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22610A1 - 보청기 - Google Patents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22610A1
WO2020222610A1 PCT/KR2020/005883 KR2020005883W WO2020222610A1 WO 2020222610 A1 WO2020222610 A1 WO 2020222610A1 KR 2020005883 W KR2020005883 W KR 2020005883W WO 2020222610 A1 WO2020222610 A1 WO 20202226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earing aid
housing
output device
outpu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58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0222610A9 (ko
Inventor
이규엽
성기웅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7/607,93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295200A1/en
Publication of WO20202226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22610A1/ko
Publication of WO2020222610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22610A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023Completely in the canal [CIC] hearing aid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ring aid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n output device is implanted in the temporal bone mastoid cavi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mastoid cavity).
  • Conventional hearing aid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irway type hearing aid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and implantable hearing aids implanted in the eardrum or middle ear of a patient.
  • the airway type hearing aid 10 inserted into the ear canal it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 in the case of the airway type hearing aid 10 inserted into the external ear canal, sound is transmitted in the order of the external ear canal-tympanic membrane- ossicles-inner ear, and a high sound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external ear canal to compensate for hearing loss.
  • the output device (speaker) inserted into the ear canal transmits stimulation (sound vibration) from the direction of the ear canal to the eardrum, the speaker is adjacent to the microphone, and the input device (microphone) and output device ( Since the speaker) is exposed to the same medium (air), it is greatly affected by the feedback,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oustic feedback becomes large especially at high sound output. Therefore, airway type hearing aids are generally difficult to apply to people with medium and high degree of amplification who need large amplifi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ing aid capable of solving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airway type hearing aids and implantable hearing aid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ing aid having a high battery life cycle due to its small acoustic feedback, which can be applied to a medium-sized hearing-impaired person, a simple transplant operation, and high energy efficiency.
  • a hearing aid including an input device and an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 the in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are provided separately by being included in a separate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including the input device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the object and provided in a detachable form, and the output
  • the second housing including the device may be provided in a form to be implanted in the object.
  •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microphone
  •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receiver
  • the second housing may be used by being attached to the mast of the object.
  • the second housing may be used by being attached to a bone connected to the middle ear cavity of the object.
  • communication between the in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may be communicated using the same medium.
  • the body of the receiver is disposed in the second housing
  •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receiver is disposed in the third housing
  • the second housing is attached to the flow-like cavity of the object and used.
  • the third housing may be used by being att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ous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middle ear cavity.
  • the hearing aid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element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 the circuit elements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respectively.
  •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may be a waterproof material and a biocompatible material.
  •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airway type hearing aid and implantable hearing aid can be eliminated.
  • the receiver that is, the output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microphone outside the body, reducing the effect of feedback (feedback) by stimulating the eardrum in the direction of the middle ear cavity of the eardrum.
  • the input and output devices use the same medium (air), but the input is not affected by the feedback because the input is outside the body and the output is inside the body. Therefore, it does not have acoustic feedback even at high output and can increase low-frequency output, so it can be applied to middle and high-level hearing impaired people with high output.
  • the output device of the implantable hearing aid can be implanted with a very simple oper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implantable hearing aid, and the vibration output device of the existing implantable hearing aid is the output device. Unlike showing a large difference in efficacy according to the level of implantation technology, excellent hearing aid performance can be obtained even if th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nywhere in the closed middle ear cavity.
  • the efficiency of the output device is high because a receiver that uses air as an output medium is implanted in the flow chamber without using a vibration output device that transmits output vibration through a mechanical connection. Therefore, the resistance of the output medium is small, so that a large output can be produced even with low energy supply.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irway type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xisting embodiment.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coustic feedback (feedback) of a hearing aid.
  • FIGS.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mplantation position and implantation structure of an output device of an implantable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using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 unit'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mean, for example,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However,' ⁇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 The'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 ' ⁇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and subs. 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provided by the' ⁇ unit' may be performed separately by a plurality of elements and the' ⁇ units', or may be integrated with other additional elements.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ring ai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ring aid 10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and an output device.
  • the in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may be separately provided by being included inside a separate housing.
  • the input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110.
  • the output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120.
  •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disposed and used in physically separate locations.
  • the first housing 110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ear canal.
  • a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110 inserted into the ear canal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remaining portion not inserted into the ear canal may be provided in a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serted portion.
