타단부에는 요부(421)와 철부(422)가 반복형성된다. 특히, 상기 중간상판(420) 역시 양 측면에는 이후에 설명될 보조케이블(62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홈(42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경우 상기 중간상판(420)은 선단부와 타단부에 형성된 요부(421)와 철부(422)를 매개로 끝상판(410)의 요부(411) 및 철부(412)에 결합되어 상호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상판구조물(400)을 구성하는 끝상판(410)과 중간상판(420)의 상면에는 상판구조물(400)이 도로로 이용됨을 인식시켜주기 위하여 도로스티커(430)가 부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단보(500)는 직육면체형상의 바(Bar)로서, 길이방향의 선단과 후단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510)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단보(500)의 외면에는 단변방향을 따라 홈부(520)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주탑지지편(200) 사이에 상단보(500)가 배치되어 결합돌기(510)를 매개로 주탑지지편(200)의 상단보고정부(24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상단보(500)는 주케이블(610)을 상판구조물(400)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면서, 주케이블(610)을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어느 일면에만 홈부(520)를 형성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4면에 걸쳐 모두 형성시켜 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부재(600)는 주케이블(610)과 보조케이블(620)로 구성된다.
상기 주케이블(610)은 상단보(500)의 홈부(520)에 삽입되며,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설치대(110)의 걸림홈(113)에 삽입고정된다. 상기 주케이블(610)의 경우 일단부를 설치대(110)의 일단부 걸림홈(113)에 고정한 상태에서 타단부를 잡아당겨 설치대(110)의 타단부 걸림홈(113)에 삽입고정해야하기 때문에, 잡아당겼을 때 쉽게 빠지지 않도록 주케이블(610)의 양단 끝을 묶어 몽우리가 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케이블(620)은 상판구조물(400)의 처짐을 방지토록 하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주케이블(6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판구조물(400)의 걸림홈(414,423)에 삽입고정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보조케이블(620)은 일단부를 묶어 올가미형태로 형성하고, 타단부를 묶어 몽우리가 지도록 한 다음, 올가미부분을 주케이블(610)에 삽입한 상태에서 올가미부분을 올가매 주케이블(610)에 고정하며, 몽우리가 진 타단부를 강하게 잡아당겨 걸림홈(414,423)에 각각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케이블(620)에 일단부와 타단부에 올가미와 몽우리를 형성하는 방법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에게는 어렵거나 번거로울 수 있으므로, 타이밴드와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보다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케이블부재(600)의 경우 명주실과 같은 자유변형이 가능하며 어느 정도 인장강도를 지닌 공지의 다양한 부재가 적용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스티커부착대(120)의 상면 양측으로 양면테이프(121)를 입혀주고, 양면테이프(121)를 매개로 설치대(110)의 저면에 부착하여 받침판(100)을 완성한다. 이때, 설치대(110)의 주탑지지편 설치공(111)이 스티커부착대(120)에 의해 폐구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상기와 같이 받침판(100)을 완성한 상태에서 주탑지지편 설치공(111)으로 주탑지지편(200)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하여 관통시켜주며, 이때 주탑지지편(200)의 걸림턱(210)이 설치대(110)의 저면에 밀착되어 상방으로 이동되지 않을 때까지 밀어 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주탑지지편(200)을 설치대(110)에 설치한다.
그 다음 주탑지지편(200) 사이로 주탑(300)을 배치한 상태에서 주탑(300)의 고정돌기(310)와 결합돌기(320)를 매개로 설치대(110)의 주탑설치공(112)과 주탑지지편(200)의 주탑고정부(220)에 각각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주탑(300)을 설치한 상태에서 끝상판(410)을 주탑지지편(200) 사이에 배치하고, 끝상판(410)에 형성된 결합돌기(413)를 매개로 주탑지지편(200)의 끝상판고정부(230)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끝상판(410)의 저면과 주탑(300)의 상면은 서로 연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끝상판(410)을 설치한 상태에서 선단부와 후단부에 요부(421)와 철부(422)가 반복형성된 중간상판(420)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중간상판(420)에 선단부에 형성된 요부(421)와 철부(422)를 끝상판(410)의 철부(412)와 요부(411)에 대응되도록 삽입하여 상호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중간상판(420)을 연결하여 상판구조물(400)을 완성한다.
