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1859A -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 Google Patents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859A
KR20120061859A KR1020127005538A KR20127005538A KR20120061859A KR 20120061859 A KR20120061859 A KR 20120061859A KR 1020127005538 A KR1020127005538 A KR 1020127005538A KR 20127005538 A KR20127005538 A KR 20127005538A KR 20120061859 A KR20120061859 A KR 20120061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mold
ear
hearing aid
transmission device
hea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920B1 (ko
Inventor
다윗 유웅 조우
제니퍼 진핑 조우
Original Assignee
쟈앙수 베터라이프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010112613.6A external-priority patent/CN102137322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010219307A external-priority patent/CN101867862A/zh
Application filed by 쟈앙수 베터라이프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쟈앙수 베터라이프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61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04R25/656Non-customized, universal ear tips, i.e. ear tips which are not specifically adapted to the size or shape of the ear or ear ca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1Aspects relating to vents, e.g. shape, orientation, acoustic properties in ear tips of hearing devices to prevent occlu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45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04R25/456Prevention of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mechani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04R25/654Ear wax reta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Neuro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의 이어몰드를 제공하여, 상기 이어몰드는 보청기의 귀속 리시버와와 조합되며, 상기 이어몰드는 이어몰드 헤드부와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와 연결되는 음성 전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보청기의 스피커와 연결되며,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와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상기 보청기를 연결시키는 일단은 탄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의 접속부는 유연성을 갖고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를 제공하여, 보청기의 귓속형 리시버가 이도 내부에서 정위치되고 음향을 전달하는데 협조하는 역할을 하며, 보청기의 유효 출력 공률을 현저하게 높였다.

Description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EAR MOLD AND OPEN RECEIVER-IN-THE-CANAL HEARING AID}
본 발명은 일종의 이어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청기의 귓속 리시버 장치에 사용되는 일종의 이어몰드에 관한 것이며, 이는 귓속 리시버 장치가 디프 이도(Deep ear canal)에서 취출이 편리하게 하며, 동시에 이도내에서 고정도 편리하게 하며, 보청기의 증폭 기능을 개선시키며, 착용도 편안하게 하며, 또한 피드백과 폐색효과도 감소되며, 또한 본 발명은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보청기를 생산하는 제조업자들은 보청기의 출력신호, 환경 노이즈의 억제, 사운드 반사신호 등의 개선을 통하여 출력신호의 품질을 보장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출력신호의 품질은 좋지만 사용자들이 실제로 접수되는 증폭 부분은 매우 적으므로, 사용자들은 좋은 보청 효과를 얻지 못한다. 맞춤형보청기는 통상적으로 귓바퀴에 배치되고, 귀걸이보청기는 귓등에 배치되기 때문에 스피커 또는 리시버의 확대된 음성 또는 증폭은 인체의 고막과 일정한 거리를 갖게 되고, 또한 음파전달 댐핑과 반사 상호작용에 의해 음성 전달은 복잡한 생리구조를 가진 이도에서 손실을 갖게 되며, 통상적으로 대략 20% 내지 30%의 증폭이 손실된다. 그러므로 많은 중도 난청환자들은 보청기의 공률이 작다고 불평을 하곤 한다.
보청기의 기술영역에서, 보통 이어폰을 사용하여 보청기를 정위치시키며, 특히 보청기의 리시버장치를 이도내에 정위치시킨다. 상용되는 보청기의 이어폰은 일정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규소 고무로 제조된다. 즉 2003년 4월 1일에 등록된 유럽(EU) 디자인 제 000007893-0001호의 일부분 이어폰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이어몰드는 사용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상황을 일으키곤 한다. 사용자들의 이도 길이와 이도 크기 및 이도 형상은 서로 다르고, 또한 이도 근육의 운동으로 음향은 누설된다. 이도 중심 부근의 공기는 유통이 되지 않아서 심한 폐색효과를 초래한다.