  • the first housing including the input device may be inserted into the external ear canal of the object and provided in a detachable form.
  • the first housing 110 may be provided in either an open type or an earring type.
  • the first housing 11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 the input device may include a microphone.
  • the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mplifier.
  • the microphone can accept external acoustic sounds and convert them into electronic signals.
  • the amplifier can selectively amplify the acoustic electrical signal.
  • the amplifier may comprise an OP-AMP.
  •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cube.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provided in a size that can be disposed in the yuyangdong.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can be implanted in an object.
  •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made of a biocompatible material.
  •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 the second housing 12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rough this, even if it is implanted and operated in an object, it can be used without fear of failure.
  • the second housing 120 may include an output device.
  • the output device may include a receiver.
  • the receiver may convert the amplified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amplifier included in the input device into an acoustic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inner ear.
  • the first housing 110 and the second housing 120 may further include circuit elements.
  • the circuit device may include a power device capable of operating a receiver.
  • the circuit element may be a battery.
  • the circuit element may be a power element that can be driven wirelessly.
  • the output device may be attached and provided in the mast of the object.
  • the output device may be provided attached to a bone connected to the middle ear cavity of the object.
  • the output device since the output device uses a form in which sound is transmitted using vib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transmitted output differs depending on the location where the output device is attached.
  •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s shown in FIG. 2, a second housing including an output device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object is implanted.
  • the location where the second housing is attached may be the mastoid cavity of the object.
  • the output device of the hear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ir as a medium, unlike the existing implantable hearing aids, so that sound can be transmitted through an empty middle ear cavity, thereby having a faster response speed.
  •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put device and th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municated using the same medium.
  • th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an acoustic signal using air as an output medium.
  • the output device is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is attached to and used in the yuyangdong, so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amplifier included in the first housing is propagated from the yuyangdong to the yudoldonggu and the middle ear cavity.
  • the Jungi River is connected to Yuyang-dong.
  • both the in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ar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ear canal to stimulate the eardrum from the side of the ear canal to vibrate the ossicles.
  • the input device is disposed at an existing position, and the output device is implanted and disposed in the mastoid sinus of the object to stimulate the eardrum in the opposite side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that is, the middle ear cavity to vibrate the ossicles.
  • the present invention compensates for hearing loss by generating a high sound pressure in the inner ear cavity and the middle ear cavity. Since the output device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and is disposed in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eardrum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ardrum, Acoustic feedback, a disadvantage of airway hearing aids, can be solved.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acoustic output device of the airway type hearing aid that stimulates in the direction of the ear canal of the eardrum, the output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input device and provides feedback (feedback) by stimulating in the direction of the middle ear cavity of the eardrum. It is affected less, and the input and output devices use the same medium (air), but the input is not affected by feedback because the input is outside the body and the output is inside the body.
  • a receiver included in th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and an audio output unit.
  • the body and the sound output unit may be provided separately.
  • the body of the receiver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housing 120, and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receiver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housing (not shown).
  •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may be a waterproof material and a biocompatible material.
  • the second housing 120 including the body is attached to and used in the yuyangdong, and the third housing (not shown) including the sound output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ousing 120 in a direction toward the middle ear cavity. Can be attached and used. In this case, the sound output unit is disposed in a direction toward the middle ear cavity, so that sound transmission can be processed at a higher speed.
  • the second housing including the body of the receiver is implanted in the mastoid process, and the third housing including the sound output unit of the receiver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mastoid pupil or a predetermined distance (several cm or several mm) from the mastoid pupil. Within) can be transplanted apart.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output device is separated and implanted in the mastoid cavity in the conventional integrated airway type hearing aid as shown in FIG. 1.
  • the first housing including the microphone and the amplifier may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ear canal outside the body, that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and the second housing including the receiver is implanted inside the yuyangdong. Because it is arranged, the conventional airway type hearing aid and the form of use in real life may be the same.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coustic feedback (feedback) of a hearing aid.
  • the airway type hearing aid inserted into the ear canal is greatly affected by feedback because the in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are exposed to the same medium, that is, air.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irway type hearing aids cannot be applied to middle and high-level hearing-impaired persons who generally require large amplification.
  •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ffected by feedback because the input and output devices use the same medium (air), but the input is outside the body and the output is inside the body. Therefore, it does not have acoustic feedback even at high output and can increase low-frequency output, so it can be applied to middle and high-level hearing impaired people with high output.