상기 상판구조물(400)이 완성된 이후에는 주탑지지편(200) 사이에 상단보(500)를 배치하고, 상단보(500)의 선단과 후단에 형성된 결합돌기(510)를 매개로 주탑지지편(200)의 상단보고정부(240)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상단보(500)의 외면에 형성된 홈부(520)가 하늘을 바라보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수고를 덜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홈부(520)를 4면 전체에 걸쳐 형성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보(500) 설치가 완료되면, 케이블부재(60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양 끝단에 몽우리가 형성된 주케이블(610)의 일단부를 설치대(110)의 일측 걸림홈(113)에 건 상태에서 몽우리 형성된 타단부를 상단보(500)의 홈부(520)에 걸쳐 놓는다. 그 다음 보조케이블(620)의 일단에 형성된 올가미(고리)를 주케이블(610)의 외면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몽우리가 형성된 주케이블(610)의 타단부를 상단보(500)의 홈부(520)를 가로질러 설치대(110)의 타측 걸림홈(113)에 걸어 고정한다. 이때 주케이블(610)이 어느 정도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보조케이블(620)를 매개로 상판구조물(400)의 처침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금 강한 힘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타측 걸림홈(113)에 걸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보조케이블(620)이 걸림홈(414,423)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주케이블(610)에 삽입된 보조케이블(620)의 올가미를 강하게 올가매 주케이블(610)의 외면에 고정하며, 몽우리진 타단부를 걸림홈(414,423)에 삽입하여 상판구조물(400)이 처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주탑(3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반원형의 자동차모형(330)을 외부로 인출하고, 인출된 자동차모형(330)을 상판구조물(400)의 상면에 기호에 맞게 배치해주면 되며, 상기와 같은 조립순서에 의해 현수교모형을 완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주케이블(610)을 팽팽하게 당겨 직선형태의 케이블이 설치된 현수교를 조립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주케이블(610)을 늘어트리고 중앙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길이가 변하는 보조케이블(620)을 설치하여 주므로서, 포물선형태의 케이블이 설치된 현수교를 조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들이 별물로 제작된 각 부재를 이용하여 현수교를 직접 만들어 봄으로서, 다리의 구조를 쉽게 이해토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제작된 현수교의 상판구조물로 무게추 또는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물건을 직접 얹어 케이블이 없을 때와 직선형태의 케이블이 설치되었을 때 및 포물선형태의 케이블이 설치되었을 때에 대한 비교실험을 통해서 상판구조물과 케이블부재 간에 작용하는 역학적인 특징(힘의 분산·평형·합성 등)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게 전달 및 교육시켜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바닥판 110: 설치대 111: 주탑지지편 설치공
112: 주탑설치공 113: 걸림홈 114: 바다스티커 노출부
120: 스티커부착대 121: 양면테이프 122: 바다스티커
200: 주탑지지편 210: 걸림턱 220: 주탑고정부
230: 끝상판고정부 240: 상단보고정부 300: 주탑
310: 고정돌기 320: 결합돌기 330: 자동차모형
400: 상판구조물 410: 끝상판 411: 요부
412: 철부 413: 결합돌기 414: 걸림홈
420: 중간상판 421: 요부 422: 철부
423: 걸림홈 500: 상단보 510: 결합돌기
520: 홈부 600: 케이블부재 610: 주케이블
620: 보조케이블

Claims (4)

  1. 좌·우측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주탑지지편 설치공(111)과, 주탑지지편 설치공(111) 사이에 직교되게 형성되는 주탑설치공(112)과, 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걸림홈(113)을 갖추고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설치대(110)와;
    설치대(110)의 저면 길이방향으로 양면테이프(121)를 매개로 한 쌍의 주탑지지편 설치공(111) 사이에 부착되는 스티커부착대(120)로 구성된 바닥판(100):
    양단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10)과, 넓은 면에 하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주탑고정부(220)와, 끝상판고정부(230), 및 상단보고정부(240)를 갖추고서, 주탑지지편 설치공(111)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주탑지지편(200):
    하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310)와, 양단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320)를 갖추고서, 주탑지지편(20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돌기(310)와 결합돌기(320)를 매개로 설치대(110)의 주탑설치공(112)과 주탑지지편(200)의 주탑고정부(220)에 고정되는 주탑(300):
    선단부에 반복형성되는 요부(411) 및 철부(412)와, 타단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413)와, 양 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걸림홈(414)을 갖추고서, 주탑지지편(20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돌기(413)를 매개로 끝상판고정부(230)에 설치되는 끝상판(410)과;
    선단부와 후단에 반복형성되는 요부(421) 및 철부(422)와, 양 측면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걸림홈(423)을 갖추고서, 요부(421) 및 철부(422)를 매개로 끝상판(410)의 요부(411) 및 철부(412)에 결합고정되는 중간상판(420)으로 구성된 상판구조물(400):
    양단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510)와, 외면에 단변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부(520)를 갖추고서, 주탑지지편(200) 사이에 배치되어 결합돌기(510)를 매개로 주탑지지편(200)의 상단보고정부(240)에 배치되는 상단보(500):