또한, 보청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보청기의 스피커 부분을 귀의 내부에 들어가도록 설계하였으며, 이는 스피커를 인체의 고막과 인접하게 하여, 음성 또는 증폭에 대한 손실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이는 귀의 내부에서 보청기를 안정적으로 정위치시키고, 보청기의 귀속 리시버도 귀의 내부에서 마음대로 취출할 수 있으며, 인체의 귀에 불편한 감을 없게 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과정에서 담화, 식사, 드링킹(Drinking), 운동 등은 이도근육을 운동시키며, 이는 귀속 리서버의 상대적인 운동도 초래하여, 귀속 리시버는 고정되지 않아서 귀속에서 발생한 고주파 음압은 누설되며, 증폭도 감소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지? 또한 폐색효과에 의한 저주파 음압은 어떻게 적합한 방출을 실시할 것인지? 이는 모두 최적화된 분석이 필요하며 해결해야 할 기술과제이다. 종래의 보청기 기술에서는 보도가 적으며 우수한 해결방안도 별로 없는 실정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종의 이어몰드를 제공하여, 보청기의 리시버장치를 귀의 내부에서 마음대로 취출할 뿐만 아니라, 보청기의 리시버장치는 디프 이도(Deep ear canal)에서 안정적으로 정위치되며, 보청기를 사용할 때 편안한 착용감을 갖게 되며, 또한 보청기의 증폭의 손실을 감소시키며, 보청기의 사용범위도 확대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종의 이어몰드를 제공하여, 귀속의 귀지가 이어몰드의 내부에 들어가 이어몰드의 보청작용을 저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어몰드와 귀사이의 유동 공기를 원활하게 하고, 귀는 땀을 원활하게 흘리게 되며, 보청기의 폐색을 방지하는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종의 구조가 간단한 이어몰드를 제공하여, 각종의 보청기 귀속 스피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각종의 보청기 귀속 리시버장치에 장착도 간단하며, 사용도 더욱 편리하게 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종의 이어몰드에 있어서, 이어몰드와 보청기는 조합되며, 상기 이어몰드는 상기 보청기의 귀속형 리시버가 이도내에 정위치되고 음향을 전달하는데 협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이어몰드는 이어몰드 헤드부와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와 연결되는 음성 전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보청기의 스피커와 연결되며,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와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상기 보청기의 스피커가 연결되는 일단은 탄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의 접속부는 유연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몰드의 내부에는 보호부재가 더 설치되되, 상기 보호부재는 기둥 형상이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어어몰드와 접촉되며 적어도 하나의 통풍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이어몰드 중의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몰드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와 상기 음성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데, 그 재료는 일종 또는 복합형, 의료용 또는 비의료용, 비금속 또는 금속 탄성 재료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는 앞부분, 중간 부분, 뒷부분으로 구성되되, 상기 이어몰드가 이도내에 배치될 때,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은 이도벽과 접촉되며,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은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청력관이며,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은 이도벽의 지름 방향의 압축을 받아 변형될 때, 상기 청력관의 외표면 사이와 축방향 슬라이딩 또는 비슬라이딩의 자유 접촉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몰드는 비사용 상태일 때, 또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은 자유 상태일 때 상기 청력관의 외표면 사이와 접촉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표면은 스무딩하고, 드럼 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과 상기 음성 전달 장치 사이에는 빈틈이 유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의 벽 두께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벽 두께보다 작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 또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과 상기 청력관의 조합 사이에는 상기 빈틈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풍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몰드를 이도내에 배치할 때,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 또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과 상기 청력관의 조합 사이에는 상기 빈틈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풍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를 제공하여, 리시버장치를 귀도의 내부에서 마음대로 취출할 뿐만 아니라, 리시버장치는 이도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정위치되며, 또한 리시버는 귀속 귀지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귀속의 저주파 음압을 즉시로 방출시켜 폐색을 방지하며, 귀속의 유동 공기를 원활하게 하며, 귀는 땀을 원활하게 흘릴 수 있도록 한다.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는 상기 이어몰드와 상기 이어몰드와 조합되는 상기 보청기의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몰드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와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와 연결되는 상기 음성 전달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상기 보청기의 스피커와 연결되며,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와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상기 보청기의 스피커가 연결되는 일단은 탄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의 접속부는 유연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몰드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부재는 기둥 형상이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어어몰드와 접촉된 후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어몰드 중의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어몰드 및 상기 음성 전달 장치의 재료는 의료용 탄성 재료이다.
본 발명의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는 앞부분, 중간 부분, 뒷부분으로 구성되되, 상기 이어몰드가 이도내에 배치될 때,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은 이도벽과 접촉되며,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은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표면은 스무딩하고, 드럼 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상기 청력관이며,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과 상기 음성 전달 장치 사이에는 빈틈이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몰드는 비사용 상태일 때, 상기 이어몰드의 뒷부분과 상기 청력관의 외표면 사이에는 접촉되지 않거나 또는 슬라이딩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 또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과 상기 청력관의 조합 사이에는 상기 빈틈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풍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어몰드를 이도내에 배치할 때,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 또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과 상기 청력관의 조합 사이에는 상기 빈틈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풍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종의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의 효과는, 이어몰드 헤드부는 드럼 형상이기 때문에,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 및 뒷부분은 이벽과 접촉되지 않으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만 이벽과 접촉되며, 이는 이어몰드와 이도벽의 선접촉을 실현하였으며, 또한 이어몰드 헤드부의 탄성 특징에 의해 이어몰드는 이도내에서 안정적으로 정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종의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의 효과는, 이어몰드 헤드부와 청력관은 일체로 형성되며, 동시에 종래 기술의 받침대를 포기하고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의 구조는 더욱 간단하고, 안정적이면서, 장착도 편리하다. 또한 이어몰드를 표준화 사용으로 설계하였기 때문에, 이어몰드는 각종 규격의 보청기 리시버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보청기의 증폭 손실도 감소시켰다. 이는 소공률 보청기의 고객에서 심한 난청 환자에까지 보급될 수 있으며, 또한 보청기를 보유한 사용자들은 대공률 보청기로 교체하지 않아도 대공률 보청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일종의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의 효과는, 보호부재를 추가하였기 때문에, 귀속의 귀지는 이어몰드에 진입되지 않는다. 또한 이어몰드와 귀사이에 빈틈을 보장할 수 있어서, 귀도내의 유동 공기를 원활하게 하고 땀을 흘릴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몰드는 단독 상품으로 판매를 진행할 수 있고, 동시에 보청기의 부속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청기의 리시버에서 나오는 음향을 직접 이도의 심층에 전달하여, 복잡한 생리구조의 이도에서 보청기의 음향을 전달할 때의 손실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의 실시예에 따른 귀에서의 사용상태도(이도의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형상 구성도;
도 3은 도 2의 G-G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몰드의 통풍 구멍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몰드의 보호부재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몰드의 보호부재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몰드 헤드부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몰드 헤드부의 구성도.