  • the surgery of implanting the output device into the mastoid cavity is a very simple procedure compared to the surgery of the existing implantable hearing aid, both the patient and the medical staff can be satisfied.
  • excellent hearing aid performance can be obtained even if the 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nywhere in the closed middle ear cavity.
  • the efficiency of the output device is high because a receiver that uses air as an output medium is implanted in the flow chamber without using a vibration output device that transmits output vibration through a mechanical connection. Therefore, the resistance of the output medium is small, so that a large output can be produced even with low energy supply.
  • the vibration output device transmits the output vibration through a mechanical connection, while the receiver uses air as the output medium. This means that the receiver has low resistance to the output medium and can produce a large output with a low energy supply.
  • FIGS.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n implantation position and implantation structure of an output device of an implantable hear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utput device of the hearing aid is implanted in a mastoid antrum.
  • the output device may be implanted into the mastoid sinus through an incision in the lateral mastoid antrum corresponding to the outer bone of the mastoid sinus.
  • mastoid air cells between the soft bones in the temporal bone, and the Yuyangdong means the largest room among the many air cells. Yudol Bongso refers to rooms slightly smaller than Yuyang-dong. Yudol Dong-gu refers to the entrance from Yuyang-dong to the Jungi River where Isogol is located.
  • the output device of the hearing aid may be implanted on the sid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mastoid process (a part of the temporal bone) in the mastoid sinus.
  • the output device can be implanted into the mastoid process in the mastoid cavity by adhesive method, screw connection, or the like.
  • the out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iciently transfer acoustic energy to the eardrum by forming a constant sound pressure in a narrow space regardless of the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direction/location.
  • the output device may be implant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sound output is toward the mastoid pupil or toward the upper, lower, or left/right sides of the mastoid pupil.
  • the output device of the hearing aid may be implanted in the mastoid pupil.
  • the body of the receiver included in the output device of the hearing aid is implanted into the mastoid process, and the sound output part of the receiver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mastoid cavity or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several cm or several mm) from the mastoid cavity. ) Can be implanted to be spaced apart.
  •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using the hearing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hearing aid that uses sound (a constriction of air) as a transmission medium has generally used an airway type hearing aid inserted into the ear canal.
  • the output device of the conventional airway type hearing aid transmits sound through the eardrum, and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put device of the hearing aid having this type is specified in ASTM-F2504.
  • the dotted line in the graph shown in the graph of FIG. 6 is a measurement of the characteristic of vibrating the spine when a sound pressure of 94 dB SPL is applied to the eardrum and represents the lower and upper limits of the normal person, respectively, and these reference points are specified in ASTM-F2504. Has been.
  • 6 is an experimental result graph showing a result of confirming whether sound is smoothly transmitted when a receiver is implanted in a yuyang-do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유양동에 리시버가 이식된 형태로 제공되는 보청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는 출력 장치가 입력 장치와 분리된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됨으로써 피드백(궤환) 영향을 작게 받으며 높은 출력에서도 음향궤환을 갖지 않아 중고도 난청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는 유양동에 출력장치를 위치시키기 위한 이식수술 방법이 간단하고 출력장치의 이식기술 수준에 관계 없이 일정한 보청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는 공기를 출력 매질로 사용하는 리시버를 유양동에 이식함으로 인해 출력 매질의 저항이 적고 높은 출력 효율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보청기
본 발명은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측두골 유양동 (아래에서는 유양동으로 칭한다)에 출력 장치가 이식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청기는 크게 외이도에 삽입되는 기도형 보청기와, 환자의 고막이나 중이 등에 이식되는 이식형 보청기로 구분할 수 있다. 외이도에 삽입되는 기도형 보청기(10)의 경우,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외이도에 삽입되는 기도형 보청기(10)의 경우 외이도-고막-이소골-내이 순으로 소리가 전달되며, 외이도에 높은 음압을 생성하여 난청을 보상한다. 외이도에 삽입되는 기도형 보청기는 외이도에 삽입되는 출력장치(스피커)가 고막의 외이도 방향에서 고막으로 자극(음향 진동)이 전달되며, 스피커가 마이크로폰과 인접해 있고 입력장치(마이크로폰)와 출력장치(스피커)가 같은 매질(공기)에 노출되어 있어 궤환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특히 높은 음향 출력에서 음향궤환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도형 보청기는 일반적으로 큰 증폭도를 필요로 하는 중고도 난청자에게 적용이 어렵다.