    상단보(500)의 홈부(520)에 삽입되며,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설치대(110)의 걸림홈(113)에 고정되는 주케이블(610)과;
    일단부가 주케이블(6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판구조물(400)의 걸림홈(414,423)에 삽입고정되어 상판구조물(400)의 처짐을 방지토록 하는 보조케이블(620)로 구성된 케이블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커부착대(120)의 상면 중앙에는 바다배경이 그려진 바다스티커(122)가 부착되며, 설치대(110)의 중앙에는 바다스티커(122)의 바다배경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바다스티커 노출부(1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탑(300)에는 반원형의 자동차모형(33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구조물(400)을 구성하는 끝상판(410)과 중간상판(420)의 상면에는 도로임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로스티커(430)가 각각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KR1020100123415A 2010-12-06 2010-12-06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KR10124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415A KR101245842B1 (ko) 2010-12-06 2010-12-06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415A KR101245842B1 (ko) 2010-12-06 2010-12-06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233A true KR20120062233A (ko) 2012-06-14
KR101245842B1 KR101245842B1 (ko) 2013-03-20

Family

ID=4668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415A KR101245842B1 (ko) 2010-12-06 2010-12-06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8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7642A (zh) * 2014-10-11 2014-12-17 长春工程学院 一种换面法教具演示装置
CN110031247A (zh) * 2019-05-09 2019-07-19 华东交通大学 桥梁顶推模拟实验装置
CN114464074A (zh) * 2022-03-19 2022-05-10 许艳松 一种用于道路桥梁设计的组合式模型构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4991A (zh) * 2014-12-12 2015-04-08 柳州铁道职业技术学院 一种仿真路基路面教学结构体
CN106023778A (zh) * 2016-06-13 2016-10-12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土石方工程危险源识别与体验区及建造方法
CN106097875B (zh) * 2016-08-08 2019-08-06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混凝土板结构模型及制作方法
CN106251768A (zh) * 2016-09-07 2016-12-21 中国铁路总公司 一种桥梁基础病害模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6582A (en) * 1974-07-18 1975-07-29 Lawrence Peska Ass Inc Bridge construction set
DE3503439A1 (de) * 1985-02-01 1986-08-07 Hesse, Kurt, 8500 Nürnberg Bruecke fuer fahrspielzeug
US4979926A (en) * 1990-05-29 1990-12-25 Bisceglia Stephen D Toy exploding bridge apparatus
JP4199812B2 (ja) * 2007-01-17 2008-12-24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 組み立て玩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7642A (zh) * 2014-10-11 2014-12-17 长春工程学院 一种换面法教具演示装置
CN110031247A (zh) * 2019-05-09 2019-07-19 华东交通大学 桥梁顶推模拟实验装置
CN110031247B (zh) * 2019-05-09 2022-05-27 华东交通大学 桥梁顶推模拟实验装置
CN114464074A (zh) * 2022-03-19 2022-05-10 许艳松 一种用于道路桥梁设计的组合式模型构架
CN114464074B (zh) * 2022-03-19 2024-04-16 许艳松 一种用于道路桥梁设计的组合式模型构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5842B1 (ko) 201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842B1 (ko) 현수교의 원리교육을 위한 학습교재
US8776610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failure load of model truss structures
CN101858053A (zh) 斜拉桥索塔斜拉索锚板式锚固
CN105780658A (zh) 一种空间索面结构缆索系统横向对拉方法
CN104060534B (zh) 塔外横梁斜拉索锚固系统
CN212460966U (zh) 一种用于教学的可拆卸式桥梁模型
CN203606996U (zh) 失重与超重演示仪器
US3896582A (en) Bridge construction set
CN203716052U (zh) 钢铰线锚箱传力装置
CN201177889Y (zh) 可用于演示矢量及其所遵循的平行四边形法则的教具
CN203425534U (zh) 积木组合式斜拉桥模型
CN205265212U (zh) 电缆防护固定卡子
CN203118300U (zh) 力学教学用演示教具
CN204000610U (zh) 塔外横梁斜拉索锚固系统
US10937335B2 (en) Introduced in sets of structural parts for composition of architectural didactic materials
CN201936479U (zh) 架空光缆线路施工教学模具
CN206849312U (zh) 一种耐张绝缘子串更换绝缘子实训支架
CN209343584U (zh) 一种农村幼儿园用教学板
CN205221397U (zh) 玩具枪支包装盒盒体
KR101683694B1 (ko) 케이블 및 가동강판에 의해 지지되는 거더구조체
CN214436505U (zh) 一种磁吸式反重力积木模组
CN205221509U (zh) 用于包装玩具枪支的盒体
CN215007208U (zh) 一种铁塔基础施工测量培训教学模型
CN204299168U (zh) 一种便于调节移动的建筑模板
CN202008764U (zh) 一种力学演示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