이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방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청기(1)는 스피커(2)(리시버라고도 함)를 포함하고, 스피커(2)의 일단은 지름방향에 대한 죔쇠 끼워맞춤 또는 접착제를 통하여 음성 전달 장치(3)에 배치되며, 음성 전달 장치(3)와 이어몰드 헤드부(4)는 매치되며, 여기서 음성 전달 장치(3)와 이어몰드 헤드부(4)로 구성된 구조는 이어몰드(20)라고 하며, 스피커(2)의 타단에는 스피커 도선 튜브(5)가 연결되어 있으며, 스피커 도선 튜브(5)와 바디(6)는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음성 전달 장치(3)는 청력관이다.
보청기(1)는 작동할 때, 이어몰드 헤드부(4)와 음성 전달 장치(3)를 디프 이도(Deep ear canal)에 삽입하며, 스피커(2)는 음성 전달 장치(3)와 연결된다. 이는 보청기 리시버가 귀의 내부에 더욱 깊이 들어가도록 하며, 이어몰드(20)의 작용에 의하여 보청기(1)는 스피커(2)에서 출력한 음향을 인체의 고막과 가까운 위치에 전송하며, 또한 이어몰드 헤드부(4)를 통하여 보청기 리시버장치를 이도내에 안정적으로 정위치시킨다. 그러므로 청력관은 스피커(2)에서 나오는 음향을 직접 인체의 고막에 전송하며, 이도내의 전달과정 중에 보청기(1)에서 출력한 음향의 증폭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청기(1)의 작업효율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음성 전달 장치(3) 또는 청력관과 이어몰드 헤드부(4)는 일체로 성형되며, 사용되는 재료는 의료용 탄성 재료이며, 예를 들면 생체 적합성을 갖고 있고, 경도는 60보다 작은 실리콘이다. 이는 이어몰드와 이도 접촉부위의 탄성변형과 편안감을 보장한다. 청력관과 이어몰드 헤드부(41)의 재료에 대한 선택 및 구조 사이즈의 설계는 매치되어야 하며, 또한 음성 신호 전달에 의한 자체의 진동 또는 공진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청력관과 이어몰드 헤드부(4)는 보청기 리시버와 연결된 후, 이도의 구조하에 자연 주파수는 8000헤르츠이상임). 동시에 이어몰드 헤드부(4)는 일정한 유연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만곡되거나 지름 방향으로 압축 변형이 용이하며, 이는 디프 이도에서 배치 및 취출이 편리하며, 착용감도 편안하다. 여기서 설계한 이어몰드(20)는 이도내에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도와 탄성 접촉도 유지할 수 있으며, 귀속 리시버장치를 안정되게 정위치시키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이어몰드(20)는 이어몰드 헤드부(4)와 청력관을 포함하며, 이는 청각학, 음향학과 이도 생리 해부학을 통한 시스템적으로 설계한 귀속 리시버장치이며, 이는 인체의 고막과 가까운 디프 이도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력관과 이어몰드 헤드부(4)의 설계에서, 청력관이 이어몰드 헤드부(4)부분을 돌출한 길이 L은 서로 다른 등급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범위는 4 내지 20mm이며, 이는 아동, 노인, 동양인 및 서양인의 귀의 생리 구조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보청기(1)의 스피커(2)와 연결된 청력 튜브는 외경이 8밀리미터보다 작으며, 또는 단면대각선의 길이는 8밀리미터보다 작은 임의의 기하학적인 형상을 갖는 튜브이다. 즉 단면은 3, 4, 5, 6, 7, 8 등 다변형의 튜브일 수 있으며, 튜브는 싱글 홀 또는 멀티 홀일 수 있다. 스피커(2)가 청력관에 들어간 길이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가 L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몰드 헤드부(4)와 청력관의 단면도에서, 이어몰드(20)는 이어몰드 헤드부(4), 음성 전달 장치(3)로 구성되고, 이어몰드 헤드부(4)와 음성 전달 장치(3)는 일체로 성형된다. 음성 전달 장치(3)의 일단(13)은 의료용 탄성재료이기에 일정한 탄성을 갖고 있으며, 지름방향의 죔쇠 끼워맞춤 또는 접착제 등을 통하여 스피커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이어몰드(20)는 표준화된 부속품으로서 각종 규격의 보청기 리시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즉 보편적인 각종의 보청기에 모두 직접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이어몰드(20)는 사용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또한 각종의 보청기의 사용효율을 향상시켰으며, 각종의 보청기의 사용 수명도 연장시켰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몰드(20)와 청력관에 대한 부분적인 단면도에서, 이어몰드 헤드부(4)는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41),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과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으로 구성되며, 그중에서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41)은 청력관과 일체로 성형된다. 