반대로 이식형 보청기의 경우, 출력장치를 이식하기 위한 수술이 복잡하고, 진동출력장치의 이식기술 수준에 따라 효능의 차이가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진동출력장치는 기계적인 연결을 통해 출력 진동을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출력 매질의 저항이 커서 에너지 효율이 낮고, 이식형 보청기의 배터리 사용주기가 짧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도형 보청기 및 이식형 보청기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보청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 기도형 보청기 및 이식형 보청기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보청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향 궤환이 작아 중고도 난청자에게 적용 가능하고 이식 수술이 간단하고 에너지 효율이 높아 배터리 사용주기가 높은 보청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보청기가 개시된다.
일 예시에 따르면,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는 각각 별도의 하우징의 내부에 포함되어 분리 제공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포함되는 제1하우징은 대상체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출력 장치가 포함되는 제2하우징은 대상체에 이식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입력 장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장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제2하우징은 대상체의 유양동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제2하우징은 대상체의 중이강과 연결되는 뼈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출력 장치의 통신은 동일한 매질을 사용하여 통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리시버의 몸체는 상기 제2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리시버의 음향 출력부는 제3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2하우징은 대상체의 유양동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상기 제3하우징은 중이강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하우징과 이격되어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보청기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회로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회로 소자는 상기 제1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상기 제3하우징 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제2하우징 및 상기 제3하우징은 방수 재질 및 생체 적합성 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에 의하면, 종래의 기도형 보청기 및 이식형 보청기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첫째로, 기존의 기도형 보청기의 출력장치가 고막의 외이도 방향에서 자극하는 것과는 달리 고막의 중이강 방향에서 고막을 자극함으로써, 리시버, 즉 출력 장치가 체외의 마이크로폰과 분리되어 피드백(궤환) 영향을 작게 받으며, 입출력 장치가 같은 매질(공기)을 사용하나 입력은 체외에 출력은 체내에 있음으로 피드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높은 출력에서도 음향 궤환을 갖지 않으며 저주파 출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높은 출력을 내어 중고도 난청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
둘째, 유양동에 출력장치를 위치시키기 위한 이식 수술이 간단하여 기존 이식형 보청기와 비교하여 이식형 보청기의 출력장치를 매우 간단한 수술로 이식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이식형 보청기의 진동출력장치가 출력장치의 이식기술 수준에 따라 큰 효능의 차이를 보이는 것과는 달리 폐쇄된 중이강 어떠한 곳에 본 발명의 출력장치가 위치하더라도 우수한 보청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셋째, 기계적인 연결을 통해 출력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출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출력 매질로 사용하는 리시버를 유양동에 이식함으로 인해, 출력 장치의 효율성이 높다. 따라서, 출력 매질의 저항이 적어 낮은 에너지의 공급으로도 큰 출력을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실시예에 따른 기도형 보청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보청기의 음향 피드백(궤환) 모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의 출력 장치의 이식위치 및 이식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를 통해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와 '~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 및 '~부'들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100)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100)는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는 각각 별도의 하우징의 내부에 포함되어 분리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입력 장치는 제1 하우징(110) 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출력 장치는 제2 하우징(120) 내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은 외이도에 삽입이 가능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은 외이도에 삽입되는 부분은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외이도에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은 삽입되는 부분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입력 장치가 포함되는 제1하우징은 대상체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은 오픈형 혹은 귀걸이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입력 장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입력 장치는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음향 소리를 받아들여 이를 전자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증폭기는 음향 전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증폭기는 OP-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2하우징(120)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2 하우징(120)은 유양동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2 하우징(120)은 대상체에 이식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생체 적합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20)은 방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우징(120)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상체에 이식되어 동작하더라도 고장의 염려 없이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제2 하우징(120)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출력 장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리시버는 입력 장치에 포함된 증폭기로부터 전달 받은 증폭된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경하여 내이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120)은 회로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회로 소자는 리시버를 동작시킬 수 있는 전력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회로 소자는 배터리일 수 있다. 회로 소자는 무선으로 구동될 수 있는 전력 소자일 수 있다.