비사용 상태에서는,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과 청력관은 축방향 표면에서 슬라이딩 접촉될 수 있다. 초기 상태에서는,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과 청력관은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아도 되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과 청력관 사이에는 빈틈(8)이 유지되어 있다. 이어몰드(20)는 사용과정에서, 이어몰드(20)는 귀속에서 축방향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이어몰드 헤드부(4)와 이도벽(9) 사이에는 지름 방향으로 접촉 압축되어,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과 청력관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표면 슬라이딩 마찰이 발생된다.
이외에, 이어몰드 헤드부(4)의 내부에 에어 백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이어몰드 헤드부(4)가 지름 방향에서 압축될 때 자유 변형되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과 청력관 사이에는 빈틈(8)을 유지시키지 않아도 되며, 즉 직접 접합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어몰드 헤드부(4)는 드럼 형상이며, 표면은 윤활하여, 이도벽과 접촉할 때의 불편한 감은 해소된다. 이어몰드 헤드부(4)는 통상적으로 탄성 물질이며, 지름 방향의 압축을 받을 때, 일정한 지름 방향의 변형과 축방향의 신장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어몰드 헤드부(4)는 이도의 지름 방향의 직경을 감소하여, 편리하게 이도에 삽입되고 정위치된다. 이어몰드 헤드부(4)의 표면은 표면처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ETFE, PTFE, Parylene, Parylin, Parylast, Polyurethane, Polyethylenimin, Polyimide등 층을 코팅할 수 있으며, 또는 필름을 코팅할 수 있다.
사용 상태일 때,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의 직경부위는 이도벽(9)의 압력을 받아서,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의 직경부위는 지름 방향의 변형이 발생되며, 또한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과 청력관의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인 접촉이 유지된다. 또한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의 직경부위와 이도벽(9) 사이의 접촉,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41)과 청력관 사이의 접촉,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과 청력관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이어몰드 헤드부(4)와 청력관은 귀속에서 상호 지지력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이어몰드 헤드부(4)와 청력관은 이도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즉 음파의 간섭으로 이어몰드는 쉽게 슬라이딩 되지 않으며, 동시에 이도에서 탈락되지 않는다.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41)과 청력관사이의 접촉,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과 청력관사이의 접촉은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의 직경부위가 변형되도록 하여 더욱 안정적이다. 압축된 이어몰드 헤드부는 인체의 고막과 가깝기 때문에, 보청기의 출력공률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이도에서 발생되는 폐색효과도 대폭으로 감소시켜서, 환자는 편안하게 보청기를 착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의 직경부위와 이도벽(9) 사이,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과 청력관 사이에는 모두 면접촉 또는 선접촉으로 설치되었으며, 이는 안정적인 정위치를 보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의 직경부위 및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과 청력관의 접촉부분의 호도(radian)를 작게 설계하여, 면접촉의 방식에 접근한 것이다.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과 이도벽(9)은 일정한 접촉면적(0.5mm2보다 작지 않음)을 갖고 있으며, 그 축방향 길이는 0.1mm 내지 5mm이다.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과 이도벽(9) 사이에는 일정한 접촉압력을 유지시키며, 이는 이어몰드 헤드부(4)와 이도벽(9)이 고정되는 것을 강화하며, 음파의 압력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음향의 누설도 방지할 수 있다. 청력관은 이도의 축방향에 따라 직선형 또는 이도의 만곡형상에 따라 직접 예비 성형될 수 있다.
도 5,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청기(1)의 이어몰드(20)와 이도내부사이의 저주파 음압을 유효하게 방출시키기 위하여, 이어몰드 헤드부(4)와 음성 전달 장치(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 구멍(10)을 설치하며, 상기 통풍 구멍(10)과 빈틈(8)은 서로 연통된다. 저주파 음압은 청력관의 외벽의 주위에 더욱 집중되고,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의 직경부위와 이도벽(9)이 접촉되는 주변은 고주파 음압이 더욱 집중되기 때문에, 통풍 구멍(10)을 청력관의 외벽의 주위와 인접한 곳에 설치하여, 저주파 음압이 빨리 방출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풍 구멍(10)은 대칭으로 4개를 설치하며, 수요에 따라 통풍 구멍(10)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통풍 구멍(10)은 직접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41)에 미리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41)에 미리 공간을 보유하여, 이도벽의 지름 방향의 압축에 의해 변형된 후, 청력관의 조합을 통하여 통풍 구멍(10)이 형성될 수도 있다(도 9 참조). 폐색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변형된 통풍 구멍(10)의 내경은 0.5mm보다 커야 하며, 공기를 유통시켜 폐색 효과를 방지해야 하며, 통풍 구멍(10)은 이도의 길이 방향에 따라 굴곡형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스피커의 음파 또는 음압의 누설을 감소시키며, 이도 밖의 음파가 귀속에 들어오는 것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몰드 헤드부(4)의 변형 과정에서, 통풍 구멍(10)은 변형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변형되지 않게 설계를 하여, 통풍 구멍(10)의 원활함을 보장한다. 통풍 구멍(10)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일 수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과 청력관의 조합에서, 적어도 하나의 벤트 홀(11)을 설치하며, 벤트 홀(11)은 빈틈(8)과 연통되며, 이는 통풍 구멍(10), 빈틈(8)과 벤트 홀(11) 사이의 연통을 보장하여, 이도내의 저주파 음압이 순조롭게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벤트 홀(11)의 설치는 통풍 구멍(10)을 참조하여, 여러개로 설치되며, 동시에 청력관의 외벽과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벤트 홀(11)은 직접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에 관통 구멍을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미리 공간을 설정하여, 이도벽의 지름 방향의 압축을 받아 변형된 후, 청력관의 조합을 통하여 관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은 지름 방향의 압축을 받아 변형된 후 청력관과 불연속적인 주변의 접촉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어서 청력관의 외벽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벤트 홀(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대칭으로 4개의 벤트 홀(11)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41),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과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의 벽 두께는 같지 않으며, 그중에서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의 벽 두께는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41)과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의 벽 두께보다 작다. 이는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이 이도벽과 접촉되어 지름 방향의 압축을 받을 때,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은 더욱 큰 지름 방향의 압력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이는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41)과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43)에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이 청력관의 중심방향에 따라 우묵해지거나 또한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한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청기(1)의 이어몰드 헤드부(4)의 작용은 아래와 같다.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42)의 주변에 음압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특히 고주파 음압의 누설); 청력관의 중심위치와 인접한 곳에 공기 유통 채널을 제공하여 폐색효과를 방지한다; 스피커(2) 및 청력관을 지지하고 고정시켜, 슬라이딩되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며, 진동과 공진(resonance)을 방지한다; 착용이 부드럽고 편안하며, 디프 이도내에 배치 및 취출이 용이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어몰드 헤드부(4)내에는 보호부재(13)가 설치되어 있으며, 보호부재(13)는 귀속에 이물 또는 귀지가 이어몰드(20)의 청력관에 유입되어, 이어몰드(20)의 음향 전달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부재(13)의 형상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직사각형 형상일 수도 있으며, 보호부재(13)와 이어몰드 헤드부(4)는 조합된 후, 이어몰드 헤드부(4)와 보호부재(13) 사이에는 관통 구멍이 보유되어야 하며, 이는 음향의 순조로운 전달을 보장하며, 또한 관통 구멍은 매우 미세하여, 귀속의 이물질은 이어몰드 헤드부(4)에 유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호부재(13)는 ABS등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경도는 더욱 크며, 이어몰드 헤드부(4)의 내부의 지름 방향을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이어몰드 헤드부(4)와 보호부재(13)는 분리할 수 있으며, 이는 보호부재(13)의 교체와 세척을 편리하게 한다.
보호부재(13)의 길이는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호부재(13)는 이어몰드 헤드부(4)내에 위치된다. 그러나 보호부재(13)는 청력관내에 위치되게 설치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이를 국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어몰드는 표준화 설계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독적인 일종의 제품으로 판매할 수 있으며, 또한 현존하는 각종의 보청기의 리시버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각종의 보청기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켰으며, 각종의 보청기의 사용 수명도 연장하였다.