도 2의 일 예시에 따르면 출력 장치는 대상체의 유양동 내에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출력 장치는 대상체의 중이강과 연결되는 뼈에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기존의 이식형 보청기는 출력 장치가 진동을 이용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형태를 사용하였기 떄문에, 출력장치가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전달되는 출력의 크기가 상이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장치가 포함되는 제2하우징이 대상체에 이식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하우징이 부착되는 위치는 대상체의 유양동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100)에 의하면, 종래의 기도형 보청기 및 이식형 보청기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청기의 출력 장치는 기존의 이식형 보청기와 달리 공기를 매질로 사용하여, 비어 있는 중이강을 통해 소리의 전달이 가능하여 보다 반응속도가 빠른 효과가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출력 장치와 입력 장치의 통신은 동일한 매질을 사용하여 통신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다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장치는 공기를 출력 매질로 사용하여 음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출력 장치가 제2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제공되고, 제2 하우징은 유양동에 부착되어 사용되므로, 제1 하우징 내에 포함된 증폭기로부터 전달된 소리는 유양동부터 유돌동구, 중이강 안으로 전파되어 제공된다. 중이강은 유양동과 연결되어 있다.
기존의 보청기의 경우,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 모두가 외이도 쪽에 배치되어 외이도 쪽에서 고막을 자극하여 이소골을 진동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입력 장치는 기존의 위치에 배치되고, 출력 장치가 대상체의 유양동에 이식되어 배치되어, 외이도와 반대쪽, 즉 중이강 쪽에서 고막을 자극하여 이소골을 진동시킨다. 즉, 유양동-유돌동구-중이강으로 들어온 소리가 고막의 뒤편을 자극하고, 이러한 자극이 이소골을 진동시켜 내이로 음향 신호의 전달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막의 안쪽, 중이강에 높은 음압을 생성하여 난청을 보상하는 것으로, 출력 장치가 외이도에 삽입되어 제공되는 입력 장치와 고막을 기준으로 반대 방향에 분리된 위치에 배치되어 유양동에 이식되므로, 기도형 보청기의 단점인 음향궤환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기도형 보청기의 음향출력장치가 고막의 외이도 방향에서 자극하는 것과는 달리 고막의 중이강 방향에서 자극함으로써, 출력 장치가 입력 장치와 분리되어 피드백(궤환)의 영향을 작게 받으며, 입출력 장치가 같은 매질(공기)을 사용하나 입력은 체외에 출력은 체내에 있어 피드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장치가 포함하는 리시버는 몸체;와 음향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몸체와 음향 출력부가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리시버의 몸체는 제2 하우징(120) 내에 배치되고, 리시버의 음향 출력부는 제3 하우징(미도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제2하우징 및 제3하우징은 방수 재질 및 생체 적합성 재질일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몸체가 포함되는 제2 하우징(120)은 유양동 내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음향 출력부가 포함되는 제3 하우징(미도시)는 중이강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하우징(120)과 이격되어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향 출력부가 중이강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소리의 전달이 더 빠른 속도로 처리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르면, 리시버의 몸체가 포함되는 제2 하우징은 유양돌기에 이식되고 리시버의 음향 출력부가 포함되는 제3 하우징은 유돌 동구에 접촉되거나 근접하도록 또는 유돌 동구로부터 소정 거리(수 cm 또는 수 mm 이내) 이격되도록 이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종래의 일체형 기도형 보청기에서, 출력 장치가 분리되어 유양동에 이식되어 배치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따른 보청기를 실제 사용할 경우에는 마이크로폰과 증폭기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은 체외에, 즉 외이도에 삽입되는 형태로 외이도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고, 리시버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은 유양동 내부에 이식되어 배치되므로, 기존의 기도형 보청기와 실생활에서의 사용 형태는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보청기의 음향 피드백(궤환)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이도에 삽입하는 기도형 보청기는 입력장치와 출력장치가 같은 매질 즉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궤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기도형 보청기는 일반적으로 큰 증폭도를 필요로 하는 중고도 난청자에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는 입출력 장치가 같은 매질(공기)을 사용하나 입력은 체외에 출력은 체내에 있기 때문에 피드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높은 출력에서도 음향 궤환을 갖지 않으며 저주파 출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높은 출력을 내어 중고도 난청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기존의 기도형 보청기의 경우에는 궤환이 발생하기 때문에 출력 O=I*A가 되지 못하고 출력 O=I*A+O*B*A의 결과가 되어, 궤환으로 인한 O*B*A를 무시할 수 없을 수준으로 출력값이 클 경우에는 출력이 발진하게 되어 정상적으로 소리 전달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높은 출력값을 가지더라도 출력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기 때문에 중고도 난청자에게도 손쉽게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출력장치를 유양동에 이식하는 수술이 기존 이식형 보청기의 수술과 비교하여 매우 간단한 시술에 해당하여 환자와 의료진 모두가 만족할 수 있다. 기존의 이식형 보청기의 진동출력장치가 출력장치의 이식기술 수준에 따라 큰 효능의 차이를 보이는 것과는 달리 폐쇄된 중이강 어떠한 곳에 본 발명의 출력장치가 위치하더라도 우수한 보청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계적인 연결을 통해 출력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출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출력 매질로 사용하는 리시버를 유양동에 이식함으로 인해, 출력 장치의 효율성이 높다. 따라서, 출력 매질의 저항이 적어 낮은 에너지의 공급으로도 큰 출력을 낼 수 있다. 진동출력장치는 기계적인 연결을 통해 출력 진동을 전달하는 반면 리시버는 공기를 출력 매질로 한다. 이것은 리시버가 출력 매질의 저항이 적어 낮은 에너지의 공급으로도 큰 출력을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식형 보청기의 출력 장치의 이식위치 및 이식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보청기의 출력 장치는 유양동(mastoid antrum) 내에 이식된다. 출력 장치는 유양 돌기동의 바깥쪽 뼈에 해당하는 유양동 외측부(lateral mastoid antrum)의 절개부를 통해 유양동 내에 이식될 수 있다. 측두골 내에 무른 뼈들 사이에 다수의 유돌 봉소(mastoid air cell)이 존재하며, 유양동은 다수의 봉소(air cell) 중에서 제일 큰 방을 의미한다. 유돌 봉소는 유양동보다 조금 작은 방들을 일컫는다. 유돌 동구는 유양동에서 이소골이 있는 중이강으로 이어지는 입구를 일컫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보청기의 출력 장치는 유양동 내에 유양돌기(측두골의 한 부분)에 측면 또는 바닥면 등에 이식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접착방식, 나사결합 등에 의해 유양동 내의 유양돌기에 이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력 장치는 거치방식 및 거치방향/위치와 무관하게 좁은 공간에서 일정한 음압을 형성하여 고막으로 음향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음향 출력 방향이 유돌 동구를 향하도록, 또는 유돌 동구의 상부, 하부 또는 좌/우 측부를 향하도록 이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청기의 출력 장치는 유돌 동구에 이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청기의 출력 장치가 포함하는 리시버의 몸체는 유양돌기에 이식되고 리시버의 음향 출력부는 유돌 동구에 접촉되거나 근접하도록 또는 유돌 동구로부터 소정 거리(수 cm 또는 수 mm 이내) 이격되도록 이식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를 통해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기존의 발명에 따르면, 소리(공기의 밀소)를 전달 매개체로 하는 보청기는 외이도에 삽입되는 기도형 보청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기존의 기도형 보청기의 출력장치는 고막을 통해 소리를 전달하며, 이러한 형태를 갖는 보청기의 출력장치 특성 평가법은 ASTM-F2504에 규정되어 있다.
도 6의 그래프에 도시된 그래프에서의 점선은 고막에 94 dB SPL의 음압이 인가 될 때 등자뼈가 진동하는 특성을 측정한 것으로 정상인의 하한치와 상한치를 각각 나타낸 것이고, 이러한 기준점은 ASTM-F2504에 규정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유양동에 리시버가 이식된 경우 소리가 원활하게 전달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는 유양동을 통해 소리가 전달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사체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도 6에서의 검은색 실선으로 나타난다.