본 발명의 이어몰드는 부속품으로 보청기와 같이 판매할 수 있다. 이는 현존하는 보청기의 출력음향이 직접 인체의 고막에 전달되게 하며, 또한 본 발명의 이어몰드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장착도 용이하며, 받침대를 사용하여 별도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외에, 보호부재는 이어몰드 내부에서 귀지의 진입을 감소시켰다. 또한 보호부재는 교체와 세척도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이어몰드는 이어몰드 헤드부와 청력관을 포함하며, 이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장착도 편리하다. 또한, 이도의 복잡한 생리학 구조에 근거하여, 이도내에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도와 탄성 접촉도 유지할 수 있으며, 귀속 리시버장치를 안정되게 정위치시키는 역할도 한다. 그러므로 장기적으로 착용해도 편리한 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이어몰드는 표준화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각종 규격의 귀속 리시버장치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귀속의 귀지가 이어몰드에 들어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어몰드와 이도사이에 일정한 빈틈(8)을 유지시켜서, 이도내의 유동 공기를 원활하게 하며, 땀도 원활하게 흘릴 수 있게 한다. 가장 중요하게는, 청각학, 음향학과 이도 생리 해부학을 통한 시스템적으로 설계한 귀속 리시버장치는 인체의 고막과 가까운 디프 이도내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음향신호의 증폭 손실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난청 환자들은 보청기의 출력 신호를 효율적으로 접수할 수 있게 되어, 중소 공률의 보청기의 보급은 중도 난청 환자에까지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관련된 여러 변형 및 개량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내에 포함된다.
1: 보청기, 2: 스피커, 3: 음성 전달 장치, 20: 이어몰드, 4: 이어몰드 헤드부, 41: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 42: 이어몰드 헤어부의 중간 부분, 43: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 5: 스피커 도선 튜브, 6: 바디, 8: 빈틈, 9: 이도벽, 10: 통풍 구멍, 11: 벤트 홀, 12: 보호부재, 13: 음성 전달 장치의 일단.

Claims (17)

  1. 일종의 이어몰드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는 보청기와 조합되며, 상기 보청기의 귀속형 리시버가 이도내에 정위치되고 음향을 전달하는데 협조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이어몰드는 이어몰드 헤드부와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와 연결되는 음성 전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보청기의 스피커와 연결되며,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와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상기 보청기의 스피커가 연결되는 일단은 탄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의 접속부는 유연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헤어몰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의 내부에는 보호부재가 더 설치되되, 상기 보호부재는 기둥 형상이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어어몰드와 접촉된 후 적어도 하나의 통풍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이어몰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이어몰드 중의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이어몰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와 상기 음성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데, 그 재료는 일종 또는 복합형, 의료용 또는 비의료용, 비금속 또는 금속 탄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이어몰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는 앞부분, 중간 부분, 뒷부분으로 구성되되, 상기 이어몰드가 이도내에 배치될 때,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은 이도벽과 접촉되며,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은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이어몰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청력관이며,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은 이도벽의 지름 방향의 압축을 받아 변형될 때, 상기 청력관의 외표면 사이와 축방향 슬라이딩 또는 비슬라이딩의 자유 접촉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이어몰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는 비사용 상태일 때, 또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은 자유 상태일 때 상기 청력관의 외표면 사이와 접촉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이어몰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표면은 스무딩하고, 드럼 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과 상기 음성 전달 장치 사이에는 빈틈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이어몰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의 벽 두께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과 뒷부분의 벽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이어몰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 또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과 상기 청력관의 조합 사이에는 상기 빈틈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풍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이어몰드.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를 이도내에 배치할 때,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 또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과 상기 청력관의 조합 사이에는 상기 빈틈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풍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이어몰드.
  12.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는 상기 이어몰드와 상기 이어몰드와 조합되는 상기 보청기의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몰드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와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와 연결되는 상기 음성 전달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상기 보청기의 스피커와 연결되며,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와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상기 보청기의 스피커가 연결되는 일단은 탄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상기 이어몰드 헤어부의 접속부는 유연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의 내부에는 상기 보호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부재는 기둥 형상이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어어몰드와 접촉된 후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이어몰드 중의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에 위치되고,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 및 상기 음성 전달 장치의 재료는 일종 또는 복합형, 의료용 또는 비의료용, 비금속 또는 금속 탄성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15. 제 12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는 앞부분, 중간 부분, 뒷부분으로 구성되되, 상기 이어몰드가 이도내에 배치될 때,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은 이도벽과 접촉되며,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은 상기 음성 전달 장치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표면은 스무딩하고, 드럼 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음성 전달 장치는 상기 청력관이며,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중간 부분과 상기 음성 전달 장치 사이에는 빈틈이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몰드는 비사용 상태일 때, 상기 이어몰드의 뒷부분과 상기 청력관의 외표면 사이에는 접촉되지 않거나 또는 슬라이딩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 또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앞부분과 상기 청력관의 조합 사이에는 상기 빈틈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풍 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어몰드를 이도내에 배치할 때,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 또는 상기 이어몰드 헤드부의 뒷부분과 상기 청력관의 조합 사이에는 상기 빈틈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통풍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종의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KR1020127005538A 2010-01-25 2010-07-19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KR101340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112613.6 2010-01-25
CN201010112613.6A CN102137322B (zh) 2010-01-25 2010-01-25 一种耳塞及助听器
CN201010219307A CN101867862A (zh) 2010-07-07 2010-07-07 耳模及开放式耳内受话助听装置
CN201010219307.2 2010-07-07
PCT/CN2010/001081 WO2011088600A1 (zh) 2010-01-25 2010-07-19 耳模及开放式耳内受话助听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859A true KR20120061859A (ko) 2012-06-13
KR101340920B1 KR101340920B1 (ko) 2013-12-13

Family

ID=4430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538A KR101340920B1 (ko) 2010-01-25 2010-07-19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55548B2 (ko)
EP (1) EP2530955A4 (ko)
JP (1) JP5415627B2 (ko)
KR (1) KR101340920B1 (ko)
WO (1) WO201108860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1056B2 (en) 2013-05-06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eardrum and hearing apparatus
WO2020222610A1 (ko) * 2019-05-02 2020-11-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9320A1 (en) 2007-10-12 2009-04-16 Earlens Corporation Multifunc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ed hearing and communiction with noise cancellation and feedback management
US8348010B2 (en) * 2007-10-19 2013-01-08 Apple Inc. Invertible ear tips for an ear piece
US8280093B2 (en) 2008-09-05 2012-10-02 Apple Inc. Deformable ear tip for earphone and method therefor
EP2301261B1 (en) 2008-06-17 2019-02-06 Earlens Corporation Optical electro-mechanical hearing devices with separate power and signal components
BRPI0919266A2 (pt) 2008-09-22 2017-05-30 SoundBeam LLC dispositivo e método para transmitir um sinal de áudio para um usuário, métodos para fabricar um dispositivo para transmitir um sinal de áudio para o usuário, e para fornecer um dispositivo de áudio a um usuário, e, dispositivo e método para transmitir um som para um usuário tendo um tímpano
DK2656639T3 (da) 2010-12-20 2020-06-29 Earlens Corp Anatomisk tilpasset øregangshøreapparat
US9118995B1 (en) * 2012-03-26 2015-08-25 Hear-Wear Technologies LLC Earpiece auditory devices having improved ear tips
US20140355809A1 (en) * 2013-05-28 2014-12-04 Etymotic Research, Inc. Flexible eartip with retention base
US10034103B2 (en) 2014-03-18 2018-07-24 Earlens Corporation High fidelity and reduced feedback contact hearing apparatus and methods
WO2016011044A1 (en) 2014-07-14 2016-01-21 Earlens Corporation Sliding bias and peak limiting for optical hearing devices
US9924276B2 (en) 2014-11-26 2018-03-20 Earlens Corporation Adjustable venting for hearing instruments
US9961434B2 (en) 2014-12-31 2018-05-01 Skullcandy, Inc. In-ear headphones having a flexible nozzle and related methods
KR102292043B1 (ko) * 2015-06-12 2021-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청각 전자장치
US20170095202A1 (en) 2015-10-02 2017-04-06 Earlens Corporation Drug delivery customized ear canal apparatus
US11350226B2 (en) 2015-12-30 2022-05-31 Earlens Corporation Charging protocol for rechargeable hearing systems
US10492010B2 (en) 2015-12-30 2019-11-26 Earlens Corporations Damping in contact hearing systems
WO2017116791A1 (en) 2015-12-30 2017-07-06 Earlens Corporation Light based hearing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EP3510796A4 (en) 2016-09-09 2020-04-29 Earlens Corporation CONTACT HEARING SYSTEMS, DEVICE AND METHOD
WO2018093733A1 (en) 2016-11-15 2018-05-24 Earlens Corporation Improved impression procedure
WO2018228988A1 (en) * 2017-06-16 2018-12-20 Widex A/S Flexible ear piece for a hearing aid