도 6에 따른 실험 결과 그래프에 의하면, 유양동에서 94 dB SPL 가량의 음압을 생성하는 경우 등자뼈로 전달되는 소리가 난청의 보상에 충분한 수준(정상인의 범주 안에 포함되는 범위)이며, 이 때 외부에서 어떠한 피드백도 측정되지 않아, 충분히 기존의 이식형 보청기를 대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보청기에 있어서,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는 각각 별도의 하우징의 내부에 포함되어 분리 제공되고,
    상기 입력 장치가 포함되는 제1하우징은 대상체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출력 장치가 포함되는 제2하우징은 대상체에 이식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보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장치는 리시버를 포함하는 보청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대상체의 유양동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보청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대상체의 중이강과 연결되는 뼈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보청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와 상기 출력 장치의 통신은 동일한 매질을 사용하여 통신되는 보청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의 몸체는 상기 제2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리시버의 음향 출력부는 제3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2하우징은 대상체의 유양동에 부착되어 사용되며,
    상기 제3하우징은 중이강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하우징과 이격되어 부착되어 사용되는 보청기.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회로 소자를 더 포함하는 보청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소자는 상기 제1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내에 각각 제공되는 보청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방수 재질 및 생체 적합성 재질인 보청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회로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소자는 상기 제1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및 상기 제3하우징 내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제2하우징 및 제3하우징은 방수 재질 및 생체 적합성 재질인 보청기.
PCT/KR2020/005883 2019-05-02 2020-05-04 보청기 WO202022261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07,936 US20220295200A1 (en) 2019-05-02 2020-05-04 Hearing a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1677 2019-05-02
KR10-2019-0051677 2019-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22610A1 true WO2020222610A1 (ko) 2020-11-05
WO2020222610A9 WO2020222610A9 (ko) 2021-02-25

Family

ID=7302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5883 WO2020222610A1 (ko) 2019-05-02 2020-05-04 보청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95200A1 (ko)
KR (1) KR20200128368A (ko)
WO (1) WO202022261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1581A1 (en) * 2000-03-28 2002-06-13 Hans Leysieffer Partially or fully implantable hearing system
KR20090108373A (ko) * 2008-04-11 2009-10-15 주식회사 뉴로바이오시스 적외선 통신 방식의 귓속형 인공 와우 장치
KR20120061859A (ko) * 2010-01-25 2012-06-13 쟈앙수 베터라이프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KR20160051960A (ko) * 2014-10-30 2016-05-12 한국기계연구원 인공와우 패키지
KR20180111716A (ko) * 2018-08-02 2018-10-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식형 보청기 및 이의 저작음 잡음 제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89771B1 (en) * 2009-01-21 2017-05-10 Advanced Bionics AG Partially implantable hearing ai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1581A1 (en) * 2000-03-28 2002-06-13 Hans Leysieffer Partially or fully implantable hearing system
KR20090108373A (ko) * 2008-04-11 2009-10-15 주식회사 뉴로바이오시스 적외선 통신 방식의 귓속형 인공 와우 장치
KR20120061859A (ko) * 2010-01-25 2012-06-13 쟈앙수 베터라이프 메디컬 컴퍼니 리미티드 이어몰드 및 귓속형 리시버로 구성된 오픈 보청기
KR20160051960A (ko) * 2014-10-30 2016-05-12 한국기계연구원 인공와우 패키지
KR20180111716A (ko) * 2018-08-02 2018-10-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식형 보청기 및 이의 저작음 잡음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95200A1 (en) 2022-09-15
WO2020222610A9 (ko) 2021-02-25
KR20200128368A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0962A (en) Implantable hearing aid and method of improving hearing
US5842967A (en) Contactless transducer stimulation and sensing of ossicular chain
US7033313B2 (en) Surgically implantable hearing aid
US6050933A (en) Hearing aid transducer support
US7043040B2 (en) Hearing aid apparatus
US8170252B2 (en) Dual percutaneous anchors bone conduction device
CA2655662C (en) Remote sensing and actuation of fluid of inner ear
EP0263254A1 (en) Implantable hearing aid
CA2697617C (en) Remote sensing and actuation of fluid in cranial implants
Kartush et al. Electromagnetic ossicular augmentation device
WO2014129785A1 (ko) 설치가 용이한 이식형 보청기용 마이크로폰
McGee et al. Electromagnetic Semi‐Implantable Hearing Device: Phase I. Clinical Trials
WO2020222610A1 (ko) 보청기
WO2023048442A1 (ko) 접촉 보청기 성능 구현을 위한 커플러 및 커플러에 탈부착 가능한 리시버를 구비한 보청기
US20090259091A1 (en) Bone conduction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ound input devices
ATE363190T1 (de) Hörhilfegerät
WO2001045457A2 (en) Implantable hearing aid 1.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985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79852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