WO2019173470A1 (en) 2018-03-07 2019-09-12 Earlens Corporation Contact hearing device and retention structure materials
KR20200128733A (ko) * 2018-03-09 2020-11-16 스테이턴 테츠야, 엘엘씨 이어팁 및 이어폰 장치와, 이의 시스템 및 방법
WO2019199680A1 (en) 2018-04-09 2019-10-17 Earlens Corporation Dynamic filter
WO2020113375A1 (zh) * 2018-12-03 2020-06-11 安克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耳机套和包括该耳机套的耳机组件
US11405717B2 (en) * 2019-12-17 2022-08-02 Casey Kong Ng Pressure equalizing earphone
CN113573187A (zh) * 2020-04-29 2021-10-29 启弘股份有限公司 具有调压及控制杂音的耳塞
US20210378869A1 (en) * 2020-06-09 2021-12-09 Casey Ng Earplug with pressure regulation and noise control
CN114071288A (zh) * 2020-08-03 2022-02-18 昆山康龙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调压腔室的耳塞及该耳塞的成型方法
US11638108B2 (en) * 2020-11-27 2023-04-25 Sonova Ag Canal hearing devices with sound port contaminant guards
CN113271528B (zh) * 2021-07-19 2021-11-19 西安交通大学医学院第二附属医院 一种适用于耳鼻喉科的医用助听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13369U1 (ko) * 1987-10-05 1989-02-0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De
US5201007A (en) * 1988-09-15 1993-04-06 Epic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amplified sound to ear
DK174632B1 (da) * 1998-07-10 2003-07-28 Toepholm & Westermann Ørevoksfang til i-øret-høreapparat samt hjælpemiddel til brug ved dets isætning og udtagning
US6129174A (en) * 1998-12-30 2000-10-10 Decibel Instruments, Inc. Minimal contact replaceable acoustic coupler
JP2000341797A (ja) * 1999-05-28 2000-12-08 Hoya Health Care Kk 補聴器用耳垢侵入防止バリア
US6513621B1 (en) * 2000-06-13 2003-02-04 Doctors Research Group Method of producing and making use of ear tips having a filled airtight chamber
DE10062236C2 (de) * 2000-12-14 2003-11-27 Phonak Ag Staefa Fixationselement für ein implantierbares Mikrofon
DE10320861B3 (de) * 2003-05-09 2004-12-02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Cerumenschutzeinrichtung
US7236605B2 (en) * 2003-12-05 2007-06-26 Hearing Components, Inc. User disposable sleeve for use within the ear canal
CA2552802A1 (en) * 2004-01-07 2005-07-28 Etymotic Research, Inc. One-size-fits-most hearing aid
US20050249369A1 (en) * 2004-05-05 2005-11-10 Phonak Ag Flexible frequency response shaping
US7558394B2 (en) * 2005-02-14 2009-07-07 Insound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 situ cerumen removal from hearing devices
CN101218851A (zh) 2005-07-08 2008-07-09 唯听助听器公司 助听器和用于助听器的耳机
US7590258B2 (en) * 2006-07-05 2009-09-15 Mark Andrew Krywko In-ear earphone
US20080019549A1 (en) * 2006-07-19 2008-01-24 Phonak Ag Soft in-the-ear insert
US7681577B2 (en) 2006-10-23 2010-03-23 Klipsch, Llc Ear tip
WO2008116500A1 (en) * 2007-03-27 2008-10-02 Phonak Ag Hearing device with microphone protection
US20080298618A1 (en) * 2007-05-31 2008-12-04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Earpiece for a hearing apparatus with a securing ring
US8348010B2 (en) * 2007-10-19 2013-01-08 Apple Inc. Invertible ear tips for an ear piece
DE102007058987B3 (de) * 2007-12-07 2009-07-16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Stirnplatte mit Verschlussvorrichtung
JP5091711B2 (ja) * 2008-02-20 2012-12-05 リオン株式会社 耳垢侵入防止チップ及び補聴器
US8827986B2 (en) * 2009-10-19 2014-09-09 Pharmaco-Kinesis Corporation Remotely activated piezoelectric pump for delivery of biological agents to the intervertebral disc and spine
US9369816B2 (en) * 2009-12-31 2016-06-14 Starkey Laboratories, Inc. Omniphobic perforated barrier for hearing aid transduc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1056B2 (en) 2013-05-06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eardrum and hearing apparatus
WO2020222610A1 (ko) * 2019-05-02 2020-11-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04004A1 (en) 2013-01-03
JP5415627B2 (ja) 2014-02-12
KR101340920B1 (ko) 2013-12-13
EP2530955A4 (en) 2014-08-20
JP2013514017A (ja) 2013-04-22
US8755548B2 (en) 2014-06-17
WO2011088600A1 (zh) 2011-07-28
EP2530955A1 (en)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920B1 (ko)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US10231048B2 (en) Ergonomic earpiece with attachment mount
US7477756B2 (en) Isolating deep canal fitting earphone
KR100969750B1 (ko) 이어패드 및 상기 패드를 갖춘 이어폰
KR101340921B1 (ko) 유연성 있는 일반형 귀속 보청기
US20070121974A1 (en) Earset assembly
CN107548561B (zh) 耳机
AU2004302950A1 (en) Audio apparatus
US11381897B2 (en)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WO2006070229A2 (en) Earphone
DK2142956T3 (en) Element for transferring sound of the speaker to the ear and the equipment provided with such an element
JP6796351B2 (ja) 骨伝導イヤホンマイクロホン
JP6421360B2 (ja) インナーイヤホン
CN101867862A (zh) 耳模及开放式耳内受话助听装置
CN102137322B (zh) 一种耳塞及助听器
KR100633050B1 (ko) 이어폰
CN202551289U (zh) 耳机套
CN201699979U (zh) 一种耳塞及助听器
CN201699980U (zh) 耳模及开放式耳内受话助听装置
KR20190142029A (ko) 이어팁
JP2023514124A (ja) 完全無線ステレオヘッドセット用の適応型イヤーチップ
CN101102617A (zh) 一种护套结构,耳机,耳塞
CN101895808A (zh) 耳内授话耳背式助听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